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초기 키릴 문자의 변형으로, 루마니아어의 표기에 사용되었다. 이 문자는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도 사용되었으며, 루마니아어 라틴 문자,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의 대응 관계를 표로 보여준다. 1830년대부터 라틴 문자가 공식적으로 채택되기 전까지는 다양한 키릴 및 라틴 문자 혼용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부 로망스어군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동부 로망스어군 - 몰도바어
    몰도바어는 몰도바 공화국의 공용어이며, 루마니아어와 매우 유사하여 논쟁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고, 현재는 몰도바 공화국에서 라틴 문자를,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Ѓ
    Ѓ은 마케도니아어와 세르비아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로, 마케도니아어에서는 여섯 번째 글자이며 /ɟ/ 또는 /dʑ/ 발음을 나타내고, Ģ, Г, Ђ, Ќ, Ď와 모양이 유사하며 다양한 코드 페이지와 유니코드에서 고유한 값을 가진다.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개요
루마니아 키릴 문자 알파벳 차트
루마니아 키릴 문자 알파벳 차트
유형알파벳
사용 기간14세기–19세기
사용 언어루마니아어
조상 문자 1페니키아 문자
조상 문자 2그리스 문자
조상 문자 3글라골 문자
조상 문자 4키릴 문자
자매 문자초기 키릴 문자
추가 정보
최초 사용 시기1521년 네악슈의 편지

2.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 전례에 사용되었다.[4]

문자루마니아어 알파벳몰도바어 알파벳
Аaа
Бbб
Вvв
Гgг
Дdд
Еeе
Жjж
Зzз
Іiи
Иiи
Йiь
Кkк
Лlл
Мmм
Нnн
Оoо
Пpп
Рrр
Сsс
Тtт
Уuу
Фfф
Хhх
Ѡoо
Цțц
Чcч
Шșш
Щștшт
Ъăэ
Ы
Ь--
Ѣeaя
Юiuю
IAiaя
Ѧiaя
Ѫâ, îы
Ѯ(ks)(кс)
Ѱ(ps)(пс)
Ѳ
Ѵ
înын
Џgӂ
Ѕѕ



"'''Ꙟ'''"(은는) 전치사/접두사 în|은ro를 기록하기 위한 연자 기호이다.[4]

2. 1. 문자 대응표

값루마니아어
라틴 문자
대응 문자변환
문자몰도바어
키릴 문자
대응 문자음소루마니아어
이름[4]슬라브어
대응
이름А а1aA aаazroазъ|azŭcuБ bБбbucheroбꙋкꙑ|bukycuВ в2vВ ввvederoвѣдѣ|vĕdĕcuГ г3gh (e, i 앞)
g (그 외)G gгglagolroглаголи|glagolicuД д4dD dдdobruroдобро|dobrocuЄ є, Е е5eE eеestroєстъ|estŭcuЖ жjЖ жжjuveteroживѣтє|živětecuЅ ѕ6dzḐ ḑдзzaluroꙃѣло|dzělocuЗ з7zZ zзzemleroзємл҄ꙗ|zemljacuИ и8iI iиijeroижє|ižecuЙ йiĬ ĭйІ і10iI iиiroи|icuК к20ch (e, i 앞)
c (그 외)К к
or
K kкkakuroкако|kakocuЛ л30lЛ ллliuderoлюдиѥ|ljudijecuМ м40mM mмmisleteroмꙑслитє|myslitecuН н50nN nнnașroнашь|našĭcuѺ ѻ, О о70oO oоonroонъ|onŭcuП п80pП ппpocoiroпокои|pokoicuР р100rР ррrâțăroрьци|rĭcicuС с200sS sсslovăroслово|slovocuТ т300tT tтtferduroтврьдо|tvrĭdocuОУ оу[5], Оу Ȣ, У Ȣ400uꙊ ꙋ (Ȣ, ȣ, ɣ)уupsilonro
ucuroꙋкъ|ukŭcuФ ф500fF fфfârtaroфрьтъ|frĭtŭcuХ х600hХ ххheruroхѣръ|xěrŭcuѠ ѡ800oO oоomegaroотъ|otŭcuЩ щștЩ щштștearoща|štacuЦ ц900țЦ ццțiroциcuЧ ч90c (e, i 앞)
ci (그 외)Ч ччcervuroчрьвь|črĭvĭcuШ шșШ шшșaroша|šacuЪ ъă, ŭЪ ъэierroѥръ|jerŭcuЫ ы, Ꙑ ꙑâ, îÎ îыierîroѥрꙑ|jerycuЬ ьă, ŭ, ĭꙊ̆ ꙋ̆ь—ieriroѥрь|jerĭcuѢ ѣeaEa eaяeati(u)roѣть|ětĭcuЮ юiuĬꙋ ĭꙋюioro / iuroю|jucuꙖ ꙗiaĬa ĭaяiaroꙗ|jacuѤ ѥieĬe ĭeиеѥ|jecuѦ ѧĭa, eaĬa ĭa, Ea eaяiaroѧсъ|ęsŭcuѪ ѫîÎ îыiusroѫсъ|ǫsŭcuѮ ѯ60xKs ksксcsiroѯи|ksicuѰ ѱ700psПs пsпсpsiroѱи|psicuѲ ѳ9th, ftT t, Ft ftт, фтand approx. orthitaroфита|fitacuѴ ѵ400i, uI i; Ꙋ ꙋи, уijițaroижица|ižicacuꙞ ꙟ, ↑ în îmÎn în Îm îmын, ым,înroЏ џg (e, i 앞)
gi (그 외)Џ џӂgearo


