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성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성종은 1442년 태어나 1460년 황위에 오른 베트남 후 레 왕조의 군주이다. 그는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법률 정비, 과거 제도 정비, 교육 및 문화 진흥, 군사 제도 개혁 등을 통해 후 레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특히, 홍덕 법전 편찬, 참파 정벌, 란쌍 왕국 원정 등의 업적을 남겼다. 명나라와의 관계에서는 조공 체제를 유지하며, 환관 포로 문제와 같은 외교적 갈등을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2년 출생 - 고쓰치미카도 천황
고쓰치미카도 천황은 일본의 제103대 천황으로, 오닌의 난 시기에 즉위하여 재정 고갈과 권위 실추를 겪었으나 쇠퇴한 조정의 의례를 부활시키려 노력했으며, 사후 장례조차 어려움을 겪었다. - 1442년 출생 - 신정 (1442년)
신정은 조선 성종 시대의 문신으로, 신숙주의 아들이자 세조의 후궁, 폐비 윤씨와 인척 관계에 있었으며, 왕의 인신 위조 혐의로 사사되었으나 사면 및 복권되어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다. - 1497년 사망 - 요하네스 오케겜
요하네스 오케겜은 15세기 후기 부르고뉴 및 초기 네덜란드 악파의 벨기에 출신 작곡가로서 프랑스 궁정을 섬겼으며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로 미사곡, 모테트, 샹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특히 《Missa prolationum》과 《Missa cuiusvis toni》는 15세기 대위법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497년 사망 - 베아트리체 데스테
페라라 공작 에르콜레 1세 데스테의 딸이자 밀라노 공작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부인인 베아트리체 데스테는 뛰어난 지성과 미모로 밀라노 궁정에서 문화적,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며 르네상스 문화에 기여했으나 22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 베트남의 시인 - 호쑤언흐엉
호쑤언흐엉은 찐씨 정권 말기에 태어나 하노이로 이주하여 유교 사회에 도전하는 사회 정치적 논평과 성적 유머를 담은 시를 썼으며, 쯔놈 문학 발전에 기여한 베트남의 시인이다. - 베트남의 시인 - 레꾸이돈
레 꾸이 돈은 레 히엔 통 황제 시대에 활동한 베트남의 학자이자 관료로, 린장강 남쪽 지역의 민정을 회복하고 재통합하는 데 기여했으며, 백과사전, 역사서, 지리서 등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레 성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대월의 황제 |
이름 | 레뜨타인 (Lê Tư Thành, 여사성, 黎思誠) |
개인 이름 | 레하오 (Lê Hạo, 여호, 黎灝) |
묘호 | 레 성종 (Lê Thánh Tông, 黎聖宗) |
휘 | 레하오 (Lê Hạo, 黎灝) |
출생일 | 1442년 8월 25일 |
사망일 | 1497년 3월 3일 (54세) |
매장지 | 람낀(Lam Kinh)의 찌에우릉(Chiêu Tomb, 昭陵)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응오 티 응옥 다오(Ngô Thị Ngọc Dao) |
통치 | |
즉위 | 1460년 6월 13일 |
퇴위 | 1497년 3월 13일 |
재위 기간 | 36년 250일 |
이전 통치자 | 레 의민 |
다음 통치자 | 레 헌종 |
연호 | 꽝투언 (Quang Thuận, 광순, 光順): 1460년–1469년 홍득 (Hồng Đức, 홍덕, 洪德): 1470년–1497년 |
묘호 | 성종 (Thánh Tông, 聖宗) |
시호 | 숭천광운고명광정지덕대공성문신무달효순황제 (Sùng Thiên Quảng Vận Cao Minh Quang Chính Chí Đức Đại Công Thánh Văn Thần Vũ Đạt Hiếu Thuần Hoàng đế, 崇天廣運高明光正至德大功聖文神武達孝淳皇帝) |
왕조 | |
왕조 | 후 레 왕조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응우옌 티 후에 (Nguyễn Thị Huyên) |
자녀 | 황태자 레 짠 (Crown Prince Lê Tranh) 레 떤 왕자 (Prince Lê Tân) 레 뚱 왕자 (Prince Le Tung) 레 짠 왕자 (Prince Lê Tranh) 레 까오 왕자 (Prince Lê Cảo) 레 통 왕자 (Prince Lê Thông) 레 따오 왕자 (Prince Lê Táo) 레 뜨엉 왕자 (Prince Lê Tương) 레 타인 토아이 공주 (Princess Lê Thanh Toại) 레 찌에우 왕자 (Prince Lê Chiêu) 레 까인 왕자 (Prince Lê Cảnh) 레 토안 왕자 (Prince Lê Thoan) 레 킨 왕자 (Prince Lê Kinh) 레 키엔 왕자 (Prince Lê Kiện) 레 오안 응옥 공주 (Princess Lê Oánh Ngọc) 레 민 킨 공주 (Princess Lê Minh Kính) 레 찌엣 산 공주 (Princess Lê Triệt San) 레 빈 히에우 공주 (Princess Lê Bính Hiểu) 레 란 쿠에 공주 (Princess Lê Lan Khuê) 레 바오 후에 공주 (Princess Lê Bảo Huyền) 레 레 칸 공주 (Princess Lê Lệ Khanh) 레 란 드엉 공주 (Princess Lê Lan Đường) 레 깜 트엉 공주 (Princess Lê Cẩm Thương) 레 미 투언 공주 (Princess Lê Mỹ Thuần) |
2. 생애
레 성종은 대월 후 레 왕조의 황제이다. 본명은 '''레 하오'''(黎灝)이며, 자는 '''뜨 스엉'''(思誠), 호는 '''도암 주인'''(道庵主人), 별호는 '''소단 원수'''(騷壇元帥), 칭호는 '''천남 동주'''(天南洞主)이다.[1] 다이바오(大寶) 3년(1442년)에 레 태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복잡한 왕위 계승 과정을 거쳐 1460년 황위에 올랐다.
