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저 2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이저 2호는 1977년 발사된 NASA의 무인 우주 탐사선으로, 목성과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79년 목성, 1981년 토성, 1986년 천왕성, 1989년 해왕성에 근접하며 각 행성의 고리, 위성, 대기, 자기장 등을 관측하고 새로운 위성을 발견하는 등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행성 탐사 임무를 마친 후에는 태양권을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사하는 성간 우주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 태양권을 벗어나 인류가 만든 물체 중 두 번째로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우주선이 되었다. 보이저 2호에는 외계 생명체에게 지구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골든 레코드가 실려 있다. 2024년 10월 현재 플라스마 과학 실험 장치(PLS)가 정지되었으며, 2026년까지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발사한 우주선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1977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탐사선으로 목성, 토성 탐사 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험 중이며, 이오 화산 활동 발견 등의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고,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로서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을 위한 황금 레코드를 싣고 있다. - 1977년 우주 개발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1977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탐사선으로 목성, 토성 탐사 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험 중이며, 이오 화산 활동 발견 등의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고,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로서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을 위한 황금 레코드를 싣고 있다. - 1977년 우주 개발 - 보이저 금제 음반
보이저 금제 음반은 외계 문명에게 지구와 인류를 알리기 위해 보이저 1, 2호에 실린 타임 캡슐로, 다양한 언어의 인사말, 자연의 소리, 음악, 메시지 등이 담긴 금 도금 구리 디스크이다. - 성간 탐사선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1977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탐사선으로 목성, 토성 탐사 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을 탐험 중이며, 이오 화산 활동 발견 등의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고,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 물체로서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을 위한 황금 레코드를 싣고 있다. - 성간 탐사선 - 스타샷
스타샷은 브레이크스루 이니셔티브 프로젝트로, 초소형 우주선 스타칩을 광추진 방식으로 가속하여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별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태양계 근방의 항성계 탐사를 가능하게 할 잠재력을 가진다.
보이저 2호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보이저 2호 |
영어 이름 | Voyager 2 |
![]() | |
미션 유형 | 행성 탐사 |
운영 기관 | NASA / JPL |
웹사이트 | 보이저 - 성간 임무 |
국제 우주 식별자 | 1977-076A |
위성 목록 번호 | 10271 |
미션 기간 | "1977년 8월 20일 14:29:00 부터" "행성 미션: 1977년 8월 20일 ~ 1989년 10월 2일" "성간 미션: 1989년 10월 2일 부터" |
제조사 | 제트 추진 연구소 |
발사 질량 | 721.9 kg |
전력 | 발사 시 470 와트 |
발사 날짜 | 1977년 8월 20일 14:29:00 UTC |
발사 로켓 | 타이탄 IIIE |
발사 장소 | 케이프커내버럴 LC-41 |
이전 미션 | 바이킹 2호 |
다음 미션 | 보이저 1호 |
프로그램 | 대규모 전략 과학 임무 행성 과학 부문 |
프로그램 2 | 보이저 계획 |
탐사 정보 | |
목성 접근 통과 | "거리: 570,000 km" "도착 날짜: 1979년 7월 9일" |
토성 접근 통과 | "거리: 101,000 km" "도착 날짜: 1981년 8월 26일" |
천왕성 접근 통과 | "거리: 81,500 km" "도착 날짜: 1986년 1월 24일" |
해왕성 접근 통과 | "거리: 4,951 km" "도착 날짜: 1989년 8월 25일" |
현재 위치 및 상태 | |
현재 위치 | 2024년 11월 기준으로 태양에서 138.27 AU (207억 km) 떨어져 있음. 미션 상태 |
현재 속도 | 15.341 km/s |
성간 공간 진입 | 2018년 12월 10일 성간 공간 진입, 아이오와 대학교 발표 |
통신 재개 | 2021년 2월 12일, 뉴욕 타임즈 보도 |
일본어 정보 | |
소속 | NASA / JPL |
목적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탐사. |
관측 대상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
발사일 | 1977년 8월 20일 10시 29분 (동부하계시간) |
최접근일 | 목성 - 1979년 7월 9일, 토성 - 1981년 8월 25일, 천왕성 - 1986년 1월 24일, 해왕성 - 1989년 8월 25일 |
질량 | 721.9 kg |
발생 전력 | 원자력 전지 (420 W) |
한국어 정보 | |
관리 기관 | NASA |
임무 유형 | 접근 통과 |
발사 날짜 | 1977년 8월 20일 |
발사체 | 타이탄 IIIE/센타우르 |
발사 장소 | 케이프커내버럴 LC-41 |
접근 천체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
임무 기간 | 불확실 (보이저 성간 임무 수행 중) |
중량 | 721.9 kg |
전력 | 420 W |
2. 역사
1970년대 후반, 외행성들의 주기적 배열로 인해 단일 탐사선으로 중력도움 기술을 이용하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NASA는 그랜드 투어를 시작했으나, 예산 문제로 마리너 계획 기반의 두 탐사선, 즉 마리너 목성-토성 탐사선(이후 보이저로 명칭 변경)으로 축소되었다.[14][13]
보이저 1호는 목성, 토성, 타이탄 탐사가 주 목표였다. 보이저 2호는 목성과 토성을 탐사하고, 보이저 1호의 성공 여부에 따라 천왕성과 해왕성으로 가거나 타이탄으로 재경유하는 궤도를 따랐다. 보이저 1호의 성공 후, 보이저 2호는 천왕성과 해왕성 탐사로 연장되었다.[14] 1979년 파이오니어 11호의 이미지로 타이탄 대기가 복잡하다는 것이 밝혀져 궤적 설계에 중요해졌다.[15][16]
궤적 이미지 | |
---|---|
![]() 보이저 2호의 궤적. 1989년 해왕성을 지나 황도를 따라 지구에서 시작하여 현재 남쪽 공작자리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 |
![]() 태양계 상공에서 본 궤적 | ![]() 측면에서 본 궤적(회색으로 표시된 황도 아래 거리) |
{| class="wikitable collapsible"
! colspan="2" | 이동 시간표
|-
! scope="col" style="width:120px;"| 날짜
! scope="col" style="width:440px;"| 사건
|-
| 1977년 8월 20일
| UTC 14:29:00 발사.
|-
| 1977년 12월 10일
| 소행성대 진입.
|-
| 1977년 12월 19일
| ''보이저 1호''가 ''보이저 2호'' 추월.(--)
|-
| 1978년 6월
| 주 무선 수신기 고장, 백업으로 임무 수행.
|-
| 1978년 10월 21일
| 소행성대 벗어남.
|-
| 1979년 4월 25일
| 목성 관측 시작.
시간 | 사건 |
---|---|
1979년 7월 8일 | 목성계 접근. |
12:21 | 칼리스토 근접 통과(214,930 km). |
1979년 7월 9일 | |
07:14 | 가니메데 근접 통과(62,130 km). |
17:53 | 유로파 근접 통과(205,720 km). |
20:01 | 아말테아 근접 통과(558,370 km). |
22:29 | 목성 최근접 통과(질량 중심에서 721,670 km). |
23:17 | 이오 근접 통과(1,129,900 km). |
1979년 8월 5일 | 단계 종료 |
|-
| 1981년 6월 5일
| 토성 관측 시작.
