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젤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젤강은 프랑스, 룩셈부르크, 독일을 흐르는 라인강의 지류이다.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처럼, 보주 산맥에서 발원하여 544km를 흘러 코블렌츠에서 라인강으로 합류한다. 모젤강은 3개의 데파르트망(모젤, 뫼르트-에-모젤)의 이름이 되었으며, 프랑스-독일-룩셈부르크 삼국 접경 지역을 지나며, 특히 독일 모젤 지역은 유럽 유수의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모젤강 유역에는 다양한 도시들이 위치해 있으며, 수운 및 관광, 와인 생산 등 다양한 산업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를란트주의 강 - 자르강
자르강은 여러 지류를 가진 수로로, 일부 구간은 선박 항해가 가능하며, 자르 운하를 통해 다른 운하와 연결된다. - 모젤주의 지형 - 자르강
자르강은 여러 지류를 가진 수로로, 일부 구간은 선박 항해가 가능하며, 자르 운하를 통해 다른 운하와 연결된다. - 보주주의 지형 - 손강 (프랑스)
손강은 프랑스 동부의 강으로 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론강과 합류하며, 주요 지류와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지역 경제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항해 및 운하 연결을 통해 프랑스 내륙 수운망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홍수 예방, 수질 관리, 생태계 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모젤강 | |
---|---|
개요 | |
![]() | |
원어 이름 | 프랑스어: La Moselle 독일어: die Mosel 룩셈부르크어: Musel |
지리 | |
발원지 | 보주산맥 |
하구 | 라인강 |
하구 위치 | 코블렌츠 |
발원지 높이 | 715m |
길이 | 546km |
유역 면적 | 28,111km2 |
평균 방류량 | 284m3/s |
흐르는 국가 | 프랑스 독일 룩셈부르크 |
음성 정보 |
2. 명칭
모젤강(Moselle)이라는 이름은 켈트어 명칭인 ''모셀라''(Mosel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모셀라''(Mosella)를 거쳐 형성되었다. ''모셀라''는 뫼즈강의 라틴어 명칭인 ''모사''(Mosa)의 지소사 형태로, 모젤강은 뫼즈강과 평행하게 흘렀다. 따라서 ''모셀라''는 "작은 뫼즈강"을 의미했다.
라인 마시프 고지대에 깊숙이 자리 잡은 중부 및 하부 모젤강의 특징은 넓은 곡류이다. 특히 브렘과 코헴 사이의 "코헤머 크람펜"이 눈에 띈다. 또한 포도밭 테라스도 전형적인 특징이다.
모젤강은 타키투스가 저술한 《연대기(Annals)》 13권과 《역사(Histories)》 4권에 처음 기록되었다.[15]
로마 시인 아우소니우스는 4세기 초부터 이를 문학적 주제로 삼았다. 371년에 쓰여진 그의 시 《모젤라(Mosella)》는 483개의 헥사미터로 구성되었으며, 후기 고대의 시인이자 트리어 황실 궁정(Kaiserhof)의 교사였던 그는 빙겐에서 훈스뤼크 언덕을 넘어 모젤강까지, 그리고 그 강을 따라 그가 이름을 딴 길, 비아 아우소니아(Via Ausonia)를 따라 트리어로 가는 여정을 묘사했다. 아우소니우스는 로마 통치자들의 정책 덕분에 강과 모젤 계곡을 따라 번성하고 풍요로운 풍경을 묘사했다.
이 강은 이후 프랑스 공화국의 두 데파르트망인 모젤과 뫼르트-에-모젤의 이름이 되었다.
3. 지리
보주 산맥(현재 모젤강의 수원 지역)은 약 5천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미오세와 플라이오세 시대에 고대 모젤강(Urmosel)은 이미 고대 라인 강(Ur-Rhein)의 지류였다. 제4기에 라인 마시프가 서서히 융기하면서 모젤강은 트리어 계곡과 노이비트 분지 사이에 구불구불한 모습을 형성했다.
뫼르트강은 모젤강의 이전 상류였으나, 모젤강이 쟁탈을 통해 뫼즈의 이전 상류를 점령하면서 변경되었다. 그러나 뫼즈강은 합류 지점에서 뫼르트강보다 물을 조금 더 많이 공급했을 뿐이다.[4]
3. 1. 발원 및 유역
모젤강은 보주 산맥의 발롱다자스 서쪽 경사면에 있는 뷔상(Col de Bussang) 고개 해발 715m 지점에서 발원한다. 544km를 흐른 후 코블렌츠의 도이체스 에크에서 라인강으로 유입되며 해발 59m 지점에 이른다.[3] 프랑스 내 모젤강의 길이는 313km이며,[3] 39km 구간은 독일과 룩셈부르크의 국경을 이루고, 208km 구간은 독일 영토 내에 있다.
