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소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소종은 1516년 레 양익제가 암살된 후 권력 투쟁 끝에 14세의 나이로 즉위한 후 레 왕조의 황제이다. 그는 쩐까오의 난, 권력 다툼, 막당중의 등장 등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었다. 1522년 막당중을 몰아내려다 실패하고 폐위되어 찐뚜이의 괴뢰가 되었으며, 1527년 막당중에게 살해되었다. 그의 치세는 후 레 왕조의 쇠퇴와 막 왕조의 등장을 초래하는 중요한 시기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7년 사망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1527년 사망 - 카지미어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
호엔촐레른 왕가 프랑켄계 분가 출신인 카지미어 폰 브란덴부르크쿨름바흐 변경백은 쿨름바흐 통치자로서 아버지에 반발하여 쿠데타를 일으키고 슈바벤 전쟁과 독일 농민 전쟁에 참전했으며, 독일 농민 전쟁 진압 과정에서 '블러드하운드'라는 악명을 얻었다. - 1500년 출생 - 벤베누토 첼리니
벤베누토 첼리니는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금세공사이자 조각가로,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아 로마와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하며 '메두사의 머리를 든 페르세우스'와 '소금통' 같은 대표작을 남겼고, 그의 자서전은 후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1500년 출생 - 테쿤 우만
테쿤 우만은 16세기 스페인 군에 맞서 싸운 키체족 전사이자 과테말라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과테말라 독립의 상징으로 기려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 폐위된 베트남의 황제 - 바오다이
바오다이는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자 베트남국의 국가주석으로, 프랑스의 보호 아래 즉위했으나 일본의 지원으로 독립을 선포하고 퇴위 후 다시 프랑스의 지원으로 국가주석이 되었지만 결국 망명하여 생을 마감하여 그의 통치 기간과 행적은 베트남 역사에서 논쟁적이다. - 폐위된 베트남의 황제 - 주이떤 황제
응우옌 왕조의 제11대 황제인 주이떤 황제는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독립운동을 펼치다 유배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군에 합류하여 비시 프랑스에 저항했고, 사후 그의 애국심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도로가 조성되었다.
레 소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 찌에우똔 (Lê Chiêu Tông) |
휘 | 레 이 (Lê Y) |
다른 이름 | 레 후에 (Lê Huệ) |
묘호 | 소종 (昭宗) |
시호 | 신황제 (神皇帝) |
왕조 | 후 레 왕조 |
재위 기간 | 1516년 - 1522년 |
출생 | 1506년 10월 4일 |
사망 | 1527년 1월 9일 (20세) |
아버지 | 레 숭 |
어머니 | 찐 티 로안 |
배우자 | 응우옌 황후 |
능묘 | 화양릉 |
연호 | 꽝티에우 (光紹) : 1516년 - 1522년 |
즉위 및 퇴위 | |
즉위 | 꽝티에우 원년 음력 4월 27일 (1516년 5월 28일) |
전임자 | 레 양익제 |
후임자 | 레 공황 |
퇴위 | 1522년 ~ 1526년 |
2. 생애
소종은 장정왕(莊定王) 레숭과 찐티로안(鄭氏鸞) 사이에서 태어났다. 1516년 레 양익제가 찐주이산에게 살해된 후 혼란스러운 정국 속에서 황제로 옹립되었다.
쩐까오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찐주이산, 응우옌호앙주, 찐뚜이, 쩐쩐 등 여러 세력이 권력 다툼을 벌였다. 1518년 소종은 쩐쩐을 암살하였으나, 이는 또 다른 반란을 불러왔고, 결국 막당중의 세력이 커지는 계기가 되었다.