시간 | 사건 |
---|---|
1981년 8월 22일 | 토성계 접근. |
01:26:57 | 이아페투스 근접 통과(908,680 km). |
1981년 8월 25일 | |
01:25:26 | 히페리온 근접 통과(431,370 km). |
09:37:46 | 타이탄 근접 통과(666,190 km). |
22:57:33 | 헬레네 근접 통과(314,090 km). |
1981년 8월 26일 | |
01:04:32 | 디오네 근접 통과(502,310 km). |
02:22:17 | 칼립소 근접 통과(151,590 km). |
02:24:26 | 미마스 근접 통과(309,930 km). |
03:19:18 | 판도라 근접 통과(107,000 km). |
03:24:05 | 토성 최근접 통과(질량 중심에서 161,000 km). |
03:33:02 | 아틀라스 (287,000 km). |
03:45:16 | 엔셀라두스 근접 통과(87,010 km). |
03:50:04 | 야누스 (223,000 km). |
04:05:56 | 에피메테우스 (147,000 km). |
06:02:47 | 텔레스토 (270,000 km). |
06:12:30 | 테티스 근접 통과(93,010 km). |
06:28:48 | 레아 근접 통과(645,260 km). |
1981년 9월 4일 | |
01:22:34 | 포이베 근접 통과(2,075,640 km). |
1981년 9월 25일 | 단계 종료 |
|-
| 1985년 11월 4일
| 천왕성 관측 시작.
시간 | 사건 |
---|---|
1986년 1월 24일 | 천왕성계 접근. |
16:50 | 미란다 근접 통과(29,000 km). |
17:25 | 아리엘 근접 통과(127,000 km). |
17:25 | 움브리엘 근접 통과(325,000 km). |
17:25 | 티타니아 근접 통과(365,200 km). |
17:25 | 오베론 근접 통과(470,600 km). |
17:59:47 | 천왕성 최근접 통과(질량 중심에서 107,000 km). |
1986년 2월 25일 | 단계 종료 |
|-
| 1987년 8월 20일
| 10년간 지속 비행 및 운영(UTC 14:29:00).
|-
| 1989년 6월 5일
| 해왕성 관측 시작.
시간 | 사건 |
---|---|
1989년 8월 25일 | 해왕성계 접근. |
03:56:36 | 해왕성 최근접 통과(4,950 km). |
04:41 | 갈라테아 근접 통과(18,360 km). |
04:51 | 라리사 근접 통과(60,180 km). |
05:29 | 프로테우스 근접 통과(97,860 km). |
09:23 | 트리톤 근접 통과(39,800 km). |
1989년 10월 2일 | 단계 종료 |
|-
| 1989년 10월 2일
| 보이저 성간 임무 시작.
|-
! colspan="2" scope="col" | 성간 단계[28][29][30]
|-
| 1997년 8월 20일
| 20년간 지속 비행 및 운영(UTC 14:29:00).
|-
| 1998년 11월 13일
| 스캔 플랫폼 및 자외선 관측 종료.
|-
| 2007년 8월 20일
| 30년간 지속 비행 및 운영(UTC 14:29:00).
|-
| 2007년 9월 6일
| 데이터 테이프 레코더 작동 종료.
|-
| 2008년 2월 22일
| 행성 전파 천문학 실험 종료.
|-
| 2011년 11월 7일
| 전력 절약 위해 백업 추진기 전환.[31]
|-
| 2017년 8월 20일
| 40년간 지속 비행 및 운영(UTC 14:29:00).
|-
| 2018년 11월 5일
| 헬리오포즈 통과, 성간 매질 진입.
|-
| 2023년 7월 18일
| 파이오니어 10호 추월, 태양에서 두 번째로 먼 우주선.[32][33]
|}
2. 1. 배경
1970년대 후반, 외행성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되면서 NASA는 단일 탐사선으로 여러 행성을 탐사할 수 있는 '그랜드 투어'를 시작했다. 이 계획은 중력도움 기술을 이용하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방문하는 것이었다.[14]초기 계획은 방대한 규모의 프로젝트였으나, 예산 문제로 축소되어 마리너 계획에서 파생된 두 대의 탐사선, 즉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보이저 2호는 원래 '마리너 12호'로 계획되었다.[14] 보이저 1호는 목성, 토성, 그리고 토성의 가장 큰 위성인 타이탄을 탐사하는 것이 주요 임무였다. 보이저 2호는 목성과 토성을 탐사하는 것 외에도, 보이저 1호의 임무 성공 여부에 따라 천왕성과 해왕성으로 탐사를 연장하거나 타이탄으로 재경유할 수 있는 궤도로 설계되었다.[14]
2. 2. 설계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제작한 보이저 2호는 지구를 향한 고이득 안테나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16개의 히드라진 추력기, 3축 자세 안정화 장치, 자이로스코프 및 천체 기준 장치(태양 센서/카노푸스 항성 추적기)를 포함하고 있다.[17] 이러한 장비들은 대부분 중복 장치와 8개의 백업 추력기를 포함한 자세 및 조정 제어 하위 시스템(AACS)의 일부이다. 보이저 2호에는 우주를 여행하면서 천체를 연구하기 위한 11개의 과학 장비가 탑재되어 있다.[17]2. 2. 1. 통신
보이저 2호에는 지구의 심우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3.7m 크기의 파라볼라형 고이득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다(--). 통신은 S밴드(약 13cm 파장)와 X밴드(약 3.6cm 파장)를 통해 이루어지며, 목성까지의 거리에서는 초당 최대 115.2킬로비트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지만,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역제곱 법칙에 의해 속도가 점점 감소한다.[18] 탐사선이 지구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DTR)는 약 64메가바이트의 데이터를 기록하여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19]2. 2. 2. 전력
보이저 2호는 3개의 다중백와트 방사성동위원소 열전발전기(MHW RTG)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2023년, JPL은 기체의 안전 장치를 위한 예비 전력 저장소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2026년까지 모든 장비 작동을 예상했다. 2024년 10월, 플라스마 과학 장비의 전원이 꺼지면서, 나머지 4개 장비를 위해 전력을 보존하고 있다.2. 2. 3. 자세 제어 및 추진
보이저 2호는 제트추진연구소(JPL)에서 제작되었으며, 지구를 향한 고이득 안테나의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16개의 히드라진 추력기, 3축 자세 안정화 장치, 자이로스코프 및 천체 기준 장치(태양 센서/카노푸스 항성 추적기)를 포함하고 있다.[17] 이 장비들은 대부분 중복 장치와 8개의 백업 추력기를 포함한 자세 및 조정 제어 하위 시스템(AACS)의 일부이다.보이저 2호의 임무 모듈에는 16개의 히드라진 Aerojet MR-103 추력기가 장착되어 자세 제어를 담당한다.[23] 이 중 4개는 궤적 수정 기동에 사용되고, 나머지 12개는 2개의 6추력기 계열로 구성되어 우주선의 3축을 안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어느 한 순간에도 자세 제어 추력기 계열 중 하나만 필요하다.[24]
추력기는 직경 70cm의 구형 티타늄 탱크 하나로부터 히드라진을 공급받는다. 발사 당시 탱크에는 100kg의 히드라진이 들어 있었으며, 이는 2034년까지 보이저 2호의 자세 제어에 충분한 양이다.[25]
2. 3. 발사
1977년 8월 20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 LC41 발사대에서 타이탄 IIIE 센토르 로켓에 의해 발사되었다.[14]
보이저 계획 지상 요원들은 보이저 2호 발사 당시, 동시기에 발사를 예정하고 있던 보이저 1호에 발생한 문제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보이저 2호에 중요한 기동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잊었다. 이 때문에 보이저 2호의 주 고이득 안테나가 정지 상태가 되었다. 다행히 지상 요원들은 탐사선의 저이득 안테나를 사용하여 교신을 확립할 수 있었고, 고이득 안테나를 재시동할 수 있었다.
