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러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러브는 미국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작가이다.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수학 및 컴퓨터 과학 학위를 받았으며, 몬타비스타 소프트웨어에서 커널 해커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지미안, 노벨에서 근무하며 리눅스 데스크톱 개발에 참여했고,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개발에 기여했다. 현재는 Toast의 엔지니어링 부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그는 리눅스 커널 개발 및 시스템 프로그래밍 관련 서적을 저술했으며, 여러 국제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눅스 관계자 - 리처드 스톨먼
리처드 스톨먼은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의 창시자이자 GNU 프로젝트 설립자로서, Emacs 편집기 개발, GNU 운영 체제 개발,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설립, 카피레프트 개념 대중화, GNU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개발 등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을 이끌었으나, 논쟁적인 발언으로 FSF 회장직에서 사임 후 복귀하기도 한 미국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해커, 사회 운동가이다. - 리눅스 관계자 - 리누스 토르발스
리누스 토르발스는 1969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컴퓨터 과학자이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여 핵심 개발자로 활동하고, Git 버전 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했다. - 리눅스 커널 프로그래머 - 리누스 토르발스
리누스 토르발스는 1969년 핀란드에서 태어난 컴퓨터 과학자이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며,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여 핵심 개발자로 활동하고, Git 버전 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했다. - 리눅스 커널 프로그래머 - 앨런 콕스
앨런 콕스는 리눅스 커널 개발에 기여하고, 핵심 개발자 및 관리자로 활동했으며, 자유 소프트웨어 옹호 활동을 펼쳤다.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 얀 르쿤
프랑스 컴퓨터 과학자 얀 르쿤은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로서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이미지 인식 발전에 기여했고, 뉴욕 대학교 교수이자 메타 AI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 자유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 래리 월
래리 월은 펄 프로그래밍 언어 창시자이자 rn, patch 개발자이며, 유니시스 근무 중 펄을 개발하고 《프로그래밍 펄》을 저술하는 등 펄 커뮤니티에 큰 영향을 미쳤고, 자유 소프트웨어 발전상 수상 및 펄 프로젝트의 자비로운 종신 독재자로 활동 중인 컴퓨터 과학자이자 기독교 신자이다.
로버트 러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미국 |
인물 정보 | |
출생 | 1981년경, 플로리다 주 |
직업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학력 | 플로리다 대학교 (문학사, 이학사)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러브는 1981년 플로리다주 남부에서 태어났다. 그는 찰스 W. 플래너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학부 과정으로는 플로리다 대학교에 진학하여 수학 문학사 학위와 컴퓨터 과학 이학사 학위를 모두 받았다.[1]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수학 분야 문학사 학위와 컴퓨터 과학 분야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1] 대학 재학 중 몬타비스타 소프트웨어에서 커널 해커로 일하며 경력을 시작했고,[2] 선점형 커널 개발 등 여러 커널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다.[3]
3. 경력
2003년 12월에는 지미안에 합류하여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유토피아 등을 진행했다.[4][5][6][7] 지미안이 노벨에 인수된 후에는 SUSE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데스크톱의 수석 아키텍트로 활동하며 inotify, Beagle 등의 개발에 기여했다.[8][9][10]
2007년 5월 구글로 이직하여 안드로이드 플랫폼 초기 개발에 참여했으며, 특히 커널 및 시스템 수준 솔루션 설계에 기여했다.[11][12][13][14] 이후 구글에서 검색 인프라 엔지니어링 이사직을 역임했다.[15] 현재는 레스토랑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인 Toast에서 엔지니어링 부사장으로 재직 중이다.[16]
3. 1. 몬타비스타 소프트웨어
대학 재학 중 러브는 몬타비스타 소프트웨어에서 커널 해커로 일했다.[2] 몬타비스타에서 그는 procps와 선점형 커널을 포함한 여러 커널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이는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업적 중 하나이다.[3]
3. 2. 지미안과 노벨
