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셈부르크의 국가는 미셸 렌츠가 작사하고 장 앙투안 지넨이 작곡한 "Ons Heemecht"이다. 1859년에 시로 쓰여졌으며, 1864년에 곡이 붙여져 처음 공개되었다. 이 곡은 룩셈부르크의 자연과 조국에 대한 사랑, 평화로운 분위기, 자유를 향한 염원을 담고 있으며, 1993년에 룩셈부르크의 국가로 공식 채택되었다. 가사는 룩셈부르크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등으로 번역되어 다양한 언어로 감상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4년 노래 - 노르웨이의 국가
노르웨이는 공식 국가는 없지만 "예,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하네"가 가장 널리 쓰이며, 과거에는 "노르웨이의 아들들"이, 최근에는 "나의 작은 나라"가 국가로 여겨지기도 한다. - 룩셈부르크의 상징 - 룩셈부르크어
룩셈부르크어는 고지 독일어의 서중부 독일어군에 속하며 룩셈부르크의 국어이자 행정 언어 중 하나이고, 독일어의 방언에서 독자적인 언어로 인정받았으나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멸종 위기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로마자를 사용하고 프랑스어 어휘를 차용하는 특징을 가진 약 285,00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룩셈부르크의 상징 - 윌리브로드
윌리브로드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반에 활동하며 프리슬란트 지역에서 기독교를 전파하고 위트레흐트의 초대 주교가 된 잉글랜드 출신의 선교사이자 성인으로, 위트레흐트 대성당 건립과 에히터나흐 수도원 창설 등 선교 활동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가톨릭교회에서 11월 7일에 기념하고 헌팅턴병과 경련성 질환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룩셈부르크의 국가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Ons Heemecht (Ons Hémecht) |
로마자 표기 | Ons Heemecht |
의미 | 우리 조국 |
언어 | 룩셈부르크어 |
관련 국가 | 룩셈부르크 |
내용 | |
작사 | 미셸 렌츠 |
작곡 | 장 앙투안 지넨 |
발표 | 1859년 (가사), 1864년 (곡) |
채택 | 1895년 (사실상), 1993년 (법률상) |
음악 |
2. 역사
미셸 렌츠는 1859년에 시 ''Ons Heemecht''(우리 룩셈부르크)를 썼고, 룩셈부르크 작곡가 장 앙투안 지넨이 1864년에 이 시에 곡을 붙였다. 이 노래는 1864년 6월 5일, 알제트 강과 자우어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도시인 에텔브뤼크에서 처음으로 대중 앞에서 공연되었다. (두 강 모두 노래 가사에 언급되어 있다.)[1][2]
'''우리 룩셈부르크'''(Ons Heemecht|우리의 조국lb)는 룩셈부르크의 국가이다. 미셸 렌츠가 작사했고, 장 바티스트 리고가 작곡했다. 1859년에 처음 공연되었고, 1895년에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4]
"Ons Heemecht"는 국가의 지위를 놓고 렌츠의 또 다른 시를 바탕으로 한 노래 De Feierwon|lblt과 한동안 경쟁했다. "De Feierwon"의 후렴구 마지막 줄은 룩셈부르크 국가 모토의 기원이 되었다.[2]
"Ons Heemecht"의 첫 번째와 마지막 연은 1993년 6월 17일 룩셈부르크의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국기, 국가 문장 및 대공 공식 생일과 함께 공식 국가 상징 중 하나로 추가되었다.[3]
3. 가사
룩셈부르크어 가사 독일어 가사 프랑스어 가사 한국어 해석
공식 버전은 첫 번째와 마지막 연으로만 구성되어 있다.[4]
3. 1. 1절
Wou d'Uelzecht durech d'Wisen zéit,lb
Duerch d'Fielsen d'Sauer brécht,lb
Wou d'Rief laanscht d'Musel dofteg bléit,lb
Den Himmel Wäin ons mécht:lb
Dat as onst Land, fir dat mir géiflb
Hei nidden alles won,lb
𝄆 Ons Heemechtsland dat mir sou déiflb
An onsen Hierzer dron.lb 𝄇[1]
1절은 알제트강이 풀밭 사이로 흐르고, 자우어강이 바위 사이로 부서지는 모습을 묘사한다.[11][12] 또한 모젤강가에 포도나무가 향기롭게 피어나 하늘이 와인을 만들어 주는 풍경을 그린다.[11][12] 이는 룩셈부르크의 아름다운 자연을 나타내며, 이러한 자연 속에서 룩셈부르크 국민이 모든 것을 바칠 땅, 마음속 깊이 간직한 고향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다.[1][11][12]
3. 2. 2절
An sengem donkle Bëscherkranz,
Vum Fridde stëll bewaacht,
Sou ouni Pronk an deire Glanz
Gemittlech léif et laacht;