2. 1. 출생과 즉위 전
레 성종의 본명은 '''레 하오'''(黎灝)이며, 자는 '''뜨 스엉'''(思誠), 호는 '''도암 주인'''(道庵主人), 별호는 '''소단 원수'''(騷壇元帥), 칭호는 '''천남 동주'''(天南洞主)이다.그는 다이바오(大寶) 3년(1442년) 음력 7월 20일(양력 8월 25일)에 승룡 동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에 관해서는 어머니 응오 티 응옥 다오가 꿈에서 옥황상제로부터 선동(仙童)을 받은 후 임신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그는 레 태종 황제와 후궁 응오 티 응옥 다오 사이의 넷째 아들이었으며, 레러이의 넷째 손자였다. 그의 어머니와 레 인종(레 년통)의 어머니인 후궁 응우옌 티 아잉은 사촌 또는 자매 관계였을 가능성이 높다. 태어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아버지 레 태종이 8월에 급사하면서, 그는 제위에 오르기 전까지 궁궐 밖 사가에서 지냈다.
대월사기전서는 어린 레 하오를 "매우 재능이 뛰어나고, 정신과 육체가 경이로우며, 외모는 우아하고 강하며, 마음이 따뜻하고 관대하며, 밝고 진지하며, 황제의 칭호를 받을 만한 훌륭한 종류이며, 그의 독창성과 용감함은 국가를 보존할 것이다"라고 묘사했다.[1]
세 살 때 왕궁으로 돌아와 이복 형인 황제 레 인종(레 년통)과 다른 형제들인 레 칵 스엉, 레 응이전(레 응이 단)과 함께 동경(東京)에서 교육을 받았다. 대화 3년(1444년)에 이복 형 레 인종으로부터 '''평원왕'''(Bình Nguyên Vương/平原王)에 봉해졌으며[39], 이듬해인 1445년에는 경사로 보내져 다른 왕들과 함께 경전을 공부했다. 당시 경사에 있던 관리 쩐 퐁 등은 평원왕이 위엄 있는 외모를 가졌고 다른 이들보다 총명하여 비범한 인물로 여겼다고 한다.
연녕 6년(1459년), 맏형 레 응이전(레 응이민)이 쿠데타를 일으켜 레 인종을 살해하고 황제로 즉위하자, 레 하오는 '''가왕'''(Gia Vương/嘉王)에 봉해졌다. 즉위 전의 정치적, 군사적 업적에 대해서는 『대월사기전서』에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나, 경적을 즐겨 읽었다고 전해진다.
다음 해인 티엔흥(天興) 2년(1460년) 6월, 황제 레 응이전이 응우옌찌(阮熾), 딩리엣(丁列) 등 군부 원로들을 중심으로 한 금군(근위병) 장교들의 쿠데타로 암살되었다. 이 쿠데타 세력은 배다른 형인 공왕(恭王) 레칵쓰엉(黎克昌) 대신 레 하오를 새로운 황제로 추대하여, 그는 광순 원년(1460년)에 즉위하게 된다.[39]
2. 2. 즉위 과정 (1460년)
다이바오(大寶) 3년(1442년) 음력 7월에 태어났으나, 태어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아버지 레 태종(黎太宗)이 8월에 급사하면서 황제가 되기 전까지 궁궐 밖 사가에서 생활했다. 이복형인 레 인종(黎仁宗)이 즉위한 후인 대화 3년(1444년)에는 '''평원왕'''(平原王, Bình Nguyên Vươngvie)에 봉해졌다.연녕 6년(1459년) 음력 10월 3일, 레 태종의 장남이자 또 다른 이복형인 레응이전(黎宜民)이 쿠데타를 일으켜 당시 황제였던 레 인종을 시해하고 스스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2][3] 레응이전이 즉위한 후인 티엔흥(天興) 원년(1459년)에 레 성종은 가왕(嘉王, Gia Vươngvie)에 봉해졌다.
그러나 레응이전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즉위 9개월 만인 티엔흥(天興) 2년(1460년) 6월, 레 왕조 창업 공신이자 원로 대신이었던 응우옌 시(阮熾)와 딘 리엣(丁列) 등이 주도한 반(反) 쿠데타가 성공하여 레응이전은 왕궁에서 살해되었다. 쿠데타 세력은 당시 가왕(嘉王)이자 뜨 타인(Tư Thànhvie) 공이었던 레 성종(본명 레 하오, Lê Hạovie)에게 새로운 황제가 되어달라고 요청했고, 그는 이를 수락했다. 이 과정에서 또 다른 이복형인 공왕(恭王) 레칵쓰엉(黎克昌)을 제치고 황제로 추대되었다. 레응이전이 사망한 지 이틀 후, 레 성종은 광순 원년(1460년)에 황제로 즉위했다.[39]
쿠데타를 이끈 응우옌 시와 딘 리엣은 레러이의 마지막 남은 측근들로, 1440년대 이후 정계 중심에서는 물러나 있었으나 여전히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레 성종은 즉위 후 이들을 각각 국왕 고문과 다이비엣 군대 총지휘관으로 임명하며 예우했다.
즉위하기 전 레 성종의 구체적인 정치적, 군사적 활동에 대한 기록은 『대월사기전서』에 남아있지 않다. 다만 평소 경전을 즐겨 읽었다고 전해진다.[39]
3. 업적
레 성종의 치세는 후 레 왕조의 전성기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즉위 초기의 혼란을 수습하고 국가의 안정을 회복했으며[4],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구축하고 국가 시스템을 정비하는 데 힘썼다.
정치 및 행정 분야에서는 명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 6부 체제를 도입하고 감찰 기관인 어사대를 설치하여 관료 시스템을 정비하는 한편, 전국을 13개의 도(道)로 나누어 지방 행정 체계를 확립했다. 또한 1469년에는 전국적인 지도 제작과 함께 포괄적인 인구 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통치 기반을 다졌다. 법률 분야에서는 베트남 고유의 관습법과 유교 이념을 반영한 성문법전인 국조형률(홍덕 법전)을 1483년에 편찬하여 법치 시스템의 기틀을 마련했다.[4] 이 법전은 당시 베트남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여성의 권리를 일부 인정하는 내용을 포함하기도 했다.[4]
사회 및 문화적으로는 유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아 성리학 보급에 힘썼다. 국자감을 확장하고 과거제를 정비하여 능력 있는 인재를 등용했으며, 전국 각지에 문묘를 세워 유교 교육을 장려했다. 처음으로 과거 합격자의 이름을 새긴 '진사제명비'를 세워 학자들의 명예를 높였고, 그의 치세 동안 많은 수의 진사가 배출되어 베트남 유학의 황금기를 열었다.[5] 또한 학문과 예술을 장려하여 응오 시 리엔에게 대월사기전서 편찬을 명하는 등 역사서 편찬 사업을 지원했으며, 직접 문학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경제적으로는 농업을 중시하고 국가 자립 경제를 추구했다. 홍강 삼각주 지역에 균전제를 실시하여 토지를 농민에게 분배하고 안정적인 세수 확보를 도모했으며, 6년마다 인구 조사를 실시하고 도량형을 표준화하는 등 경제 기반을 강화했다. 창고 건설, 관개 시설 복구, 의료 지원 등 다양한 공공 사업을 통해 민생 안정에도 기여했다. 비록 국제 무역에는 다소 소극적이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베트남 도자기가 해외로 수출되기도 했다.
