룩셈부르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셈부르크어는 서중부 독일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룩셈부르크의 국어이며 독일어, 프랑스어와 함께 행정 언어로 사용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유한 표준 형식이 만들어져 독립 언어로 간주되었으며, 나치 독일 점령 시기에는 독일어 기피와 정체성으로서의 의식이 조성되었다. 1916년 르네 엥겔만에 의해 통일된 첫 번째 정서법이 도입되었고, 이후 1975년 공식적인 신 정서법이 발표되었으며, 1999년에 현행 정서법이 개정되었다. 룩셈부르크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프랑스어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다. 룩셈부르크어를 구사하는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언어로 지정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어 - 룩셈부르크어 위키백과
룩셈부르크어 위키백과는 2004년에 시작되어 62,000여 개의 문서를 수록하며 룩셈부르크어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 확대와 룩셈부르크어의 위상 강화에 기여한다. - 중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펜실베이니아 남동부에 정착한 독일 남서부 이민자들의 라인 프랑코니아 방언에서 유래한 언어로, 현재 미국과 캐나다에서 25만 명 이상이 사용하며 영어와 상호작용하여 어휘를 차용했고 표준 독일어와 차이를 보이는 구어 방언이다. - 룩셈부르크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룩셈부르크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룩셈부르크어 | |
---|---|
일반 정보 | |
언어 이름 | 룩셈부르크어 |
사용 국가 | 룩셈부르크 벨기에 프랑스 (로렌) 독일 |
사용 지역 | 서유럽 |
사용자 | 30만 명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고지 독일어 중부 독일어 모젤 프랑켄 방언 |
문자 | 라틴 문자 |
공용어 인정 국가 | 룩셈부르크 |
소수 언어 인정 지역 | 벨기에 (왈롱 지역) |
언어 관리 기관 | Conseil Permanent de la Langue Luxembourgeoise (CPLL) |
ISO 639-1 | lb |
ISO 639-2 | ltz |
ISO 639-3 | ltz |
Lingua Franca | 52-ACB-db |
Glottolog | luxe1243 |
Glottolog 이름 | Luxemburgish |
![]() | |
언어 상태 | |
존속 위협 정도 | 취약 |
기타 | |
관련 민족 | 룩셈부르크인 |
2. 역사
룩셈부르크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전까지 다른 많은 방언과 마찬가지로 독일어의 일개 방언으로 간주되었으나 이후 아우스바우(ausbau)를 거치면서 어휘, 문법, 철자법에 있어서 고유한 표준 형식이 만들어졌으며 오늘날에는 독립된 언어로 간주된다. 룩셈부르크어는 독일어의 국가적 다원적 표준 다양성이 아닌 이름을 지닌 독립 언어로 구성되어 강력한 단일 표준 독일어 공리에 맞서 언어적 자율성을 획득했다.[42][6] 나치 독일 점령 시기에는 게르만화 정책에 대한 저항으로 독일어 기피와 정체성으로서의 룩셈부르크어라는 의식이 급속히 조성되었다.
룩셈부르크어의 통일된 첫 번째 정서법은 룩셈부르크어 교육이 초등 교육에 의무 교육으로 도입되는 것을 계기로 1916년에 르네 엥겔만(René Engelmann)에 의한 정서법이다. 이 정서법은 이미 독일어 정서법을 습득한 사람이 룩셈부르크어를 표기하는 것을 전제로 창출된 것이며, 룩셈부르크어의 독자성이라는 점에서는 약한 면도 있었지만, 신문 등에서 독일어에 접할 기회가 많았던 서민들에게는 이해하기 쉬웠기 때문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그 후 나치 독일에 의한 점령 하에서 게르만화 정책에 대한 저항으로서 독일어 기피와 정체성으로서의 룩셈부르크어라는 의식이 급속히 조성되는 중, 1944년에 당시 교육부 장관 니콜라 마르그(Nicolas Margue)의 의뢰로 음성학자 장 펠테스(Jean Feltes)에 의해 고안된 룩셈부르크어의 음성에 충실한 신 정서법(마르그-펠테스의 정서법)이 공포되었지만, 기존 철자법과 크게 괴리되어 습득에 일정 노력이 필요했던 점 때문에 보급되지 않았고, 계속해서 독일어와 유사한 표기법이기는 했지만, 그렇기 때문에 습득 난이도가 낮았던 엥겔만의 정서법이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 1950년에 사전 위원회가 간행한 『룩셈부르크어 사전』 제1권에서 새로운 표기법 안이 제시되었다. 1975년 최종 제23권 간행과 함께 동 사전에서 채용된 표기법이 공식적인 신 정서법으로 발표되었다. 현행 정서법은 이것을 1999년에 개정한 것이다.
