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스 248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 248은 M6 V 분광형의 적색 왜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14%, 태양 반지름의 19%를 가지며, 태양 광도의 0.2% 정도의 광도를 낸다. 섬광성이자 용자리 BY형 변광성으로, 4.2일 주기로 밝기가 변동하며, 1950년 흑점에 의한 밝기 변화가 처음으로 발견된 태양 외 천체이다. 로스 248은 태양계로 접근 중이며, 약 36,000년 후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자리 BY형 변광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용자리 BY형 변광성 - 글리제 581
    글리제 581은 지구에서 20.3 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으로, 최소 6개의 행성을 거느린 행성계이며, 한때 글리제 581c가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위치해 주목받았고,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대상으로 2012년에는 거대한 파편 원반이 발견되었다.
  • 섬광성 - 황새치자리 AB
    황새치자리 AB는 두 개의 쌍성계가 상호작용하며 공전하는 사중성계로, 주성 A는 강력한 자기장과 흑점 활동을 보이며, B와 C, 그리고 B는 Ba와 Bb로 나뉘는 반성을 가지고 황새치자리 AB 이동성군에 속한다.
  • 섬광성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국부 거품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국부 거품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로스 248
위치 정보
로스 248의 위치 (적색 원 내부, 카파 별의 오른쪽 아래 부근)
로스 248의 위치 (안드로메다자리 카파별 근처)
기본 정보
별자리안드로메다자리
시선 속도-77.7 km/s
고유 운동 (적경)112.527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1591.650 밀리초/년
연주시차316.4812
식별 정보
명칭로스 248
다른 명칭HH 안드로메다에 (HH Andromedae)
HH 안드 (HH And)
2MASS J23415498+4410407
G 171-010
GCTP 5736.00
GJ 905
LHS 549
관측 정보
겉보기 등급12.23 - 12.34 (변광)
변광성 유형BY 드라코니스형
특징
분광형M6 V
B-V 색지수+1.92
U-B 색지수+1.48
변광성 종류섬광성
물리적 특징
반지름0.190 태양 반지름
질량0.145 태양 질량
광도0.0022 태양 광도
표면 온도2930 K
표면 중력5.13
금속 함량 (Fe/H)+0.23
자전 주기114.3 일
자전 속도0.1 km/s
나이2.6 Gy
절대 등급14.79

2. 특징

로스 248은 태양 질량의 약 14%, 태양 반지름의 19% 크기이지만, 태양 광도의 0.2%만 가지고 있는 어두운 별이다. 별의 분류는 M6 V이며, 주계열성에 속하는 적색 왜성이다. 이 별은 자기 활동이 활발하며, 4.2년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BY 용자리 변광성이다. 1950년에는 광구흑점으로 인한 밝기 변화가 최초로 확인되었다.

100–1400 AU 사이를 공전하는 갈색 왜성이나 동반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허블 우주 망원경과 근적외선 스페클 간섭계를 이용한 탐색도 실패했다. 스프로울 천문대의 장기 관측에서도 동반성에 의한 섭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태양계에서 9번째로 가까운 항성계이지만, 겉보기 등급은 12등급으로 매우 어둡다.

2. 1. 물리적 특징

로스 248은 태양 질량의 12%, 반지름의 16% 크기이나, 광도는 태양의 0.2%에 불과하다. 분광형은 M6 V로, 주계열 단계에 있는 적색왜성이다. 로스 248은 광도가 종종 증가하는 섬광성이다. 높은 확률로 4.2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장기 변광 주기를 갖는 것으로 보이며, 겉보기등급은 12.23에서 12.34 사이에서 변동한다. 1950년 로스 248의 밝기가 광구 흑점의 영향으로 변화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태양 외 천체에서 흑점으로 인한 밝기 변화를 최초로 확인한 사례이다.

100~1400 천문단위 범위에서 로스 248의 고유운동을 검토한 결과, 갈색왜성이나 항성 동반천체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광각 행성 카메라와 근적외선 반점 간섭계로 행성 존재 여부를 탐색했으나, 발견하지 못했다. 스프롤 천문대의 장기간 관측에서도 보이지 않는 동반천체로 인한 위치천문학적 섭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2. 2. 광학적 특징

로스 248은 질량이 태양의 12%, 반지름은 태양의 16%에 불과하며, 광도는 태양의 0.2%밖에 되지 않는다. 분광형은 M6 V로, 주계열 단계에 있는 적색왜성이다. 광도가 종종 증가하는 섬광성이다. 4.2일 간격으로 밝기가 변화하는 장기 변광 주기를 갖는 것으로 보이며, 이 밝기 변화는 별의 겉보기등급을 12.23과 12.34 사이에서 요동치게 한다. 1950년에는 로스 248의 밝기가 광구흑점 때문에 약간 변화하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태양 이외 천체에서 흑점으로 인한 밝기 변화를 찾아낸 최초 사례이다.

태양계에서 9번째로 가까운 항성계이지만, 겉보기 등급은 12등급으로 매우 어둡다.

변광성으로는 흑점이나 채층의 활동에 의해 변광이 일어나는 회전변광성의 일종인 용자리 BY형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1950년에 항성으로서는 처음으로 흑점에 의한 광도 변화가 확인되었다.

2. 3. 변광성

로스 248은 용자리 BY형 변광성이자 섬광성이다. 높은 확률로 4.2년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이 변화로 인해 겉보기등급이 12.23에서 12.34 사이에서 변한다. 1950년에는 흑점으로 인한 밝기 변화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태양 외에 다른 천체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다.

흑점이나 채층 활동에 의해 밝기가 변하는 회전변광성의 일종인 용자리 BY형 변광성으로 분류된다. 1950년에 항성으로서는 처음으로 흑점에 의한 광도 변화가 확인되었다.

3. 태양계와의 거리 변화

로스 248은 태양계를 향해 빠르게 접근하고 있으며, 그 우주속도요소는 [U, V, W] = [–32.9 ± 0.7, –74.3 ± 1.3, 0.0 ± 1.4] km/s이다. 1993년 Matthews의 연구에 따르면, 약 33,000년 후 로스 248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별이 될 것이며, 이 지위는 약 9,000년 동안 유지될 것이다. 36,000년 후에는 태양에 3.024광년까지 근접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022년의 추정치는 36,500년 안에 0.9345pc 이내로 접근할 것이라고 한다.

2만 년 전부터 8만 년 후까지 10만 년에 걸친 근지구 항성들과 태양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그래프. 로스 248은 33,000년 후 잠시 동안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 별이 될 것이다.


향후 태양계를 초당 25.4km 속도(보이저 1호의 태양계 탈출 속도는 초당 16.6km임)로 탈출하는 우주선이 이 항성에 최근접하기까지는 약 37,000년이 걸릴 것이다. 보이저 2호는 특정 별을 향해 가고 있지는 않지만, 대략 42,000년 후에 로스 248을 1.7광년 거리에서 지나갈 것이다.

4. 주변 천체

로스 248을 바라보는 시선방향으로 항성 PLX 5735가 거의 나란하게 위치해 있다. 그러나 지구에서 가까운 로스 248에 비해 PLX 5735는 지구로부터 4200ly 떨어져 있어 두 별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PLX 5735의 구체적인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이름PLX 5735
적경23h 41m 52.81s
적위+44° 13′ 13.296″
겉보기 등급 (V)12.17
분광형A8 V
절대항성시차0.7846
거리 (광년)4200ly
데이터베이스 참조Simb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