1522년 소종은 막당중을 피해 탕롱을 탈출하여 저항했으나, 결국 1525년 막당중에 의해 탕롱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다. 1527년 막당중은 팜낌방(范金榜)을 시켜 소종을 살해했고, 소종은 영흥릉(永興陵)에 장사지내졌다.[16]
2. 1. 즉위 과정
1516년, 레 양익제가 찐주이산에게 살해된 후, 권력 투쟁의 결과 14세의 나이로 황제에 옹립되었다.[2] 찐주이산은 처음에는 레꽝찌를 옹립하려 했으나, 무좌후(武佐侯) 풍마이(馮邁)의 반대로 소종을 옹립하였다. 레꽝찌는 찐주이산의 형인 찐주이다이에게 납치되어 살해되었다.[3] 양익제가 살해된 후, 안화후(安和侯) 응우옌호앙주가 군사를 일으켜 탕롱을 공격하자, 찐주이산은 소종을 옹립하고 꽝티에우로 개원했다.이러한 혼란을 틈타, 쩐까오가 농민 반란을 일으켜 탕롱을 함락시키고, 쩐 왕조의 회복을 선포하며
2. 2. 쩐까오의 난과 권력 투쟁
1516년, 농민 봉기군의 수령 쩐까오가 탕롱을 습격하여 점령하고, 쩐 왕조의 회복을 선포하며 티엔응(天應)으로 개원하였다.[2][3] 소종은 찐주이산, 응우옌호앙주, 찐뚜이, 쩐쩐 등에게 호소하여 쩐까오의 난을 진압하게 했다.[4] 그러나 이후 응우옌호앙주와 찐뚜이 사이에 권력 다툼이 발생했고,[5] 쩐쩐이 응우옌호앙주를 쫓아내고 조정의 정사를 장악하였다.[6]2. 3. 쩐쩐 암살과 막당중의 등장
1518년, 소종은 권세가 커진 쩐쩐을 궁으로 유인하여 암살하였다.[7] 그러나 쩐쩐의 잔당은 이에 불만을 품고 찐뚜이와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다.[8] 이들은 레방, 레조를 잇달아 옹립하며 소종에 대항했다.[9] 소종은 막당중을 불러들여 반란을 진압하게 하였고, 1519년 막당중은 레조를 격파하고 쩐쩐의 잔당을 흡수하여 권력이 커졌다.[10] 막당중은 탕롱을 통제하고 조정의 정사를 장악했으며, 소종을 감시하기 위해 자신의 딸을 입궁시켰다.2. 4. 폐위와 죽음
1522년, 소종은 찐뚜이와 내통하여 탕롱을 탈출, 제후들에게 막당중 토벌을 호소하였다. 막당중은 소종이 간신에게 납치되었다고 선포하고 소종의 동생 레쑤언을 옹립하였다(공황).[11][12]소종은 찐뚜이의 부하를 죽이는 등 인망을 잃었고, 찐뚜이에게 납치되어 괴뢰가 되었다.[13] 1525년, 막당중은 타인호아를 함락하고 찐뚜이를 죽였으며, 소종을 탕롱으로 압송하여 수감하였다.[14]
막당중은 제위를 찬탈하고자 1527년 팜낌방(范金榜)을 시켜 소종을 살해했고,[15] 소종은 영흥릉(永興陵)에 장사지내졌다.[16] 소종 사후 막당중이 제위를 찬탈하면서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하였다.
3. 가계
레 소종은 명종철황제와 단목황태후 사이에서 태어났다.[1] 막당중의 딸 막씨를 황후로 맞이하였고, 가경태후 팜 티 응옥꾸아인에게서 황자 레닌과 레히엔을 두었다.[1]
3. 1. 조부모와 부모
3. 2. 후비
- 황후 막씨(Mạc Thị)
- 가경황태후 팜 티 응옥꾸아인(Phạm Thị Ngọc Quỳnh)
3. 3. 황자
- 황자(皇子) 레닌(Lê Ninh|黎寧|여녕vi) - 가경황태후 소생. 제12대 황제이자 중흥 초대황제 장종(莊宗).
- 황자(皇子) 레히엔(Lê Hiến|黎憲|여헌vi) - 장종 시기의 임시황제이자 섭정왕.
4. 연표
1516년부터 1522년까지 후 레 왕조의 제10대 황제였던 레 소종의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1516년:
- 레 양익제가 찐주이산에게 살해됨. 찐주이산은 레꽝찌를 옹립하려 했으나, 레꽝찌는 찐주이다이에게 납치되어 살해됨.
- 응우옌호앙주가 군사를 일으켜 탕롱(하노이)을 공격하자, 찐주이산은 소종을 옹립하고 꽝티에우로 개원함.
- 쩐까오가 탕롱을 습격하여 격파하고, 쩐 왕조의 회복을 선포하며 티엔응으로 개원함.
- 소종의 호소로 찐주이산, 응우옌호앙주, 찐뚜이, 쩐쩐 등이 쩐까오의 난을 평정함.
- 응우옌호앙주와 찐뚜이 간의 권력 다툼 발생. 쩐쩐이 응우옌호앙주를 쫓아내고 탕롱에서 조정의 정사를 장악함.
- 1518년: 소종이 쩐쩐을 암살함. 쩐쩐의 잔당은 찐뚜이와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레방, 레조를 옹립함.
- 1519년: 막당중이 레조를 격파하고 쩐쩐의 잔당을 흡수하여 권세가 커짐. 막당중은 탕롱을 통제하고 조정의 정사를 장악함.
- 1522년:
- 소종이 막당중을 피해 찐뚜이와 서신을 통하여 산서 명의현의 몽산으로 탈출, 제후들에게 막당중 토벌을 호소함.
- 막당중은 소종의 동생 레쑤언을 옹립함.
- 소종은 찐뚜이에게 납치되어 타인호아로 가서 그의 괴뢰가 됨.
- 1525년: 막당중이 공황을 통해 소종을 폐위하여 타양왕으로 하고, 타인호아를 함락하고 찐뚜이를 죽임. 소종은 탕롱으로 압송되어 수감됨.
- 1527년: 막당중이 팜낌방을 시켜 소종을 살해함. 소종은 청담현의 영흥릉에 장사지냈고, 묘호는 소종, 시호는 신황제로 함.