2. 1. 정서법
룩셈부르크어의 정자법 표준화를 위한 여러 제안들이 19세기 중반부터 문서로 남아있으나, 1946년 "OLO"(ofizjel lezebuurjer ortografi)가 채택되기 전까지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체계가 없었다.[21] 이 정자법은 독일어 정자법의 특정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거부하고(예를 들어, ä 및 ö의 사용[22], 명사의 대문자 표기), 프랑스어 차용어의 철자를 위한 새로운 원칙들이 채택되었으나 널리 지지를 얻지 못했다.1950년에서 1977년 사이에 5권으로 출판된 ''Luxemburger Wörterbuch''를 만드는 과정에서 채택된 정자법은 1975년 10월 10일에 공식화된 표준 정자법의 기초를 제공했다.[23] 이 표준에 대한 수정안은 룩셈부르크어 영구 위원회에서 제안되었고 1999년 7월 30일 철자 개혁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24]
룩셈부르크어의 통일된 첫 번째 정서법은 1916년 르네 엥겔만에 의해 도입되었다. 이 정서법은 독일어 정서법을 습득한 사람이 룩셈부르크어를 표기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으며, 독일어와 유사하여 습득하기 쉬웠기 때문에 빠르게 보급되었다.
1944년 니콜라 마르그의 의뢰로 장 펠테스에 의해 고안된 새 정서법이 공포되었으나, 기존 철자법과 크게 달라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엥겔만의 정서법이 계속 사용되었다.
1950년 사전 위원회가 새로운 표기법 안을 제시했고, 1975년 공식적인 신 정서법으로 발표되었다. 현행 정서법은 1999년에 개정된 것이다.
3. 언어 체계
룩셈부르크어는 고지 독일어의 서중부 독일어군에 속하며, 모젤 프랑코니아어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또한, 룩셈부르크어는 트란실바니아 작센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 방언은 고중세 시대부터 현재 루마니아 중부에 위치한 트란실바니아의 트란실바니아 작센인들이 사용해 왔다.
룩셈부르크어 사용 지역과 다른 밀접하게 관련된 고지 독일어 방언(예: 로렌 프랑코니아어) 사이에는 뚜렷한 지리적 경계가 없으며, 대신 점진적인 변화를 보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모젤 프랑코니아 방언(또는 적어도 다른 서부 중부 독일어 방언)에 익숙하지 않은 독일어 화자들은 룩셈부르크어를 이해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그들은 대개 어느 정도는 룩셈부르크어를 읽을 수 있다. 모젤 프랑코니아 방언에 익숙한 독일인들에게는 일상적인 어휘에 관한 한 룩셈부르크어를 이해하고 말하는 것이 비교적 쉽다.[20] 룩셈부르크어에 있는 많은 수의 프랑스어 차용어는 특정 주제에 대한 의사 소통이나 특정 화자(프랑스어에서 많은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와의 의사 소통을 방해할 수 있다.
== 문자 ==
룩셈부르크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 26자와, 발음 구별 기호가 있는 세 글자 élb, älb, ëlb로 구성된다. 프랑스어와 표준 독일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는 다른 발음 구별 기호가 일반적으로 유지된다.
- 프랑스어: Boîtelb, Enquêtelb, Piqûrelb 등
- 독일어: blödlb, Bühnlb (독일어 Bühnede에서) 등
독일어 차용어에서 이중자 eulb와 /oɪ//äu}}는 이중 모음 {{IPAlb를 나타내며, 이는 고유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룩셈부르크어의 현재 정서법은 라틴 문자 기본 26자에 움라우트(Ä, ä; Ë, ë)와 아큐트 악센트(É, é)를 더한 29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또한 독일어나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를 원어의 철자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는 문자의 수는 이보다 많다.
== 음운론 ==
룩셈부르크어의 음운 체계는 표준 독일어와 매우 유사하다.
=== 자음 ===
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강음 | p | t | k | ||
약음 | p, b | t, d | k, ɡ | |||
파찰음 | 무성음 | (p͡f) | t͡s | t͡ʃ | ||
유성음 | (d͡z) | (d͡ʒ)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χ | h |
유성음 | v | z | ʒ | ʁ | ||
전동음 | ʀ | |||||
접근음 | l | j |
- /p͡f/는 표준 독일어에서 온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표준 독일어의 많은 모국어 화자들과 마찬가지로 단어 첫머리에서는 [f]로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의무'라는 뜻의 ''Pflicht''는 [fliɕt] 또는 주의 깊은 발음으로 [p͡fliɕt]로 실현된다.
- /v/는 /k, t͡s, ʃ/ 다음에 나타날 때 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zwee'' ('둘')는 [t͡sweː]이다.
- /d͡z/는 ''spadséieren'' /ʃpɑˈd͡zəɪ̯eʀen/ ('산책하러 가다')와 같은 몇몇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 /d͡ʒ/는 영어에서 온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χ, ʁ/는 두 가지 유형의 이음(allophone)을 갖는다. 치경구개음 [, ]와 구개수 [, ]이다. 후자는 후설 모음 앞에서 나타나고, 전자는 다른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 * 이음은 몇몇 단어에서만 나타나며, 화자들은 /χ, ʁ/의 치경구개 이음과 후치경 음소 /ʃ, ʒ/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 젊은 화자들은 단어 종결 /ʀ/을 로 모음화하는 경향이 있다.
=== 모음 ===
룩셈부르크어의 모음 체계는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별이 있으며, 4개의 이중 모음이 존재한다.
