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이 안데르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이 안데르손은 스웨덴의 영화 감독이다. 1970년 영화 《스웨덴 러브 스토리》로 데뷔하여,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4개의 상을 수상했다. 1975년 《길리아프》의 흥행 실패 이후 25년간 장편 영화를 제작하지 않고 광고 연출에 집중했으며, 칸 국제 광고제에서 8회 수상했다. 2000년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영화계에 복귀했고, 이후 《유, 더 리빙》,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를 연출했다.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는 베니스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이 세 작품은 "리빙 트릴로지"로 불린다. 2019년에는 《끝없음에 관하여》를 발표했고, 2012년에는 자신이 생각하는 최고의 영화 10편을 선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영화 각본가 - 루벤 외스틀룬드
    스웨덴 영화감독 루벤 외스틀룬드는 사회 풍자와 블랙 코미디를 결합한 연출 스타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스퀘어》와 《트라이앵글 오브 새드니스》를 통해 부조리한 현실과 인간의 이중성을 비판하고 계급 갈등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
  • 스웨덴의 영화 각본가 - 라세 할스트룀
    스웨덴 출신 영화 감독 라세 할스트룀은 ABBA 뮤직비디오 연출로 이름을 알린 후 할리우드에 진출하여 《길버트 그레이프를 먹는 무엇》, 《사이더 하우스 룰》, 《쇼콜라》 등의 작품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 은사자상 감독상 수상자 - 알랭 레네
    알랭 레네는 1922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한 프랑스의 영화감독으로, 기억과 시간의 복잡성을 탐구하며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과의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했고, 《히로시마 내 사랑》 등 다수의 작품으로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 은사자상 감독상 수상자 - 구로사와 기요시
    구로사와 기요시는 1955년 효고현 고베시 출생의 일본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연출했으며,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고, 2023년에는 가자지구 휴전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
  • 굴드바게상 수상자 - 얀 트로엘
    얀 트로엘은 스웨덴의 영화 감독이자 촬영 감독으로, 《이민자들》, 《새로운 땅》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도 참여했다.
  • 굴드바게상 수상자 - 미카엘 뉘크비스트
    스웨덴 배우 미카엘 뉘크비스트는 영화 《밀레니엄》 시리즈의 미카엘 블롬크비스트 역과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존 윅》 등의 할리우드 영화 출연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2002년 굴드바게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나 2017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로이 안데르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4년 로이 안데르손
2014년 모습
본명로위 아르네 렌나르트 안데르손
출생일1943년 3월 31일
출생지예테보리, 스웨덴
국적스웨덴
직업영화 감독
활동 기간1967년–현재
공식 웹사이트Studio 24 & Roy Andersson Production
주요 작품
칸 영화제심사위원상
2000년 《산책하는 행성》
베네치아 영화제황금사자상
2014년 《비둘기가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
은사자상(감독상)
2019년 《호모 사피엔스 눈물》
유럽 영화상코미디 영화상
2015년 《비둘기가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

2. 삶과 영화

1943년 3월 31일 예테보리에서 태어났다. 1969년 스웨덴 영화 연구소를 졸업하고, 이듬해인 1970년 장편 영화 《스웨디쉬 러브 스토리》로 영화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 영화는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인터필름상을 포함한 4개의 상을 수상하며 성공을 거두었다.[24] 그러나 1975년 두 번째 장편 영화 《길리압》이 흥행과 비평 모두 실패하면서 25년 동안 장편 영화를 제작하지 않았다.[25] 1981년 영화 제작사 스튜디오 24를 설립하여 영화 외에도 광고 등을 제작했으며, 칸 국제 광고제에서 8회 수상했다.[26]

2000년 25년 만의 장편 영화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를 발표하여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27] 2007년에는 네 번째 장편 영화 《유, 더 리빙》을 발표하여 시카고 국제 영화제 감독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28]

2014년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가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29] 이 영화는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 《유, 더 리빙》과 함께 "리빙 트릴로지" 3부작을 구성하는 작품이다.[30]

2. 1. 초기

1943년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태어난 안데르손은 스웨덴 영화 연구소를 졸업하고 1년 뒤인 1969년 첫 장편 영화 스웨덴 러브 스토리로 젊은 사랑의 본질과 뉘앙스를 담아내며 인기를 얻었다. 이 영화는 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4개의 상을 수상했다.[32] 하지만 이 성공 이후, 안데르손은 같은 스타일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 우울증을 겪었고, 다음 프로젝트를 취소하기도 했다.

