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리디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리디아나는 루이스 부뉴엘 감독의 1961년 영화로, 독실한 수녀 지망생 비리디아나가 종교적 신념과 현실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그린다. 영화는 비리디아나가 큰아버지의 집에서 자선 사업을 펼치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해 가톨릭의 위선, 인간 본성, 계급 갈등을 비판한다. 개봉 당시 종교적 논란으로 스페인에서 상영이 금지되었으나,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2. 줄거리

수녀 서약을 앞둔 비리디아나는 유일한 친척인 삼촌 돈 하이메의 초대로 그의 저택을 방문한다. 돈 하이메는 죽은 아내와 닮은 비리디아나에게 욕정을 품고 그녀에게 수면제를 먹여 강간하려 하지만, 죄책감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12]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은 비리디아나는 수도원행을 포기하고, 돈 하이메의 저택에 남아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돕는 자선 활동을 시작한다. 그녀는 거지와 나병 환자들을 저택으로 데려와 헌신적으로 돌본다.[12]

얼마 후, 돈 하이메의 사생아인 호르헤가 여자친구 루시아와 함께 저택에 도착한다. 호르헤는 비리디아나의 헌신적인 삶을 비웃고, 저택을 현대화하려는 실용적인 인물이다. 그는 하녀 라모나와 은밀한 관계를 맺기도 한다. 루시아는 시골 생활과 호르헤의 비리디아나에 대한 관심에 질투를 느껴 떠난다.

어느 날, 비리디아나와 호르헤가 집을 비운 사이, 저택에 모인 거지들은 광란의 파티를 벌인다. 그들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하는 등 난장판을 벌이고, 이 과정에서 비리디아나는 강간당할 위기에 처한다. 호르헤는 돈으로 다른 거지를 매수하여 공격자를 죽이게 하고, 라모나가 경찰에 신고하여 위기를 모면한다.[12]

이 사건은 비리디아나의 신념과 가치관에 큰 혼란을 가져온다. 영화는 비리디아나가 호르헤, 라모나와 함께 카드놀이를 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되는데, 이는 그녀가 세속적인 욕망과 타협했음을 암시한다.[4] 호르헤는 비리디아나에게 "내가 널 처음 봤을 때, '사촌과 내가 결국 함께 카드를 섞게 되겠구나'라고 생각했지."라고 말한다.

3. 등장인물

배역배우비고
비리디아나실비아 피날
호르헤프란시스코 라발돈 하이메의 사생아
돈 하이메페르난도 레이비리디아나 고모의 과부
라모나마르가리타 로사노돈 하이메의 하녀
루시아빅토리아 지니호르헤의 여자친구
리타테레사 라발라모나의 어린 딸
원장 수녀로시타 야르사비리디아나의 수녀원 원장 수녀, 크레딧 미기재
몬초프란시스코 레네돈 하이메의 저택 관리인, 크레딧 미기재
라몬알폰소 코르돈호르헤가 저택을 수리하기 위해 고용한 일꾼의 감독, 크레딧 미기재
농부마누엘 알렉상드르호르헤가 개를 사는 농부, 크레딧 미기재
시장호세 마리아 라도크레딧 미기재
거지들
돈 아마리오호세 칼보시각 장애인
엘 코호호세 마누엘 마르틴절름발이, 그림을 그림
엘 포카루이스 에레디아키가 작고 마른 노인
돈 세키엘호아킨 로아하얀 수염을 가진 키가 작은 노인
에네디나롤라 가오스어린 딸 둘을 데리고 있으며 요리를 함
기타를 치는 여자마리아 이스베르트
엘 레프로소후안 가르시아 티엔드라왼팔에 상처가 있음, 크레딧 미기재
레푸히오밀라그로스 토마스임신, 크레딧 미기재
파코호아킨 마욜예전에 직조공이었음, 크레딧 미기재
라 하르디네라팔미라 게라정원 가꾸는 사람, 크레딧 미기재
라 에로나알리시아 호르헤 바리가난쟁이, 크레딧 미기재
엘 펠론세르히오 멘디사발목발을 짚고 다니며 저택에 오는 것을 선택하지 않음, 크레딧 미기재


3. 1. 주요 인물

배역배우
비리디아나실비아 피날
호르헤프란시스코 라발
돈 하이메페르난도 레이
라모나마르가리타 로사노
루시아빅토리아 지니
리타테레시타 라발



이 외에도, 크레딧에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 로시타 야르사 - 수녀원 원장 수녀 역
  • 프란시스코 레네 - 몬초 역
  • 알폰소 코르돈 - 라몬 역
  • 마누엘 알렉상드르 - 농부 역
  • 호세 마리아 라도 - 시장 역

거지들

배역배우
돈 아마리오호세 칼보
엘 코호호세 마누엘 마르틴
엘 포카루이스 에레디아
돈 세키엘호아킨 로아
에네디나롤라 가오스
기타를 치는 여자마리아 이스베르트
엘 레프로소후안 가르시아 티엔드라
레푸히오밀라그로스 토마스
파코호아킨 마욜
라 하르디네라팔미라 게라
라 에로나알리시아 호르헤 바리가
엘 펠론세르히오 멘디사발