철자 | IPA | 예시 |
---|---|---|
a | {{IPA | Kapplb |
{{IPA | Kaplb | |
aa | naasslb | |
ä | {{IPA | Käpplb |
e | Deckenlb | |
{{IPA | liesenlb | |
ë | hëllefenlb | |
é | {{IPA | dréckenlb |
ee | {{IPA | Beenlb |
i | {{IPA | Gittlb |
{{IPA | siwenlb | |
ii | Kiischtlb | |
o | {{IPA | Sonnlb |
{{IPA | droleglb | |
oo | Sproochlb | |
u | {{IPA | Huttlb |
{{IPA | Tutlb | |
uu | Luuchtlb |
철자 | IPA | 예시 |
---|---|---|
ar | {{IPA | Darlb |
aar | aarmlb | |
är | {{IPA | Stärlb |
äer | Päerdlb | |
er | {{IPA | anerlb |
ir | {{IPA | Stirlb |
ier | Hiertlb | |
or | {{IPA | Geforlb |
oer | Joerlb | |
ur | {{IPA | Burlb |
uer | Wuermlb |
- 전설 원순 모음 는 프랑스어와 표준 독일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프랑스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는 비음 도 나타난다.
- 는 두 개의 변이음을 갖는다.
- * 연구개 자음 앞: 중고 전설 평순 모음 로, 일부 화자에게는 특히 앞에서 중저 모음 로 나타날 수 있다. 높이의 이러한 변동은 에도 적용되어 만큼 개방될 수 있다.
- * 그 외 모든 위치: 중설 모음으로, 평순보다는 약간 원순화된 로 더 자주 나타난다.
- 음성적으로, 장모음 는 중고(근고) , ]}}로 상승하며, 심지어 와 겹칠 수도 있다.
- * 는 앞에서 로 실현된다.
- 는 의 장모음 변이형이며, 장모음 대응어가 없는 가 아니다.
- 는 표준 독일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의 첫 번째 요소는 빠른 발화나 비강세 음절에서 음성적으로 단모음 일 수 있다.
- 와 의 대조는 이전의 어휘적 톤 대조에서 유래했다. 단모음 는 악센트 1을 가진 단어에서 사용되었고, 장모음 는 악센트 2를 가진 단어에서 사용되었다.
=== 아이펠 규칙 ===
다른 많은 서부 고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어에도 특정 문맥에서 어말 'n' 탈락 규칙이 존재한다. 이 규칙("아이펠 규칙"으로 알려짐)의 효과는 표기에 반영되므로 n 또는 nn으로 끝나는 단어와 형태소를 철자할 때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 와 ech 긴/wann ech ginnlb "내가 갈 때", 하지만 와 메르 긴/wa mer ginnlb "우리가 갈 때"
- 푀네판 드뢰세히/fënnefandrësseglb "35", 하지만 푀네파 푀어체히/fënnefavéierzeglb "45".
== 형태론 ==
룩셈부르크어는 3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과 3개의 격(주격, 대격, 여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관형사와 대명사에 형태론적으로 표시된다.[40]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복수 형태에서는 성의 형태론적 구분이 없다.[40]
인칭 대명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강세가 없는 형태는 괄호 안에 나타난다).
주격 | 대격 | 여격 | |
---|---|---|---|
1인칭 단수 | 에히/echlb | 메히/mechlb | 미어/mirlb (메어/merlb) |
2인칭 단수 | 두/dulb (데/delb) | 데히/dechlb | 디어/dirlb (데어/derlb) |
3인칭 단수 남성 | 히언/hienlb (언/enlb) | 힘/himlb (엄/emlb) | |
3인칭 단수 중성 | 핱/hattlb (엩/etlb) | ||
3인칭 단수 여성 | 지/silb (제/selb) | 히어/hirlb (에어/erlb) | |
1인칭 복수 | 미어/mirlb (메어/merlb) | 애이스/äislb / 아이스/eislb | |
2인칭 복수 | 디어/dirlb (데어/derlb) | 이에히/iechlb | |
3인칭 복수 | 지/silb (제/selb) | 히넌/hinnenlb (언/enlb) |
2인칭 복수 형태는 정중한 단수형으로도 사용된다 (프랑스어 부/vous프랑스어와 같음, T-V 구분 참조).
대부분의 구어체 독일어 변형과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어는 인명에 정관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De''' Serge ass an der Kichen.(세르주가 부엌에 있다.)
룩셈부르크어가 독일어의 일부 서부 방언과 공유하는 특징은 여성과 소녀를 중성 대명사 핱/hattlb의 형태로 가장 자주 지칭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Dat ass d'Nathalie. '''Hatt''' ass midd, well '''et''' vill a '''sengem''' Gaart geschafft huet.(저것은 나탈리입니다. 그녀는 정원에서 많은 일을 해서 피곤합니다.)
