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치는 잉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최대 50cm까지 성장하며 푸른빛 은색 몸에 붉은 지느러미를 가진다. 유럽과 시베리아 동부에 걸쳐 분포하며, 얕은 물의 담수 생태계에 적응력이 뛰어나다. 수생식물, 저서 무척추동물 등을 먹고 15년 이상 살 수 있으며, 3월에서 6월 사이에 번식한다. 유럽에서는 낚시 대상 어종으로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어아과 - 연준모치
연준모치는 잉어과에 속하는 몸길이 약 7cm의 민물고기로, 북부 유라시아에 넓게 분포하며 떼를 지어 생활하고, 뇌 심부의 광수용체로 조절되는 피부색 변화를 보이는 등 다양한 행동 양식을 나타낸다. - 황어아과 - 버들치
버들치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10cm 정도 크기의 잡식성 물고기로, 맑은 물에 서식하며 식용 또는 관상어로 사용된다. - 유럽의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유럽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1758년 기재된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로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분류 | |
| 학명 | Rutilus rutilus |
| 명명자 | (Linnaeus, 1758) |
| 이명 | "Cyprinus rutilus" (Linnaeus, 1758) "Leuciscus rutilus" ((Linnaeus, 1758)) "Cyprinus rubellio" (Leske, 1774) "Cyprinus simus" (Hermann, 1804) "Cyprinus lacustris" (Pallas, 1814) "Cyprinus jaculus" (Jurine, 1825) "Leuciscus decipiens" (Agassiz, 1835) "Leuciscus prasinus" (Agassiz, 1835) "Cyprinus xanthopterus" (Vallot, 1837) "Cyprinus fulvus" (Vallot, 1837) "Gardonus pigulus" (Bonaparte, 1841) "Leucos cenisophius" (Bonaparte, 1841) "Leuciscus rutiloides" (Selys-Longchamps, 1842) "Leuciscus selysii" (Selys-Longchamps, 1842) "Leuciscus lividus" (Heckel, 1843) "Leuciscus pausingeri" (Heckel, 1843) "Leucos pigulus" (Bonaparte, 1845) "Leucos cenisophius" (Bonaparte, 1845) "Cyprinus pigus" (Gronow, 1854) "Leuciscus jurinii" (Dybowski, 1862) "Gardonus ruboculus" (Walecki, 1863) "Leuciscus pallens" (Blanchard, 1866) |
| 일반 정보 | |
| 멸종 위기 등급 | 최소관심종 |
| IUCN | 10.2305/IUCN.UK.2008.RLTS.T19787A9014741.en |
| 생태 정보 | |
| 서식지 | 담수 |
2. 형태

로치는 작은 물고기로, 보통 35cm를 넘지 않으며 최대 50cm까지 자란다. 몸은 푸른빛이 도는 은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지느러미는 붉은색이다. 측선 비늘 수는 39~48개이다.[3]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는 12~14개의 줄기(조기, 鰭條)가 있다. 어린 개체는 몸이 가늘고 길지만, 성장하면서 체고가 높아지고 몸이 넓어진다. 눈동자 위와 옆의 홍채에 큰 붉은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나,[5] 서식 환경에 따라 눈과 지느러미의 색이 옅을 수도 있다.[3]
중앙 및 북유럽에서는 일반적인 로치를 붕어, 연준모치, 황어와 혼동하기 쉽다. 다음은 이들을 구별하는 특징이다.
- 붕어는 더 노란색/녹색 또는 금색을 띤다. 등지느러미는 더 뒤쪽에 위치하며 배 비늘의 끝과 뒷지느러미의 첫 번째 조기 사이에는 비늘이 한두 개뿐이다. 로치는 거기에 네다섯 개의 비늘이 있다. 붕어의 입은 더 위로 향하고 머리가 더 날카롭게 보인다.
- 연준모치는 녹색 몸, 무색 눈과 지느러미, 뚜렷한 '코'를 가지고 있다.
- 황어는 측선에 더 많은 비늘(55~61개), 더 둥근 몸, 더 큰 입과 머리를 가지고 있다.