모젤강은 보주 산맥 서쪽의 로렌 지역을 통과한다. 하류에서는 독일에서 모젤 계곡이 아이펠 산지와 훈스뤽 산지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
모젤강의 하구 평균 유량은 328m3/s이며,[4] 아레강 (560m3/s) 다음으로 라인강의 두 번째로 큰 지류이며, 마인강과 네카어강보다 크다.[16]
모젤강은 프랑스–독일–룩셈부르크의 삼국 접경인 솅겐 인근에서 시작하여 트리어 직전에 콘츠 인근에서 자르강과 합류하기 전까지, 독일에서 상부 모젤강으로 알려져 있다. 트리어에서 퓐데리히까지 구간은 중부 모젤강이며, 퓐데리히에서 코블렌츠의 하구까지 구간은 하부 모젤강 또는 테라스 모젤(Terrassenmosel)이라고 불린다.
삼국 접경에서부터 모젤강은 잘란트주와 룩셈부르크 간의 전체 경계를 이룬다.
모젤강의 유역 면적은 28286km2이다. 각 국가/지역별 유역 면적은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 | 면적 (km²) | 비율 (%) |
---|---|---|
프랑스 | 15360km2 | 약 54% |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 6980km2 | |
독일 자르 | 2569km2 | |
룩셈부르크 | 2521km2 | |
벨기에 왈롱 | 767km2 | |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88km2 |
프랑스 북동부의 보주 산맥에서 발원하여 낭시, 메스 등을 북쪽으로 흐른다. 룩셈부르크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독일 국경을 흐른 뒤, 독일의 라인란트팔츠주를 가로질러 코블렌츠에서 라인강과 합류한다.[26] 라인강과의 합류 지점은 도이체스 에크라고 불리며, 코블렌츠의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룩셈부르크에 있는 모젤강 본류와 좌안의 자갈 채취장 터로 이루어진 호소군은 철새와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의 서식지이며, 1998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7]
3. 2. 주요 지류
모젤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4]- 오른쪽 지류: 모젤로트, 볼로뉴, 뫼르트, 세유, 자르, 올레비거 바흐, 아벨스바흐, 루어, 펠러 바흐, 드론, 아링스바흐, 카우텐바흐, 뤼츠바흐, 플라움바흐, 알트라이어 바흐, 바흐, 에어바흐
모젤강의 세 개의 가장 큰 지류는 뫼르트, 자르, 자우어이다. 자르강은 모든 지류 중에서 가장 크고(78.2 m³/s) 가장 길다(246km). 자우어강은 가장 큰 좌안 지류이며 독일-룩셈부르크 국경 양쪽의 지역을 배수한다. 모젤강의 합류 지점에서 모젤강과 비교하여 가장 큰 지류는 모젤로트강으로, 부피 흐름으로 약 40% 더 크다.
순위 | 지류 이름 | 길이 (km) |
---|---|---|
1 | 자르 | 227km |
2 | 자우어 | 173km |
3 | 뫼르트 | 161km |
4 | 킬 | 142km |
5 | 세유 | 138km |
6 | 마동 | 97km |
7 | 오른 | 86km |
8 | 리제르 | 74km |
9 | 잘름 | 63km |
10 | 엘츠바흐 | 59km |
순위 | 지류 이름 | 유량 (m³/s) |
---|---|---|
1 | 자르 | 78.2m3/s |
2 | 자우어 | 53.8m3/s |
3 | 뫼르트 | 41.1m3/s |
4 | 모젤로트 | 13.7m3/s |
5 | 오른 | 12.4m3/s |
6 | 마동 | 11.1m3/s |
7 | 세유 | 10.5m3/s |
8 | 킬 | 10.2m3/s |
9 | 볼로뉴 | 9.7m3/s |
10 | 알프 | 4.5m3/s |
순위 | 지류 이름 | 유역 면적 (km²) |
---|---|---|
1 | 자르 | 7431km2 |
2 | 자우어 | 4259km2 |
3 | 뫼르트 | 3085km2 |
4 | 세유 | 1348km2 |
5 | 오른 | 1268km2 |
6 | 마동 | 1032km2 |
7 | 킬 | 843km2 |
8 | 리제르 | 402km2 |
9 | Rupt de Mad | 385km2 |
10 | 볼로뉴 | 369km2 |
3. 3. 주요 도시
국가 | 도시 |
---|---|
프랑스 | 에피날, 툴, 퐁아무송, 메스, 티옹빌 |
룩셈부르크 | 솅겐, 레미흐, 그레벤마허, 바서빌리히 |
독일 | 콘츠, 트리어, 슈바이크, 베른카스텔-쿠스, 트라벤-트라르바흐, 첼, 코헴, 코블렌츠[26] |
3. 4. 산맥
모젤강은 보주 산맥 서쪽의 로렌 지역을 통과한다. 하류에서는 독일에서 모젤 계곡이 아이펠 산지와 훈스뤽 산지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트리어에서 모젤강 하류는 북서쪽의 아이펠과 남동쪽의 훈스뤼크 두 중앙 고지 산맥을 구분한다.