독일어와 비교하면 속격이 소멸했고,[40] 대명사를 제외한 남성 명사에서 주격과 대격이 융합되었다는 점 등 격 변화에서 차이가 있다.[40]
== 통사론 ==
룩셈부르크어는 V2-SOV 언어로, 평서문과 의문사 의문문에서 유한 동사는 두 번째 위치에 나타난다.[40] 예를 들어, "나는 모자를 '''산다'''."와 같이 동사가 두 번째에 온다.[40] 예/아니오 의문문과 유한 명령문에서는 유한 동사가 첫 번째 위치에 온다.[40] "'''피곤하니'''?"와 같이 동사가 문장 맨 앞에 오는 것을 볼 수 있다.[40]
종속절에서는 유한 동사가 마지막 위치에 나타난다.[40] "너는 안다, 내가 피곤'''하다는''' 것을."과 같이 종속절에서 동사가 마지막에 위치한다.[40] 비유한 동사(부정사 및 분사)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위치에 나타나는데, 복합 과거 시제("나는 모자를 '''샀다'''."), 부정사 보어("너는 그렇게 많은 커피를 '''마시면''' 안 된다."), 부정사절("오직 룩셈부르크어만 '''말해'''!")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40]
룩셈부르크어는 종속절에서 유한 동사와 모든 비유한 동사가 함께 묶여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다른 어순을 허용하기도 한다.[40] 예를 들어 "그는 내가 '''올 수 있는지''' 묻는다."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40] 또한, 두 개의 비유한 동사 형태가 함께 나타날 때도 마찬가지로 다른 어순이 허용된다.[40] "나는 '''올 수 없었다'''." 또는 "나는 '''오지 못했다'''."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40]
룩셈부르크어는 종속절에서 전치사구를 동사 묶음 뒤에 나타낼 수 있다.[40] "모든 것, 당신이 항상 알고 싶어했던 '''룩셈부르크에 관해'''"와 같은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40]
룩셈부르크어 문법은 기본적으로 독일어와 공통되지만, 속격이 소멸하고 대명사를 제외한 남성 명사에서 주격과 대격이 융합되는 등 격 변화에서 차이가 있다.[40]
3. 1. 문자
룩셈부르크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 26자와, 발음 구별 기호가 있는 세 글자 élb, älb, ëlb로 구성된다. 프랑스어와 표준 독일어에서 온 차용어에서는 다른 발음 구별 기호가 일반적으로 유지된다.- 프랑스어: Boîtelb, Enquêtelb, Piqûrelb 등
- 독일어: blödlb, Bühnlb (독일어 Bühnede에서) 등
독일어 차용어에서 이중자 eulb와 /oɪ//äu}}는 이중 모음 {{IPAlb를 나타내며, 이는 고유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룩셈부르크어의 현재 정서법은 라틴 문자 기본 26자에 움라우트(Ä, ä; Ë, ë)와 아큐트 악센트(É, é)를 더한 29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또한 독일어나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를 원어의 철자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는 문자의 수는 이보다 많다.
3. 2. 음운론
룩셈부르크어의 음운 체계는 표준 독일어와 매우 유사하다.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강음 | p | t | k | ||
약음 | p, b | t, d | k, ɡ | |||
파찰음 | 무성음 | (p͡f) | t͡s | t͡ʃ | ||
유성음 | (d͡z) | (d͡ʒ)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χ | h |
유성음 | v | z | ʒ | ʁ | ||
전동음 | ʀ | |||||
접근음 | l | j |
- /p͡f/는 표준 독일어에서 온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표준 독일어의 많은 모국어 화자들과 마찬가지로 단어 첫머리에서는 [f]로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의무'라는 뜻의 ''Pflicht''는 [fliɕt] 또는 주의 깊은 발음으로 [p͡fliɕt]로 실현된다.
- /v/는 /k, t͡s, ʃ/ 다음에 나타날 때 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zwee'' ('둘')는 [t͡sweː]이다.
- /d͡z/는 ''spadséieren'' /ʃpɑˈd͡zəɪ̯eʀen/ ('산책하러 가다')와 같은 몇몇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 /d͡ʒ/는 영어에서 온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χ, ʁ/는 두 가지 유형의 이음(allophone)을 갖는다. 치경구개음 과 구개수 이다. 후자는 후설 모음 앞에서 나타나고, 전자는 다른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 * 이음은 몇몇 단어에서만 나타나며, 화자들은 /χ, ʁ/의 치경구개 이음과 후치경 음소 /ʃ, ʒ/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 젊은 화자들은 단어 종결 /ʀ/을 로 모음화하는 경향이 있다.
룩셈부르크어의 모음 체계는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별이 있으며, 4개의 이중 모음이 존재한다.
철자 | IPA | 예시 |
---|---|---|
a | {{IPA | Kapplb |
{{IPA | Kaplb | |
aa | naasslb | |
ä | {{IPA | Käpplb |
e | Deckenlb | |
{{IPA | liesenlb | |
ë | hëllefenlb | |
é | {{IPA | dréckenlb |
ee | {{IPA | Beenlb |
i | {{IPA | Gittlb |
{{IPA | siwenlb | |
ii | Kiischtlb | |
o | {{IPA | Sonnlb |
{{IPA | droleglb | |
oo | Sproochlb | |
u | {{IPA | Huttlb |
{{IPA | Tutlb | |
uu | Luuchtlb |
철자 | IPA | 예시 |
---|---|---|
ar | {{IPA | Darlb |
aar | aarmlb | |
är | {{IPA | Stärlb |
äer | Päerdlb | |
er | {{IPA | anerlb |
ir | {{IPA | Stirlb |
ier | Hiertlb | |
or | {{IPA | Geforlb |
oer | Joerlb | |
ur | {{IPA | Burlb |
uer | Wuermlb |
- 전설 원순 모음 는 프랑스어와 표준 독일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프랑스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는 비음 도 나타난다.