군사적으로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활발한 정복 활동을 벌여 영토를 크게 확장했다. 1471년에는 오랜 경쟁 상대였던 참파를 정벌하여 남쪽으로 영토를 넓혔고, 1479년에는 서쪽의 란쌍 왕국을 공격하여 수도 루앙프라방을 함락시키는 등 위세를 떨쳤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을 통해 후 레 왕조 역사상 가장 넓은 판도를 확보했다.
이러한 레 성종의 다방면에 걸친 업적은 대월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통치기는 베트남 역사상 중요한 번영기로 기록되고 있다.
3. 1.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레 성종은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다. 먼저 명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40] 기존의 상국 제도를 폐지하고, 중국 모델을 따라 정부 조직을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의 6부로 나누었다. 이와 함께 한림원, 국사원, 어사대와 같은 전문 기관을 설치했다. 특히 어사대는 정부 관료를 감찰하고 오직 황제에게만 보고하도록 하여 황제의 권한을 강화했다. 다만 이러한 중앙 정부의 권한이 마을 단위까지 직접적으로 미치지는 못했으며, 마을은 자체적인 의회를 통해 자치를 유지했다. 또한 탄호아(Thanh Hoá) 지방의 토착 세력 중심 정치 체제를 폐지하고, 유교식 문관 시험인 과거제를 통해 선발된 관료 집단으로 대체했다. 문관과 군인 모두에게 9등급의 품계를 설정하여 위계질서를 확립했다.법률 정비에도 힘써, 1483년에는 베트남 고유의 관습법을 반영한 성문법인 홍덕 법전을 공포했다.[45] 이 법전은 중국의 봉건제적 요소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베트남 고유의 법률과 관습을 성문화했으며, 여성의 권리 보호와 관련된 조항도 포함하고 있었다.[45]
지방 행정 제도 역시 개편되었다. 1469년에는 전국적인 지도 제작과 함께 인구 조사를 실시하고, 전 국토를 13개의 승선(承宣, 또는 도(道))으로 나누었다. 수도 탕롱(오늘날의 하노이)은 중도부(中都府)로 특별 관리되었다. 각 승선에는 행정을 담당하는 지사, 재판관, 지방 군 사령관을 파견했으며, 승선 아래에는 현(縣)과 부(府)를 두어 행정 체계를 세분화했다. 또한 6년마다 새로운 인구 조사를 실시하도록 명령했다. 이러한 개혁을 통해 1471년까지 중앙과 지방에 걸쳐 5,300명이 넘는 관료(당시 인구의 약 0.1%)가 활동했으며, 최소 3개 마을마다 1명의 감독관이 배치될 정도로 행정력이 강화되었다. 1490년의 인구 조사에서는 전국에 약 8,000개의 마을 단위 행정 구역이 보고되었고, 총인구는 약 370만 명에 달했다. 당시 홍강 삼각주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였다.
토지 제도 개혁도 이루어져, 홍강 삼각주 일대에 균전제를 시행했다. 국가 소유의 토지인 공전(公田)은 6년마다 측량하여 농민들에게 공평하게 분배되었는데, 이는 안정적인 세수 확보와 병력 파악에 기여했다.[46] 또한 홍강 삼각주의 여러 마을(집락)을 '사(社)'라는 행정 단위로 묶어 징세, 징병, 공공 사업의 기본 단위로 삼았다. 이 공전과 사(社) 제도는 이후 약 500년간 홍강 삼각주 지방 토지 제도의 근간을 이루었다.[47]
이 외에도 레 성종은 창고 건설 및 수리, 홍수 피해 지역의 관개 시설 복구, 질병 발생 지역에 대한 의료 지원 등 다양한 공공 사업을 시행했으며, 성리학 보급을 위해 문묘를 세우고 과거제를 활성화했으며, 처음으로 과거 합격자의 이름을 새긴 '진사제명비'를 세워 그들의 명예를 기렸다. 또한 대월사기를 더욱 체계화하여 대월사기전서를 편찬하도록 했다.
이러한 레 성종의 개혁과 통치는 다이 비엣 사회에 안정을 가져왔으며, 중국 명나라의 역사서인 『명사』에서도 그의 치적을 높이 평가했다.[48] 그의 치세는 "광순중흥(光順中興)"이라 불리며 후 레 왕조의 전성기로 평가받는다.[49] 레 성종이 구축한 정부 시스템은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그와 그의 아들 레 히엔 통(Lê Hiến Tông, 1498-1504년 재위) 사후에는 점차 약화되었다.
3. 2. 법률 정비: 국조형률(홍덕 법전) 편찬
레 성종은 베트남 고유의 관습법을 반영하여 성문법인 국조형률을 정비하고자 했다. 1483년, 그는 대월을 위한 새로운 법전인 홍덕 법전(국조형률)을 편찬하여 공포했다. 이 법전은 현재 베트남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립 도서관에 목판본(A.314)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홍덕 법전은 명나라의 법률 체계를 참고했지만, 베트남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인 내용을 담았다. 특히 당시 중국 사회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던 베트남 여성의 지위를 인정하는 조항들이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결혼에 부모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았으며, 딸도 아들과 동등하게 재산을 상속받을 권리를 가졌다.[4] 이 법전은 중국적인 봉건제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베트남 고유의 법률과 관습을 성문화했으며[45], 여성의 권리 보호와 관련된 조항도 명시했다.
법률 정비와 함께 행정 체제도 개편했는데, 명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40] 기존의 상국 제도를 폐지하고 조정에 육부를 설치했다. 육부는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로 구성되었으며, 전문 기관으로 한림원, 국사원, 어사대 등을 두었다. 이러한 법률 및 제도 정비를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자 했다.