러브는 2003년 12월 15일 지미안에 합류하여, 리눅스 데스크톱 그룹의 수석 엔지니어로 경력을 시작했다.[4][5] 지미안 재직 중에는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에서 하드웨어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 유토피아를 이끌었다.[6][7] 이후 지미안이 노벨에 인수되면서, 러브는 SUSE 리눅스 엔터프라이즈 데스크톱의 수석 아키텍트로 승진하였다.[8] 노벨에서는 inotify와 Beagle을 포함한 여러 커널 및 GNOME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했다.[9][10]
3. 3. 구글 (안드로이드)
러브는 2007년 5월 4일 노벨을 떠나 구글의 모바일 기기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개발팀에 합류했다.[11][12][13] 그는 안드로이드 프로젝트가 공식 발표되기 전에 합류하여, 새로운 공유 메모리 서브시스템인 애슈밈(ashmem)을 포함한 여러 커널 및 시스템 수준의 솔루션을 설계했다.[14] 러브는 구글에서 경력을 이어가 2021년 5월까지 검색 인프라 엔지니어링 이사로 근무했다.[15]
3. 4. Toast
현재 러브는 레스토랑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하는 Toast의 엔지니어링 부사장으로 근무하고 있다.[16]
4. 저술 및 강연 활동
로버트 러브는 리눅스 커널 및 시스템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활발한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는 ''Linux Kernel Development'', ''Linux System Programming'', ''Linux in a Nutshell'' 등 리눅스 관련 주요 서적들을 저술하거나 공동 저술하였다.[40][19][42][20] 이 책들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7] 특히 ''Linux in a Nutshell''은 Linux Journal로부터 "역대 가장 좋아하는 리눅스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43][21] 또한, Linux Journal의 기고 편집자로서 다수의 글을 기고하기도 했다.[44][22]
더불어 호주의 linux.conf.au, 벨기에의 FOSDEM, 영국의 GUADEC 등 세계적인 기술 컨퍼런스에서 초청 강연을 진행했으며, GUADEC에서는 기조 연설을 맡기도 했다.[45][46][23][24]
4. 1. 주요 저서
로버트 러브는 리눅스 운영체제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거나 공동 저술했다.대표적인 저서로는 ''Linux Kernel Development''가 있다. 이 책은 리눅스 커널 코드를 이해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다루며, 해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접근성이 좋고 내용이 잘 구성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17]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40] 현재 3판까지 출간되었으며, 모두 피어슨 교육 또는 그 임프린트에서 출판되었다.[41][18]
또한 ''Linux System Programming''의 저자이기도 하다. 이 책은 '커널 및 C 라이브러리와 직접 대화하기'라는 부제처럼 리눅스의 시스템 호출과 C 라이브러리 API를 상세히 설명하며, O'Reilly Media에서 출판되었다.[19]
''Linux in a Nutshell'' 시리즈의 공동 저자로도 참여했다.[42][20] 이 책은 포괄적인 리눅스 명령어 레퍼런스로, Linux Journal로부터 "역대 가장 좋아하는 리눅스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43][21]
주요 저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판 | 연도 | 출판사 | ISBN | 비고 |
---|---|---|---|---|---|
Linux Kernel Development | 1판 | 2003 | SAMS Publishing | 0-672-32512-8 | 리눅스 커널 코드 이해 및 개발 방법론[17][40] |
Linux Kernel Development | 2판 | 2005 | Novell Press | 978-0-672-32720-9 | |
Linux Kernel Development | 3판 | 2010 | Addison–Wesley (피어슨 교육 임프린트) | 978-0-672-32946-3 | [41][18] |
Linux System Programming | 1판 | 2007 | O'Reilly Media | 978-0-596-00958-8 | 부제: 커널 및 C 라이브러리와 직접 대화하기. 리눅스 시스템 호출, C 라이브러리 API 설명[19] |
Linux System Programming | 2판 | 2013 | O'Reilly Media | 978-1-449-33953-1 | |
Linux in a Nutshell | 5판 | 2006 | O'Reilly Media | 978-0-596-00930-4 | 공동 저자 (Ellen Siever, Stephen Figgins, Aaron Weber, Robert Love). 포괄적 리눅스 명령어 레퍼런스[20]. Linux Journal 선정 "역대 가장 좋아하는 리눅스 책"[43][21] |
Linux in a Nutshell | 6판 | 2009 | O'Reilly Media | 978-0-596-15448-6 | 공동 저자 (Ellen Siever, Stephen Figgins, Robert Love, Aaron Weber) |
이 외에도 Linux Journal의 기고 편집자로서 잡지에 여러 기사를 기고했다.[44][22]
4. 2. 강연
로버트 러브는 호주에서 열린 linux.conf.au, 벨기에의 FOSDEM, 영국에서 열린 GUADEC 등 전 세계적인 행사에서 초청 강연을 진행했다. 특히 GUADEC에서는 기조 연설을 맡기도 했다.[23][24]참조
[1]
서적
Linux Kerne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Novell Press
[2]
웹사이트
Robert Love blog entry on leaving MontaVista
http://blog.rlove.or[...]
