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만 불연속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만 불연속면은 지구 내부의 지진파 속도 변화를 통해 발견된 불연속면을 의미한다. 잉에 레만은 1936년 지진파 분석을 통해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발견했으며, 지각과 맨틀 사이에서도 지진파 속도 증가를 확인했다. 레만 불연속면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맨틀 내부의 불연속면과 외핵과 내핵 경계면 두 가지를 모두 지칭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의 구조 - 대륙 지각
대륙 지각은 해양 지각보다 두껍고 밀도가 낮은 지구 지각의 일부로, 지구 표면적의 약 41%를 차지하며, 맨틀 유래 용융체의 분별 결정 작용과 기존 지각의 재용융을 통해 형성되어 육지 환경과 생물 진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 - 지구의 구조 - 맨틀
맨틀은 지구 내부의 지각과 핵 사이에 위치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변하고 맨틀 대류를 통해 판 이동을 일으키는 층상 구조를 이룬다. - 지진학 - 판 구조론
판 구조론은 암석권이 여러 개의 판으로 나뉘어 연약권 위를 이동하며 지진, 화산 활동, 산맥 형성 등의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키는 이론으로, 1960년대 후반에 정립되어 해저 자기 줄무늬 패턴과 고지자기 자료로 뒷받침되며 지구과학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나, 판 운동의 원동력에 대한 연구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 지진학 - 진앙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지표면의 지점을 의미하며, 지진파 분석을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지진 규모 및 피해 예측에 활용한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레만 불연속면 | |
---|---|
개요 | |
유형 | 지구 지진파 불연속면 |
위치 | 지구 맨틀 내부 |
깊이 | 약 220km 깊이 |
특징 | 지진파 속도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남 특히 대륙 지각 아래에서 뚜렷하게 관찰됨 |
상세 정보 | |
발견 | 지구물리학자 잉게 레만이 발견 (1936년) |
설명 | 상부 맨틀 내에 존재하는 불연속면 이 층의 존재는 지진파의 속도와 방향 변화를 통해 확인 |
원인 | 광물의 상전이 화학적 조성 변화 온도 변화 |
추가 정보 | |
중요성 | 지구 맨틀의 구조와 역학적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 |
연구 | 현재도 레만 불연속면의 정확한 특성과 원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 |
2. 맨틀 내부의 레만 불연속면
1953년부터 수년간, 잉에 레만은 모리스 유잉, 프랭크 프레스와 협력하여 지구의 지각과 맨틀을 연구하던 중, 지표로부터 깊이 220km 지점에서 지진파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미국의 지구과학자 프랜시스 버치는 "레만 불연속면은 컴퓨터로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마치 마법사와 같은 달인이 지진 기록을 엄밀하게 정밀 조사함으로써 발견되었다"라고 평가했다.[9] 레만 불연속면은 보통 바다 밑이 아닌 대륙 밑에서 관측되는 경우가 많고,[10] 세계 평균 연구에서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11]
2. 1. 발견
1936년 덴마크의 지진학자 잉에 레만이 레만 불연속면을 발견하였다.[19][20] 레만은 뉴질랜드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 기록을 분석하여 암영대 내 110도 부근에 약한 P파가 도달하는 것을 발견하고, 깊이 5100 km 부근에 불연속면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근거로 핵은 액체 상태인 외핵과 고체 상태의 내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P파들은 내핵 표면에서 반사 또는 굴절되어 온 것으로 설명하였다. 레만의 주장에 따르면 내핵의 반지름은 1400km인데, 이는 현대 계측값인 1221km와 큰 차이가 없다.[21][22][23]이후 발견자의 이름을 따 레만 불연속면이라 불렸으나,[24] 현대 영어권에서는 레만이 발견한 맨틀 내부의 다른 지점을 가리키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된다.[25][26][27]
1953년부터 수년간, 레만은 모리스 유잉, 프랭크 프레스와 협력하여 지구의 지각과 맨틀을 연구하던 중, 지표로부터 깊이 220km 지점에서 지진파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미국의 지구과학자 프랜시스 버치는 이 발견에 대해 "레만 불연속면은 컴퓨터로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마치 마법사와 같은 달인이 지진 기록을 엄밀하게 정밀 조사함으로써 발견되었다"라고 말했다.[9] 레만 불연속면은 보통 바다 밑이 아닌 대륙 밑에서 관측되는 경우가 많고,[10] 세계 평균 연구에서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11]
2. 2. 특징
1953년부터 수년간, 레만은 모리스 유잉, 프랭크 프레스와 협력하여 지구의 지각과 맨틀을 연구하던 중, 지표로부터 깊이 220km 지점에서 지진파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발견에 대해 미국의 지구과학자 프랜시스 버치는 "레만 불연속면은 컴퓨터로 아무리 계산해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마치 마법사와 같은 달인이 지진 기록을 엄밀하게 정밀 조사함으로써 발견되었다"라고 말했다[9]。 레만 불연속면은 보통 바다 밑이 아닌 대륙 밑에서 관측되는 경우가 많고[10], 세계 평균 연구에서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11]。3. 외핵과 내핵 경계의 레만 불연속면
1936년 덴마크의 지진학자 잉에 레만이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발견한 이후, 이 경계면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레만 불연속면이라고 불렸다.[24] 그러나 현대 영어권에서는 레만이 발견한 맨틀 내부의 다른 지점을 가리키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된다.[25][26][27]
3. 1. 발견