3. 행성 탐사
보이저 2호는 1977년 8월 20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우주발사시설 41에서 타이탄 IIIE/켄타우르 발사체를 이용하여 발사되었다.[34][35] 쌍둥이 탐사선인 보이저 1호는 2주 뒤인 1977년 9월 5일에 발사되었지만, 보이저 2호는 더 길고 원형에 가까운 궤도로 발사되어 목성과 토성에 먼저 도착했다. 보이저 1호의 초기 궤도는 원일점이 약 8.9AU였고, 보이저 2호는 6.2AU였다.[36]
1978년 4월, 보이저 2호에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주 무선 수신기가 고장나고 백업 수신기로 전환해야 했다. 백업 수신기는 작동했지만, 수신기의 고장난 축전기로 인해 정확한 주파수로만 송신되는 전송만 수신할 수 있었다. 이 주파수는 지구의 자전(도플러 효과)과 기내 수신기의 온도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았다.[38][39]
보이저 2호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탐사했다.
3. 1. 목성 탐사 (1979년)
보이저 2호는 1979년 7월 9일 22시 29분(UT)에 목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으며, 목성 구름 꼭대기로부터 570000km 이내로 접근했다.[3]목성의 대적점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잡한 폭풍으로 밝혀졌다. 띠 모양의 구름 전체에서 다른 작은 폭풍과 소용돌이들이 발견되었다.[42]
보이저 2호는 아말테이아, 이오, 칼리스토, 가니메데, 유로파 위성들의 이미지를 전송했다.[3] 보이저 1호가 관측한 이오의 활화산을 10시간 동안의 "화산 관측"을 통해 확인했고, 이전 방문 이후 4개월 만에 이오 표면이 어떻게 변했는지 보여주었다.[3] 보이저 탐사선들은 이오에서 9개의 화산 폭발을 관측했으며, 두 보이저의 근접 비행 사이에 다른 폭발이 발생했다는 증거도 발견했다.[34]
목성의 위성 유로파는 보이저 1호의 저해상도 사진에서 많은 교차 선형 특징을 보였다. 처음에는 이러한 특징들이 지각 리프팅이나 지각 작용에 의해 발생한 깊은 균열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보이저 2호의 고해상도 사진은 이러한 특징에 지형적 기복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어 과학자들을 당혹스럽게 했다. 한 과학자는 "펠트 마커로 그린 것 같다"고 묘사했다.[34] 유로파는 이오의 약 1/10 수준의 조석 가열로 인해 내부적으로 활동적이다. 유로파는 30km 두께 미만의 얇은 물 얼음 지각을 가지고 있으며, 아마도 50km 깊이의 바다 위에 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34][35]
고리 바로 바깥쪽 궤도를 도는 두 개의 새로운 소형 위성, 아드라스테이아와 메티스가 발견되었다.[34] 세 번째 새로운 위성인 테베는 아말테이아와 이오의 궤도 사이에서 발견되었다.[34]
3. 2. 토성 탐사 (1981년)
1981년 8월 25일, 보이저 2호는 토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다.[43] 보이저 2호는 지구에서 보았을 때 토성 뒤편에 있을 때 레이더를 이용하여 토성 상층 대기를 관측하고, 온도 및 밀도 분포를 측정했다. 이 관측을 통해 토성 대기 최상층(기압 70mbar)의 온도는 70,000이고, 최하층(기압 1200mbar)에서는 온도가 143,000로 상승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북극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해 온도가 약 10K-change 낮은 것도 밝혀졌지만, 이는 계절에 따라 변동할 가능성도 있다.[90]토성 통과 후, 보이저 2호의 카메라 마운트가 일시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결함이 발생하여 연장된 임무가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 고장은 구동기 축 베어링과 기어 윤활 시스템의 설계 결함, 부식 및 잔해 축적 등 여러 가지 문제의 조합 때문으로 밝혀졌다.[45] 과도한 사용과 윤활제 고갈이 원인이 되었지만, 이종 금속 반응 및 배출구 부족과 같은 다른 요소들도 문제를 악화시켰다.[46] 다행히도 임무팀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고, 탐사선은 천왕성 탐사를 향해 나아갔다.[47]
3. 3. 천왕성 탐사 (1986년)
보이저 2호는 1986년 1월 24일 천왕성에 81500km까지 접근하여,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10개의 위성을 발견했다. 새로 발견된 위성은 코르델리아, 오필리아, 비안카, 크레시다, 데스데모나, 줄리엣, 포르티아, 로잘린드, 벨린다, 퍽이다.[48][53][54] 이 탐사로 천왕성의 자전 주기가 17시간 14분이라는 것을 측정했다.[48] 또한, 천왕성이 자전축과 정렬되지 않은 자기장과 태양으로부터 1000만 킬로미터(600만 마일) 뻗어나가는 나선형 자기 꼬리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53]보이저 2호가 천왕성을 방문했을 때, 안개층에 가려 구름의 많은 특징을 볼 수 없었다. 하지만 가색 및 명암 강화 이미지를 통해 남극 주변에 동심원 모양의 구름띠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 지역은 "주광(dayglow)"이라고 불리는 현상으로 많은 양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대기 온도는 약 60,000이다. 밝게 비추는 극지방과 어두운 극지방, 그리고 행성의 대부분은 구름 꼭대기에서 거의 같은 온도를 보인다.[53]
보이저 2호의 행성 전파 천문학(PRA) 실험은 0.9~40MHz 주파수의 천왕성 정전기 방전(UED, Uranian electrostatic discharges) 즉, 번개 140회를 관측했다.[51][52] UED는 24시간 동안 천왕성으로부터 60만 km 떨어진 곳에서 감지되었으며, 그 대부분은 보이지 않았다.[51] 하지만, 미세 물리적 모델링은 천왕성의 번개가 대류권 심부의 수증기 구름에서 발생하는 대류성 폭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51]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번개는 위쪽 대기층의 두꺼운 구름층 때문에 보이지 않을 것이다.[52] 천왕성의 번개는 약 108 W의 출력을 가지며, 1×107 J – 2×107 J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평균 120ms 지속된다.[52]
미란다 근접 비행은 지질학적 단층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협곡을 보여주었다.[53] 한 가설은 미란다가 격렬한 충돌로 산산조각난 후 물질이 재결합하여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53]
보이저 2호는 이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두 개의 천왕성 고리를 발견했다.[53][54] 측정 결과 천왕성의 고리는 목성과 토성의 고리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천왕성 고리계는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천왕성과 동시에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고리를 구성하는 입자는 고속 충돌이나 조석력에 의해 파괴된 위성의 잔해일 가능성이 있다.[34][35]
2020년 3월, NASA 천문학자들은 근접 비행 당시 기록된 오래된 데이터를 재평가한 후, 천왕성에서 우주로 방출된 플라스모이드라고도 알려진 거대한 대기 자기 거품을 감지했다고 보고했다.[55][56]

3. 4. 해왕성 탐사 (1989년)
1989년 8월 25일, 보이저 2호는 해왕성에 최근접하여 해왕성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보다 더 많은 열을 방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57][34] 해왕성은 보이저 2호가 탐사할 수 있는 마지막 행성이었기 때문에, 보이저 1호가 토성과 타이탄에 접근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접근 후 탐사선의 궤도를 고려하지 않고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에 대한 근접 플라이바이를 실시했다. 그 결과 트리톤의 표면에서 흥미로운 특징들이 발견되었다.보이저 2호는 데스피나, 갈라테아, 라리사, 프로테우스, 나이아드, 탈라사 등 6개의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다.[64] 또한, 해왕성의 고리가 동심원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전까지는 해왕성의 고리가 불연속적이라고 생각되었다.[63]
보이저 2호는 해왕성 표면에서 대흑점을 발견했다.[65] 그러나 1994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서는 대흑점이 소실된 것으로 확인되었다.[65]
2023년 현재, 보이저 2호는 해왕성을 방문한 유일한 탐사선이다.