3. 분포
지중해 주변을 제외한 유럽 전역과 시베리아 동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동유럽과 아시아에는 여러 아종이 있으며, 카스피해와 흑해 주변에는 해양 생활 주기를 가진 아종도 있다.[4] 1860년대와 1880년대에 스포츠 목적으로 유럽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머레이 강, 뉴사우스웨일스주 남부, 빅토리아주 해안 유역으로 도입되었다.[3]
4. 생태
로치는 작은 연못에서부터 큰 강과 호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담수 생태계에서 발견되는 적응력이 뛰어난 물고기이다. 수심에 관계없이 먹이를 찾지만, 얕은 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기 화합물에 대한 내성이 강해 오염된 물에서도 잘 살아남으며, 영양분이 부족한 물에서도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잉어과 어종이다. 또한 기수에도 내성이 있다. 로치는 4°C에서 31°C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생존할 수 있다.[5]
떼를 지어 다니며, 해양 아종을 제외하고는 이동성이 크지 않다.[5] 추운 계절에는 깊은 물로 이동하고, 따뜻한 날씨에는 수면 근처에서 먹이를 찾는다.[5]
수생식물, 바닥에 사는 무척추동물, 벌레 및 구더기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어린 물고기는 주로 플랑크톤을 섭취하지만, 성장하면서 더 넓은 범위의 먹이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여 성장 속도를 늦추고, 날씬한 체형을 유지하며, 조기에 성숙하는 능력을 보인다.[3]
15년 이상 살 수 있으며,[5] 흡충의 ''Rhipidocotyle campanula'', 점액포자충의 ''Myxobolus muelleri'', 선충의 ''Raphidascaris acus'' 등 다양한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다.[6]
4. 1. 번식
산란기는 보통 3월에서 6월 사이이며, 봄과 여름 동안 수온 상승에 의해 산란이 유발되므로 약간의 변동이 있다. 로치는 매년 같은 장소에서 산란하는 습성이 있다. 큰 수컷은 렉이라는 세력권을 형성하고, 암컷이 이곳으로 들어와 산란한다.[7] 수컷은 암컷을 따라다니며 알을 수정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격렬하게 물 밖으로 뛰어오르기도 한다. 암컷은 최대 10만 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물의 pH가 5.5 미만이면 번식에 실패할 수 있다.[3][9]5. 인간과의 관계
낚시 미끼로는 붉은 벌레, 지렁이, 구더기나 구더기의 번데기, 빵, 삶은 스위트콘, 삼, 살갈퀴, 자운영 등이 사용된다. 로치는 물의 흐름이 느린 곳에 서식하므로, 찌를 이용한 낚시 방법이 일반적이다. 다양한 담수역에 서식하는 물고기이므로, 연령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낚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Rutilus rutilus''"
[2]
웹사이트
Synonyms of ''Rutilus rutilus'' (Linnaeus, 1758)
http://www.fishbase.[...]
Fishbase
2017-12-02
[3]
FishBase species
[4]
웹사이트
"''Rutilus rutilus caspicus''"
http://www.caspianen[...]
2006-05-14
[5]
웹사이트
Scottish Government: Marine environment: Roach
https://www2.gov.sco[...]
2020-02-09
[6]
논문
Parasitism, condition and number of front head breeding tubercles in roach (''Rutilus rutilus'' L.)
2004-05-07
[7]
논문
Breeding Tubercles, Papillomatosis and Dominance Behaviour of Male Roach (''Rutilus rutilus'') During the Spawning Period
2004-08
[8]
간행물
"''Rutilus rutilus''"
[9]
FishBase species
[10]
웹사이트
Rutilus rutilus caspicus
http://www.caspianen[...]
2024-03-31
[11]
웹사이트
Scottish Government: Marine environment: Roach
https://www2.gov.sco[...]
2024-03-31
[12]
논문
Parasitism, condition and number of front head breeding tubercles in roach (''Rutilus rutilus'' L.)
2004-05-07
[13]
논문
Breeding Tubercles, Papillomatosis and Dominance Behaviour of Male Roach (''Rutilus rutilus'') During the Spawning Period
20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