Säi Vollek frou sech soë kann,
An 't si keng eidel Dreem:
Wéi wunnt et sech sou heemlech dran,
Wéi as 't sou gutt doheem!lb
룩셈부르크의 어두운 숲 속에서 평화롭게 보호받으며, 화려함 없이도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미소를 짓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국민들은 행복하게 말하며, 헛된 꿈이 아닌 현실 속에서 아늑하고 편안한 삶을 살고 있음을 노래한다.[1]
3. 3. 3절
Gesank, Gesank vu Bierg an Dalllb
Der Äärd, déi äis gedron;lb[9]
D'Léift huet en treie Widderhalllb
A jidder Broschtlb[9][10] gedon;lb
Fir, d'Hemechtlb[10] ass keng Weis ze schéin;lb
All Wuert, dat vun er klénkt,lb
Gräift äislb[9] an d' Séil wéi Himmelstéinlb
An d'A wéi Feier blénkt.lb
산과 계곡에서 울려 퍼지는 노래, 우리를 낳아준 대지에 대한 노래,[9] 사랑은 모든 가슴 속에 진실한 메아리를 만들어 낸다.[9][10] 조국을 위한 이보다 아름다운 노래는 없으니,[10] 조국에서 울려 퍼지는 모든 말은 천상의 소리처럼 우리 영혼을 감동시키고, 눈은 불꽃처럼 빛나게 한다.
3. 4. 4절
O Du do uewen, deen seng Handlb
Duerch d'Welt d'Natioune leetlb
Behitt Du d'Lëtzebuerger Landlb
Vru friemem Joch a Leed;lb
Du hues ons all als Kanner schonlb
De fräie Geescht jo ginnlb
Looss viru blénken d'Fräiheetssonnlb
Déi mir sou laang gesinn!lb[4]
4절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룩셈부르크를 외세의 억압으로부터 지켜달라고 기원한다.[1][11][12] 자유의 정신을 강조하며, 자유의 태양이 영원히 빛나기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11][12]
참조
[1]
웹사이트
Knowledge Bites: Ons Heemecht and De Wilhelmus – Luxembourg's Anthems
https://today.rtl.lu[...]
2022-02-02
[2]
웹사이트
Record attempt planned to celebrate Luxembourg national anthem's 150 anniversary
https://www.luxtimes[...]
2017-12-11
[3]
웹사이트
The National Day: Celebrations of the Grand Duke's birthday {{!}} Cour grand-ducale
https://monarchie.lu[...]
2022-02-02
[4]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http://luxembourg.pu[...]
2022-02-02
[5]
서적
Lëtzebuergesch fir 4C a 4G
https://gouvernement[...]
Government of the Grand Duchy of Luxembourg
2022-01-27
[6]
서적
Geschichte der Luxemburger Mundartdichtung: Bd. Von den Anfängen bis zu Michel Rodange
https://books.google[...]
Bourg-Bourger
1964
[7]
서적
Onserer lider a gedichter an onserer Letzeburger - deitscher sproch
https://books.google[...]
Luxemburger gazette
1879
[8]
서적
Nationalhymnen der Welt: Entstehung und Gehalt
https://books.google[...]
Atlantis Musikbuch-Verlag
2006
[9]
웹사이트
Kropemann-Info Nummer 59
https://www.redange.[...]
2006-06
[10]
웹사이트
Ons Heemecht
http://www.alp-letze[...]
2022-02-02
[11]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http://luxembourg.pu[...]
2022-02-03
[12]
서적
Voila Luxembourg
https://books.google[...]
Editions Guy Binsfeld
1993
[13]
웹사이트
Ons Hémécht
https://moscou.mae.l[...]
2022-02-02
[14]
웹사이트
https://luxembourg.p[...]
[15]
웹사이트
Luxembourg
http://nationalanthe[...]
[16]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7]
서적
Voila Luxembourg
https://books.google[...]
Editions Guy Binsfeld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