4. 성간 탐사
보이저 2호는 행성 탐사 임무를 종료한 후 태양권 너머 영역을 탐사하는 성간 탐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2년에는 근처 성간 공간의 플라스마 온도를 측정하여 태양권 내 플라스마보다 온도가 낮음을 확인했고, 태양권을 빠져나가기 직전 플라스마 밀도가 약간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는 원인 조사를 위해 성간 플라스마의 밀도와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101]
2018년 11월 5일, 보이저 2호는 보이저 1호에 이어 태양권을 벗어났다는 발표가 같은 해 12월 10일에 있었다. 2019년 11월 4일에는 보이저 2호에 탑재된 자기장 센서, 에너지 입자 관측 장치, 플라스마 관측 장치 등 5개의 장비에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서 보이저 2호가 태양권과 성간 공간 사이의 천이 영역을 항해하고 있다는 것이 발표되었다.
2010년 4월 22일, 보이저 2호에서 지구로 전송된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상태가 발견되었다. 5월 1일에는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기 위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104] NASA는 보이저 2호의 컴퓨터를 5월 19일에 재설정했고, 23일에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고 있음을 확인했다.[105]
보이저 2호는 보이저 1호와 함께 태양계 외부에서 오는 자외선 파장 영역 중 하나인 라이만 알파선을 관측하고 있다. 여기에는 지구 관측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던 광원도 포함되어 있다. 라이만 알파선은 지구 관측에서는 성간 물질에 산란되는 태양 복사 때문에 제대로 포착할 수 없는 것이다.
2023년 7월 21일, 프로그래밍 오류로 인해 보이저 2호의 고이득 안테나가 지구에서 2도 벗어나 우주선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 8월 1일까지 심우주 네트워크의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여 우주선의 반송파 신호가 감지되었다.[81][82] 8월 4일에 캔버라 기지[83]에서 보낸 고출력 "외침"은 우주선이 지구를 향해 방향을 재설정하여 통신을 재개하도록 성공적으로 명령했다.[82][84]
2024년 10월 1일에는 전력 저하 대책의 일환으로 플라스마 과학 실험 장치(PLS)를 정지시켰다는 것이 발표되었다.[112]
5. 타임라인
날짜 | 사건 |
---|---|
1977-08-20 | UTC 14시 29분 00초에 발사 |
1977-12-10 | 소행성대 진입 |
1977-12-19 | 보이저 1호가 보이저 2호를 추월. ('다이어그램 보기') |
1978-06 | 주 라디오 수신기 작동 불능. 예비용으로 사용하여 비행. |
1978-10-21 | 소행성대 탈출 |
1979-04-25 | 목성 탐사 단계 시작 |
1979-07-08 | 목성계 진입. |
1979-07-09 | 칼리스토 근접 통과 (214930km 거리) |
1979-07-09 | 가니메데 근접 통과 (62130km 거리) |
1979-07-09 | 유로파 근접 통과 (205720km 거리) |
1979-07-09 | 아말테아 근접 통과 (558370km 거리) |
1979-07-09 | 목성 최접근 (질량 중심으로부터 721670km 거리) |
1979-07-09 | 이오 근접 통과 (1129900km 거리) |
1979-08-05 | 목성 탐사 단계 종료 |
1981-06-05 | 토성 탐사 단계 시작 |
1981-08-22 | 토성계 진입 |
1981-08-22 | 이아페투스 근접 통과 (908680km 거리) |
1981-08-25 | 히페리온 근접 통과 (431370km 거리) |
1981-08-25 | 타이탄 근접 통과 (666190km 거리) |
1981-08-25 | 헬레네 근접 통과 (314090km 거리) |
1981-08-26 | 디오네 근접 통과 (502310km 거리) |
1981-08-26 | 칼립소 근접 통과 (151590km 거리) |
1981-08-26 | 미마스 근접 통과 (309930km 거리) |
1981-08-26 | 판도라 근접 통과 (107000km 거리) |
1981-08-26 | 토성 최접근 (질량 중심으로부터 161000km 거리) |
1981-08-26 | 아틀라스 근접 통과 (287000km 거리) |
1981-08-26 | 엔셀라두스 근접 통과 (87010km 거리) |
1981-08-26 | 야누스 근접 통과 (223000km 거리) |
1981-08-26 | 에피메테우스 근접 통과 (147000km 거리) |
1981-08-26 | 텔레스토 근접 통과 (270000km 거리) |
1981-08-26 | 테티스 근접 통과 (93010km 거리) |
1981-08-26 | 레아 근접 통과 (645260km 거리) |
1981-09-04 | 포에베 근접 통과 (2075640km 거리) |
1981-09-25 | 토성 탐사 단계 종료 |
1985-11-04 | 천왕성 탐사 단계 시작 |
1986-01-24 | 천왕성계 진입 |
1986-01-24 | 미란다 근접 통과 (29000km 거리) |
1986-01-24 | 아리엘 근접 통과 (127000km 거리) |
1986-01-24 | 움브리엘 근접 통과 (325000km 거리) |
1986-01-24 | 티타니아 근접 통과 (365200km 거리) |
1986-01-24 | 오베론 근접 통과 (470600km 거리) |
1986-01-24 | 천왕성 최접근 (질량 중심으로부터 107000km 거리) |
1986-02-25 | 천왕성 탐사 단계 종료 |
1987-08-20 | 발사 10주년 |
1989-06-05 | 해왕성 탐사 단계 시작 |
1989-08-25 | 해왕성계 진입 |
1989-08-25 | 해왕성 최접근 (4950km 거리) |
1989-08-25 | 라리사 근접 통과 (60180km 거리) |
1989-08-25 | 프로테우스 근접 통과 (97860km 거리) |
1989-08-25 | 트리톤 근접 통과 (39800km 거리) |
1989-10-02 | 해왕성 탐사 단계 종료 |
1989-10-02 | 보이저 성간 탐사 시작 |
1990-02-14 | 보이저 계획의 최종 사진, 보이저 1호가 가족 사진 촬영 |
1997-08-20 | 발사 20주년 |
1998-11-13 | 스캔 플랫폼과 자외선 관측기 작동 종료 |
2007-08-20 | 발사 30주년 |
2007-09-06 | 데이터 테이프 리코더 작동 종료 |
2008-02-22 | PRA 작동 종료 |
2011-11-07 |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예비 추진기로 전환[117] |
2017-08-20 | 발사 40주년 |