3. 3. 과거 제도 정비
레 성종은 선대 황제 폐제 레이민이 추구했던 관료 주도의 정권 구축을 목표로 삼았고[50], 타인호아(Thanh Hoá) 지방의 토착 세력 중심 과두제를 유교 이념에 기반한 문관 시험, 즉 과거제를 통해 선발된 관료 집단으로 대체하는 개혁을 추진했다. 이는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능력 위주의 관료제를 확립하려는 시도였다.
"광순(光順) 중흥" 시대로 불리는 레 성종의 치세부터 과거제가 본격적으로 확립되었다.[51] 그는 문묘를 세우고 과거제를 시행했으며, 시험 제도를 정비하여 완성도를 높였다.[5] 응시 자격을 명확히 규정하여 유교의 덕목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자는 향시 응시를 제한했고, 회시의 평가 방식을 개선하여 합격자의 자질 향상을 도모했다.[52] 이러한 과거 제도의 정비에는 레 인종과 성종 시기에 등용된 과거 출신 관료들의 역할이 컸다.[52]
성종은 학문 발전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국자감(국립대학교)을 확장하고 문학을 장려했으며, 수학 및 과학 관련 서적 출판을 지원했다.[5] 또한, 전국의 모든 지방에 문묘를 건립하여 유교적 가치를 널리 퍼뜨리고자 했다. 문묘에서는 공자를 모시고 유교 경전을 연구할 수 있었다. 반면, 새로운 불교 사찰이나 도교 사원의 건립은 중단시키고 승려들이 토지를 새로 취득하는 것을 금지하는 등 유교 중심 정책을 강화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레 성종 시대는 베트남 유학의 황금기로 평가받는다. 1076년부터 1911년까지 배출된 총 2,896명의 진사(進士, 왕실 학자) 중 501명이 넘는 인원이 그의 통치 기간에 배출되었다. 성종은 처음으로 '진사제명비(進士題名碑)'를 세워 과거 합격자들의 이름을 기록하고 그들의 명예를 높였다.[5] 이 석비에는 베트남 역사상 중요한 정치가, 학자, 문인들의 이름이 다수 새겨졌다.[53] 과거 제도를 통한 주자학의 장려와 시험을 통과한 문인 관료의 증가는 베트남의 사학과 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54]
한편, 레 성종은 과거 제도를 정치적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당시 군부의 요직을 장악하고 있던 타인호아 지역 출신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과거 합격자 선발 시 하이즈엉성의 남책 출신 인물들을 의도적으로 많이 등용했다.[55][56] 이는 능력주의적 인재 선발이라는 명분과 함께 특정 지역 세력 간의 균형을 맞추려는 정치적 고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3. 4. 교육 및 문화 진흥
레 성종은 학문과 문화 발전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베트남 성문법인 국조형률에 민족 고유의 관습법을 반영시켜 법체계를 정비했으며, 사서 중심의 성리학을 보급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문묘를 세우고 과거제를 정비하여 시행했으며, 처음으로 '진사제명비'를 세워 과거 합격자의 명예를 높였다.[5]
그는 국립대학교를 확장하고, 수학 및 과학 분야의 저작물 출판을 후원했으며, 베트남 최초의 완벽한 지도를 발행하는 등 학문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5] 또한 모든 지방에 문묘를 세워 공자를 모시고 유교 고전을 연구하게 함으로써 전국적으로 유교적 가치를 확산시키고자 했다. 반면, 새로운 불교나 도교 사찰의 건설을 중단시키고 승려가 새로운 토지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명령하는 등 유교 중심의 정책을 강화했다. 유학자 응오 시 리엔에게 명하여 기존의 사서를 집대성한 대월사기전서를 편찬하게 하여 1479년에 완성, 헌정받았다.
3. 4. 1. 문학 활동
머나먼 길을 떠나간다.
돛에 떨어지는 비,
군대의 소리를 부드럽게 한다.
그의 저작으로는 한문으로 쓰인 『경원구가』(瓊苑九歌), 『주기승상』(珠璣勝賞), 『정서기행』(征西紀行), 『명량금수』(明良錦繡), 『문명고사』(文明古 sách), 『고심백영』(古心百詠) 등이 있으며, 베트남 고유 문자인 쯔놈으로 쓰인 『홍덕국음시집』(洪德國音詩集)과 시집 『천남여가집』(Thiên Nam dư hạ tậpvi)도 남겼다.
레 성종은 관료 중심의 정권 구축을 목표로 삼아[50], 그의 치세 동안 과거 제도를 확립하고 정비했다.[51] 유교 덕목에 어긋나는 자의 향시 응시를 제한하고 회시 방식을 개선하여 합격자의 자질 향상을 꾀했으며, 이러한 제도 확립에는 레 인종과 성종 대에 등용된 과거 관료들이 기여했다.[52] 합격자들의 이름은 석비에 새겨졌는데, 여기에는 베트남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정치가, 학자, 문인들의 이름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53]
과거 제도를 통한 주자학의 장려와 시험을 통과한 문인 관료의 증가는 역사학과 베트남 한문학의 융성을 가져왔다.[54] 이 시기 사학 분야에서는 베트남 각지의 전설을 모은 『령남척괴』(嶺南摭怪)가 편찬되었고, 응오 시 리엔이 기존 베트남 사서를 집대성하여 편년체 통사인 『대월사기전서』를 완성하여 헌상한 것이 대표적인 업적으로 꼽힌다.
