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듐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듐의 동위 원소는 총 34개가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안정 동위 원소인 103Rh 하나뿐이다. 로듐 동위 원소들은 핵 스핀 값을 가지며, 주로 베타 붕괴를 통해 붕괴한다.

2. 로듐 동위 원소

로듐(원소 기호 Rh, 원자 번호 45)은 자연 상태에서는 오직 하나의 안정 동위 원소103Rh만이 100%의 비율로 존재한다.[7][8] 따라서 로듐의 표준 원자량은 103Rh의 원자량인 102.90550 u이다.

하지만 인공적으로는 질량수 89부터 124에 이르는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합성되었다.[4][5][6] 이 방사성 동위 원소들은 모두 불안정하여 각기 다른 반감기를 가지고 방사성 붕괴를 통해 다른 원소로 변환된다. 이들 중 반감기가 몇 년에 달하는 비교적 안정한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반감기가 매우 짧다.

로듐의 각 동위 원소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들에서 다룬다.

2. 1. 안정 동위 원소

자연계에 존재하는 로듐동위 원소103Rh이 유일하며, 그 존재 비율은 100%이다.[7][8] 따라서 103Rh은 안정 동위 원소이다. 핵 스핀 값은 1/2-이다.

2. 2. 방사성 동위 원소

로듐은 자연 상태에서 안정한 동위 원소103Rh만이 100% 비율로 존재한다.[7] 하지만 인공적으로는 다양한 질량수를 가진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합성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로듐의 방사성 동위 원소는 질량수 89의 89Rh부터 124의 124Rh까지 다양하다.

이들 방사성 동위 원소는 모두 불안정하여 방사성 붕괴를 통해 다른 원소의 동위 원소로 변환된다. 주요 붕괴 방식으로는 베타 붕괴(β+ 또는 β-)와 전자 포획(ε)이 있으며, 일부는 양성자 방출(p), 중성자 방출(n), 또는 이성질핵 전이(IT)를 통해 붕괴하기도 한다.[4][5] 붕괴 결과로는 주로 루테늄(Ru) 또는 팔라듐(Pd)의 동위 원소가 생성된다.[6] 예를 들어, 99Rh는 β+ 붕괴를 통해 99Ru으로 변하고, 105Rh는 β- 붕괴를 통해 105Pd으로 변한다.

대부분의 로듐 방사성 동위 원소는 반감기가 매우 짧아 수 초 또는 수 분 이내에 붕괴한다. 예를 들어, 90Rh의 반감기는 약 15밀리초(ms)에 불과하며, 117Rh는 약 0.44초의 반감기를 가진다.

하지만 일부 동위 원소는 상대적으로 긴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여러 로듐 동위 원소들은 하나 이상의 이성질핵(isomer, 핵종 기호 뒤에 'm'을 붙여 표시) 상태를 가진다. 이성질핵은 원자핵이 바닥 상태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준안정 상태이다. 이들은 감마선을 방출하며 더 안정한 상태로 전이하거나(이성질핵 전이, IT), 직접 다른 방식으로 붕괴한다. 예를 들어, 안정한 103Rh도 103mRh이라는 이성질핵 상태를 가지며, 이는 약 56분의 반감기를 가지고 이성질핵 전이를 통해 바닥 상태의 '''103Rh'''으로 돌아간다.[7]

2. 2. 1. 핵 스핀과 붕괴 방식

동위 원소는 고유한 핵 스핀 값을 가지며, 이는 원자핵의 각운동량을 나타낸다. 로듐 동위 원소들의 붕괴 방식은 주로 베타 붕괴+ 또는 β-) 또는 전자 포획(ε)이다. 일부 동위 원소는 양성자 방출(p), 중성자 방출(n), 또는 이성질핵 전이(IT)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붕괴하기도 한다.[4][5] 아래 표는 로듐 동위 원소들의 핵 스핀과 주요 붕괴 방식을 보여준다.