4. 역사
보주 산맥에서 발원하는 모젤강은 약 5천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미오세와 플라이오세 시대에 고대 모젤강(Urmosel)은 이미 고대 라인 강(Ur-Rhein)의 지류였다. 제4기에 라인 마시프가 융기하면서 모젤강은 트리어 계곡과 노이비트 분지 사이에 구불구불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모젤강은 로마인들에게 ''Flumen Musalla''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포이팅거 지도에 기록됨), 아우소니우스에 의해 서기 371년경 낭만화되었다. 1815년부터 모젤강은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프로이센(1871년 독일 제국) 사이의 경계를 이루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모젤강은 연합군이 베를린으로 진격하는 동안 장벽 역할을 했다. 1944년 9월, 프랑스 주둔 미국 제3군은 디엘루아르에서 모젤강을 건너 독일군을 분할하기 위한 공격을 감행했다. 이 작전에서 제80보병사단은 제4기갑사단의 전투사령부 A(CCA)가 독일군 후방으로 진격하여 낭시 시를 포위할 수 있도록 교두보를 확보하는 임무를 받았다. 1944년 9월 13일, 제80사단은 독일군의 방어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 광범위한 포병 및 항공 지원을 받으며 공격을 시작해 강 동쪽 둑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제4기갑사단의 전투사령부 A는 모젤강을 건너 낭시로 진격하여 도시를 포위하고 독일군 보급선을 차단했다. 낭시를 점령하기 위한 작전은 9월 15일까지 계속되었으며, 제80보병사단과 제4기갑사단의 연합 노력으로 도시가 해방되었다.
ECSC 조약 비준 법률(1952년 4월 10일) 제2조는 프랑스 정부에게 "공동 시장 설립 전에 티옹빌과 코블렌츠 사이의 모젤강 수로화의 신속한 시행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정부와 협상을 시작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강은 메스와 티옹빌 사이에서 수로화되었으며, 1964년 룩셈부르크 대공비 샤를로트 드 룩셈부르크, 독일 연방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 샤를 드 골 프랑스 대통령에 의해 개통되었다.
1985년 솅겐 조약이 체결된 곳은 프랑스-독일-룩셈부르크 삼각점 지점에 있는 모젤강으로, 솅겐 지역 내 국경 통제가 폐지되었다.
과거에는 수량이 안정되지 않아 항행이 어려웠으나, 19세기 말부터 하천 정비가 진행되어 중규모 선박의 항행이 가능해졌다.
4. 1. 고대
모젤강이라는 이름은 켈트어 명칭인 '모셀라'(Mosel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모셀라'(Mosella)를 거쳐 형성되었다. '모셀라'는 뫼즈강의 라틴어 명칭인 '모사'(Mosa)의 지소사 형태로, 모젤강은 뫼즈강과 평행하게 흘렀다. 따라서 '모셀라'는 "작은 뫼즈강"을 의미했다.모젤강은 타키투스가 저술한 《연대기(Annals)》 13권과 《역사(Histories)》 4권에 처음 기록되었다.[15]
로마 시인 아우소니우스는 4세기 초부터 이를 문학적 주제로 삼았다. 371년에 쓰여진 그의 시 《모젤라(Mosella)》는 483개의 헥사미터로 구성되었으며, 후기 고대의 시인이자 트리어 황실 궁정(Kaiserhof)의 교사였던 그는 빙겐에서 훈스뤼크 언덕을 넘어 모젤강까지, 그리고 그 강을 따라 그가 이름을 딴 길, 비아 아우소니아(Via Ausonia)를 따라 트리어로 가는 여정을 묘사했다. 아우소니우스는 로마 통치자들의 정책 덕분에 강과 모젤 계곡을 따라 번성하고 풍요로운 풍경을 묘사했다.
이 강은 이후 프랑스 공화국의 두 데파르트망인 모젤과 뫼르트-에-모젤의 이름이 되었다. 고대부터 강 계곡을 이용한 교통로가 발전했다. 모젤 강 유역의 도시인 트리어에는 로마 제국 시대의 목욕탕과 "포르타 니그라"라고 불리는 성문이 남아 있다.