3. 5. 경제 정책
레 성종은 국가의 경제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우선 국가 자원 관리를 위해 1469년 전국적인 지도 제작과 함께 모든 마을을 기록하는 포괄적인 인구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국토를 13개의 도(道, 승선)로 나누어 행정 체계를 정비했다. 또한 6년마다 새로운 인구 조사를 시행하도록 명령하여 지속적으로 국가 자원을 관리하고자 했다. 1490년에 실시된 인구 조사에서는 수도 동 킨과 홍 강 사이의 36개 도시 구역을 포함하여 전국에 약 8,000개의 마을 수준 행정 구역이 보고되었으며, 총 인구는 약 370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홍강 삼각주 지역은 당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였다.핵심적인 경제 정책으로는 토지 제도의 개혁을 들 수 있다. 레 성종은 왕조 초기부터 시행되던 토지 제도를 개선하여 홍강 삼각주 일대에 균전제를 도입했다. 공전(公田)은 6년에 한 번씩 토지 조사를 거쳐 농민들에게 비교적 공평하게 분배되었는데, 이는 안정적인 세수 확보와 병력 자원 파악에 크게 기여했다.[46] 또한, 홍강 삼각주 지역의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인 집락을 사(社)라는 행정 단위로 묶어 관리했다. 이 사(社)는 세금 징수, 병력 징발, 공공 사업 수행의 기본 단위로 기능했으며, 이러한 공전과 사(社)를 기반으로 한 토지 제도는 이후 약 500년 동안 홍강 삼각주 지역 농촌 사회의 근간을 이루다가 1954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토지 개혁으로 변화를 맞게 된다.[47]
이 외에도 레 성종은 국가 경제 안정과 민생 향상을 위해 다양한 공공 사업을 시행했다. 국가 비축 물자를 보관하기 위한 창고를 건설하고 수리했으며, 홍수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관개 시설을 군대를 동원하여 신속하게 복구하도록 했다. 또한 질병이 발생한 지역에는 의사를 파견하여 의료 지원을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민생 안정 정책을 펼쳤다. 행정적으로는 명나라의 제도를 참고하여[40] 중앙 정부 조직을 육부(六部) 체제로 정비했는데, 특히 재정과 호구(戶口)를 담당하는 호부(戶部)는 이러한 경제 정책들을 실행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레 성종은 농업 중심의 자립 경제를 강조하며 시장 규제를 도입하고 도량형을 표준화하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은 레 성종 즉위 이전의 혼란했던 시기와는 대조적으로 대월 사회를 안정시키고 경제적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5. 1. 대외 무역

레 성종의 통치 기간 동안 하이즈엉 지역의 가마에서 생산된 베트남 수출용 도자기는 멀리 서아시아 지역까지 수출되었다. 당시 마자파힛 제국의 수도였던 트rowulan 유적지에서도 15세기 베트남 도자기가 다수 발견되었다.
그러나 레 성종은 국제 무역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농업을 기반으로 한 국가의 자립 경제를 더욱 강조했다. 1461년에는 지방 관리들에게 작은 규모의 무역이나 상업 활동에 힘쓰기보다는 내부 안정을 확보하고 외국인의 왕래를 제한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시장에서의 질서를 위해 저울과 도량형을 표준화하는 규정을 도입했다. 1469년에는 화약과 무기의 생산 및 유통을 국가가 관리하도록 국유화 조치를 시행했다.
1471년 참파를 정복한 이후에는 전쟁 포로나 죄수를 포함한 많은 수의 베트남인을 새롭게 확보한 영토로 이주시켜 정착시켰다. 이들에게 토지를 공평하게 분배하고, 새로운 지역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관료와 군대를 파견하여 지원했다. 참파의 멸망은 베트남이 해외 시장에서 인기가 높았던 중부 고원 지대의 특산물 교역을 독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15세기 말, 베트남 문명은 번영의 정점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6. 군사 제도 개혁 및 영토 확장
레 성종은 군사 제도를 개혁하여 군사력을 강화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활발한 정복 활동을 벌여 후 레 왕조의 영토를 크게 확장시켰다.홍덕 원년(1470년) 참파의 침입을 격퇴한 것을 시작으로, 이듬해에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참파를 공격하여 수도 비자야를 함락시켰다. 정복한 참파 영토에는 행정 구역을 설치하여 대월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베트남 남중부 지역의 베트남화를 추진했다.[40] 이를 통해 참파에 대한 대월의 우위를 확고히 하였다.
또한 홍덕 10년(1479년)에는 서쪽의 라오스 란쌍 왕국을 공격하여 수도 루앙프라방을 파괴하고, 현재의 자르 평원 일대에 새로운 행정 구역을 설치하여 직접 통치했다. 이후 란나 왕국까지 침공했으나 이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 외에도 윈난 지역에 군대를 파견하고 말라카 왕국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려 시도하는[42] 등 적극적인 팽창 정책을 통해 후 레 왕조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했다.
명에 대해서는 참파 침공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외교적으로 개입을 피하려 했고[43], 명나라는 대월의 주장이 사실과 다름을 알면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했다.[43] 홍덕 16년(1485년)에는 라오스, 참파뿐만 아니라 자바, 시암, 말라카 등 주변 여러 세력에게 대월에 조공할 것을 명령하며 확장된 국력을 과시했다.[44]
3. 6. 1. 참파 정벌 (1471년)
1470년, 참파의 왕 마하 사잔(Maha Sajan)이 이끄는 10만 명 규모의 군대가 대월의 훼 지역 주둔군을 포위했다. 현지 사령관은 수도 하노이에 구원을 요청했다. 레 성종은 이미 군제 개혁을 단행한 상태였으며, 같은 해(홍덕 원년) 8월, 참파 국왕 마하 사자이의 침입을 물리쳤다.이듬해인 1471년, 레 성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참파를 공격하여 수도 비자야(Vijaya)를 함락시켰다. 이 전쟁으로 참파는 크게 약화되었고, 500년 이상 지속되어 온 참족과 베트남 사이의 세력 균형은 무너졌다. 명나라 연대기에는 1485년 기록으로 "참파는 멀고 위험한 곳이며, 안남(대월의 다른 이름)은 여전히 그곳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레 성종은 정복한 참파 영토에 광남승선(廣南承宣)을 설치하여 현재의 베트남 남중부 지역에 대한 베트남화를 추진했다.[40] 이를 통해 대월의 참파에 대한 우위를 확고히 했다. 또한 남부의 판두랑가 지역에 근거지를 둔 참파 왕 가라이(마하 사자이의 손자)에 대항하여 데바타(Devata)를 새로운 왕으로 내세워 참파 내정에 간섭했다.[41]
명에 대해서는 참파 침공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개입을 피하려 했다.[43] 명나라는 레 성종의 주장이 사실과 다름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하고 점령한 영토를 반환하라고 권고하는 데 그쳤다.[43]
홍덕 16년(1485년), 레 성종은 라오스, 참파뿐만 아니라 자바, 시암, 말라카 등 주변 여러 세력에게 대월에 조공할 것을 명령하며 영향력을 과시했다.[44]
3. 6. 2. 란쌍 왕국 원정 (1479년)

대월은 1448년에 오늘날 자 항아리 평원에 위치한 무앙 푸안 지역을 병합했으며, 레 성종은 1471년에 해당 영토를 대월의 현으로 만들었다. 1478년, 레 성종은 란상의 차크팟 왕에게 복수할 시기로 판단하고, 침공을 준비하기 위해 안남 산맥 국경을 따라 군대를 집결시켰다.