1975년에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의 어둡고 무표정한 코미디 영화 길리압을 개봉했지만, 재정적으로나 비평적으로 큰 실패를 겪었다.[32] 이후 안데르손은 25년간 영화를 만들지 않고 주로 상업적 영상 제작에 몰두했다.

1981년 스톡홀름에 독립영화제작사 스튜디오 24를 설립했다. 1987년 스웨덴 국립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단편영화 <Something Happened>를 제작했으나, 에이즈에 대한 어두운 묘사로 인해 상영이 중단되었다가 1993년에야 공식적으로 상영되었다. 1991년 단편 <영광의 세계>는 카날 플러스 어워드와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 언론상을 수상하며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32]

2. 2. 공백기와 복귀

안데르손은 1969년 장편 영화 《스웨덴 러브 스토리》로 영화 감독으로 데뷔하여 제2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4개의 상을 수상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성공 이후 안데르손은 우울증에 빠졌고, 같은 스타일에 얽매이는 것을 원치 않아 차기 프로젝트를 취소했다.[32] 1975년, 그는 새로운 영화 《길리압》을 개봉했지만, 이 영화는 예산 초과와 편집 지연으로 인해 재정적으로나 비평적으로 모두 실패했다.[32] 《길리압》 이후 안데르손은 25년간 영화 제작을 중단하고 상업 광고 제작에 주력했다.

1981년, 안데르손은 스톡홀름에 독립영화제작사 스튜디오 24를 설립했다. 1987년, 스웨덴 국립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단편 영화 《뭔가 일어났다》를 제작했으나, 내용이 너무 어둡고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이유로 제작이 중단되었다.[32] 1991년에는 단편 영화 《영광의 세계》를 제작하여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에서 카날플뤼스 상과 언론상을 수상하는 등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다.[32]

1996년 3월, 안데르손은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 촬영을 시작하여 2000년에 완성했다.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고,[33] 스웨덴 굴드바게 어워드에서 여러 상을 받으며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 2007년에는 《유, 더 리빙》을 발표하여 노르딕 카운슬 영화상을 수상했다.

2009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안데르손의 작품 회고전이 열렸다. 그는 이후 두 영화에 이은 삼부작 완결작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를 2014년에 발표했고, 이 영화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 작품상을 받았다.[36] 2015년에는 뉴욕 예술 및 디자인 박물관에서 그의 회고전이 열렸다.[37][38]

2. 3. 리빙 트릴로지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는 2000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어 심사위원상[33]을 수상했고, 스웨덴 굴드바게 어워드에서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각본상, 사운드상을 받았다. 이 영화는 46개의 긴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칠고 암울한 사회 비판이 그의 특징인 부조리한 무표정의 희극과 초현실주의로 표현되어 있다.

<유, 더 리빙>은 2007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되었고, 2008년 노르딕 카운슬 영화상을 받았다.

안데르손은 위의 두 영화에 이어 삼부작을 완결하는 작품을 찍고 싶다고 밝혔으며,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36]는 2014년에 개봉되어 제7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2. 4. 최근작

2000년 칸 영화제에서 초연된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는 국제적인 찬사를 받으며 칸에서 심사위원상[33]스웨덴 굴드바게 어워드에서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각본상, 및 사운드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는 46개의 긴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거칠고 암울한 사회 비판이 그의 특징인 부조리한 무표정의 희극과 초현실주의로 표현되어 있다.

로이 안데르손은 스튜디오 24에서 상업적 작업들을 하다가 2007년 칸 영화제에서 <유, 더 리빙> 영화 초연을 했고 2008년 노르딕 협의회 영화상을 받았다.

2009년 9월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안데르손의 작품 회고전이 있었다.

그는 앞선 두 영화에 이은 삼부작을 완결하는 작품을 찍고 싶다는 얘기를 공개적으로 했고, 그 영화는 "세 번째는 거대하고 깊고 환상적이며 유머러스하고 비극적이며 철학적인 도스토예프스키 영화다"라고 했다.[34] 한 인터뷰에서 그는 다음 영화는 아마도 레드 원 카메라를 가지고 고화질 비디오로 촬영할 것이며 이전 두 영화의 스타일에서 벗어나는 영화일 것이라고 밝혔다.[35]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라는 제목[36]의 삼부작 완결작은 2014년 개봉되었고 제7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 작품상을 받았다.