- 는 두 개의 변이음을 갖는다.
- * 연구개 자음 앞: 중고 전설 평순 모음 으로, 일부 화자에게는 특히 앞에서 중저 모음 로 나타날 수 있다. 높이의 이러한 변동은 에도 적용되어 만큼 개방될 수 있다.
- * 그 외 모든 위치: 중설 모음으로, 평순보다는 약간 원순화된 로 더 자주 나타난다.
- 음성적으로, 장모음 는 중고(근고) 로 상승하며, 심지어 와 겹칠 수도 있다.
- * 는 앞에서 로 실현된다.
- 는 의 장모음 변이형이며, 장모음 대응어가 없는 가 아니다.
- 는 표준 독일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의 첫 번째 요소는 빠른 발화나 비강세 음절에서 음성적으로 단모음 일 수 있다.
- 와 의 대조는 이전의 어휘적 톤 대조에서 유래했다. 단모음 는 악센트 1을 가진 단어에서 사용되었고, 장모음 는 악센트 2를 가진 단어에서 사용되었다.
다른 많은 서부 고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어에도 특정 문맥에서 어말 'n' 탈락 규칙이 존재한다. 이 규칙("아이펠 규칙"으로 알려짐)의 효과는 표기에 반영되므로 n 또는 nn으로 끝나는 단어와 형태소를 철자할 때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 와 ech 긴/wann ech ginnlb "내가 갈 때", 하지만 와 메르 긴/wa mer ginnlb "우리가 갈 때"
- 푀네판 드뢰세히/fënnefandrësseglb "35", 하지만 푀네파 푀어체히/fënnefavéierzeglb "45".
3. 2. 1. 자음
룩셈부르크어의 자음 체계는 표준 독일어와 매우 유사하다.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강음 | p | t | k | ||
약음 | p, b | t, d | k, ɡ | |||
파찰음 | 무성음 | (p͡f) | t͡s | t͡ʃ | ||
유성음 | (d͡z) | (d͡ʒ)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χ | h |
유성음 | v | z | ʒ | ʁ | ||
전동음 | ʀ | |||||
접근음 | l | j |
- /p͡f/는 표준 독일어에서 온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표준 독일어의 많은 모국어 화자들과 마찬가지로 단어 첫머리에서는 [f]로 단순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의무'라는 뜻의 ''Pflicht''는 [fliɕt] 또는 주의 깊은 발음으로 [p͡fliɕt]로 실현된다.
- /v/는 /k, t͡s, ʃ/ 다음에 나타날 때 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zwee'' ('둘')는 [t͡sweː]이다.
- /d͡z/는 ''spadséieren'' /ʃpɑˈd͡zəɪ̯eʀen/ ('산책하러 가다')와 같은 몇몇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 /d͡ʒ/는 영어에서 온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χ, ʁ/는 두 가지 유형의 이음(allophone)을 갖는다. 치경구개음 [, ]와 구개수 [, ]이다. 후자는 후설 모음 앞에서 나타나고, 전자는 다른 모든 위치에서 나타난다.
- * 이음은 몇몇 단어에서만 나타나며, 화자들은 /χ, ʁ/의 치경구개 이음과 후치경 음소 /ʃ, ʒ/를 구별하지 못하는 경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 젊은 화자들은 단어 종결 /ʀ/을 로 모음화하는 경향이 있다.
3. 2. 2. 모음
룩셈부르크어의 모음 체계는 단모음과 장모음의 구별이 있으며, 4개의 이중 모음이 존재한다.철자 | IPA | 예시 |
---|---|---|
a | {{IPA | Kapplb |
{{IPA | Kaplb | |
aa | naasslb | |
ä | {{IPA | Käpplb |
e | Deckenlb | |
{{IPA | liesenlb | |
ë | hëllefenlb | |
é | {{IPA | dréckenlb |
ee | {{IPA | Beenlb |
i | {{IPA | Gittlb |
{{IPA | siwenlb | |
ii | Kiischtlb | |
o | {{IPA | Sonnlb |
{{IPA | droleglb | |
oo | Sproochlb | |
u | {{IPA | Huttlb |
{{IPA | Tutlb | |
uu | Luuchtlb |
철자 | IPA | 예시 |
---|---|---|
ar | {{IPA | Darlb |
aar | aarmlb | |
är | {{IPA | Stärlb |
äer | Päerdlb | |
er | {{IPA | anerlb |
ir | {{IPA | Stirlb |
ier | Hiertlb | |
or | {{IPA | Geforlb |
oer | Joerlb | |
ur | {{IPA | Burlb |
uer | Wuermlb |
- 전설 원순 모음 는 프랑스어와 표준 독일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프랑스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는 비음 도 나타난다.
- 는 두 개의 변이음을 갖는다.