2. 2. 과도기적 문자

1830년대부터 라틴 문자의 공식 채택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루마니아어 표기에는 규정이 없었으며,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혼용하는 다양한 알파벳이 사용되었다. 심지어 한 권의 책에서 두 개 이상의 알파벳이 사용되기도 했다.[6][7][8][9][10][11][12] 다음 표는 인쇄에 사용된 여러 알파벳 중 일부를 보여준다.

1830년 이전183318381846 (1)1846 (2)184818581860
А аА аА аА аА аА аA aA a
ББББББB bБ
В вВ вВ вВ вВ вВ вV vВ в
Г гГ гГ гГ гГ гГ гG gГ г
Д дД дД дD dД дD dD dD d
Є є, Е eЄ єЄ єE eE ɛE eE eE e
Ж жЖ жЖ жЖ жЖ жЖ жJ jЖ ж
Ѕ ѕЅ ѕДз дзḐ ḑДз дзDz dzDz dzDz dz
З зЗ зЗ зZ zЗ зZ zZ zZ z
И иИ иI iI iІ іI iI iI i
І іЇ їI iI iІ іI iI iI i
К кК кК кK kК кК кK kK k
Л лЛ лЛ лЛ лЛ лЛ лL lL l
М мМ мМ мM mМ мM mM mM m
Н нН нН нN nN ɴN nN nN n
Ѻ ѻ, О oО оО оO oО оО оО оO о
П пП пП пП пП пП пП пП п
Р рР рР рР рР рР рR rР р
С сС сС сS sС сС сS sS s
Т тТ тТ тT tТ тТ тT tT t
Оу оуУ у (초성)
Ꙋ ꙋ (중성 및 종성)
Ꙋ ꙋꙊ ꙋꙊ ꙋꙊ ꙋꙊ ꙋꙊ ꙋ
Ꙋ, ȣ
Ф фФ фФ фФ фФ фФ фF fФ ф
Х хХ хХ хХ хХ хХ хХ х
Ѡ ѡѠ ѡО оO oО оO oО оО о
Щ щЩ щЩ щЩ щШт штЩ щШt шtШt шt
Ц цЦ цЦ цЦ цЦ цЦ цЦ цЦ ц
Ч чЧ чЧ чЧ чЧ чЧ чЧ чЧ ч
Ш шШ шШ шШ шШ шШ шШ шШ ш
Ъ ъЪ ъЪ ъЪ ъЪ ъЪ ъЪ ъЪ ъ
Ы ыꙞ ꙟ (초성)
Ѫ ѫ (중성 및 종성)
Ꙟ ꙟ (초성)
Ѫ ѫ (중성 및 종성)
Ꙟ ꙟꙞ ꙟ / Î î (과도기적 형태)Ꙟ ꙟ (초성)
Ѫ ѫ (중성 및 종성)
Î îÎ î
Ѣ ѣѢ ѣѢ ѣEa eaEа εа (합자, 소문자만 해당)Ea eaEa eaEa ea
Ю юЮ юIꙊ iꙋ (합자)IꙊ Iꙋ iꙋ (합자)IꙊ Iꙋ іꙋ (합자, 소문자만 해당)Iꙋ iꙋIꙊ iꙋ (합자)Ĭꙋ ĭꙋ
Ꙗ ꙗꙖ ꙗ (초성)
Ѧ ѧ (중성 및 종성)
Ꙗ ꙗꙖ Iа (합자) ꙗIА Iа ꙗIa iaĬa ĭaĬa ĭa
Ѥ ѥЙє йєĬe ĭeĬe ĭeĬε ĭεIe ieĬe ĭeĬe ĭe
Ѧ ѧꙖ ꙗ (초성)
Ѧ ѧ (중성 및 종성)
Ꙗ ꙗꙖ Iа (합자) ꙗIА Iа ꙗIa iaĬa ĭaĬa ĭa
Ѫ ѫꙞ ꙟ (초성)
Ѫ ѫ (중성 및 종성)
Ꙟ ꙟ (초성)
Ѫ ѫ (중성 및 종성)
Ꙟ ꙟꙞ ꙟ / Î î (과도기적 형태)Ꙟ ꙟ (초성)
Ѫ ѫ (중성 및 종성)
Î îÎ î
Ѯ ѯКс ксКс ксKs ksКс ксКс ксKs ksKs ks
Ѱ ѱПс псПс псПs пsПс псПс псПs пsПs пs
Ѳ ѳТ тТ тT tѲ ѳТ тT tT t
Ѵ ѵИ, ꙊI, ꙊI, ꙊІ, ꙊІ, ꙊI, ꙊI, Ꙋ
Ꙟ ꙟꙞн ꙟн Ꙟм ꙟмꙞн ꙟн Ꙟм ꙟмꙞн ꙟн Ꙟм ꙟмꙞɴ ꙟɴ Ꙟм ꙟмꙞn ꙟn Ꙟm ꙟmÎn în Îm îmÎn în Îm îm
Џ џЏ џЏ џЏ џЏ џЏ џЏ џЏ џ