4. 2. 중세
고대부터 강 계곡을 이용한 교통로가 발전했다. 모젤 강 유역의 도시인 트리어에는 로마 제국 시대의 목욕탕과 "포르타 니그라"라고 불리는 성문이 남아 있다.[1] 과거에는 수량이 안정되지 않아 항행이 어려웠지만, 19세기 말부터 하천 정비가 진행된 결과, 중규모 선박의 항행이 가능해졌다.[1]4. 3. 근현대
모젤강은 로마인들에게 ''Flumen Musalla''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포이팅거 지도에 기록됨), 시인 아우소니우스에 의해 서기 371년경 낭만화되었다. 1815년부터 모젤강은 룩셈부르크 대공국과 프로이센(1871년 독일 제국) 사이의 경계를 이루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모젤강은 연합군이 베를린으로 진격하는 동안 장벽 역할을 했다. 1944년 9월, 프랑스 주둔 미국 제3군은 디엘루아르에서 모젤강을 건너 독일군을 분할하기 위한 공격을 감행했다. 제80보병사단은 제4기갑사단의 전투사령부 A(CCA)가 독일군 후방으로 진격하여 낭시 시를 포위할 수 있도록 교두보를 확보하는 임무를 받았다.[5]
1944년 9월 13일, 제80사단은 독일군의 방어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 광범위한 포병 및 항공 지원을 받으며 공격을 시작해 강 동쪽 둑에 교두보를 확보하여 디엘루아르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5]
교두보가 확보되자 제4기갑사단의 전투사령부 A는 모젤강을 건너 낭시로 진격하여 도시를 포위하고 독일군 보급선을 차단했다. 제80사단은 계속 진격하여 북동쪽으로 밀고 나아가 독일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5]
낭시를 점령하기 위한 작전은 9월 15일까지 계속되었으며, 제80보병사단과 제4기갑사단의 연합 노력으로 도시가 해방되었다. 모젤강의 성공적인 도하와 낭시 점령은 프랑스 북동부의 독일 방어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고, 연합군의 독일 진격에 더욱 기여했다.[5]
ECSC에 의해 제정된 조약을 비준하는 1952년 4월 10일의 법률에서, 제2조는 프랑스 정부에게 "공동 시장 설립 전에 티옹빌과 코블렌츠 사이의 모젤강 수로화의 신속한 시행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정부와 협상을 시작하도록" 지시했다.[6][7][8]
강은 메스와 티옹빌 사이에서 수로화되었으며, 1964년 룩셈부르크 대공비 샤를로트 드 룩셈부르크, 독일 연방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 그리고 그들의 주최자인 샤를 드 골 프랑스 대통령에 의해 개통된 운하를 통해 이루어졌다.[9]
1985년 솅겐 조약이 체결된 곳은 프랑스-독일-룩셈부르크 삼각점 지점에 있는 모젤강으로, 솅겐 지역 내 국경 통제가 폐지되었다.
고대부터 강 계곡을 이용한 교통로가 발전했다. 19세기 말부터 하천 정비가 진행된 결과, 중규모 선박의 항행이 가능해졌다.
5. 경제
메츠와 티옹빌 사이의 모젤 계곡은 석탄 채굴과 철강 제조업이 발달한 산업 지역이다.[1] 프랑스에서는 지하 자원이 풍부한 로렌 지방을 흐르기 때문에 연안에 공업 도시가 발전했다.[2]
독일에서는 유럽 유수의 와인 생산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젤 와인은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고 있다.[3] 모젤 계곡은 풍경과 와인으로 유명하며, 가장 잘 알려진 곳은 독일의 모젤 와인 지역이다.[1]
5. 1. 산업
메츠와 티옹빌 사이의 모젤 계곡은 석탄 채굴과 철강 제조업이 발달한 산업 지역이다.[1] 모젤 계곡은 풍경과 와인으로 유명한데, 가장 잘 알려진 곳은 독일의 모젤 와인 지역이다.[1] 룩셈부르크의 포도 재배 지역은 "모젤 룩셈부르주아"라고 불리고 프랑스 지역은 "AOC 모젤"이라고 불린다.[1] 여기서 생산되는 와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리슬링, 엘블링, 뮐러-투르가우, 케르너, 옥세루아이다.[1] 모젤의 독일 지역은 관광 명소이다.[1]프랑스 국내에서는, 지하 자원이 풍부한 로렌 지방을 흐르기 때문에, 그 연안에 공업 도시가 발전했다.[2]
독일 국내에서는, 유럽 유수의 와인 생산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젤 와인은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고 있다.[3]
5. 2. 와인 생산
모젤 계곡은 아름다운 풍경과 와인으로 유명하다. 가장 잘 알려진 곳은 독일의 모젤 와인 지역이며, 룩셈부르크의 포도 재배 지역은 "모젤 룩셈부르주아", 프랑스 지역은 "AOC 모젤"이라고 불린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리슬링, 엘블링, 뮐러-투르가우, 케르너, 옥세루아이다.[21] 독일 모젤 지역은 관광 명소로도 유명하다.
