맨위로가기

러스티 러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스티 러셀은 리눅스 운영 체제 커널에서 ipchains 및 netfilter/iptables를 개발한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다. 그는 리누스 토르발스로부터 "최고 부관" 중 한 명으로 언급되었으며, Trivial Patch Monkey를 생성하여 커널 해커들이 사소한 패치를 제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lguest 가상화 시스템 개발에 참여했으며, 삼바 팀에 합류했다. 러스티 러셀은 비트코인의 라이트닝 네트워크 프로토콜 사양의 대부분을 작성했고,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pettycoin을 시작했다. 그는 1999년 호주 리눅스 사용자 컨퍼런스를 기획하고 주최하여 연례 linux.conf.au 컨퍼런스 시리즈의 전신을 만들었으며, Linux Australia의 지적 재산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러스티 러셀은 2005년 linux.conf.au에서 러스티 렌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의 블로거 - 제시카 왓슨
    오스트레일리아의 요트 선수 제시카 왓슨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무원조, 무기항으로 요트 세계 일주에 성공하여 주목을 받았으며,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어린 나이에 도전을 감행하여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블로거 - 맥스 배리
    맥스 배리는 소설, 단편 소설, 에세이를 통해 기술 발전, 언어의 힘, 사회적 통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작가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그래머 - 줄리언 어산지
    줄리언 어산지는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태어난 인터넷 활동가이자 위키리크스 설립자로, 기밀문서 공개로 논란을 일으키며 여러 국가를 거쳐 망명 및 수감 생활을 하다 2024년 석방 후 고국으로 귀국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프로그래머 - 그레그 이건
    호주 출신의 수학자이자 하드 SF 작가인 그레그 이건은 복잡한 과학적 개념과 철학적 고찰을 결합한 작품들로 휴고상 등을 수상했으며, 웹사이트를 통해 작품과 에세이를 공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리눅스 관계자 - 리처드 스톨먼
    리처드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창시자이자 GNU 프로젝트 설립자로서, Emacs 편집기 개발, GNU 운영 체제 개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설립, 카피레프트 개념 대중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개발 등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이끌었으나, 논쟁적인 발언으로 FSF 회장직에서 사임 후 복귀하기도 한 미국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해커, 사회 운동가이다.
  • 리눅스 관계자 - 리누스 토르발스
    리누스 토르발스는 1969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컴퓨터 과학자이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여 핵심 개발자로 활동하고, Git 버전 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했다.
러스티 러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1년 1월 linux.conf.au에서의 러스티 러셀
2011년 1월 linux.conf.au에서의 러스티 러셀
본명Paul Russell
출생일1973년 1월 18일
출생지영국 런던
국적오스트레일리아
직업컴퓨터 프로그래머
고용주Blockstream
웹사이트러스티 러셀 개인 웹사이트
알려진 업적Linux 커널 개발
자유 소프트웨어 옹호

2. 소프트웨어 개발

러스티 러셀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해 온 개발자이다. 특히 리눅스 커널 개발에 초기부터 참여하여 네트워킹(ipchains, netfilter/iptables) 및 가상화(lguest) 관련 핵심 기능을 개발했으며,[2][14][4][5][17][18] 리누스 토르발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3][15] 또한 Samba 프로젝트에도 기여했다.[6][19] 이후 암호화폐 분야로 활동 영역을 넓혀 비트코인의 라이트닝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9] 2014년에는 pettycoin이라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도 했다.[7][8]

2. 1. 리눅스 커널

러스티 러셀은 리눅스 운영 체제 커널에서 패킷 필터링 시스템인 ipchains와 그 후계 시스템인 netfilter/iptables를 개발했다.[2][14] 리누스 토르발스2003년에 그를 자신의 "최고 부관"(Top deputies)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높이 평가했다.[3][15]

2002년, 러셀은 "Trivial Patch Monkey"라는 이메일 주소를 개설했다고 발표했다.[16] 이는 리눅스 커널 해커들이 철자 오류 수정, 한두 줄 정도의 간단한 코드 수정, 소스 코드가 아닌 문서 조정, 그 외 코드 베이스에 대한 사소한 패치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역할은 2005년에 에이드리언 뱅크(Adrian Bunk)가 이어받았다.

