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요시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요시 2세는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으로, 1516년 아버지 울라슬로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라 통치 기반이 약했고, 1526년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가 이끄는 군대와의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했다. 그의 죽음으로 헝가리 왕국 영토의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왕위 계승 분쟁으로 인해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가문, 트란실바니아로 분할되었다. 러요시 2세는 야심 찬 군주였으나, 헝가리의 몰락을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헝가리 사람 - 서포여이 야노시
    서포여이 야노시는 헝가리의 귀족이자 트란실바니아 공작으로, 1526년 모하치 전투 이후 헝가리 왕위를 놓고 합스부르크 왕가의 페르디난트 1세와 경쟁하며 야노시 1세로 즉위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 16세기 헝가리 사람 - 바토리 에르제베트
    바토리 에르제베트는 젊음 유지를 위해 수많은 여성을 고문하고 살해한 혐의로 악명 높은 헝가리 왕국 귀족 출신 인물로, "피의 백작부인"이라는 별칭과 흡혈귀 전설과의 결합으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네스 세계 기록은 그녀를 역사상 가장 많은 여성을 살해한 연쇄 살인범으로 기록한다.
  • 헝가리의 군주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1556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526년부터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1521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을 지냈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를 창시하고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기틀을 마련, 종교 갈등을 조정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이끌어냈고 중앙집권화와 가톨릭 부흥을 추진했다.
  • 헝가리의 군주 - 프란츠 요제프 1세
    프란츠 요제프 1세는 1848년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여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고 절대주의 통치를 강화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성립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다.
  • 크로아티아의 역사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1556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526년부터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1521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을 지냈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를 창시하고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기틀을 마련, 종교 갈등을 조정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이끌어냈고 중앙집권화와 가톨릭 부흥을 추진했다.
  • 크로아티아의 역사 - 프란츠 요제프 1세
    프란츠 요제프 1세는 1848년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여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고 절대주의 통치를 강화했으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성립시키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다.
러요시 2세
기본 정보
한스 크렐의 초상화, 1526년경
한스 크렐, 1526년경
이름라요시 2세 / 루드비크
다른 이름II. Lajos
Ludvík Jagellonský
Ludovik II.
Ľudovít II.
출생일1506년 7월 1일
출생지[[File:Flag of Hungary (15th century, rectangular).svg|border|25x20px]] 헝가리 왕국, 부다 (현재의 헝가리, 부다페스트)
사망일1526년 8월 29일
사망지[[File:Flag of Hungary (15th century, rectangular).svg|border|25x20px]] 헝가리 왕국, 모하치
매장지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
서명
통치
헝가리 왕 및 크로아티아 왕 즉위1516년 3월 13일
헝가리 왕 및 크로아티아 왕 퇴위1526년 8월 29일
헝가리 왕 및 크로아티아 왕 대관식1508년 6월 4일
헝가리 왕 및 크로아티아 왕 선임자울라슬로 2세
헝가리 왕 및 크로아티아 왕 후임자페르디난트 1세
서포여이 야노시
보헤미아 왕 즉위1516년 3월 13일
보헤미아 왕 퇴위1526년 8월 29일
보헤미아 왕 대관식1509년 3월 11일
보헤미아 왕 선임자울라슬로 2세
보헤미아 왕 후임자페르디난트 1세
가족
배우자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자녀버시 야노시 (서자)
왕가야기에우워 왕조
아버지울라슬로 2세
어머니안 드 푸아
종교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2. 생애

러요시 2세는 1506년 헝가리 부더에서 헝가리보헤미아의 국왕 울라슬로 2세와 그의 세 번째 아내 안 드 푸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누이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아내인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이다.

1516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지만, 나이가 어려 통치 기반이 약했다. 1526년 오스만 제국쉴레이만 1세가 이끄는 군대와의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하면서 헝가리 왕국 영토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다.

러요시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쉴레이만 1세트란실바니아서포여이 야노시를 헝가리 국왕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러요시 2세의 아내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가 반대했고, 결국 신성 로마 제국의 페르디난트 1세가 보헤미아와 헝가리 왕위를 승계받았다. 이로써 합스부르크 가가 보헤미아와 헝가리 왕위를 세습하게 되었다.

2. 1. 어린 시절

1506년 7월 1일 부다에서 조산으로 태어났을 때, 궁정 의사들은 동물을 죽이고 따뜻한 사체로 감싸 원시적인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여 그를 살렸다.[1] 그는 야기에우워 왕조의 블라디슬라프 2세와 그의 세 번째 부인 푸아의 안나의 외아들이었다.[2]

2. 2. 즉위

1516년 아버지 울라슬로 2세가 사망하자 러요시 2세는 헝가리 왕국보헤미아 왕국의 왕위를 계승했다.[2] 1508년 6월 4일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서 헝가리 국왕으로서 즉위식을 거행하였고, 1509년 3월 11일 프라하성 비투스 대성당에서 보헤미아 국왕으로서 즉위식을 거행했다. 보헤미아의 왕으로서 "어린 루이(Ludovicus the Child)"로 알려졌다.[2]

1515년경 젊은 루이 2세, 베르나르트 슈트리겔 작


어린 나이로 인해 통치 기반이 약했고, 귀족들의 권력 다툼으로 인해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섭정인 타마시 바코츠 추기경과 게오르게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백작은 그를 방치하고 왕실 수입을 탕진하며 왕국 전체를 혼란에 빠뜨렸다.[1] 타마시 바코츠 추기경이 사망하자 이슈트반 바토리, 서포여이 야노시, 이슈트반 베르뵈치 등의 귀족들이 서로 격렬하게 싸우고 의회를 자신의 도구로 이용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

1515년 제1차 빈 회의의 결과에 따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손녀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와 결혼했다.