4. 1. 연호
소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
서력 (西曆) | 1516년 | 1517년 | 1518년 | 1519년 | 1520년 | 1521년 | 1522년 |
간지 (干支)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연호 (年號) | 광소(光紹)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4. 2. 재위 기간 중 주요 사건
1516년, 레 양익제가 찐주이산에게 살해된 후, 찐주이산은 레꽝찌를 옹립하려 했으나 무좌후(武佐侯) 풍마이(馮邁)가 소종을 옹립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찐주이산에게 살해당했다. 이후 레꽝찌는 찐주이산의 형인 찐주이다이에게 납치되어 살해되었다. 양익제의 죽음이 안화후(安和侯) 응우옌호앙주에게 알려지자, 응우옌호앙주는 군사를 일으켜 탕롱을 공격했고, 찐주이산은 소종을 옹립하고 꽝티에우로 개원했다.쩐까오는 탕롱이 비었다는 것을 알고 군사를 이끌고 탕롱을 습격하여 격파하고, 쩐 왕조의 회복을 선포하며 티엔응(天應)으로 개원하였다. 소종은 찐주이산, 응우옌호앙주, 찐뚜이, 쩐쩐 등에게 호소하여 쩐까오의 난을 평정하였다. 그러나 응우옌호앙주와 찐뚜이 사이에 권력 다툼이 발생했고, 쩐쩐이 응우옌호앙주를 쫓아내고 탕롱에서 조정의 정사를 장악하였다.
1518년, 소종은 쩐쩐의 권세가 강해지는 것에 시기를 느껴 그를 궁으로 유인하여 암살했다. 그러나 쩐쩐의 잔당은 이에 불만을 품고 찐뚜이와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레방, 레조를 옹립하였다. 소종은 막당중을 불러 어가를 구원하게 하였고, 1519년 막당중은 레조를 격파하고 쩐쩐의 잔당을 흡수하여 권세가 커졌다. 막당중은 탕롱을 통제하고 조정의 정사를 장악하였다.
1522년, 소종은 막당중이 천자의 의장과 시위를 사용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찐뚜이와 서신을 통하여 산서(山西) 명의현(明義縣)의 몽산(夢山)으로 탈출, 제후들에게 막당중 토벌을 호소하였다. 막당중은 소종이 간신에게 납치되었다고 선포하고 소종의 동생 레쑤언을 옹립하였다. 소종은 팜디엔(范田)의 참언을 신뢰하고 찐뚜이의 부장 응우옌박끼(阮伯紀)를 죽여 인심을 잃었고, 찐뚜이에게 납치되어 타인호아로 가서 그의 괴뢰가 되었다.
1525년, 막당중은 공황을 통해 소종을 폐위하여 타양왕(陀陽王)으로 하고, 두 차례 공황을 데리고 찐뚜이를 공격하여 타인호아를 함락하고 찐뚜이를 죽였다. 소종은 탕롱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다.
1527년, 막당중은 찐뚜이의 세력을 완전히 멸한 뒤 제위를 찬탈하고자 팜낌방(范金榜)을 시켜 소종을 죽였다. 소종은 청담현(淸潭縣, 현재 靑池縣)의 영흥릉(永興陵)에 장사지냈고, 묘호는 소종, 시호는 신황제(神皇帝)로 하였다.
소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
서력 | 1516년 | 1517년 | 1518년 | 1519년 | 1520년 | 1521년 | 1522년 |
간지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연호 | 광소(光紹)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5. 평가
레 소종은 혼란스러운 시기에 왕위에 올라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 된 비운의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의 치세는 후 레 왕조의 쇠퇴와 막 왕조의 등장을 초래한 중요한 시기로, 베트남 역사에서 큰 전환점이 되었다.
소종은 찐주이산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쩐까오의 난과 응우옌호앙주, 찐뚜이, 쩐쩐 사이의 권력 다툼으로 혼란을 겪었다.[2][3][4][5][6] 1518년, 소종은 쩐쩐을 암살하였으나, 쩐쩐의 잔당과 찐뚜이가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다.[7][8][9] 소종은 막당중의 도움으로 반란을 진압했지만, 막당중의 권세가 커지면서 또 다른 위협에 직면했다.[10]
1522년, 소종은 막당중을 피해 찐뚜이에게 의탁했으나, 찐뚜이의 괴뢰가 되었다.[11][12] 1525년, 막당중에 의해 탕롱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고,[14] 1527년에는 막당중의 명령을 받은 팜낌방(范金榜)에게 살해되었다.[15]
소종의 개인적인 무능함과 정치적 판단 착오는 왕조의 몰락을 가속화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특히, 환관 팜디엔(范田)의 참언을 신뢰하고 찐뚜이의 부장을 죽인 것은 인심을 잃게 한 결정적인 실수였다.[13]
참조
[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2]
서적
大越史記全書
[3]
서적
大越史記全書
[4]
서적
大越史記全書
[5]
서적
大越史記全書
[6]
서적
大越史記全書
[7]
서적
大越史記全書
[8]
서적
大越史記全書
[9]
문서
[10]
서적
大越史記全書
[11]
서적
大越史記全書
[12]
서적
大越史記全書
[13]
서적
大越史記全書
[14]
서적
大越史記全書
[15]
서적
大越史記全書
[16]
서적
大越史記全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