2006년부터 러셀은 리눅스 커널에서 반가상화(Paravirtualization) 환경을 구축하는 "lguest" 시스템 개발을 시작하여 주요 개발자로 활동했다.[4][5][17][18] 2009년 10월에는 Samba 개발팀에 공식적으로 합류하여 환영의 의미로 삼바 팀 티셔츠를 받았다.[6][19]

2. 2. 라이트닝 네트워크

러스티 러셀은 비트코인의 라이트닝 네트워크 프로토콜 사양의 대부분을 작성했다.[9]

2. 3. 기타

러스티 러셀은 리눅스 운영 체제 커널에서 패킷 필터링 시스템인 ipchains와 그 후속 시스템인 netfilter/iptables를 개발했다.[2][14] 2003년 리누스 토르발스는 러셀을 자신의 '최고 부관' 중 한 명으로 언급했다.[3][15]

2002년 러셀은 'Trivial Patch Monkey'[16]라는 이메일 주소를 만들어, 리눅스 커널 해커들이 철자 오류 수정, 간단한 코드 수정, 문서 수정 등 사소한 패치를 쉽게 제출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역할은 2005년 아드리안 벙크(Adrian Bunk)가 이어받았다.

2006년부터는[4] 리눅스 커널에서 반가상화 시스템인 "lguest"의 주요 개발자로 활동했다.[5][17][18] 2009년 10월에는 Samba 개발팀에 합류했다.[6][19]

2014년에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pettycoin을 시작했다.[7][8] 또한 비트코인의 라이트닝 네트워크 프로토콜 사양의 상당 부분을 작성했다.[9]

3. 오스트레일리아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활동

러스티 러셀은 호주의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서 중요한 활동을 펼쳤다. 1999년 모나쉬 대학교에서 연례 linux.conf.au 컨퍼런스의 전신이 된 '호주 리눅스 사용자 컨퍼런스'(Conference of Australian Linux Users영어)를 기획하고 주최했다.[20]

그는 Linux Australia|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영어의 지적 재산권 고문으로서 활동했으며, 특히 호주와 미국 간의 오스트레일리아-미국 자유 무역 협정에 포함된 지적 재산권 조항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반대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10][21] 또한 2004년에는 Linux Australia|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영어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1][22]

이러한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2005년 linux.conf.au에서 자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초대 '러스티 렌치'(Rusty Wrench영어) 상을 수상했다.[12][23]

3. 1. 컨퍼런스 개최

2014년 linux.conf.au에서 러셀과의 인터뷰


러스티 러셀은 1999년 모나쉬 대학교에서 '호주 리눅스 사용자 컨퍼런스'(Conference of Australian Linux Userseng)를 기획하고 주최했다.[20] 이 행사는 이후 연례 linux.conf.au 컨퍼런스 시리즈의 전신이 되었다.

그는 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 Linux Australiaeng )의 지적 재산 고문을 맡았으며, 호주와 미국 간의 오스트레일리아-미국 자유 무역 협정( Australia – 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eng )에 포함된 지적 재산권 관련 조항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이에 반대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10][21] 또한 2004년에는 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1][22]

2005년 linux.conf.au에서는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대한 그의 기여를 인정받아, 자신의 이름을 딴 '러스티 렌치'( Rusty Wrencheng ) 상의 첫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2][23]

3. 2. Linux Australia 활동



러스티 러셀은 1999년 모나쉬 대학교에서 '호주 리눅스 사용자 컨퍼런스'(Conference of Australian Linux Users영어)를 기획하고 주최했다.[20] 이 행사는 연례 linux.conf.au 컨퍼런스 시리즈의 전신이 되었다.

