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뢰치베르크 터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뢰치베르크 터널은 스위스에 위치한 철도 터널로, 1907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여러 차례의 사고로 인해 지연되었다. 1913년 6월 3일에 공사가 마무리되었고, 같은 해 7월 15일부터 정기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 터널은 단일 홀 복선 구조이며, BLS AG에서 칸더슈테크와 고펜슈타인 사이를 20분 간 자동차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7년에는 기존 터널보다 아래에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이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른주의 건축물 - 인터라켄 수도원
    1133년에 설립된 인터라켄 수도원은 로잔 교구에 속했으나 1528년 스위스 종교 개혁으로 폐쇄 및 세속화되어 관공서나 병원으로 사용되거나 철거되었다.
  • 베른주의 건축물 - 베른 공항
    베른 공항은 1929년 알파르에 의해 설립된 스위스 공항으로, 국내선 운항을 중심으로 운영되다 여러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헬베틱 항공, 체어 항공 등이 계절별 및 전세 항공편을 운항하고, 오스카 비더가 건설한 비더행거와 스위스 연방 민간 항공청 본부, 레가의 기지가 위치해 있다.
  • 발레주의 교통 - 융프라우 철도
    융프라우 철도는 스위스 융프라우 지역의 산악 철도로, 클라이네 샤이덱역에서 융프라우요흐역까지 운행하며, 유럽에서 가장 높은 기차역인 융프라우요흐역을 포함하고 관광 산업에 기여한다.
  • 발레주의 교통 - 푸르카 오버알프 철도
    푸르카 오버알프 철도는 스위스 중부 지역 교통 개선과 경제 발전을 목표로 건설된 협궤 철도로, 고트하르트 철도 노선과 연결되어 주요 노선을 운영하며 유산 철도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베른주-발레주 경계 - 뢰치베르크
    뢰치베르크는 스위스 알프스의 뢰첸 고개와 뢰치베르크 철도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뢰첸 고개는 빙하 고개로 이용되었으며 뢰치베르크 철도는 뢰치베르크 터널과 베른 알프스를 관통하는 최초의 고속 철도인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로 구성된다.
  • 베른주-발레주 경계 - 아가시호른
뢰치베르크 터널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위치베른주 칸더슈테크 - 발레주 고펜슈타인, 베른 알프스의 로첸 고개를 우회
일반 정보
공식 명칭(독일어)
노선뢰치베르크선
운영BLS, 스위스 연방 철도
소유BLS NETZ AG
교통철도 (여객, 화물, 차량 운송)
상태운영 중
기술 정보
구조단일 홀 복선 철도
궤간(표준궤)
전철화15 kV 16.7 Hz
최소 표고(칸더슈테크)
경사3–7 ‰
역사
착공1907년 3월 7일
개통1913년 7월 15일
이미지
북쪽 출구에서 본 뢰치베르크 터널
뢰치베르크 터널 북쪽 출구
뢰치베르크 터널 고도 프로필
뢰치베르크 터널 고도 프로필

2. 역사

뢰치베르크 터널 건설은 1907년에 시작되었다. 공사 과정에서 1908년 눈사태와 터널 범람과 같은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여 공사가 지연되기도 했다. 어려움 속에서도 1911년 터널이 관통되었고, 1913년 6월 3일에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같은 해 7월 15일부터 터널을 통한 정기 운행이 시작되었다.

2. 1. 건설 과정 (1907년 - 1913년)

뢰치베르크 터널 건설은 1907년에 시작되었으나, 몇 차례의 심각한 사고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었다. 터널은 1913년에 최종 완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뢰치베르크 터널 건설 주요 연표'''
연도날짜내용
1907년-터널 건설 시작
1908년2월눈사태 발생으로 노동자들이 머물던 호텔이 파괴되어 13명이 사망했다.
1908년7월터널 굴착 중 가스테른탈 계곡 아래의 깊은 균열 지점을 통과하면서 균열 속 물과 빙하 퇴적물이 터널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25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이 사고로 터널의 1554m 구간을 포기하고 봉쇄해야 했으며, 해당 구간은 곡선으로 우회하는 경로로 대체되었다.
1911년3월터널 관통 성공
1913년6월 3일터널 공사 마무리
1913년7월 15일터널 개통 및 정기 운행 시작



터널은 단일 홀에 복선 선로로 건설되었다.