3.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예시

1850년 쓰여진 루마니아어판 주기도문이다.[13]

키릴 문자로마자


참조

[1] 서적 Publicațiile periodice românești (ziare, gazete, reviste). Vol. III: Catalog alfabetic 1919–1924 Editura Academiei 1987
[2] 서적 Publicațiile periodice românești (ziare, gazete, reviste). Vol. II: Catalog alfabetic 1907–1918. Supliment 1790–1906 Editura Academiei 1969
[3] 서적 Societatea din Principatele Unite Române în perioada constituirii statului național (1856-1866) Editura Academiei Române 2004
[4] 간행물 Cum am învățat românește Curier de Ambe Sexe
[5] 문서 Călătorii pe Dunăre și în Bulgaria-p.p.16-17.jpg
[6] 서적 Грамматикъ практїкъ романо-францозѧскъ [''modernised:'' Grammatică practică romano-franțozească compusă dupre autorii clasici cei mai noi ... - George Vida] https://books.google[...] 2012-10-22
[7] 서적 Filosofice și politice prin falule învățaturĭ morale - Dimitrie Țichindeal, Dositej Obradović https://books.google[...] 2012-10-22
[8] 서적 Magazinu istoriku pentru Dacia - Treboniu A. Laurian, Nicolae Bălcescu https://books.google[...] 2012-10-22
[9] 서적 Noul Testament al Domnuluī shī Mîntuītoruluī nostru Īīsus Khrīstos https://books.google[...] 2012-10-22
[10] 서적 Biografia lui Viliam G. Shecspri dupe Le Fourneur: Urmată de Romeo cu ... - William Shakespeare https://books.google[...] 2012-10-22
[11] 서적 Istoria Moldo-Romănieĭ: arătîndŭ neamurile de ċare s'aŭ loċuitŭ aceste ... - George Ioanid https://books.google[...] 2012-10-22
[12] 서적 Cîntece naționale: Tipărite cu fondul d-lor librarĭ Pusu i Petriu. A treia ... - O. Dumitrescu https://books.google[...] 2012-10-22
[13] 문서 Romanian-kirilitza-tatal-nostru.jp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