모젤 와인 지역은 모젤강을 따라 약 10540ha의 경작 면적을 가지고 있다. 현재 9000ha에 약간 못 미치는 가장 큰 부분은 독일의 라인란트-팔츠주와 자르주에 있으며, 룩셈부르크 지역은 약 1300ha의 면적을 차지한다. (룩셈부르크의 와인 참조). 모젤강 상류의 포도원은 프랑스 영토로 뻗어 Seille 지역의 Côtes de Moselle까지 130ha 면적, Toul (Côtes de Toul) 주변 지역까지 110ha 면적에 걸쳐 있다.
독일 모젤 와인 지역은 그 지류를 포함하여 "모젤"이라는 재배 및 제조 이름을 사용한다. 마케팅을 위해 해당 지역의 농업 당국은 이 지역을 6개의 와인 재배 지역으로 나누었으나,[21] 와인 문헌과 전문 언론은 지형학적, 미기후적, 역사적 이유에 따라 이 지역을 4개 지역으로 나눈다.
- '''상부 모젤''': 상부 모젤 (부르군디 모젤이라고도 함)의 계곡 측면은 muschelkalk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파리 분지에 속한다. 리슬링의 비율이 낮고(2010년 약 10%), 피노 블랑과 피노 누아 포도 재배가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트리어 지역''': 트리어 시 주변과 자르와 루버의 계곡, 측면 계곡에서는 리슬링이 80% 이상을 차지하며 셰일 토양에서 가장 우세한 포도 품종이다. 이 지역의 기후적 특징 중 하나는 작고 종종 남서-동남향을 하는 곳의 빈번한 방향으로, 식생이 더 강하고 시원한 바람에 노출되어 중앙 모젤과 하부 모젤의 좁고 깊이 파인 계곡보다 성숙도가 낮을 때가 많다.[22]
- '''중앙 모젤''': 약 6000ha의 포도원을 가진 중앙 모젤은 모젤에서 가장 큰 와인 재배 지역이다. 와인 전문가와 거래에 따르면, 모젤의 "가장 위대한" 와인은 수량과 품질 면에서 모두 많은 찬사를 받는 가파른 경사지의 포도원으로 통합된 대규모 기업에서 재배된다.[23]
- '''하부 모젤''': 하부 모젤 계곡에는 작은 마을 위에 위치한 중세 시대의 여러 성들이 있으며, 좁고 구불구불한 계곡의 가파른 경사면과 작은 테라스로 둘러싸인 목조 주택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포도 재배가 매우 노동 집약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며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그 결과, 포도원이 폐허가 되는 경우가 흔하다.
독일 모젤의 와인 산업은 수십 년 동안 쇠퇴해 왔다. 2005년 통계에 따르면 10375ha의 포도원이 있었지만, 2012년에는 8491ha로 감소했다.[24] 휴경된 포도원은 대부분 매우 가파른 언덕에 있는 포도원이다. ''Nebenerwerbswinzer''(부업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사람들)와 1960년대 말까지 와인 사업의 대다수를 차지했던 소규모 가족 농업 운영의 수가 크게 감소했다. 라인란트-팔츠 농업회의소가 하부 모젤의 여러 와인 마을을 비교한 자료에 따르면 1960년대 초에는 797개의 와인 사업체가 있었지만 2000년대 초에는 100개 미만으로 줄었다.
반대로 전통적인 와이너리와 양조학 및 사업 관리에 대한 확실한 교육을 받은 더 최근의 양조업자들 사이에서는 정반대의 추세가 나타났다. 이들은 한때 유명했지만 오랫동안 잊혀진 부지를 되찾아 사업을 확장했다. 20세기 말에는 품질과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특별한 테루아르[12]의 사용이 재발견되면서, 몇 년 전 과잉 생산, 라벨 스캔들 및 저렴한 제안으로 특징지어졌던 모젤 와인에 대한 보다 미묘한 시각을 갖게 되었다.
모젤 와인은 유럽 유수의 와인 생산 지역에서 생산되어 세계 각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5. 3. 관광
모젤 계곡은 풍경과 와인으로 유명하다. 가장 잘 알려진 곳은 독일의 모젤 와인 지역이며, 룩셈부르크의 포도 재배 지역은 "모젤 룩셈부르주아", 프랑스 지역은 "AOC 모젤"이라고 불린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와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리슬링, 엘블링, 뮐러-투르가우, 케르너, 옥세루아이다. 모젤의 독일 지역은 관광 명소이다.