2015년 뉴욕 예술 및 디자인 박물관에서는 <인간되기의 어려움: 로이 안데르손 영화들>이라는 제목의 회고전을 열었다.[37][38]

2019년 그는 네 번째 영화 <끝없음에 관하여>를 발표했으며,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3. 영향과 스타일

2012년 안데르손은 사이트 & 사운드의 영화 투표에 참여하여 자신이 꼽은 열 편의 영화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여기 열 편의 영화는 모두 인류의 날것이며 유쾌한 존재에 대한 훌륭하고 매혹적인 예술적 표현이다. 이 영화들은 우리를 더욱 현명하게 만들어 준다"면서 "내가 절대적으로 좋아하는 영화는 자전거 도둑으로 역사적으로 가장 인간적이며 정치적인 영화다. 비리디아나는 가장 지성적인 영화이며 히로시마 내 사랑은 가장 시적인 영화다"라고 했다.[39]

안데르손이 선택한 영화 (가나다순)
제목국가연도
라쇼몽일본1950년
배리 린든미국1975년
비리디아나멕시코1961년
아마코드이탈리아1972년
안드레이 루블료프러시아1966년
인톨러런스미국1916년
알제리 전투이탈리아1968년
자전거 도둑이탈리아1948년
재와 다이아몬드폴란드1958년
히로시마 내 사랑프랑스1959년



안데르손은 자신의 작품에 이탈리아 네오레알리즘과 체코 뉴웨이브가 큰 영향을 주었다고 언급했다.[10] 그는 또한 스페인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와 네덜란드 화가 피터르 브뢰헬부터 이탈리아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와 프랑스의 넌센스 영화 감독 자크 타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11][12]

4. 작품 목록

로이 안데르손은 스웨덴 러브 스토리, 길리압, 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 유, 더 리빙, 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 등 장편 영화와 《뭔가 일어났다》, 《영광의 세계》 등 단편 영화를 감독했다.

4. 1. 장편 영화

연도한국어 제목원제비고
1970스웨덴 러브 스토리En kärlekshistoria
1975길리압Giliap
2000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Sånger från andra våningen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33], 굴드바게 어워드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각본상, 사운드상 수상
2007유, 더 리빙Du levande노르딕 카운슬 영화상 수상
2014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En duva satt på en gren och funderade på tillvaron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수상[36]
2019끝없음에 관하여Om det oändliga


4. 2. 단편 영화

안데르손은 1987년 스웨덴 국립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단편 영화 《뭔가 일어났다》를 만들었다. 이 영화는 스웨덴 전역의 학교에서 에이즈에 관한 교육용으로 상영될 예정이었으나, 지나치게 어둡고 논란이 되는 내용 때문에 4분의 3쯤 만들어졌을 때 제작이 중단되었다. 공식적인 해명은 "전달하려는 메시지에 비해 너무 어둡다"는 것이었고, 1993년까지 공식적으로 상영되지 않았다.[32]

1991년에는 단편 《영광의 세계(World of Glory)》를 만들었는데, 이 영화는 이전의 스타일을 더욱 발전시켜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카날 플러스 어워드와 1992년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에서 언론상을 받았다. 이 영화는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에서 역대 베스트 단편영화 톱 10 리스트에 올라 있다.[32]

연도제목원제비고
1967아들을 방문하다Besöka sin son
1968흰 경기Den vita sporten[21]
1968자전거를 가지러 가다Hämta en cykel
196910월 5일 토요일Lördagen den 5.10
1987뭔가 일어났다Någonting har hänt[22]
1991영광의 세계Härlig är jorden[23]