이 시기 란상에서는 흰 코끼리가 포획되어 차크팟 왕에게 바쳐졌다. 흰 코끼리는 동남아시아에서 왕권의 상징이었기에, 레 성종은 이 코끼리의 털을 대월 궁정에 예물로 보내라고 요구했다. 이는 모욕적인 요구로 받아들여졌고, 전설에 따르면 란상 측은 털 대신 똥이 가득 찬 상자를 보냈다고 전해진다. 또한, 레 성종은 란상이 과거 대월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조공을 바치던 타이족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을 인지했다. 이에 타이족에 대한 대월의 권위를 재확립하고 란상을 응징하기 위한 군사 작전이 계획되었다.
1479년(홍덕 10년) 가을, 레 성종은 직접 18만 명의 대군을 이끌고 서쪽으로 진격하여 무앙 푸안, 란상, 난을 공격했다. 5개 방향으로 진격한 대월군은 란상의 수도 루앙프라방을 함락시키고 파괴했으며, 이 과정에서 란상의 통치자 차크팟 왕은 사망했다. 대월군은 현재 미얀마의 껭똥 주변 상부 이라와디강 지역까지 진격했다. 현재의 자르 평원에 해당하는 지역에는 진녕부를 설치하고 7개의 현을 두어 통치했다.
이후 대월군은 기세를 몰아 란나까지 침공했으나, 란상-란나 연합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며 군사력이 약화되었다. 1482년에는 모메이크가 대월의 군대를 빌려 테이니와 란나를 침공하기도 했다. 결국 1484년 11월까지 레 성종과 그의 군대는 대월로 철수했다.
한편, 명실록에 따르면 1488년 미얀마의 아바 사절단이 명나라에 대월의 영토 침범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으며, 다음 해인 1489년 명나라는 사신을 보내 대월에 침공 중단을 촉구했다.
4. 대외 관계
레 성종은 활발한 정복 전쟁과 외교 활동을 통해 대월의 영토를 크게 확장하고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남쪽으로는 오랜 경쟁 관계였던 참파를 정복하여 오랜 숙적 관계에 종지부를 찍었으며, 서쪽으로는 란상 왕국을 비롯한 여러 타이족 국가들을 침공하여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북쪽의 명나라와는 전통적인 조공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참파 정복이나 란상 침공과 같은 군사 행동에 있어 명나라의 개입을 최소화하려는 신중하고 자주적인 외교를 펼쳤다. 이러한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통해 레 성종은 후 레 왕조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했으며, 주변 여러 나라를 대월 중심의 조공 체제에 편입시키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또한 해상 교역로 확보를 위해 해적 토벌에 나서는 등 해양 질서 유지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4. 1. 주변국과의 관계
레 성종 시대에 대월은 주변국과의 관계에서 적극적인 확장 정책을 펼쳤다. 특히 오랜 경쟁 관계였던 참파와의 관계에서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참파 정복1470년, 참파의 왕 마하 사잔(Maha Sajan)이 이끄는 10만 대군이 후에의 대월 주둔군을 포위하자,[1] 지역 사령관은 하노이에 지원을 요청했다. 레 성종은 홍덕 원년(1470년) 8월, 참파의 침입을 물리치고 오히려 직접 군대를 이끌고 참파를 침공하여 1471년 수도 비자야를 함락시켰다. 이 전쟁으로 500년 이상 지속된 참파와 대월 간의 세력 균형은 완전히 무너졌다.[2] 대월은 정복한 참파 북부 지역에 '광남승선'(廣南承宣)을 설치하여 현재의 베트남 남중부 지역에 대한 베트남화를 추진했고[40], 참파에 대한 우위를 확고히 했다. 이후 참파는 남부의 판두랑가 지역을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했으나, 레 성종은 마하 사자이의 손자인 가라이에 대항하여 데바타를 왕으로 내세우는 등 지속적으로 간섭했다.[41] 명나라 연대기에도 1485년에 "참파는 멀고 위험한 곳이며, 안남(대월)은 여전히 그곳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다"고 기록될 정도였다.[3]
란상 왕국 및 주변 타이족 국가 침공대월은 서쪽으로도 영토 확장을 시도했다. 1448년에 현재의 라오스 자르 평원에 위치한 무앙 푸안 지역을 병합했으며, 1471년에는 이 지역을 대월의 현으로 공식 편입시켰다.[3] 1478년, 레 성종은 란상 왕국의 차크팟 왕이 과거 대월의 종주권을 인정했던 타이족 부족들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침공을 준비했다.[4][7] 전설에 따르면, 레 성종이 란상에서 포획된 흰 코끼리의 털을 요구했으나, 모욕적인 답변(똥이 담긴 상자)을 받은 것이 전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고도 전해진다.[4]
홍덕 10년(1479년) 가을, 레 성종은 18만 명(《명사록》에는 9만 명)[8][11]의 대군을 이끌고 5개 방면으로 란상 왕국을 침공했다. 수도 루앙프라방을 점령 및 파괴하고 라오스 통치자 차크팟은 전사했다.[8] 대월군은 현재 미얀마의 켕퉁 주변 상부 이라와디강 유역까지 진격했으며,[8] 자르 평원 지역에는 진녕부(鎭寧府)를 설치하고 7개 현을 두어 직접 통치했다. 기세를 몰아 란나 왕국까지 침공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1482년에는 모메이크가 대월의 군대를 빌려 센위와 란나를 침공하기도 했으나,[9] 란상-란나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명사록》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말라카 술탄국 군대의 반격으로 대월군 3만 명이 사망했다고도 한다.[11] 계속된 전쟁으로 군사력이 약화되자 1484년 11월, 레 성종과 그의 군대는 대월로 철수했다.[3][10]