2027-08-20 | 발사 50주년 |
|-
연도 | 사용 가능한 전력의 제한으로 인한 특정 기능의 종료[92] |
---|---|
1998 | 스캔 플랫폼 및 자외선 분광계(UVS) 관측 종료[85] |
2007 |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DTR) 작동 종료 (2002년 6월 30일 플라즈마파 관측장비(PWS)의 고주파 수신기 고장으로 인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됨)[92] |
2008 | 행성 전파 천문학 실험(PRA) 전원 차단[85] |
2019 | CRS 히터 꺼짐[86] |
2021 | 저에너지 대전입자 검출기 히터 꺼짐[87] |
2023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전압 조정기의 전력을 과학 장비 작동에 재할당[21] |
2024 | 플라즈마 과학 장비(PLS) 꺼짐[88] |
2030년경 | 더 이상 어떤 장비에도 전력 공급 불가[89] |
2036 | 심우주 통신망(Deep Space Network)의 통신 범위 밖[90] |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의 전력이 서서히 감소함에 따라, 우주선의 다양한 장비들이 꺼졌다.[85] 보이저 2호에서 가장 먼저 꺼진 과학 장비는 1991년의 PPS였으며, 이로써 1.2W의 전력을 절약했다.[85]
6. 과학적 성과
보이저 2호는 여러 행성과 위성을 탐사하며 획기적인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목성 탐사 (1979년 7월 9일 최근접 통과)'''[3]
- 대적점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잡한 폭풍임을 밝혀냈다.[42]
- 목성의 띠 모양 구름에서 다양한 소규모 폭풍과 소용돌이를 발견했다.[42]
- 이오의 화산 활동을 확인하고, 보이저 1호 탐사 이후 4개월 만에 표면 변화를 관측했다.[3]
- 유로파 표면의 선형 구조를 발견했으며, 이는 얇은 얼음 지각 아래에 50km 깊이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34][35]
- 목성의 고리 바로 바깥쪽에서 두 개의 새로운 소형 위성 아드라스테이아와 메티스를 발견했다.[34]
- 테베 위성을 발견했다.[34]
'''토성 탐사 (1981년 8월 26일 최근접 통과)'''[43]
- 상층 대기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여, 70mbar 압력에서 82,000 , 1200mbar 압력에서 143,000 온도를 기록했다.[44]
- 극지방이 중위도보다 10°C 정도 더 차가운 현상을 관측했다. 이는 계절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90]
- 스캔 플랫폼의 일시적인 고장이 있었으나, 지상 엔지니어들의 노력으로 기능을 회복했다.[46]
'''천왕성 탐사 (1986년 1월 24일 최근접 통과)'''[48]
- 코델리아, 오필리아, 비앙카, 크레시다, 데스데모나, 줄리엣, 포르티아, 로살린드, 벨린다, 퍽 그리고 페르디타를 포함하여 11개의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다.[53][54]
- 천왕성의 자전 주기가 17시간 14분임을 측정했다.[48]
- 천왕성의 자기장이 자전축과 크게 어긋나 있으며, 태양 반대편으로 1000만 킬로미터 뻗어나가는 나선형 자기 꼬리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53]
- 천왕성 대기의 평균 온도가 약 60,000임을 측정했다.
- 천왕성의 고리가 목성, 토성의 고리와 다르며,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34][35]
- 미란다의 근접 비행을 통해 거대한 지질학적 단층 협곡을 발견했다.[53]
'''해왕성 탐사 (1989년 8월 25일 최근접 통과)'''[57][34]
- 해왕성의 고리를 발견했다.[63]
- 데스피나, 갈라테아, 라리사, 프로테우스, 나이아드 및 탈라사를 포함하여 6개의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다.[64]
- 대흑점을 발견했으나, 이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서 사라진 것으로 확인되었다.[65]
- 해왕성의 플라스마 밀도는 10-3 – 10-1 cm-3이다.[61][62]
'''태양권계면 통과 이후 성간 공간 탐사'''
- 2007년 8월 30일, 종단 충격파를 통과하여 태양권계면에 진입했다.[72]
- 2018년 11월 5일, 항성간 공간에 도달했다.[8][9]
- 2020년 10월, 태양계 외부 우주의 밀도가 예상보다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보고했다.[78][79]
- 2023년 7월 18일, 파이오니어 10호를 넘어 태양으로부터 두 번째로 멀리 떨어진 우주선이 되었다.[32][33]
보이저 2호는 현재도 항성간 공간을 탐사하며, 태양계 외부 환경에 대한 귀중한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고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scope="col" style="width:135px;"| 계기 이름
! scope="col" style="width:50px;"| 약칭
! 설명
|-
| 영상 과학 시스템
| (ISS)
| 외부 행성과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다른 천체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카메라 시스템(협각/광각)을 사용했다.
{| class="wikitable collapsible"
|-
! colspan="2" | 필터
|-
|
|
|}
|-
| 전파 과학 시스템
| (RSS)
| 보이저 우주선의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행성과 위성(이온층, 대기, 질량, 중력장, 밀도)의 물리적 특성과 토성 고리의 물질 양과 크기 분포, 고리 크기를 결정했다.
|-
| 적외선 간섭계 분광기 및 방사계
| (IRIS)
| 전 지구적 및 지역적 에너지 균형과 대기 구성을 조사한다. 행성과 위성뿐만 아니라 토성 고리의 입자 구성, 열적 특성 및 크기에서 수직 온도 프로필도 얻는다.
|-
| 자외선 분광기
| (UVS)
| 대기 특성과 방사선 측정을 위해 설계되었다.
|-
| 3축 플럭스게이트 자력계
| (MAG)
| 목성과 토성의 자기장, 이러한 행성의 자기권과 태양풍의 상호 작용, 그리고 항성간 자기장과의 태양풍 경계까지 그리고 그 너머의 행성간 자기장을 조사하도록 설계되었다. (만약 교차한다면)
|-
| 플라즈마 분광기
| (PLS)
| 플라즈마 이온의 거시적 특성을 조사하고 5eV~1keV의 에너지 범위에서 전자를 측정한다.