5. 수상

연도수상 내역작품
1992년카날 플러스 어워드, 클레르몽페랑 단편영화제 언론상<영광의 세계>
2000년칸 영화제 심사위원상[33]2층에서 들려오는 노래
2000년굴드바게 어워드 작품상, 감독상, 촬영상, 각본상, 사운드상
2000년스티그 다게르만 상(해당 없음)
2008년노르딕 카운슬 영화상유, 더 리빙
2010년레닌상(해당 없음)
2014년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14]비둘기, 가지에 앉아 존재를 성찰하다
2020년오데사 국제 영화제 공로상[15](해당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Roy Andersson https://www.svenskfi[...] 2014-05-15
[2] 웹사이트 Interview in Nöjesguiden http://nojesguiden.s[...] 2012-07-18
[3]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Songs from the Second Floor http://www.festival-[...] 2009-10-13
[4] 웹사이트 Roy Andersson interview http://www.littlewhi[...] 2011-08-09
[5] 웹사이트 Figurative & Abstract: An Interview with Roy Andersson http://www.theauteur[...] 2009-08-09
[6] 웹사이트 No Shadows to Hide in: A Conversation with Roy Andersson http://orbismediolog[...] 2010-09-12
[7] 웹사이트 It's Hard to Be Human: The Cinema of Roy Andersson http://madmuseum.org[...] 2015-08-05
[8] 뉴스 Roy Andersson's Movies at the Museum of Arts and Design https://www.nytimes.[...] 2015-05-14
[9] 웹사이트 About Endlessness review – mesmerising odyssey to the heart of existence https://www.theguard[...] 2023-09-10
[10] 웹사이트 The “Trivialist Cinema” of Roy Andersson: An Interview https://filmquarterl[...] 2023-09-10
[11] 웹사이트 Behind The Absurdly Comic Work Of Roy Andersson, And His Movie That Doesn’t Look Like Other Movie https://www.fastcomp[...] 2023-09-10
[12] 웹사이트 Being a Human Person review – the Monty Pythonesque artistry of Roy Andersson https://www.theguard[...] 2023-09-10
[13] 웹사이트 Roy Anderson https://web.archive.[...] 2021-06-24
[14] 뉴스 Roy Andersson film scoops Venice Golden Lion award https://www.bbc.co.u[...] 2014-09-07
[15] 웹사이트 The OIFF will award the Swedish director Roy Andersson a Lifetime Achievement Golden Duke and will show his mini-retrospective at the 11th edition of the festival News https://oiff.com.ua/[...] 2020-10-01
[16] 웹사이트 Feature Films: A Swedish Love Story https://www.royander[...] 2021-06-24
[17] 웹사이트 Feature Films: Giliap https://www.royander[...] 2021-06-24
[18] 웹사이트 Feature Films: Songs from the Second Floor https://www.royander[...] 2021-06-24
[19] 웹사이트 Feature Films: You, the Living https://www.royander[...] 2021-06-24
[20] 웹사이트 Feature Films: A Pigeon Sat on a Branch Reflecting on Existence https://www.royander[...] 2021-06-24
[21] 간행물 Roy Anderesson inleder Den vita sporten http://www.sfi.se/sf[...]
[22] 웹사이트 Short Films: Something Happened https://www.royander[...] 2021-06-24
[23] 웹사이트 Short Films: World of Glory https://www.royander[...] 2021-06-24
[24] 웹사이트 En kärlekshistoria (1970) - Awards https://www.imdb.com[...] IMDb 2013-04-19
[25] 웹사이트 Giliap (1975) - Trivia http://www.imdb.com/[...] IMDb 2013-04-19
[26] 웹사이트 Studio 24 http://www.royanders[...] Roy Andersson Film Production 2013-04-19
[27] 웹사이트 Sånger från andra våningen (2000) - Awards https://www.imdb.com[...] IMDb 2013-04-19
[28] 웹사이트 Du levande (2007) - Awards https://www.imdb.com[...] IMDb 2013-04-19
[29] 웹사이트 Awards of the 71st Venice Film Festival https://web.archive.[...] 2014-09-07
[30] 웹사이트 ベネチア映画祭結果発表!日本勢は受賞逃す【第71回ベネチア国際映画祭】 https://www.cinemato[...] 2014-09-07
[31] 웹인용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스웨덴 감독 로이 안데르손 수상 http://news.mtn.co.k[...] 2014-09-07
[32] 웹사이트 Interview in Nöjesguiden http://nojesguiden.s[...] 2012-07-18
[33] 웹인용 Festival de Cannes: Songs from the Second Floor http://www.festival-[...] 2009-10-13
[34] 웹사이트 Roy Andersson interview http://www.littlewhi[...] 2011-08-09
[35] 웹사이트 Figurative & Abstract: An Interview with Roy Andersson http://www.theauteur[...] 2009-08-09
[36] 웹인용 No Shadows to Hide in: A Conversation with Roy Andersson http://orbismediolog[...] 2010-09-12
[37] 웹인용 It's Hard to Be Human: The Cinema of Roy Andersson http://madmuseum.org[...] Museum of Arts and Design 2015-08-05
[38] 뉴스 Roy Andersson's Movies at the Museum of Arts and Design https://www.nytimes.[...] 2015-05-14
[39] 웹인용 Roy Anderson https://www2.bfi.org[...] 2021-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