- * 연구개 자음 앞: 중고 전설 평순 모음 로, 일부 화자에게는 특히 앞에서 중저 모음 로 나타날 수 있다. 높이의 이러한 변동은 에도 적용되어 만큼 개방될 수 있다.
- * 그 외 모든 위치: 중설 모음으로, 평순보다는 약간 원순화된 로 더 자주 나타난다.
- 음성적으로, 장모음 는 중고(근고) , ]}}로 상승하며, 심지어 와 겹칠 수도 있다.
- * 는 앞에서 로 실현된다.
- 는 의 장모음 변이형이며, 장모음 대응어가 없는 가 아니다.
- 는 표준 독일어에서 유입된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의 첫 번째 요소는 빠른 발화나 비강세 음절에서 음성적으로 단모음 일 수 있다.
- 와 의 대조는 이전의 어휘적 톤 대조에서 유래했다. 단모음 는 악센트 1을 가진 단어에서 사용되었고, 장모음 는 악센트 2를 가진 단어에서 사용되었다.
3. 2. 3. 아이펠 규칙
다른 많은 서부 고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어에도 특정 문맥에서 어말 'n' 탈락 규칙이 존재한다. 이 규칙("아이펠 규칙"으로 알려짐)의 효과는 표기에 반영되므로 n 또는 nn으로 끝나는 단어와 형태소를 철자할 때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와 ech 긴/wann ech ginnlb "내가 갈 때", 하지만 와 메르 긴/wa mer ginnlb "우리가 갈 때"
- 푀네판 드뢰세히/fënnefandrësseglb "35", 하지만 푀네파 푀어체히/fënnefavéierzeglb "45".
3. 3. 형태론
룩셈부르크어는 3개의 성(남성, 여성, 중성)과 3개의 격(주격, 대격, 여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관형사와 대명사에 형태론적으로 표시된다.[40]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복수 형태에서는 성의 형태론적 구분이 없다.[40]인칭 대명사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강세가 없는 형태는 괄호 안에 나타난다).
주격 | 대격 | 여격 | |
---|---|---|---|
1인칭 단수 | 에히/echlb | 메히/mechlb | 미어/mirlb (메어/merlb) |
2인칭 단수 | 두/dulb (데/delb) | 데히/dechlb | 디어/dirlb (데어/derlb) |
3인칭 단수 남성 | 히언/hienlb (언/enlb) | 힘/himlb (엄/emlb) | |
3인칭 단수 중성 | 핱/hattlb (엩/etlb) | ||
3인칭 단수 여성 | 지/silb (제/selb) | 히어/hirlb (에어/erlb) | |
1인칭 복수 | 미어/mirlb (메어/merlb) | 애이스/äislb / 아이스/eislb | |
2인칭 복수 | 디어/dirlb (데어/derlb) | 이에히/iechlb | |
3인칭 복수 | 지/silb (제/selb) | 히넌/hinnenlb (언/enlb) |
2인칭 복수 형태는 정중한 단수형으로도 사용된다 (프랑스어 부/vous프랑스어와 같음, T-V 구분 참조).
대부분의 구어체 독일어 변형과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어는 인명에 정관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De''' Serge ass an der Kichen.(세르주가 부엌에 있다.)
룩셈부르크어가 독일어의 일부 서부 방언과 공유하는 특징은 여성과 소녀를 중성 대명사 핱/hattlb의 형태로 가장 자주 지칭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Dat ass d'Nathalie. '''Hatt''' ass midd, well '''et''' vill a '''sengem''' Gaart geschafft huet.(저것은 나탈리입니다. 그녀는 정원에서 많은 일을 해서 피곤합니다.)
독일어와 비교하면 속격이 소멸했고,[40] 대명사를 제외한 남성 명사에서 주격과 대격이 융합되었다는 점 등 격 변화에서 차이가 있다.[40]
3. 4. 통사론
룩셈부르크어는 V2-SOV 언어로, 평서문과 의문사 의문문에서 유한 동사는 두 번째 위치에 나타난다.[40] 예를 들어, "나는 모자를 '''산다'''."와 같이 동사가 두 번째에 온다.[40] 예/아니오 의문문과 유한 명령문에서는 유한 동사가 첫 번째 위치에 온다.[40] "'''피곤하니'''?"와 같이 동사가 문장 맨 앞에 오는 것을 볼 수 있다.[40]종속절에서는 유한 동사가 마지막 위치에 나타난다.[40] "너는 안다, 내가 피곤'''하다는''' 것을."과 같이 종속절에서 동사가 마지막에 위치한다.[40] 비유한 동사(부정사 및 분사)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위치에 나타나는데, 복합 과거 시제("나는 모자를 '''샀다'''."), 부정사 보어("너는 그렇게 많은 커피를 '''마시면''' 안 된다."), 부정사절("오직 룩셈부르크어만 '''말해'''!")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40]
룩셈부르크어는 종속절에서 유한 동사와 모든 비유한 동사가 함께 묶여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다른 어순을 허용하기도 한다.[40] 예를 들어 "그는 내가 '''올 수 있는지''' 묻는다."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40] 또한, 두 개의 비유한 동사 형태가 함께 나타날 때도 마찬가지로 다른 어순이 허용된다.[40] "나는 '''올 수 없었다'''." 또는 "나는 '''오지 못했다'''."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40]
룩셈부르크어는 종속절에서 전치사구를 동사 묶음 뒤에 나타낼 수 있다.[40] "모든 것, 당신이 항상 알고 싶어했던 '''룩셈부르크에 관해'''"와 같은 문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40]
룩셈부르크어 문법은 기본적으로 독일어와 공통되지만, 속격이 소멸하고 대명사를 제외한 남성 명사에서 주격과 대격이 융합되는 등 격 변화에서 차이가 있다.[40]
4. 사용 현황
룩셈부르크어는 룩셈부르크의 국어로 간주되며, 독일어 및 프랑스어와 함께 3개의 행정 언어 중 하나이다.[10][11]
룩셈부르크에서는 주민의 77%가 룩셈부르크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12] 인구의 48%가 룩셈부르크어를 주로 사용한다.[13] 또한 벨기에의 아를레를란트 지역(룩셈부르크 주의 일부)과 프랑스의 로렌의 작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독일의 아이펠과 훈스뤼크 지역에서는 유사한 지역 모젤 프랑코니아어 방언이 사용된다. 이 언어는 미국과 캐나다에 정착한 룩셈부르크 이민자들의 후손 일부도 사용한다.