|-
| 저에너지 대전입자 계기
| (LECP)
| 이온, 전자의 에너지 플럭스 및 각 분포의 미분과 에너지 이온 조성의 미분을 측정한다.
|-
| 우주선 시스템
| (CRS)
| 항성간 우주선의 기원과 가속 과정, 수명 주기 및 동적 기여, 우주선 원천에서 원소의 핵합성, 행성간 매질에서 우주선의 거동, 그리고 포획된 행성 고에너지 입자 환경을 결정한다.
|-
| 행성 전파 천문학 조사
| (PRA)
| 주파수 스윕 전파 수신기를 사용하여 목성과 토성에서 나오는 전파 방출 신호를 연구한다.
|-
| 광도계 시스템
| (PPS)
| 편광기를 사용한 망원경을 사용하여 목성과 토성의 표면 질감과 구성에 대한 정보와 두 행성의 대기 산란 특성과 밀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
| 플라스마파 서브시스템
| (PWS)
| 목성과 토성에서 전자 밀도 프로필에 대한 지속적이고 피막과 무관한 측정과 지역 파-입자 상호 작용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며, 자기권 연구에 유용하다.
|}
7. 골든 레코드
두 개의 보이저 우주 탐사선에는 금 도금된 음향-영상 디스크인 골든 레코드가 실려 있다. 이 레코드는 외계 생명체가 탐사선을 발견했을 때 지구의 다양한 생명체와 문화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다.[96][97]
칼 세이건 등이 참여한 팀이 제작한 이 레코드에는 지구와 생명체의 사진, 과학 정보, 유엔 사무총장과 미국 대통령 등의 인사말, 그리고 "지구의 소리"가 담겨 있다.[98] "지구의 소리"에는 고래, 아기 울음, 파도 소리 등과 함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블라인드 윌리 존슨, 척 베리, 발야 발칸스카 등의 음악이 포함되어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아우른다. 동서양 고전 음악, 전 세계 원주민 음악, 55개 언어의 인사말도 담겨 있다.[98]
이 프로젝트는 지구 생명의 풍요로움을 보여주고, 인간의 창의성과 우주와 소통하려는 열망을 보여주기 위해 기획되었다.[97][99]
8. 현재 위치 및 미래
2018년 11월 2일 기준으로 보이저 2호는 태양권덮개에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119AU (1780억km)에 위치한다. 빛의 속도로 16.48시간이 소요된다.[118] 2023년 4월, 먼저 발사된 파이어니어 10호를 추월함으로써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지구로부터 두 번째로 멀리 떨어져 있는 우주선으로 기록된다.
행성 탐사 임무가 끝난 후, 보이저 2호는 항성간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NASA는 이를 이용하여 태양계의 태양권 너머가 어떤지 알아내고 있다. 현재 보이저 2호는 초당 약 160비트/초의 속도로 과학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67]
2018년 11월 5일, 보이저 2호가 보이저 1호에 이어 태양권을 벗어났다는 것이 같은 해 12월 10일에 발표되었다.
2020년 심우주 네트워크에 대한 유지 보수로 인해 8개월 동안 탐사선과의 통신이 중단되었다가, 2020년 11월 2일 통신이 재개되었다.[77] 2021년 2월 12일, 1년 동안 진행된 주요 지상국 안테나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후 완전한 통신이 복구되었다.[12]
2023년 7월 21일, 프로그래밍 오류로 인해 보이저 2호의 안테나가 지구에서 2도 벗어나 통신이 두절되었다. 8월 4일, 캔버라 기지[83]에서 보낸 고출력 "외침"으로 우주선이 지구를 향해 방향을 재설정하여 통신을 재개하도록 성공적으로 명령했다.[82][84]
보이저 2호는 심각한 고장이 없다면 2025년경까지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에는 전력과 연료 잔량에 따라 달라진다.[106] 2023년 4월에는 전원 변동 대책을 위한 예비 전력도 투입하여 전력 저하에 따른 관측 장치 셧다운을 회피하는 데 성공, 2026년까지 행성 간 우주 탐사를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108]
2024년 10월 1일에는 전력 저하 대책으로 플라스마 과학 실험 장치(PLS)를 정지시켰다.[112]
보이저 2호는 특정 항성을 목표로 비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약 6만 1,000년 후에 오르트 구름을 통과하고, 약 29만 8,000년 후에는 시리우스에서 약 4광년까지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103]
9. 기타
보이저 2호는 여러 기능이 정지되었거나 정지될 예정이다.
1998년 스캔 플랫폼 및 자외선 분광계(UVS) 관측이 종료되었다.[85] 2007년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DTR) 작동이 종료되었는데, 이는 2002년 6월 30일 플라즈마파 관측장비(PWS)의 고주파 수신기 고장으로 인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92] 2008년 행성 전파 천문학 실험(PRA) 전원이 차단되었다.[85]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의 전력이 서서히 감소함에 따라, 2019년 CRS 히터가 꺼졌고,[86] 2021년 저에너지 대전입자 검출기 히터가 꺼졌다.[87] 2024년 전력 저하 대책의 일환으로 플라스마 과학 실험 장치(PLS)가 정지되었다.[88]
심각한 고장이 없다면 보이저 2호는 2025년경까지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이후는 전력과 연료 잔량에 따라 달라진다.[106] 2030년경에는 어떤 장비에도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며,[89] 2036년에는 심우주 통신망(Deep Space Network) 통신 범위 밖에 있게 된다.[90]
9. 1. 컴퓨터 오류
2010년 4월 22일부터 보이저 2호가 해독할 수 없는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왔다. 5월 17일, 미국 항공우주국 제트 추진 연구소 측은 보이저 2호에 장착된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하여 생긴 버그이며, 5월 19일까지 수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119] 이후 버그가 수정되어, 5월 23일부터 보이저 2호는 다시 정상적인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했다.[120]9. 2. 기능 종료 시점
1998년 스캔 플랫폼 및 자외선 분광계(UVS) 관측이 종료되었다.[85] 2007년에는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DTR) 작동이 종료되었는데, 이는 2002년 6월 30일 플라즈마파 관측장비(PWS)의 고주파 수신기 고장으로 인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92] 2008년에는 행성 전파 천문학 실험(PRA) 전원이 차단되었다.[85]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의 전력이 서서히 감소함에 따라, 보이저 2호의 다양한 장비들이 꺼졌다. 2019년에는 CRS 히터가 꺼졌고,[86] 2021년에는 저에너지 대전입자 검출기 히터가 꺼졌다.[87] 2023년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전압 조정기의 전력을 과학 장비 작동에 재할당하여, 2026년까지 행성 간 우주 탐사를 계속할 수 있는 전망이 생겼다.[108] 2024년에는 전력 저하 대책의 일환으로 플라스마 과학 실험 장치(PLS)를 정지시켰다.[88]
심각한 고장이 없다면 보이저 2호는 2025년경까지는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이후는 전력과 연료의 잔량에 따라 달라진다.[106] 2030년경에는 더 이상 어떤 장비에도 전력 공급이 불가능하며,[89] 2036년에는 심우주 통신망(Deep Space Network)의 통신 범위 밖에 있게 된다.[90]
참조
[1]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Information
https://web.archive.[...]