2. 3.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1526년 오스만 제국쉴레이만 1세가 헝가리를 침공하여 모하치 전투가 발발했다. 헝가리 군은 중세 군대, 부족한 화기, 구식 전술의 약점을 드러내며 오스만 군에 대패했다.[8] 특히, 전략적으로 배치된 오스만 대포와 잘 무장하고 훈련된 예니체리 소총병의 공격에 큰 피해를 입었다.

보헤미아 왕국의 요아힘스탈러(1525년)는 최초의 탈러(달러)였다. 이것은 루이/루도비쿠스의 이름과 보헤미아 사자를 새긴 뒷면이다.


전투 중 퇴각하던 러요시 2세는 첼레 강의 가파른 계곡을 오르려다 말에서 떨어져 개울에 빠졌다. 무거운 갑옷 때문에 일어서지 못하고 익사했다.[8] 쉴레이만 1세는 젊은 적의 죽음을 애도하며, "나는 무장하여 그에게 왔지만, 그가 겨우 삶과 왕권의 달콤함을 맛보기도 전에 이렇게 잘려나가기를 바란 것은 아니었다"고 한탄했다고 한다.[8]

모하치 전투에서의 패배와 러요시 2세의 전사로 헝가리 왕국의 대부분은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다.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

2. 4. 유산

Szapolyai János와 합스부르크 가의 페르디난트 1세 간의 분쟁이 발생했다.[9] 러요시 2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쉴레이만 1세오스만 제국에 복속된 트란실바니아의 수반을 역임했던 서포여이 야노시를 헝가리의 국왕으로 추대했다.[9] 그러나 러요시 2세의 아내였던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가 반대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의 대공이었던 페르디난트(훗날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인 페르디난트 1세)가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위를 승계받았다.[9] 이 분쟁의 결과,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가,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할되었다.

3. 가계

러요시 2세는 헝가리 부더에서 울라슬로 2세와 그의 세 번째 아내 안 드 푸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누이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아내인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이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울라슬로 2세헝가리와 보헤미아의 국왕
어머니안 드 푸아
배우자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1세의 손녀
누이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안나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아내


3. 1. 사생아 논란

루이 2세는 왕비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지 못했지만, 안젤리타 바스(Angelitha Wass)라는 여성과의 사이에서 야노시 바스(János Wass)라는 사생아를 두었다는 주장이 있다.[1] 야노시 바스는 비엔나의 자료에서 야노시 바스 또는 야노시 란토스(János Lanthos)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1] 여기서 '란토스'는 류트 연주자 또는 음유시인을 의미한다.[1] 야노시 바스는 왕실 재무부로부터 정기적인 수입을 받았으며, 다른 자손들도 있었다.[1]

4. 평가

러요시 2세는 야심 찬 군주였지만, 어린 나이와 약한 통치 기반, 귀족 간의 분쟁으로 인해 큰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헝가리 왕국의 혼란기로,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헝가리 몰락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1520년 헝가리는 귀족들의 지배 아래 거의 무정부 상태에 있었고, 국왕의 재정은 엉망이었으며, 국경 수비대의 봉급이 지급되지 않고 요새가 파손되는 등 국가 방위력은 약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에 패배하고 전사하면서, 헝가리의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에 넘어가는 결과를 초래했다.[9]

하지만, 모하치 전투에서 보여준 용맹함과 비극적인 죽음은 헝가리 국민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술레이만 1세는 젊은 적의 죽음을 애도했다고 전해지며,[8] 모하치 마을 북쪽에는 루이 2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그의 죽음을 애도하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Louis II. of Hungary
[2] 웹사이트 Czech State under Jagellonian Dynasty http://www.dejepis.c[...]
[3] 서적 A szulejmani ajánlat (Suleiman's offers to Hungary 1521–1526) https://issuu.com/do[...] Attractor kiadó
[4] 서적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https://books.google[...] BRILL 2021-12-17
[5] 서적 Die Habsburger: ein biographisches Lexikon https://books.google[...] Piper 2021-12-17
[6] 서적 Ferdinand I., 1503-1564: Fürst, König und Kaiser https://books.google[...] C.H.Beck 2021-12-15
[7] 서적 Ottomans, Hungarians, and Habsburgs in Central Europe: The Military Confines in the Era of Ottoman Conquest https://books.google[...] BRILL 2021-12-17
[8] 학술지 The World of Süleyman the Magnificent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87-11
[9] 서적 The Holy Roman Empire http://archive.org/d[...] Phoenix Giant
[10] 백과사전 Wladislaw II.
[11] 서적 Revue de l'Agenais https://gallica.bnf.[...] Société académique d'Agen
[12] 백과사전 Casimir IV, King of Poland
[13] 백과사전 Habsburg, Elisabeth von Oesterreich (Königin von Polen)
[14] 서적 Multinational Lithuania: history of ethnic minorities Šviesa
[15] 서적 Jogailaičiai http://www.melc.lt/d[...]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centras 2018-11-14
[16] 백과사전 Albrecht II.
[17] 백과사전 Elisabeth
[18] 서적 The Ancestry of Charles II, King of England
[19] 서적 Gaston IV, comte de Foix, vicomte souverain de Béarn, prince de Navarre, 1423–1472 https://books.google[...] É. Privat
[20]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Macmillan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