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떤은 1466년에 태어나 1503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건왕에 봉해졌으며, 레 헌종은 그의 사망 후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고 정정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레떤의 아들 레 양익제가 황제로 즉위한 후 배천후성온량광명문철관홍창신수휴목효건황제로 추존되었으며, 손자 레 소종은 덕종이라는 묘호와 수절릉이라는 능호를 올렸다. 그의 조부는 레 태종, 아버지는 레 성종이다. 후비는 찐 티 뚜옌이며, 황자로는 레숭, 레 양익제, 목의왕 레조아인, 덕공왕 레꾸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03년 사망 - 이극돈
이극돈은 조선 초 훈구파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대에 이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세조실록》 편찬, 《경국대전》 간행 등 국가 사업에 참여했으나,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사림파로부터 비판받았다. - 1503년 사망 -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는 헨리 7세와의 결혼으로 튜더 왕조를 공고히 하고 요크 왕가와 랭커스터 왕가의 결합을 상징하며 왕비로서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고 자녀 교육에 힘썼다. - 1466년 출생 - 호소카와 마사모토
호소카와 마사모토는 무로마치 막부 말기의 세키가와 가문 당주이자 관령으로, 명응의 정변을 통해 쇼군을 옹립하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기행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능력으로 호소카와 가문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후계자 문제로 인한 암살 사건으로 요절하여 가문이 쇠락하게 되었다. - 1466년 출생 - 윤여필
윤여필은 중종반정 공신이자 장경왕후의 아버지로서 국구의 지위에 올라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탄핵과 비판에 직면하여 몰락 후 복권된 인물로, 그의 가계는 조선시대 유력 가문으로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레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 덕종 |
로마자 표기 | Lê Đức Tông |
본명 | 레떤 (Lê Tân/黎鑌/여빈) |
작위 | 후 레 왕조의 황제 |
별명 | 건왕 (Kiến Vương/建王) 건정정왕 (Kiến Trinh Tĩnh vương/建貞靚王) |
출생일 | 꽝투언(光順) 2년 8월 10일 (1461년 9월 6일) |
사망일 | 까인통(景統) 5년 12월 8일 (1503년 1월 5일) (세) |
묘호 | 덕종 (Đức Tông/德宗) |
시호 | 배천유성온량광명문철관홍창신수휴목효건황제 (Phối Thiên Dụ Thánh Ôn Lương Quang Minh Văn Triết Khoan Hoằng Chương Tín Tuy Hưu Mục Hiếu Kiến Hoàng Đế/配天裕聖溫良光明文哲寬弘彰信綏休穆孝建皇帝) |
능호 | 수절릉 (Thụ Tiết Lăng/受節陵)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휘자황태후(徽慈皇太后) |
부친 | 성종순황제(聖宗淳皇帝) |
모친 | 유휘황태후(柔徽皇太后) |
재위 | |
재위 기간 | (추존) |
왕조 | |
왕조 | 레 왕조 |
기타 |
2. 생애
꽝투언 7년(1466년)에 태어났다. 홍득 2년(1471년 7월 10일) 건왕(建王)에 봉해졌다. 까인통 5년 12월 초파일(1503년 1월 5일) 사망하여, 레 헌종은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고 시호를 정정(貞靖)이라 하였다.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사망과 추존' 부분을 참조.
2. 1. 사망과 추존
1466년에 출생하였다. 1471년 7월 10일, 건왕(建王)에 봉해졌다.1503년 1월 5일 사망하였다. 레 헌종은 3일 동안 조회를 중단하였고, 시호를 정정(貞靖)이라고 하였다.
1509년, 아들인 레오아인이 황제로 즉위한 뒤 시호를 배천후성온량광명문철관홍창신수휴목효건황제(配天詡聖溫良光明文哲寬弘彰信綏休穆孝建皇帝)로 하였다.
1517년, 손자인 레 소종이 묘호를 덕종(德宗), 능호를 수절릉(受節陵)으로 하였다.
3. 가계
레떤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태종 문황제 레응우옌롱(여원룡) | |
조모 | 광숙 황태후 응오 티 응옥다오(오씨옥요) | |
부친 | 성종 순황제 레뜨타인(여사성) | |
모친 | 유휘 황태후 풍지엠뀌(풍염귀) | |
황후 | 휘자황태후 찐 티 뚜옌(정씨선) | 1471년 ~ 1509년 생존 |
아들 | 이름 | 비고 |
장자 | 장정대왕(레숭) | 소종과 공황의 아버지. 소종 즉위 후 황제로 추존. |
차자 | 간수공(레오아인) | 제9대 황제 양익제. |
3남 | 목의왕 레조아인 | 초기 봉호는 정량공. 레꽝찌의 아버지. |
4남 | 덕공왕 레꾸옌 | 1509년 사망 |
3. 1. 조부모와 부모
- 조부: 태종 문황제 레응우옌롱(Lê Nguyên Long/黎元龍/여원룡)
- 조모: 광숙 황태후 응오 티 응옥다오(Ngô thị Ngọc Dao/吳氏玉瑤/오씨옥요)
- 부친: 성종 순황제 레뜨타인(Lê Tư Thành/黎思誠/여사성)
- 모친: 유휘 황태후 풍지엠뀌(Phùng Diệm Quý/馮琰貴/풍염귀)
3. 2. 후비
휘자황태후 찐 티 뚜옌(Trịnh Thị Tuyên/鄭氏瑄/정씨선)은 1471년 ~ 1509년에 생존하였다.3. 3. 황자
- 장정대왕(레숭) - 소종과 공황의 아버지. 소종 즉위 후에 황제로 추존되었다.
- 간수공(레오아인) - 제9대 황제 양익제.
- 목의왕 레조아인( ~ 1509년) - 초기 봉호는 정량공. 레꽝찌의 아버지.
- 덕공왕 레꾸옌( ~ 1509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