다른 모젤 프랑코니아어 방언은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지벤뷔르겐)에 오랫동안 정착한 독일계 민족이 사용한다.
룩셈부르크 국경 밖의 모젤 프랑코니아어 방언은 프랑스어 차용어가 훨씬 적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대부분 프랑스 혁명에서 비롯되었다.
룩셈부르크어의 홍보, 사용 및 보존에 가장 큰 중요성을 부여하는 정당은 보수정당인 대안 민주 개혁당(ADR)이며, 1999년 선거에서의 성공으로 CSV-DP 정부는 룩셈부르크어 지식을 국적 취득의 기준으로 삼도록 했다.[14][15] 현재 룩셈부르크어로도 서면 법률을 시행하고 룩셈부르크어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유럽 연합 언어로 만들고자 하는 유일한 룩셈부르크 정당이기도 하다.[16][17] 이와 관련하여 2005년 당시 부총리 장 아셀보른(LSAP)은 ADR이 룩셈부르크어를 EU의 공식 언어로 만들 것을 요구한 것을 재정적인 이유와 공식적인 독일어 및 프랑스어의 충분함을 이유로 거부했다.[18] ADR의 유사한 제안은 2024년 국회의원단에 의해 거부되었다.[19]
4. 1. 멸종 위기 논란
유네스코는 2019년 룩셈부르크어를 멸종 위기 언어로 지정하여, ''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에 추가했다.[29][30] 룩셈부르크어가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31]룩셈부르크어 전문가이자 역사가인 알랭 아텐/Alain Attenlb은 언어의 지위를 정의할 때 룩셈부르크어 사용자의 절대적인 숫자뿐만 아니라, 한 국가 내 사용자의 비율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알랭 아텐은 룩셈부르크어 원어민의 비율이 최근 수십 년 동안 감소했음을 지적하며, 룩셈부르크어가 불가피하게 사라질 것이라고 언급하였다.[33] 또한, 20만 명의 국경 간 노동자를 제외하면 룩셈부르크 내 룩셈부르크어 사용자의 비율은 더욱 낮아진다고 주장한다.[33]
''STATEC''의 통계(2011년 이후)에 따르면 룩셈부르크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의 비율은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20만 명의 국경 간 노동자는 이 통계에 포함되지 않음).[33]
연도 | 비율 |
---|---|
1900 | 88.0% |
1983 | 80.6% |
2011 | 70.51% |
2012 | 70.07% |
2013 | 69.65% |
2014 | 69.17% |
2015 | 68.78% |
2016 | 68.35% |
2017 | 67.77% |
20세기 초 알자스와 로렌에서 알자스 방언과 로렌 프랑코니아어가 프랑스어에 의해 거의 완전히 대체되었으며, 룩셈부르크어에도 비슷한 운명이 닥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4][35] 아를렐란트(역사적으로 룩셈부르크의 일부였고, 현재 벨기에에 있음)에서도 20세기 초까지 현지 인구의 대다수가 룩셈부르크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나, 현재는 프랑스어로 대체되어 룩셈부르크어는 거의 사라졌다.
룩셈부르크어의 존립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프랑스어라는 주장이 있는데, 이는 룩셈부르크의 대부분의 공식 문서와 길거리 표지판의 언어이기 때문에, 룩셈부르크어가 새로운 사용자와 학습자에 의해 사용될 가능성을 상당히 약화시킨다.[36]
2021년에는 룩셈부르크 공항에서 룩셈부르크어(및 독일어)로의 공공 발표가 중단될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며, 향후 공공 발표에는 프랑스어와 영어만 사용될 것이라고 한다.[37]
ADR 정치인 프레드 케프는 룩셈부르크어가 이미 프랑스어로 완전히 대체되는 과정에 있다고 주장했다.[39]
5. 어휘
룩셈부르크어는 프랑스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예를 들어, 버스 기사를 뜻하는 단어는 ''Buschauffeur'' (네덜란드어와 스위스 독일어와 유사)인데, 독일어로는 ''Busfahrer'', 프랑스어로는 ''chauffeur de bus''에 해당한다.