NASA
2011-01-02
[2]
웹사이트
Voyager 2
https://nssdc.gsfc.n[...]
US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13-08-25
[3]
웹사이트
Voyager 2
https://solarsystem.[...]
NASA's Solar System Exploration website
2022-12-04
[4]
웹사이트
Voyager – Mission Status
https://voyager.jpl.[...]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23-07-09
[5]
웹사이트
Where are the Voyagers?
https://voyager.jpl.[...]
NASA
2012-09-09
[6]
뉴스
Voyager 2 reaches interstellar space – Iowa-led instrument detects plasma density jump, confirming spacecraft has entered the realm of the stars
https://www.eurekale[...]
2019-11-04
[7]
뉴스
Voyager 2's Discoveries From Interstellar Space – In its journey beyond the boundary of the solar wind's bubble, the probe observed some notable differences from its twin, Voyager 1.
https://www.nytimes.[...]
2019-11-04
[8]
뉴스
Nasa's Voyager 2 probe 'leaves the Solar System'
https://www.bbc.com/[...]
2018-12-10
[9]
뉴스
Release 18–115 – NASA's Voyager 2 Probe Enters Interstellar Space
https://www.nasa.gov[...]
2018-12-10
[10]
뉴스
At last, Voyager 1 slips into interstellar space – Atom & Cosmos
https://web.archive.[...]
2013-09-12
[11]
웹사이트
Voyager – The Interstellar Mission Mission Overview
http://voyager.jpl.n[...]
NASA
2011-05-02
[12]
뉴스
Earth to Voyager 2: After a Year in the Darkness, We Can Talk to You Again – NASA's sole means of sending commands to the distant space probe, launched 44 years ago, is being restored on Friday.
https://www.nytimes.[...]
2021-02-12
[13]
웹사이트
Planetary Voyage
https://voyager.jpl.[...]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7-04-08
[14]
서적
From Engineering Science to Big Science
https://history.nasa[...]
[15]
서적
Voyager Tales: Personal Views of the Grand Tour
https://books.google[...]
AIAA
1997-01-01
[16]
서적
The Interstellar Age: Inside the Forty-Year Voyager Mission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5-02-24
[17]
웹사이트
Voyager 2: Host Information
https://starbrite.jp[...]
NASA
2011-01-02
[18]
웹사이트
Voyager Telecommunications
https://voyager.gsfc[...]
2013
[19]
웹사이트
NASA News Press Kit 77–136
http://forum.nasaspa[...]
JPL/NASA
[20]
간행물
U.S. space missions using radioisotope power systems
https://web.archive.[...]
1999
[21]
웹사이트
NASA's Voyager Will Do More Science With New Power Strategy
https://www.jpl.nasa[...]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2]
웹사이트
NASA Turns Off Science Instrument to Save Voyager 2 Power
https://blogs.nasa.g[...]
NASA
2024-10-01
[23]
웹사이트
MR-103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Voyager Backgrounder
https://ntrs.nasa.go[...]
Nasa
1980-10
[25]
웹사이트
What Fuel Does Voyager 1 Use?
https://slate.com/ne[...]
2003-11-06
[26]
웹사이트
Voyager 1 Narrow Angle Camera Description
https://pds-rings.se[...]
NASA / PDS
2003-08-26
[27]
웹사이트
Voyager 1 Wide Angle Camera Description
https://pds-rings.se[...]
NASA / PDS
2003-08-26
[28]
웹사이트
Voyager 2 Full Mission Timeline
http://www.dmuller.n[...]
2011-07-23
[29]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Description
https://pds-rings.se[...]
NASA
1997-02-19
[30]
웹사이트
JPL Mission Information
https://starbrite.jp[...]
NASA, JPL, PDS
2017-02-20
[31]
뉴스
Voyager 2 to Switch to Backup Thruster Set
https://web.archive.[...]
JPL
2011-11-05
[32]
웹사이트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Voyager 2
https://ssd.jpl.nasa[...]
[33]
웹사이트
Distance between the Sun and Pioneer 10
https://ssd.jpl.nasa[...]
[34]
웹사이트
Voyager - Fact Sheet
https://voyager.jpl.[...]
[35]
웹사이트
Voyager - Fast Facts
https://voyager.jpl.[...]
[36]
웹사이트
HORIZONS
https://ssd.jpl.nasa[...]
[37]
웹사이트
40 Years Ago: Voyager 2 Explores Jupiter – NASA
https://www.nasa.gov[...]
2019-07-08
[38]
서적
Planets Beyond: Discovering the Outer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39]
잡지
Voyage to the tilted planet
https://books.google[...]
1986-01-23
[40]
웹사이트
Basics of space flight: Interplanetary Trajectories
https://solarsystem.[...]
[41]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42]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Description
https://pds-rings.se[...]
[43]
웹사이트
NASA – NSSDCA – Master Catalog – Event Query
https://nssdc.gsfc.n[...]
[44]
웹사이트
Saturn Approach
https://voyager.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45]
논문
Engineering the voyager uranus mission
https://archive.org/[...]
Jet Propulsion Laboratory
[46]
웹사이트
Lesson 394: Voyager Scan Platform Problems
https://llis.nasa.go[...]
NASA
1995-05-30
[47]
서적
The Interstellar Age: Inside the Forty-Year Voyager Mission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5-02-24
[48]
웹사이트
Uranus Approach
https://voyager.jpl.[...]
[49]
논문
Voyager's Eleventh Discovery of a Satellite of Uranus and Photometry and the First Size Measurements of Nine Satellites
[50]
논문
Planetary magnetospheres
[51]
논문
Atmospheric Electricity at the Ice Giants
2020
[52]
논문
Radio detection of uranian lightning by Voyager 2
1986
[53]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Celebrates 30 Years Since Uranus
https://www.nasa.gov[...]
2016-01-22
[54]
웹사이트
1986: Voyager at Uranus
https://solarsystem.[...]
2012-12-14
[55]
뉴스
Revisiting Decades-Old Voyager 2 Data, Scientists Find One More Secret
https://www.nasa.gov[...]
2020-03-25
[56]
뉴스
Uranus Ejected a Giant Plasma Bubble During Voyager 2's Visit
https://www.nytimes.[...]
2020-03-27
[57]
뉴스
Voyager Steered Toward Neptune
https://www.newspape[...]
1987-03-15
[58]
웹사이트
Neptune
https://voyager.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59]
웹사이트
Neptune Approach
https://voyager.jpl.[...]
[60]
논문
Predictions of lightning activity at Neptune
1989
[61]
논문
Whistlers in Neptune's magnetosphere: Evidence of atmospheric lightning
1990
[62]
논문
Plasma observations near Neptune: Initial results from Voyager 2
1989
[63]
웹사이트
Neptune Moons
https://solarsystem.[...]
[64]
웹사이트
Neptune's Moons: 14 Discovered So Far
https://www.space.co[...]
2016-06-30
[65]
웹사이트
Neptune Just Got a Little Dark
https://slate.com/te[...]
2016-06-24
[66]
웹사이트
Hubble Finds New Dark Spot on Neptune
https://www.jpl.nasa[...]