2011-07-17
[3]
웹사이트
KernelTrap interview with Robert Love
http://kerneltrap.or[...]
2010-06-19
[4]
웹사이트
Robert Love blog entry on joining Ximian
http://blog.rlove.or[...]
2011-07-17
[5]
뉴스
OSNews interview with Robert Love
http://www.osnews.co[...]
[6]
뉴스
Robert Love interviewed by Ars Technica
https://arstechnica.[...]
[7]
간행물
Project Utopia
http://www.linuxjour[...]
2005-08-26
[8]
웹사이트
Robert Love blog entry on rising to Chief Architect
http://blog.rlove.or[...]
2011-07-17
[9]
웹사이트
Email introducing inotify
http://search.luky.o[...]
2010-10-02
[10]
간행물
Kernel Korner = Intro to inotify
http://www.linuxjour[...]
2005-09-28
[11]
웹사이트
Robert Love blog entry on leaving Novell
http://blog.rlove.or[...]
2011-07-17
[12]
웹사이트
Robert Love blog entry on joining Google
http://blog.rlove.or[...]
2011-07-17
[13]
문서
Robert Love's home page noting he works for Google on Android
http://rlove.org/
[14]
문서
Source code for ashmem
http://android.git.k[...]
[15]
문서
Linkedin profile
http://www.linkedin.[...]
[16]
웹사이트
Robert Love
https://rlove.org/
[17]
문서
Amazon's Readers Review
https://www.amazon.c[...]
[18]
서적
Linux Kernel Development
Addison–Wesley
[19]
서적
Linux System Programming
O'Reilly Media
[20]
서적
Linux in a Nutshell
O'Reilly Media
[21]
뉴스
Linux Journal Readers' Choice Awards
http://www.linuxjour[...]
[22]
뉴스
Linux Journal masthead
http://www.linuxjour[...]
[23]
뉴스
FOSDEM schedule
http://archive.fosde[...]
[24]
뉴스
GUADEC 2007 Schedule
https://wiki.gnome.o[...]
[25]
서적
Linux Kernel Development
https://archive.org/[...]
Novell Press
[26]
웹인용
Robert Love blog entry on leaving MontaVista
http://blog.rlove.or[...]
2009-11-30
[27]
웹인용
KernelTrap interview with Robert Love
http://kerneltrap.or[...]
2005-05-03
[28]
웹인용
Robert Love blog entry on joining Ximian
http://blog.rlove.or[...]
2010-10-02
[29]
뉴스
OSNews interview with Robert Love
http://www.osnews.co[...]
[30]
뉴스
Robert Love interviewed by Ars Technica
http://arstechnica.c[...]
[31]
간행물
Project Utopia
http://www.linuxjour[...]
2005-08-26
[32]
웹인용
Robert Love blog entry on rising to Chief Architect
http://blog.rlove.or[...]
2010-10-02
[33]
웹인용
Email introducing inotify
http://search.luky.o[...]
2014-05-27
[34]
간행물
Kernel Korner = Intro to inotify
http://www.linuxjour[...]
2005-09-28
[35]
웹인용
Robert Love blog entry on leaving Novell
http://blog.rlove.or[...]
2010-10-02
[36]
웹인용
Robert Love blog entry on joining Google
http://blog.rlove.or[...]
2010-10-02
[37]
웹사이트
Robert Love's home page noting he works for Google on Android
http://rlove.org/
[38]
웹사이트
Source code for ashmem
http://android.git.k[...]
[39]
웹사이트
Linkedin profile
http://www.linkedin.[...]
[40]
웹사이트
Amazon's Readers Review
https://www.amazon.c[...]
[41]
서적
Linux Kernel Development
Addison–Wesley
[42]
서적
Linux in a Nutshell
오라일리 미디어
[43]
웹사이트
Linux Journal Readers' Choice Awards
http://www.linuxjour[...]
[44]
웹사이트
Linux Journal masthead
http://www.linuxjour[...]
[45]
웹사이트
FOSDEM schedule
http://archive.fosde[...]
[46]
웹사이트
GUADEC 2007 Schedule
http://live.gnom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