모젤 계곡을 따라 모젤 와인 루트와 모젤 사이클로웨이가 지나가는데, 이 길은 프랑스의 메츠에서 트리어를 거쳐 라인강의 코블렌츠까지 311km 거리를 자전거로 이동할 수 있다. 코블렌츠와 트리어 사이의 구간은 대부분 오래된 모젤 계곡 철도의 선로를 따라가기 때문에 자동차 소음과 매연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매년 성령강림절 다음 일요일에는 슈바이크에서 코헴까지 140km의 도로가 해피 모젤 데이(Happy Moselle Day)의 일환으로 차량 통행이 금지된다.
모젤 계곡 위쪽 고지에는 여러 개의 주목할 만한 성과 유적이 있으며, 모젤 강에서 보트 여행을 하면 많은 유적을 볼 수 있다.
1910년에는 하이킹 코스인 모젤 능선길이 개설되었는데, 이 길은 아이펠 쪽으로 185km, 훈스뤼크 쪽으로 262km 뻗어 있다. 또 다른 특별한 길은 유럽에서 가장 가파른 포도원을 지나 에디거-엘러에서 칼몬트 트레일을 거쳐 브렘까지 이어진다.
댐 건설 이전에는 모젤 강이 접이식 카약의 인기 있는 경로였으며, 이 때문에 많은 보에 보트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강은 오늘날에도 카누를 타는 사람들이 사용하는데, 특히 상업용 선박의 운행이 금지되는 연례 일주일 간의 갑문 폐쇄 기간에 많이 이용된다.
2014년 4월에는 모젤 트레일이 개통되었는데, 이 길은 상부 모젤의 페를에서 코블렌츠까지 365km 뻗어 있다. 수많은 모젤 트레일 "파트너 트레일", 소위 지선(''Seitensprünge'')과 "꿈길"(''Traumpfade'')이 모젤 계곡의 하이킹 네트워크를 강화한다.[20]
ADAC의 랠리 도이칠란트는 2000년부터 펠덴츠, 드론, 피에스포르트, 민하임, 케스텐, 트리텐하임, 펠, 루버탈 및 트리어의 모젤 강을 따라 있는 포도원에서 개최되었다.
코블렌츠 갑문의 모셀룸은 모젤 강 물고기 이동, 수생 생태, 항해 및 발전과 관련된 전시회를 제공한다. 방문객 및 정보 센터 건설과 함께 모젤 강을 따라 가장 현대적인 물고기 사다리가 개통되었다.
6. 교통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로렌 산업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더 큰 선박이 모젤강을 운행할 수 있도록 압박했다. 1955년 자르 지방 주민들이 서독에 속하기로 투표하자, 프랑스는 모젤강 개량을 "보상"으로 요구했다. 1956년 10월 27일, 프랑스는 독일, 룩셈부르크와 모젤강 운하화를 위한 모젤 조약을 체결했다. 그 대가로 독일에게 상부 라인의 그랑 카날 다잘사스 연장을 양보했다.[17] 1958년 공사가 시작되어 1964년 5월 26일, 모젤강은 메츠에서 코블렌츠까지 14개의 갑문을 갖춘 주요 수로로 공식 개통되었다. 프랑스는 1979년까지 뇌브-메종까지 모젤강 수로를 연장했다. 그 결과, 394km의 모젤강이 총 28개의 갑문을 갖추어 개량되었다. 1992년부터 1999년까지 항해 가능한 수로의 깊이가 2.7m에서 3m로 깊어져 1,500톤급 화물선이 강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운송 능력이 20% 증가했다. 수로의 폭은 40m이며, 굽은 곳에서는 더 넓다. 1962년에 트리어에 본사를 두고 설립된 모젤 위원회가 항해를 담당한다. 위원회가 제정한 모젤 해운 경찰법은 메츠에서 코블렌츠까지 세 참여국 모두에서 유효하다.
1921년 모젤강(Mo)은 제국 수로가 되었고,[17] 오늘날에는 삼국 지점의 아파치에서 라인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인 킬로미터 지점 592.29[19]에 있는 코블렌츠까지 연방 수로(''Bundeswasserstraße'')이다.[18] 이 수로는 242km[19] 길이이며, 트리어 및 코블렌츠 수운 사무소(''Wasser- und Schifffahrtsämtern Trier und Koblenz'')에서 관리한다. 이 수로는 유럽 수로 Class Vb로 분류된다. 킬로미터는 하구에서 0km부터 시작하여 상류로 이어진다. 1816년부터 아파치에서 36km 길이의[19] 콘도미니엄을 형성하고 있으며, 1976년 협정에 따라 책임 분담이 이루어진 독일-룩셈부르크 공동 주권 지역이다. 1957년에 강의 개량 공사 자금 조달을 위해 처음 설립된 국제 모젤 회사는 운송 요금과 수로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하며, 이는 자금 조달에 사용된다.