3. 2. 조연


  • 페르난도 레이 - 돈 하이메 역
  • 마르가리타 로사노 - 라모나 역
  • 빅토리아 지니 - 루시아 역
  • 테레사 라발 - 리타 역


; 거지들

배우역할비고
호세 칼보돈 아마리오 역시각 장애인
호세 마누엘 마르틴엘 코호 역절름발이, 그림을 그림
루이스 에레디아마누엘 엘 포카 역키가 작고 마른 노인
호아킨 로아돈 세키엘 역하얀 수염을 가진 키가 작은 노인
롤라 가오스에네디나 역어린 딸 둘을 데리고 있으며 요리를 함
마리아 이스베르트기타를 치는 여자 역
후안 가르시아 티엔드라호세 엘 레프로소 역왼팔에 상처가 있음, 크레딧 미기재
밀라그로스 토마스레푸히오 역임신, 크레딧 미기재
호아킨 마욜파코 역예전에 직조공이었음, 크레딧 미기재
팔미라 게라라 하르디네라 역정원 가꾸는 사람, 크레딧 미기재
알리시아 호르헤 바리가라 에로나 역난쟁이, 크레딧 미기재
세르히오 멘디사발엘 펠론 역목발을 짚고 다니며 저택에 오는 것을 선택하지 않음, 크레딧 미기재


4. 주제 및 해석

영화 《비리디아나》는 종교적 위선,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 계급 갈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수녀 서약을 앞둔 비리디아나는 삼촌 돈 하이메를 방문한다. 돈 하이메는 죽은 아내와 닮은 그녀에게 욕정을 품고 강간하려 하지만, 죄책감에 자살한다. 비리디아나는 그의 유산으로 자선 사업을 벌이지만, 거지들의 난동으로 좌절한다. 돈 하이메의 아들 호르헤는 비리디아나의 헌신을 비웃고, 하녀 라모나와 관계를 맺는다.

스페인 검열 위원회는 원래 결말 대신 호르헤, 라모나, 비리디아나의 쓰리섬을 암시하는 카드놀이 장면을 요구했다.[4] 호르헤는 "사촌과 내가 결국 함께 카드를 섞게 되겠구나"라고 말한다.

4. 1. 종교적 위선 비판

루이스 부뉴엘 감독은 사상적으로는 허무주의자이지만, 애초부터 가톨릭 정신의 소유자였다. 그는 성당이 인간성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영화를 만들면서도, 결국에는 참된 신앙 본연의 자세를 역설하고 있다. 표면적인 자기희생적 신앙의 위선성을 먼저 분쇄(粉碎)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열렬한 반역 정신이 영화의 스타일 속에서 소용돌이친다.[12]

수녀 비리디아나(실비아 피날)는 종생(終生) 수도원 생활에 들어가기 전에 귀족인 큰아버지를 찾아간다. 큰아버지는 그녀에게 정욕을 품고, 수면제를 먹여 강간하였다고 거짓말을 해서 머무르게 하려고 하였으나 자책감 때문에 자살한다. 이 사건의 원인이 자기에게 있다고 느낀 그녀는 큰아버지 집에 머무르면서 자선 사업을 벌여 거지나 나병 환자를 위해 헌신적으로 활동한다. 큰아버지의 아들인 청년 호르헤(프란시스코 라발)가 와서 그와 같은 자기희생의 생활 방식을 조소한다. 그러던 어느 날 밤, 난장판을 벌인 거지들은 난폭한 나머지 비리디아나에게 대든다. 그러나 호르헤가 다른 거지를 교사(敎唆)하여 난폭자를 죽임으로써 겨우 그녀는 살아난다.[12]

4. 2. 인간 본성 탐구

영화는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 특히 성적 욕망과 폭력성을 탐구한다. 돈 하이메는 죽은 아내와 닮은 비리디아나에게 정욕을 품고 그녀를 강간하려다 실패하고, 결국 자책감에 자살한다.[12] 거지들은 비리디아나가 베푼 자선에도 불구하고 난폭한 행동을 보이며, 심지어 그녀를 강간하려 한다.[12] 비리디아나를 둘러싼 인물들의 미묘한 관계, 호르헤와 라모나의 관계, 루시아의 질투 등은 인간 본성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마지막 장면에서 호르헤, 라모나, 비리디아나가 함께 카드놀이를 하는 장면은 쓰리섬을 암시하며, 인간 본성의 타락을 보여준다.[4]

4. 3. 계급 갈등

부르주아 계급 출신인 비리디아나와 하층민 출신 거지들의 대립은 계급 갈등을 상징한다. 비리디아나는 자선사업을 통해 거지와 나병환자들을 헌신적으로 도우려 하지만, 큰아버지의 아들 호르헤는 이러한 자기희생적 생활 방식을 조소한다.[12] 비리디아나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기로 결심하고 저택에 부랑자들을 모아 쉼터와 음식을 제공하며 함께 기도를 드린다.