1936년 덴마크의 지진학자 잉에 레만은 뉴질랜드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 기록을 분석하여 암영대 내의 110도 부근에 약한 P파가 도달하는 것을 발견하고, 깊이 5100km 부근에 불연속면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19][20] 이를 근거로 핵은 액체 상태인 외핵과 고체 상태의 내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P파들은 내핵 표면에서 반사되었거나 굴절되어 온 것으로 설명하였다. 레만의 주장에 따르면 내핵의 반지름은 1400km인데, 이는 현대의 계측값인 1221km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21][22][23]이후 발견자의 이름을 따라 레만 불연속면이라 불려왔으나,[24] 현대 영어권에서는 레만이 발견한 맨틀 내부의 다른 지점을 가리키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된다.[25][26][27] 지진 관측망이 정비되면서, 지진파가 전혀 도달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던 섀도 존에서도 약한 지진파가 관측되기 시작했다. 레만은 1936년에 감도가 좋은 지진계로 지진파의 반사를 관측하여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발견했다.[12][13] 그녀가 관측 결과로부터 추론한 내핵의 반지름은 1400km였으며,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1221km에 매우 가까운 값이었다.[14][15][16]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로 환산하면 5100km가 된다.[17] 또한, 레만 면에서의 지진파는 구텐베르크 면과는 반대로 굴절되어 섀도 존으로 가는 경로를 취한다.[18]
3. 2. 내핵의 크기
1936년 덴마크의 지진학자 잉에 레만은 뉴질랜드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 기록을 분석하여 암영대 내의 110도 부근에 약한 P파가 도달하는 것을 발견하고, 깊이 5100km 부근에 불연속면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근거로 핵은 액체 상태인 외핵과 고체 상태의 내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P파들은 내핵 표면에서 반사되었거나 굴절되어 온 것으로 설명하였다.[19][20] 레만은 감도가 좋은 지진계로 지진파의 반사를 관측하여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발견했다.[12][13] 그녀가 관측 결과로부터 추론한 내핵의 반지름은 1400km였으며, 이는 현대의 계측값인 1221km에 매우 가까운 값이었다.[14][15][16][21][22][23]3. 3. 지진파의 경로
1936년 덴마크의 지진학자 잉에 레만은 뉴질랜드 근처에서 발생한 지진 기록을 분석하여 암영대 내의 110도 부근에 약한 P파가 도달하는 것을 발견하고, 깊이 5100km 부근에 불연속면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19][20] 이는 액체 상태인 외핵과 고체 상태의 내핵으로 핵이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P파들이 내핵 표면에서 반사되었거나 굴절되어 온 것으로 설명되었다. 레만이 추정한 내핵의 반지름은 1400km인데, 이는 현대의 계측값인 1221km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21][22][23]지진 관측망이 정비되면서, 이전에는 지진파가 전혀 도달하지 않는다고 여겨졌던 섀도 존에서도 약한 지진파가 관측되기 시작했다. 레만은 1936년 감도가 좋은 지진계로 지진파의 반사를 관측하여 외핵과 내핵의 경계를 발견했다.[12][13] 그녀가 관측 결과로부터 추론한 내핵의 반지름은 1400km였으며,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1221km에 매우 가까운 값이었다.[14][15][16] 이를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로 환산하면 5100km가 된다.[17] 또한, 레만 면에서의 지진파는 구텐베르크 면과는 반대로 굴절되어 섀도 존으로 가는 경로를 취한다.[18]
참조
[1]
서적
New Theory of the Ear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
서적
Fundamentals of geo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
간행물
P'
Publications du Bureau Central Seismologique International
1936
[4]
웹사이트
Inge Lehmann's paper: " P' " (1936)
https://courses.seas[...]
2001-12
[5]
저널
Mineralogy and elasticity of the oceanic upper mantle: Origin of the low-velocity zone
2005
[6]
서적
Plate tectonics and crustal evolution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n
1997
[7]
서적
Vertical coupling and decoupling in the lithosphere; Volume 227 of special publications
Geological Society
2004
[8]
서적
New Theory of the Ear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6-18
[9]
웹사이트
Inge Lehmann og Jordens kerne
http://ing.dk/artike[...]
2005-01-23
[10]
저널
Mineralogy and elasticity of the oceanic upper mantle: Origin of the low-velocity zone
http://supercronopio[...]
2005-03-15
[11]
서적
Plate tectonics and crustal evolution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n
1997
[12]
서적
Earth: inside and Out.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0
[13]
웹사이트
Inge Lehmann: Discoverer of the Earth's Inner Core
https://www.amnh.org[...]
American Museum of National History
2008
[14]
저널
P'
Publications du Bureau central séisismologique international
1936
[15]
저널
Seismology in the days of old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1987-01-20
[16]
저널
Memorial essay: Inge Lehmann (1888–1993)
https://pubs.geoscie[...]
obituary
1994-02-01
[17]
웹사이트
レーマン不連続面
[18]
웹사이트
第二部-2- 地球の科学
https://www.s-yamaga[...]
[19]
서적
Earth: inside and Out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0
[20]
저널
Discoverer of the Earth's Inner Core
https://www.amnh.org[...]
American Museum of National History
2008
[21]
간행물
P'
Publications du Bureau central séisismologique international
1936
[22]
저널
Seismology in the days of old
[23]
obituary
Memorial essay: Inge Lehmann (1888–1993)
https://pubs.geoscie[...]
1994
[24]
서적
The basics of earth scienc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Company
2003
[25]
서적
Fundamentals of geo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6]
간행물
P'
Publications du Bureau Central Seismologique International
1936
[27]
웹인용
Inge Lehmann's paper: “ P' ” (1936)
https://courses.seas[...]
20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