고대부터 강 계곡을 이용한 교통로가 발전했다. 모젤 강 유역의 도시인 트리어에는 로마 제국 시대의 목욕탕과 "포르타 니그라"라고 불리는 성문이 남아 있다. 과거에는 수량이 안정되지 않아 항행이 어려웠지만, 19세기 말부터 하천 정비가 진행된 결과, 중규모 선박의 항행이 가능해졌다.
6. 1. 수운
모젤강은 프랑스–독일–룩셈부르크의 삼국 접경인 솅겐 인근에서 시작하여 트리어 직전에 콘츠 인근에서 자르강과 합류한다.[4] 아레강 다음으로 라인강의 두 번째로 큰 지류이며, 마인강과 네카어강보다 크다.[16]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로렌의 산업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더 큰 선박으로 모젤강을 운행할 수 있도록 압박했다. 1956년 10월 27일, 독일, 룩셈부르크와 모젤강의 운하화를 위한 모젤 조약을 체결했다.[17] 1958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964년 5월 26일까지 모젤강은 메츠에서 코블렌츠까지 14개의 갑문을 갖춘 주요 수로로 공식 개통되었다. 프랑스는 1979년까지 뇌브-메종까지 연장했다. 그 결과, 394km의 모젤강이 총 28개의 갑문을 갖추어 개량되었다. 1992년부터 1999년까지 항해 가능한 수로의 깊이가 2.7m에서 3m로 깊어져 1,500톤급 화물선이 강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운송 능력이 20% 증가했다. 수로의 폭은 40m이며, 굽은 곳에서는 더 넓다.[18]

오늘날 모젤강은 코블렌츠의 라인강에서 낭시 남쪽에 있는 뇌브-메종까지 길이 110m까지의 대형 화물선이 항해할 수 있다.[10] 소형 선박의 경우 뫼즈 운하와 마른-라인 운하를 통해 프랑스의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코블렌츠, 레멘, 뮈덴, 팡켈, 장트 알데군트, 엔키르히, 젤팅겐, 빈트리히, 데트쳄, 트리어, 그레벤마허, 팔쳄,[10] 아파치, 쾨니히스마커, 티옹빌, 리슈몽, 탈랑주, 메츠, 아르-쉬르-모젤, 파니-쉬르-모젤, 블레노-레-퐁-아-무송, 퀴스틴, 퐁페이, 앵제레이, 퐁트누아-쉬르-모젤, 툴, 빌레-르-세크, 뇌브-메종에 갑문이 있다.[11]
1970년까지 1,000만 톤 이상의 상품이 모젤강을 통해 운송되었으며, 대부분은 예인 바지선으로 운송되었다. 트리어에 내륙 항구가 있으며, 젤 (모젤)에 환적 사이트가 있고, 메르테르, 티옹빌, 메츠, 푸르아르에도 항구가 있다. 화물선 외에도 매우 번잡한 와인 마을과 모젤강 중부 및 하부의 작은 마을 사이를 운행하는 관광객을 위한 유람선도 있다.
다음 장소에도 요트 또는 스포츠 마리나가 있다: 코블렌츠, 비닝겐, 브로덴바흐, 부르겐, 뢰프, 하첸포르트, 젠하임, 트라이스, 트라벤-트라르바흐, 쿠에스, 노이마겐, 푈리히, 슈바이크, 트리어, 콘츠.

모젤강에는 총 28개의 갑문(수위 변경)이 있다.