동위 원소 핵종핵 스핀붕괴 방식[4][5]
89Rh7/2+#β+
90Rh(0+)β+, β+, p? (<0.7%)
90mRh[2](7+)β+ (90.4%), β+, p (9.6%)
91Rh(9/2+)β+ (98.7%), β+, p (1.3%)
91mRh1/2−#β+?, β+, p?, IT?
92Rh(6+)β+ (97.95%), β+, p (2.05%)
92m1Rh(2+)β+ (98.3%), β+, p (1.7%)
92m2Rh(4+)IT
93Rh9/2+#β+
94Rh(4+)β+ (98.2%), β+, p (1.8%)
94m1Rh(2+)IT
94m2Rh[2](8+)β+
95Rh(9/2)+β+
95mRh(1/2)−IT (88%), β+ (12%)
96Rh6+β+
96mRh3+IT (60%), β+ (40%)
97Rh9/2+β+
97mRh1/2−β+ (94.4%), IT (5.6%)
98Rh(2)+β+
98mRh[2](5+)IT (89%), β+ (11%)
99Rh1/2−β+
99mRh9/2+β+, IT?
100Rh1−EC (95.1%), β+ (4.9%)
100m1Rh(2)+IT
100m2Rh(5+)IT (98.3%), β+ (1.7%)
100m3Rh(7+)IT
101Rh1/2−EC
101mRh9/2+EC (92.80%), IT (7.20%)
102Rh2−β+ (78%), β (22%)
102mRh6+β+ (99.77%), IT (0.233%)
103Rh[3]1/2−안정[8]
103mRh7/2+IT
104Rh1+β (99.55%), β+ (0.45%)
104mRh5+IT (99.87%), β (0.13%)
105Rh[3]7/2+β
105mRh1/2−IT
106Rh1+β
106mRh(6)+β
107Rh7/2+β
107mRh1/2−IT
108Rh1+β
108mRh(5+)β
109Rh7/2+β
109mRh3/2+IT
110Rh(1+)β
110mRh[2](6+)β
111Rh(7/2+)β
112Rh(1+)β
112mRh(6+)β
113Rh(7/2+)β
114Rh1+β
114mRh[2](7−)β
115Rh(7/2+)β, β, n?
116Rh1+β (>97.9%), β, n? (<2.1%)
116mRh[2](6−)β (>97.9%), β, n? (<2.1%)
117Rh7/2+#β, β, n? (<7.6%)
117mRh3/2+#IT
118Rh1+#β (96.9%), β, n (3.1%)
118mRh[2]6−#β (96.9%), β, n (3.1%), IT?
119Rh7/2+#β (93.6%), β, n (6.4%)
120Rh8−#β, β, n (<9.3%), β, 2n?
120mRh6#IT
121Rh7/2+#β, β, n (>11%)
122Rh7−#β, β, n (<3.9%), β, 2n?
122mRh4+#IT
123Rh7/2+#β, β, n (>24%), β, 2n?
124Rh2+#β, β, n (<31%), β, 2n?