명나라와의 관계레 성종은 명나라와의 관계에서 신중한 외교를 펼쳤다. 참파 침공에 대해서는 정당성을 주장하며 명나라의 개입을 피하려 했고, 명나라는 대월의 주장이 사실과 다름을 인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하고 점령지 반환을 권고하는 데 그쳤다.[43] 1481년에는 란상 왕국이 명나라에 대월의 침략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35] 1488년에는 미얀마의 아바 왕국 사절단이 명나라를 방문하여 대월의 영토 침범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고, 다음 해인 1489년 명나라는 사신을 보내 대월에게 군사 행동 중단을 촉구했다.[9]
기타 주변국과의 관계 및 해양 활동레 성종은 윈난성에도 여러 차례 군대를 파견했으며, 말라카 술탄국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려 시도하는 등[42] 후 레 왕조의 최대 판도를 구축했다. 홍덕 16년(1485년)에는 '제후국으로부터 황도에 조공을 바치는 규정'(諸藩屬 thần triều cống kinh quốc lệ)을 반포하여 라오스, 참파, 자바, 시암(아유타야), 말라카 등을 대월의 조공국으로 선언했다.[44][36] 같은 해 이들 국가의 사신들이 실제로 대월에 도착하기도 했다.[13] 또한 주변 및 산악 지대의 "오랑캐" 소수 민족 통치를 위해 토사 제도를 활용했다.[36][37]
해양 질서 유지에도 관심을 기울여 1470년에는 통킹만에 해적 토벌 원정대를 파견하여 해상 교역로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했다.[14] 그러나 1475년에는 류큐 열도와 참파의 해적들이 뀌년 항구를 약탈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15] 1480년에는 대월 해안에서 베트남인과 난파된 류큐 선박 선원들 간의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32][33][34]
5. 가족 관계
- 조부: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Lê Lợi|레러이vie(黎利|여리중국어)
- 조모: 공자황태후(恭慈皇太后) Phạm Thị Ngọc Trần|팜 티 응옥쩐vie(范氏玉陳|범씨옥진중국어)
- 부친: 태종문황제(太宗文皇帝) Lê Nguyên Long|레응우옌롱vie(黎元龍|여원룡중국어)
- 모친: 광숙황태후(光淑皇太后) Ngô Thị Ngọc Dao|응오 티 응옥다오vie(吳氏玉瑤|오씨옥요중국어) (1421년 ~ 1496년)
레 성종은 총 14명의 아들과 20명의 딸을 두었다. 궁정에서 참족 여성을 후궁이나 악사로 두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 후비 ===
봉호 및 궁호 | 성씨 | 생몰년 | 비고 |
---|---|---|---|
휘가태황태후(徽嘉太皇太后) | Nguyễn Thị Hằng|응우옌 티 항vie(阮氏恒|완씨항중국어) | 1441년 ~ 1505년 | 장락황후(長樂皇后)라고도 함. 레 헌종의 생모. |
유휘황태후(柔徽皇太后) | Phùng Diệm Quý|풍이엠꾸이vie(馮琰貴|풍염귀중국어) | 1444년 ~ 1489년 | 건왕 레떤의 생모. 양익제 즉위 후 황후로 추존. |
서덕궁(瑞德宮) 명비(明妃) | Phạm Thị|팜 티vie(范氏|범씨중국어) | 1448년 ~ 1498년 | 송왕 레뚱, 의덕공주, 란밍공주의 생모. |
수암궁(壽庵宮) 경비(敬妃) |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e(阮氏|완씨중국어) | 1444년 ~ 1485년 | 광왕 레따오, 서화공주의 생모. |
귀비(貴妃) |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e(阮氏|완씨중국어) | 조왕 레토안의 생모. | |
수용(修容) |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e(阮氏|완씨중국어) | ||
재인(才人) | Nguyễn Thị|응우옌 티vie(阮氏|완씨중국어) | 1444년 ~ 1479년 | 복왕 레짠의 생모. |
=== 황자 ===
봉호 및 지위 | 이름(베트남어/한자) | 생모 | 비고 |
---|---|---|---|
황태자(皇太子) → 헌종(憲宗) | Lê Tranh|레짠vie(黎鏳|여쟁중국어) | 휘가황후 응우옌 티 항 | 제6대 황제 |
양왕(梁王) | Lê Tuyên|레뚜옌vie(黎銓|여전중국어) | ||
송왕(宋王) | Lê Tung|레뚱vie(黎鏦|여총중국어) | 명비 팜 티 | |
당왕(唐王) | Lê Cảo|레까오vie(黎鎬|여호중국어) | ||
건왕(建王) → 덕종(德宗) | Lê Tân|레떤vie(黎鑌|여빈중국어) | 유휘황후 풍 티 | 시호 정정(貞靚). 양익제 즉위 후 추존. 레 뜨엉 딕의 아버지. |
복왕(福王) | Lê Tranh|레짠vie(黎錚|여쟁중국어) | 재인 응우옌 티 | 시호 의강(懿康). (1467년 ~ 1500년) |
범왕(演王) | Lê Thông|레통vie(黎鏓|여총중국어) | ||
광왕(廣王) | Lê Táo|레따오vie(黎鐰|여조중국어) | 경비 응우옌 티 | |
임왕(臨王) | Lê Tướng|레뜨엉vie(黎鏘|여장중국어) | ||
의왕(義王) | Lê Cảnh|레깐vie(黎昭|여경중국어) | ||
응왕(應王) | Lê Chiêu|레찌에우vie(黎耿|여소중국어) | ||
진왕(鎭王) | Lê Hình|레힌vie(黎鋞|여형중국어) | ||
조왕(肇王) | Lê Thoan|레토안vie(黎鋑|여전중국어) | 귀비 응우옌 티 | |
형왕(荊王) | Lê Kiện|레끼엔vie(黎鍵|여건중국어) |
=== 황녀 ===
총 20명의 황녀가 있었으나, 공식 기록에 남은 황녀는 아래 10명이다. 일부 황녀는 다른 이름으로도 기록되어 있다.