러셀은 Linux Australia|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영어의 지적 재산권 고문이며, 호주와 미국 간의 오스트레일리아-미국 자유 무역 협정( Australia – 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영어 )에 포함된 지적 재산권 조항에 대해 비판하며 반대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10][21] 그는 2004년 Linux Australia|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영어 위원회 위원이었다.[11][22]

러셀은 2005년 linux.conf.au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자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초대 Rusty Wrench|러스티 렌치영어 상을 수상했다.[12][23]

3. 3. 러스티 렌치 상 수상

2005년 linux.conf.au에서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가 수여하는 '러스티 렌치 상'(Rusty Wrencheng)의 첫 번째 수상자가 되었다. 이 상의 이름은 러스티 러셀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2][23]

4. 기타



러셀은 1999년 모나쉬 대학교에서 호주 리눅스 사용자 컨퍼런스(Conference of Australian Linux Users)를 기획하고 주최했는데, 이는 연례 linux.conf.au 컨퍼런스 시리즈의 시작이 되었다.

그는 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Linux Australia)의 지적 재산 고문으로 활동하며, 오스트레일리아-미국 자유 무역 협정의 지적 재산 관련 조항에 대해 비판하고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10] 또한 2004년에는 리눅스 오스트레일리아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11]

2005년 linux.conf.au에서는 자유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아 초대 러스티 렌치 상을 수상했다.[12]

개인적으로는 아내인 앨리 러셀(Alli Russell)과 별거 중이며, 두 사람 사이에는 2008년에 태어난 딸이 한 명 있다.[24]

참조

[1] 웹사이트 OzLabs http://ozlabs.org/ab[...] 2015-07-31
[2] 웹사이트 Interview: Rusty Russell http://kerneltrap.or[...] KernelTrap 2003-09-23
[3] 웹사이트 Torvalds: What, me worry? http://news.cnet.com[...] News.com 2003-07-08
[4] 웹사이트 lguest patches repository http://lguest.ozlabs[...] Ozlabs 2007-10-28
[5] 웹사이트 lguest: Spartan virtualization for Linux http://www.computerw[...] IDG Communications 2007-02-02
[6] 웹사이트 SAMBA Coding and a Little Kernel http://ozlabs.org/~r[...] Ozlabs 2009-10-27
[7] 웹사이트 rustyrussell/pettycoin https://github.com/r[...]
[8] 웹사이트 pettycoin.org - losing tiny amounts of money at scale http://pettycoin.org[...]
[9] 웹사이트 Lightning Network In-Progress Specifications https://github.com/l[...] 2022-05-17
[10] 웹사이트 Talking IP with Kimberlee Weatherall and Rusty Russell http://www.builderau[...] Builder.au 2007-01-31
[11] 웹사이트 Linux Australia Committee http://www.linux.org[...] Linux Australia 2007-05-07
[12] 웹사이트 Linux Australia Awards http://linux.org.au/[...] Linux Australia
[13] 웹사이트 OzLabs http://ozlabs.org/ab[...] 2008-07-20
[14] 웹사이트 Interview: Rusty Russell http://kerneltrap.or[...] KernelTrap 2003-09-23
[15] 웹사이트 Torvalds: What, me worry? http://news.cnet.com[...] CNET 2003-07-08
[16] 웹사이트 Linux Kernel Trivial Patch Monkey Page http://www.kernel.or[...] www.kernel.org 2011-02-22
[17] 웹사이트 Lguest: The Simple x86 Hypervisor http://lguest.ozlabs[...] Ozlabs 2007-10-28
[18] 웹사이트 lguest: Spartan virtualization for Linux http://www.computerw[...] International Data Group 2011-02-22
[19] 웹사이트 SAMBA Coding and a Little Kernel http://ozlabs.org/~r[...] Ozlabs 2009-10-27
[20] 웹사이트 "Conference of Australian Linux Users" http://www.linux.org[...] www.linux.org.au 2011-02-22
[21] 웹사이트 Talking IP with Kimberlee Weatherall and Rusty Russell http://www.builderau[...] Builder.au 2007-05-07
[22] 웹사이트 Linux Australia Committee http://www.linux.org[...] Linux Australia 2007-05-07
[23] 웹사이트 Linux Australia Awards http://linux.org.au/[...] Linux Australia 2011-02-22
[24] 웹사이트 Welcome Arabella Lilly Russell, into a complex world http://ozlabs.org/~r[...] 2008-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