국가 | 갑문 위치 |
---|---|
프랑스 | 뇌브메종, 빌레르르섹, 툴, 퐁트누아쉬르모젤, 앵제레, 프루아르-퐁페, 퀴스틴, 블레노르레퐁아무송, 파니쉬르모젤, 아르쉬르모젤, 메츠, 탈랑주, 리슈몽, 티옹빌, 쾨니그마커, 아파슈 인근 |
룩셈부르크와 독일 사이 | 슈타트브레디무스-팔쩸, 그레벤마허-벨렌 인근 |
독일 | 트리어, 데쩸, 빈트리히, 젤팅겐, 엔키르히, 장크트알데군트, 팡켈, 뮌덴, 레멘, 코블렌츠 인근 |
6. 2. 철도
노선명 | 구간 | 비고 |
---|---|---|
코블렌츠-트리어 철도 | 코블렌츠-불라이-트리어 | 주로 모젤강 좌안(북쪽)을 따라 운행 |
퓐데리히-트라벤-트라르바흐 철도 | 전 구간 | 모젤강 좌안(북쪽)을 따라 운행 |
모젤 철도 | 불라이-트리어 | 모젤강 우안(남쪽)을 따라 운행, 1960년대 폐선 |
트리어 서부 철도 | 에랑-이겔 | 모젤강 좌안(북쪽)을 따라 운행 |
티옹빌-트리어 철도 | 전 구간 | 모젤강 우안(동쪽)을 따라 운행 |
CFL 1a선 | 바서빌리히-그레벤마허 | 모젤강 좌안(서쪽)을 따라 운행, 여객 운송 중단 |
메츠-룩셈부르크 철도 | 티옹빌-메츠 | 주로 모젤강 좌안을 따라 운행 |
르루빌-메츠 철도 | 메츠-노베앙 | 주로 모젤강 좌안을 따라 운행 |
프루아르-노베앙 철도 | 전 구간 | 주로 모젤강 좌안을 따라 운행 |
파리-스트라스부르 철도 | 프루아르-툴 | |
블레인빌-다멜레비에르-루르 철도 | 바용-에피날 | |
에피날-부상 철도 | 에피날-레미르몽 | 모젤강 좌안을 따라 운행 |
7. 환경
Moselle프랑스어은 프랑스 북동부의 보주 산맥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며, 룩셈부르크와 독일 국경을 따라 흐른 뒤 코블렌츠에서 라인강과 합류한다.[26] 룩셈부르크에 있는 Moselle프랑스어 본류와 좌안의 자갈 채취장 터로 이루어진 호소군은 철새, 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의 서식지이며, 1998년에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27]
참조
[1]
서적
Mosell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10-01
[2]
웹사이트
Moselle: Holidays in one of Germany's most beautiful river valleys
http://www.romantic-[...]
2016-01-23
[3]
간행물
La Moselle
A---0060
sandre
2022-06-09
[4]
간행물
Natürliche Abflüsse 1961-1980
http://www.hydrologi[...]
Hydrologischer Atlas der Schweiz
2002
[5]
웹사이트
American Drive to the Moselle
https://warfarehisto[...]
[6]
간행물
L'historique de la canalisation de la Moselle
http://documents.ire[...]
[7]
간행물
Levainville Jacques, La canalisation de la Moselle
https://web.archive.[...]
1928
[8]
웹사이트
Rivière Moselle – Dictionnaire des canaux et rivières de France
http://projetbabel.o[...]
2016-05-03
[9]
웹사이트
La canalisation de la Moselle
http://www.ina.fr/vi[...]
2016-05-03
[10]
웹사이트
Elwis database
http://www.elwis.de/[...]
2010-03-17
[11]
웹사이트
DTNE : Direction territoriale Nord-Est VNF
http://www.sn-nord-e[...]
2016-05-03
[12]
뉴스
Vom Öchsle zum Terroir
Frankfurter Allgemeine newspaper
2003-10-07
[13]
웹사이트
Burg Thurant – Wenn Sie etwas Besonderes suchen
http://thurant.de/
[14]
문서
Publius Cornelius Tacitus
[15]
문서
Publius Cornelius Tacitus
[16]
문서
The Meuse
[17]
웹사이트
Verzeichnis A, Lfd. Nr. 39 der Chronik
http://www.wsv.de/wa[...]
Wasser- und Schifffahrtsverwaltung des Bundes
[18]
웹사이트
Verzeichnis E, Lfd. Nr. 34 der Chronik
http://www.wsv.de/wa[...]
Wasser- und Schifffahrtsverwaltung des Bundes
[19]
웹사이트
Gliederung Bundeswasserstraßen
http://www.wsv.de/wa[...]
Wasser- und Schifffahrtsverwaltung des Bundes
[20]
뉴스
Moselsteig entfacht das Wanderfieber
http://www.volksfreu[...]
Trierischer Volksfreund
2014-09-26
[21]
문서
Von der Mehrzahl der Winzer nicht genutzte Herkunftsbezeichnung
[22]
서적
Stuart Pigotts Weinreisen – Mosel
Scherz, Frankfurt am Main
2009
[23]
서적
Zur Lage des deutschen Weins – Spitzenlagen und Spitzenweine
Stuttgart
2003
[24]
문서
Publications by the Statistical Office of Rhineland-Palatinate
[25]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4-21
[26]
뉴스
ライン川とモーゼル川が合流する絶景の地で超おいしいワイン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2-25
[27]
웹사이트
Haff Réimech
https://rsis.ramsar.[...]
1998-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