봉호 | 이름(베트남어/한자) | 생몰년 | 생모 | 비고 |
---|---|---|---|---|
가숙공주(嘉淑公主) | Lê Thanh Toại|레탄또아이vie(黎淸鐩|여청수중국어) | 1461년 ~ 1474년 | ||
의덕공주(懿德公主) | Lê Oánh Ngọc|레오안응옥vie(黎瑩鈺|여형옥중국어) | 명비 팜 티 | 뢰이이 공주(雷懿公主)라고도 함. | |
서화공주(瑞華公主) | Lê Minh Kính|레민낀vie(黎明鏡|여명경중국어) | 경비 응우옌 티 | 밍껫 공주(明敬公主)라고도 함. | |
소휘공주(昭徽公主) | Lê Triệt San|레찌엣산vie(黎徹鏟|여철산중국어) | |||
소양공주(韶陽公主) | Lê Bính Hiểu|레빈히에우vie(黎炳䥵|여병효중국어) | |||
경평공주(景平公主) | Lê Bảo Huyền|레바오휘옌vie(黎寶鉉|여보현중국어) | |||
경방공주(瓊芳公主) | Lê Lệ Khanh|레레칸vie(黎麗鏗|여여갱중국어) | |||
춘명공주(春明公主) | Lê Lan Đường|레란드엉vie(黎蘭鏜|여난당중국어) | |||
수매공주(壽梅公主) | Lê Cẩm Thương|레깜트엉vie(黎錦鏘|여금장중국어) | |||
금영공주(錦榮公主) | Lê Mỹ Thuần|레미투언vie(黎美錞|여미순중국어) | |||
란밍 공주(蘭明公主) | Lê Lan Quế|레 란꿰vie(黎兰圭|여란규중국어) | 1470년 ~ ? | 명비 팜 티 |
참조
[1]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1993
[2]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1993
[3]
서적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Nhà Xuất bản Giáo dục
1998
[4]
서적
Vietnam: A Country Study
https://archive.org/[...]
Library of Congress: Federal Research Division
1989
[5]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1997-06-01
[6]
서적
The Continuum Complet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exualit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4
[7]
서적
The Lê Code: Law in Traditional Vietnam : a Comparative Sino-Vietnamese Legal Study with Historical-juridical Analysis and Annotations, Volume 2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1987
[8]
웹사이트
明代广东海上丝绸之路的高度发展
http://eco.guoxue.co[...]
國學網--中國經濟史論壇(China Economic History Forum)
2008-03-16
[9]
웹사이트
貿易、移殖與文化交流:15-17 世紀廣東人與越南
http://www.lib.cuhk.[...]
廣東省社會科學院歷史研究所 南開大學中國社會歷史研究中心
2013-01-05
[10]
서적
The Chinese State at the Borders
https://archive.org/[...]
UBC Press
2013-01-05
[11]
서적
The Tongking Gulf Through History
https://books.google[...]
2011
[12]
논문
http://www.epress.nu[...]
2005
[13]
서적
明實錄 (Ming Shilu)
http://wenxian.fanre[...]
2013-01-05
[14]
서적
《明孝宗实录》
null
[15]
서적
Imperial China and Its Southern Neighbours
https://books.google[...]
2015
[16]
서적
The Tongking Gulf Through History
https://books.google[...]
2011
[17]
웹사이트
CÓ MỘT VÂN ĐỒN Ở GIỮA YÊN BANG, YÊN QUẢNG KHÔNG TĨNH LẶNG
http://khoalichsu.ed[...]
广州日报大洋网(www.dayoo.com)
2013-03-28
[18]
웹사이트
CÓ MỘT VÂN ĐỒN Ở GIỮA YÊN BANG, YÊN QUẢNG KHÔNG TĨNH LẶNG
http://duyhoang.net/[...]
广州日报大洋网(www.dayoo.com)
2013-04-22
[19]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http://www.mtat.macd[...]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Hà Nội)
1993
[20]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http://www.informati[...]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Xã Hội (Hà Nội)
1993
[21]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Ming Tai Huan Kuan)
https://books.google[...]
1996
[22]
서적
Miscellaneous papers relating to Indo-China: reprinted for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from Dalrymple's "Oriental Repertory," and the "Asiatic Researches" and "Journal" of the Asiatic Society of Bengal, Volume 1
https://books.google[...]
1887
[23]
서적
Miscellaneous papers relating to Indo-China and Indian archipelage: reprinted for the Straits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Second Series, Volume 1
https://books.google[...]
1887
[24]
논문
http://epress.nus.ed[...]
2005
[25]
웹사이트
明實錄憲宗實錄 : 大明憲宗純皇帝實錄卷之二百十九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wi[...]
[26]
서적
明實錄 (Ming Shilu)
http://wenxian.fanre[...]
2013-07-26
[27]
논문
http://www.epress.nu[...]
2005
[28]
서적
明實錄 (Ming Shilu)
http://wenxian.fanre[...]
2013-01-05
[29]
서적
The Chinese State at the Borders
https://archive.org/[...]
UBC Press
2013-01-05
[30]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Ming Tai Huan Kuan)
https://books.google[...]
1996
[31]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Ming Tai Huan Kuan)
https://books.google[...]
1996
[32]
서적
Viet Nam: Borderless Histories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06
[33]
논문
Chinese Military Technology and Dai Viet: c. 1390-1497
http://aejjrsite.fre[...]
Asia Research Institut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03-09
[34]
서적
Ming-Southeast Asian Overland Interactions, 1368-164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2000
[35]
논문
THE RISE OF THE NGUYỄN DYNASTY AND CHANGE IN THE POWER PARADIGM OF EARLY NINETEENTH CENTURY MAINLAND SOUTHEAST ASIA
https://cuir.car.chu[...]
Graduate School Chulalongkorn University
2012
[36]
서적
Asian Expansions: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Polity Expansion in Asia
Routledge
2014
[37]
서적
A History of Early Modern Southeast Asia, 1400-18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8]
학술지
Later-seventeenth-century Cham-Viet interactions: New lightfrom French missionary sources
https://www.academia[...]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0
[39]
문서
八尾、211頁
[40]
문서
桜井、189頁
[41]
문서
『明史』巻324、列伝212、外国5、占城
[42]
문서
『明史』巻325、列伝213、外国6、満剌加、成化10年の条
[43]
문서
『明史』巻321、列伝209、外国2、安南
[44]
문서
桜井、198頁
[45]
문서
『ベトナムの歴史 ベトナム中学校歴史教科書』、242頁
[46]
문서
桜井、187-188頁
[47]
문서
桜井、188頁
[48]
문서
『明史』巻321、列伝209、外国2、安南
[49]
문서
小倉、129-130頁
[50]
문서
八尾、211-212,216頁
[51]
문서
小倉、132頁
[52]
문서
八尾、216-217頁
[53]
문서
小倉、133頁
[54]
문서
桜井・八尾「レ・タイントン」
[55]
문서
八尾、212頁
[56]
문서
桜井、191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