어느 날 밤, 호르헤와 비리디아나가 집을 비운 사이 거지들은 저택에 침입하여 난장판을 벌이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하며 연회를 벌인다. 이들은 술에 취해 난교를 벌이고 집안을 파괴한다. 집주인들이 돌아오자 대부분의 거지들은 도망치지만, 일부는 호르헤를 묶고 비리디아나를 강간하려 한다. 호르헤는 돈을 주어 다른 거지를 교사해 난폭자를 죽이게 하고, 비리디아나는 겨우 살아남는다.[12] 결국 비리디아나의 자선은 실패로 돌아가는데, 이는 부뉴엘이 계급 간의 화해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5. 논란과 검열

《비리디아나》는 개봉 당시 신성모독 논란에 휩싸였다.[6] 특히 거지들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하는 장면은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7]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부는 영화 상영을 금지했고, 교황청의 공식 신문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는 영화를 "신성 모독적"이라고 비난했다.[5]

스페인 검열 위원회는 비리디아나가 호르헤의 방에 들어가 문을 닫는 원래 결말을 거부하고 새로운 결말을 요구했다. 새 결말은 호르헤, 라모나, 비리디아나가 쓰리섬을 암시하는 내용으로, 일부 영화 역사가들은 이 결말이 덜 노골적이지만 더 타락한 것으로 평가한다.[4]

이 영화는 1961년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지만, 프랑코 사후인 1977년에야 스페인에서 개봉될 수 있었다.[6] 부뉘엘은 "의도적으로 신성 모독을 하려던 것은 아니었지만, 교황 요한 23세가 나보다 그런 일에 대해 더 잘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6]

6. 영화사적 의의 및 평가

《비리디아나》는 현대 비평가들에게 걸작으로 평가받지만, 개봉 당시에는 큰 논란을 일으켰다. 1961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지만,[5] 교황청 공식 신문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는 이 영화를 "신성모독적"이라고 비난했고, 프란시스코 프랑코 정권은 스페인 내 상영을 금지했다.[5]

제작 책임자 페레 포르타벨라에 따르면, 스페인 당국은 원본 필름을 소각하려 했으나, 외국 회사에 후반 작업용 필름이 보관되어 있어 살아남았다고 한다.[5] 영화는 프랑코 사후 2년 뒤인 1977년, 부뉴엘 감독이 77세가 되어서야 스페인에서 개봉되었다.[6] 부뉴엘은 이에 대해 "일부러 신성모독을 하려던 것은 아니었지만, 교황 요한 23세가 나보다 그런 일에 대해 더 잘 판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6]

보즐리 크로더는 《뉴욕 타임스》 평론에서 "선의의 자선 행위가 순진하고 경건한 사람들에 의해 잘못 적용될 수 있다는 오래된 주제를 다룬, 삶에 대한 추하고 우울한 시각"이라고 평가하며, "형식은 문학적이고, 상징은 노골적이며, '할렐루야 합창'에 맞춰 부랑자들이 춤을 추는 것은 진부하다"고 덧붙였다.[7]

6. 1. 수상 내역

영화제년도비고
황금종려상칸 영화제1961년앙리 콜피의 《오랜 부재》와 공동 수상[5]
그랑프리벨기에 영화 비평가 협회1962년[7]
역대 37위 (감독 선정)영국 영화 협회 《사이트 앤 사운드》2012년[8]
역대 110위 (비평가 선정)영국 영화 협회 《사이트 앤 사운드》2012년[8]
역대 52위 (감독 선정)영국 영화 협회 《사이트 앤 사운드》2022년[9]


참조

[1] 웹사이트 Meaning and Madness: Close-Up on Luis Buñuel's "Viridiana" and "The Exterminating Angel" https://mubi.com/en/[...] 2024-12-08
[2] 웹사이트 Viridiana https://www.imdb.com[...] IMDb 2011-06-19
[3]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Viridiana http://www.festival-[...] 2009-02-22
[4] 서적 My Last Sigh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3
[5] 뉴스 Interview with Pere Portabella https://www.eldiario[...] 2022-04-08
[6] 웹사이트 "Viridiana": The Human Comedy http://www.criterion[...] 2010-03-15
[7] 뉴스 Movie Review: Viridiana (1961) http://movies.nytime[...] 1962-05-20
[8] 웹사이트 Viridiana | BFI http://explore.bfi.o[...] Explore.bfi.org.uk 2014-03-07
[9] 웹사이트 Directors' 100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ww.bfi.org.[...] 2024-08-03
[10] 웹사이트 ビリディアナ https://www.allcinem[...] allcinema 2024-04-05
[11] 웹사이트 ビリディアナ http://www.kinenote.[...] KINENOTE 2024-04-05
[12] 간행물 비리디아나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