3. 추가 정보

수Z(p)N(n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붕괴
방식[4][5]붕괴 생성
동위 원소[6]
스핀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
범위
(몰 분율)자연계에 존재하는
최대 범위
(몰 분율)들뜬 에너지89Rh454488.94884(48)#10# ms
[>1.5 µs]β+89Ru7/2+#90Rh454589.94287(54)#15(7) ms
[12(+9-4) ms]β+90Ru0+#90mRh0(500)# keV1.1(3) s
[1.0(+3-2) s9+#91Rh454690.93655(43)#1.74(14) sβ+91Ru7/2+#91mRhcolspan="3" style="text-indent:2em" |1.46(11) s(1/2-)92Rh454791.93198(43)#4.3(13) sβ+92Ru(6+)92mRhcolspan="3" style="text-indent:2em" |4.66(25) s
[2.9(+15-8) s](≥6+)93Rh454892.92574(43)#11.9(7) sβ+93Ru9/2+#94Rh454993.92170(48)#70.6(6) sβ+ (98.2%)94Ru(2+,4+)rowspan=2|rowspan=2|β+, p (1.79%)93Tc94mRh300(200)# keV25.8(2) sβ+94Ru(8+)95Rh455094.91590(16)5.02(10) minβ+95Ru(9/2)+95mRh543.3(3) keV1.96(4) minIT (88%)95Rh(1/2)-rowspan=2|rowspan=2|β+ (12%)95Ru96Rh455195.914461(14)9.90(10) minβ+96Ru(6+)96mRh52.0(1) keV1.51(2) minIT (60%)96Rh(3+)rowspan=2|rowspan=2|β+ (40%)96Ru97Rh455296.91134(4)30.7(6) minβ+97Ru9/2+97mRh258.85(17) keV46.2(16) minβ+ (94.4%)97Ru1/2-rowspan=2|rowspan=2|IT (5.6%)97Rh98Rh455397.910708(13)8.72(12) minβ+98Ru(2)+98mRh60(50)# keV3.6(2) minIT98Rh(5+)rowspan=2|rowspan=2|β+98Ru99Rh455498.908132(8)16.1(2) dβ+99Ru1/2-99mRh64.3(4) keV4.7(1) hβ+ (99.83%)99Ru9/2+rowspan=2|rowspan=2|IT (0.16%)99Rh100Rh455599.908122(20)20.8(1) hβ+100Ru1-100m1Rh107.6(2) keV4.6(2) minIT (98.3%)100Rh(5+)rowspan=2|rowspan=2|β+ (1.7%)100Ru100m2Rh74.78(2) keV214.0(20) ns(2)+100m3Rh112.0+X keV130(10) ns(7+)101Rh4556100.906164(18)3.3(3) aε101Ru1/2-101mRh157.32(4) keV4.34(1) dε (93.6%)101Ru9/2+rowspan=2|rowspan=2|IT (6.4%)Rh102Rh4557101.906843(5)207.0(15) dβ+ (80%)102Ru(1-,2-)rowspan=2|rowspan=2|β- (20%)102Pd102mRh140.75(8) keV2.9(10) aβ+ (99.77%)102Ru6+rowspan=2|rowspan=2|IT (0.23%)102Rh103Rh[7]4558102.905504(3)안정[8]1/2-1.0000103mRh39.756(6) keV56.114(9) minIT103Rh7/2+104Rh4559103.906656(3)42.3(4) sβ- (99.55%)104Pd1+rowspan=2|rowspan=2|β+ (0.449%)104Ru104mRh128.967(4) keV4.34(3) min5+105Rh[7]4560104.905694(4)35.36(6) hβ-105Pd7/2+105mRh129.781(4) keV42.9(3) sIT105Rh1/2-rowspan=2|rowspan=2|β-105Pd106Rh4561105.907287(8)29.80(8) sβ-106Pd1+106mRh136(12) keV131(2) minβ-106Pd(6)+107Rh4562106.906748(13)21.7(4) minβ-107Pd7/2+107mRh268.36(4) keV>10 µs1/2-108Rh4563107.90873(11)16.8(5) sβ-108Pd1+108mRh-60(110) keV6.0(3) minβ-108Pd(5)(+#)109Rh4564108.908737(13)80(2) sβ-109Pd7/2+110Rh4565109.91114(5)28.5(15) sβ-110Pd(>3)(+#)110mRh-60(50) keV3.2(2) sβ-110Pd1+111Rh4566110.91159(3)11(1) sβ-111Pd(7/2+)112Rh4567111.91439(6)3.45(37) sβ-112Pd1+112mRh330(70) keV6.73(15) sβ-112Pd(4,5,6)113Rh4568112.91553(5)2.80(12) sβ-113Pd(7/2+)114Rh4569113.91881(12)1.85(5) sβ- (>99.9%)114Pd1+rowspan=2|rowspan=2|β-, n (<0.1%)113Pd114mRh200(150)# keV1.85(5) sβ-114Pd(4,5)115Rh4570114.92033(9)0.99(5) sβ-115Pd(7/2+)#116Rh4571115.92406(15)0.68(6) sβ- (>99.9%)116Pd1+rowspan=2|rowspan=2|β-, n (<0.1%)115Pd116mRh200(150)# keV570(50) msβ-116Pd(6-)117Rh4572116.92598(54)#0.44(4) sβ-117Pd(7/2+)#118Rh4573117.93007(54)#310(30) msβ-118Pd(4-10)(+#)119Rh4574118.93211(64)#300# ms
[>300 ns]β-119Pd7/2+#120Rh4575119.93641(64)#200# ms
[>300 ns]β-120Pd121Rh4576120.93872(97)#100# ms
[>300 ns]β-121Pd7/2+#122Rh4577121.94321(75)#50# ms
[>300 ns]


참조

[1] 논문 The Discoverers of the Rhodium Isotopes. The thirty-eight known rhodium isotopes found between 1934 and 2010 2011-04
[2] 문서 Order of ground state and isomer is uncertain.
[3] 문서 Fission product
[4]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5] 문서 약어: 핵이성체 전이
[6]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체로 표기
[7] 문서 핵분열 생성물
[8] 문서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