칸더슈테크 남쪽의 북쪽 포털(해발 )


고펜슈타인 방면의 남쪽 포털(해발 )


뢰치베르크 터널을 이용한 차량 운송 (칸더슈테크)

2. 1. 1. 1908년 눈사태

1908년 2월, 눈사태가 발생하여 터널 건설 노동자들이 머물던 호텔을 덮쳤다. 이 사고로 인해 13명이 사망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2. 1. 2. 1908년 터널 범람

1908년 7월, 터널 공사 중 가스테른탈 계곡 아래에 있던 깊은 균열 지점을 건드리면서 사고가 발생했다. 이 균열에서 터널 내부로 다량의 물과 빙하 퇴적물이 쏟아져 들어와 터널이 범람했고, 이로 인해 건설 노동자 25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로 인해 기존에 건설 중이던 터널 구간 1554m는 폐쇄 후 봉인되었고, 해당 구간을 피하기 위해 곡선 형태의 우회 경로로 터널 설계를 변경해야 했다.

2. 1. 3. 기타 사고

뢰치베르크 터널 건설 과정에서는 몇 차례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여 공사가 지연되었다.

  • 1908년 2월: 눈사태가 노동자들이 머물던 호텔을 덮쳐 13명이 사망했다.
  • 1908년 7월: 터널 굴착 중 가스테른탈 계곡 아래의 깊은 균열 지점을 통과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균열 속의 물과 빙하 퇴적물이 터널 안으로 쏟아져 들어와 25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이 사고로 터널의 1554m 구간을 포기하고 봉쇄해야 했으며, 해당 구간은 곡선으로 우회하는 경로로 대체되었다.

2. 2. 개통 및 운영 (1913년 - 현재)

1913년 6월 3일에 공사가 마무리되었고, 같은 해 7월 15일부터 정기 운행이 시작되었다. 터널은 단일 홀에 복선 트랙으로 건설되었다.

BLS AG칸더슈테크역고펜슈타인역 사이 터널 구간에서 자동차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행 시간은 약 20분이며, 승객은 개방형 자동차 운송 차량에 실린 자신의 차 안에 머무른다. 이용객이 많은 시간대에는 양방향으로 7분 30초 간격으로 운행된다.

2007년 6월 15일에는 NRLA(New Railway Link through the Alp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존 뢰치베르크 터널보다 약 400m 아래에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이 새로 개통되었다.

3. 운행

BLS AG칸더슈테크역고펜슈타인역 사이의 터널을 통해 자동차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 시간은 약 20분이며, 승객은 개방형 자동차 운송 차량에 자신의 차를 실은 채로 탑승하여 이동한다. 출퇴근 시간 등 이용량이 많은 피크타임에는 양방향으로 7분 30초 간격으로 운행된다.

4.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과의 관계

2007년 6월 15일에 새로 개통한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은 알프스를 통과하는 새로운 철도 연결(NRLA, New Railway Link through the Alp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이 터널은 기존 뢰치베르크 터널보다 약 400m 아래에 위치한다.

참조

[1] 서적 'Röll, V. Freiherr von': Enzyklopädie des Eisenbahnwesens, Band 2 www.zeno.org/Roell-1[...] Berlin, Wien 1912
[2] 서적 Eisenbahnatlas Schweiz Verlag Schweers + Wall GmbH
[3] 서적 Eisenbahnatlas Schweiz Verlag Schweers + Wall Gmb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