1998-08-02
[67]
웹사이트
Voyager Space Flight Operations Schedule
https://voyager.jpl.[...]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3-09-07
[68]
웹사이트
Voyager Weekly Reports
https://voyager.jpl.[...]
Voyager.jpl.nasa.gov
2013-09-06
[69]
보고서
V1974 Cygni 1992: The Most Important Nova of the Century
https://quantummecha[...]
[70]
서적
Robotic Exploration of the Solar System Part I: The Golden Age 1957–1982
Springer
2007
[71]
서적
Understanding Pulsars and Space Navig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Singapore
2023-03-20
[72]
웹사이트
NASA – Voyager 2 Proves Solar System Is Squashed
https://www.nasa.gov[...]
2018-10-05
[73]
뉴스
Voyager 2 finds solar system's shape is 'dented'
https://www.reuters.[...]
2007-12-10
[74]
뉴스
NASA working on Voyager 2 data problem
https://www.boston.c[...]
2018-10-05
[75]
웹사이트
Engineers Diagnosing Voyager 2 Data System
https://web.archive.[...]
Jet Propulsion Laboratory
2010-05-17
[76]
웹사이트
NASA Fixes Bug On Voyager 2
http://www.space-tra[...]
2010-05-25
[77]
뉴스
NASA finally makes contact with Voyager 2 after longest radio silence in 30 years
https://www.livescie[...]
2020-11-05
[78]
뉴스
Voyager Spacecraft Detect an Increase in The Density of Space Outside The Solar System
https://www.sciencea[...]
2020-10-19
[79]
학술지
Observations of a Radial Density Gradient in the Very Local Interstellar Medium by Voyager 2
2020-08-25
[80]
웹사이트
NASA loses contact with Voyager Two after a programming error on Earth
https://www.npr.org/[...]
2023-08-02
[81]
뉴스
Voyager 2: Nasa picks up 'heartbeat' signal after sending wrong command
https://www.bbc.com/[...]
2023-08-01
[82]
웹사이트
Mission Update: Voyager 2 Communications Pause – The Sun Spot
https://blogs.nasa.g[...]
2023-07-28
[83]
뉴스
'Interstellar shout' restores NASA contact with lost Voyager 2 spacecraft
https://www.washingt[...]
2023-08-05
[84]
뉴스
Voyager 2: Nasa fully back in contact with lost space probe
https://www.bbc.com/[...]
2023-08-04
[85]
웹사이트
Voyager – Operations Plan to the End Mission
https://voyager.jpl.[...]
[86]
웹사이트
A New Plan for Keeping NASA's Oldest Explorers Going
https://www.jpl.nasa[...]
[87]
뉴스
Earth to Voyager 2: After a Year in the Darkness, We Can Talk to You Again
https://www.nytimes.[...]
2021-02-12
[88]
웹사이트
NASA Turns Off Science Instrument to Save Voyager 2 Power
https://www.jpl.nasa[...]
2024-10-01
[89]
학술지
Record-Breaking Voyager Spacecraft Begin to Power Down
https://www.scientif[...]
2022-07
[90]
웹사이트
Voyager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voyager.jpl.[...]
[91]
웹사이트
NASA wants the Voyagers to age gracefully, so it's time for a software patch
https://arstechnica.[...]
2023-10-24
[92]
웹사이트
Voyager – Spacecraft – Spacecraft Lifetime
https://voyager.jpl.[...]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08-03-15
[93]
웹사이트
Future
https://voyager.jpl.[...]
NASA
[94]
학술지
Future stellar flybys of the Voyager and Pioneer spacecraft
2019-04-03
[95]
뉴스
NASA's Voyager 2 heads for star Sirius... by time it arrives humans will have died out
https://www.express.[...]
2017-12-04
[96]
잡지
Timothy Ferris on Voyagers' Never-Ending Journey
https://web.archive.[...]
2012-05
[97]
웹사이트
What Is on Voyager's Golden Record?
https://www.smithson[...]
[98]
웹사이트
Voyager Golden record
https://voyager.jpl.[...]
JPL
[99]
잡지
How the Voyager Golden Record Was Made
https://www.newyorke[...]
2017-08-20
[100]
웹사이트
Voyager - The Interstellar Mission Mission Overview
https://web.archive.[...]
[101]
뉴스
At last, Voyager 1 slips into interstellar space - Atom & Cosmos
https://www.sciencen[...]
2013-09-02
[102]
웹사이트
http://voyager.jpl.n[...]
[103]
뉴스
Voyager at 40: Where Will the NASA Spacecraft Go Next?
https://news.nationa[...]
2017-09-06
[104]
웹사이트
ボイジャー2号のデータ送信システムに異常
https://www.astroart[...]
[105]
웹사이트
Engineers Diagnosing Voyager 2 Data System
http://www.jpl.nasa.[...]
[106]
웹사이트
Did You Know?, Voyager Mission
https://voyager.jpl.[...]
제트추진연구소
2022-08-24
[107]
웹사이트
THE VOYAGERS: RISKY BUSINESS BEYOND THE HELIOPAUSE
https://trs.jpl.nasa[...]
제트추진연구소
2022-08-24
[108]
웹사이트
NASA、惑星探査機ボイジャー2号の科学機器シャットダウン開始を先送り
https://sorae.info/s[...]
sorae
2023-04-30
[109]
뉴스
NASA、探査機ボイジャー2号の「心音」を確認 7月末に通信途絶
https://www.bbc.com/[...]
2023-08-02
[110]
뉴스
「ボイジャー2号」通信遮断 信号送信のミスで 1977年打ち上げ
https://news.ntv.co.[...]
2023-08-02
[111]
뉴스
惑星探査機ボイジャー2号の通信回復 正常に飛行 NASA {{!}} NHK
https://www3.nhk.or.[...]
2023-08-05
[112]
웹사이트
NASAの惑星探査機「ボイジャー2号」科学機器の1つをシャットダウン
https://sorae.info/s[...]
sorae
2024-10-06
[113]
웹사이트
Voyager Weekly Reports
http://voyager.jpl.n[...]
[114]
웹사이트
Voyager 2 Full Mission Timeline
http://www.dmuller.n[...]
2010
[115]
웹사이트
Voyager Mission Description
http://pds-rings.set[...]
NASA
1997-02-19
[116]
웹사이트
JPL Mission Information
https://starbrite.jp[...]
NASA, JPL, PDS
[117]
뉴스
Voyager 2 to Switch to Backup Thruster Set
http://www.jpl.nasa.[...]
JPL
2017-08-31
[118]
웹사이트
Where are the Voyagers?
https://voyager.jpl.[...]
NASA
2012-09-09
[119]
웹사이트
Engineers Diagnosing Voyager 2 Data System
http://www.jpl.nasa.[...]
제트추진연구소
[120]
웹사이트
NASA Fixes Bug On Voyager 2
http://www.space-tr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TV하이라이트]2025년 8월 20일
해왕성에도 ‘오로라’가…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첫 포착
곧 ‘50살’ 보이저 탐사선, 전력 아끼려 장비 셧다운
“전기 스위치 내려”…인류 메신저 ‘보이저호’에 생명 연장 특단 조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