일부 단어는 표준 독일어와 다르지만 독일 방언에는 해당하는 단어가 있다. 예를 들어, ''Gromperen'' (감자 – 독일어: ''Kartoffeln'')가 있다. 다른 단어들은 룩셈부르크어에만 있는 고유한 단어이다.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프랑스어 |
---|---|---|
Moien | Guten Morgen, Guten Tag | Bonjour |
Äddi | Ade | Adieu |
Wann ech gelift | Bitte | S'il vous plaît |
Merci | Danke | Merci |
Lëtzebuerg | Luxemburg, Lützelburg | Luxembourg |
Jo | Ja | Oui |
Nee(n) | Nein | Non |
Dacks | Oft | Souvent |
Propper | Sauber | Propre |
Prabbli, Präbbeli | Regenschirm | Parapluie |
Forschett | Gabel | Fourchette |
Kanner | Kinder | Enfants |
Strooss | Straße | Rue |
Informatioun | Information | Information |
Pabeier | Papier | Papier |
Nanzeg | Nancy, Nanzig | Nancy |
Paräis | Paris | Paris |
Bréissel | Brüssel | Bruxelles |
Vläicht | Vielleicht | Probablement |
Gromper | Kartoffel | Pomme de terre |
Fixfeier | Streichholz, Zündholz | Allumette |
Schwätzt dir Däitsch/Franséisch/Englesch? | Sprechen Sie Deutsch/Französisch/Englisch? | Vous parlez allemand/français/anglais ? |
5. 1. 상용 표현
룩셈부르크어의 기본적인 회화 표현은 다음과 같다.룩셈부르크어 | 한국어 | 독일어 | 네덜란드어 |
---|---|---|---|
Jo. | 네. | Ja. | Ja. |
Nee(n). | 아니요. | Nein. | Nee(n). |
Vläicht. | 아마도. | Vielleicht. | Misschien, wellicht |
Moien. | 안녕하세요. | Hallo. (북부에서는 Moin도 사용) | Hallo. (북부와 동부에서는 moi도 사용) |
Gudde Moien. |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 Guten Morgen. | Goedemorgen. |
Gudde Mëtteg. | 안녕하세요. (낮 인사) | Guten Tag. | Goedendag. or Goedemiddag. |
Gudden Owend. |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 Guten Abend. | Goedenavond. |
Äddi. | 안녕. (헤어질 때) | Auf Wiedersehen. | Tot ziens. |
Merci. | 감사합니다. | Danke. | Dank u or Merci. (벨기에) |
Firwat? | 왜요? | Warum? or Wofür? | Waarom? or Waarvoor? |
Ech weess net. | 모르겠습니다. | Ich weiß nicht. | Ik weet het niet. |
Ech verstinn net. | 이해를 못했습니다. | Ich verstehe nicht. | Ik versta het niet. |
Watgelift? or Entschëllegt? | 실례합니다. | Entschuldigung? | Excuseer mij or Wablief? (벨기에) |
Metzleschjong. | 정육점 아들. | Metzgersohn. / Metzgerjunge. | Slagerszoon. |
Schwätzt dir Däitsch/Franséisch/Englesch? | 독일어/프랑스어/영어를 구사하십니까? | Sprichst du Deutsch/Französisch/Englisch? | Spreek je Duits/Frans/Engels? |
Wéi heeschs du? |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Wie heißt du? | Hoe heet je? |
Wéi geet et? | 어떻게 지내십니까? | Wie geht's? | Hoe gaat het? |
5. 2. 신조어
룩셈부르크어의 신조어는 완전히 새로운 단어와 일상적인 대화에서 오래된 단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가장 최근의 신조어는 통신, 컴퓨터 과학, 인터넷 분야에서 영어에서 유래되었다.[25]영어에서 직접 차용한 예로는 ''Browser'' (브라우저), ''Spam'' (스팸), ''CD'' (CD), ''Fitness'' (피트니스), ''Come-back'' (컴백), ''Terminal'' (터미널), ''Hip'' (힙), ''Cool'' (쿨), ''Tip-top'' (최고) 등이 있다. 독일어에서도 발견되는 신조어로는 ''Sichmaschinn'' (검색 엔진, 독일어: ''Suchmaschine''), ''schwaarzt Lach'' (블랙홀, 독일어: ''Schwarzes Loch''), ''Handy'' (휴대폰), ''Websäit'' (웹페이지, 독일어: ''Webseite'') 등이 있다.[25]
고유 룩셈부르크어 신조어로는 ''déck''가 ''ganz''와 ''voll''과 같이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Dëse Kuch ass déck gutt!'' ("이 케이크는 정말 맛있다!")와 같이 사용된다. 최근 표현으로는 주로 십대들이 사용하는 ''oh mëllen!'' ("아, 미쳤네"), ''en décke gelénkt'' ("너 속았어") 또는 ''cassé'' (카세/cassé프랑스어, "(너는) 졌어") 등이 있다.[25]
6. 연구
제롬 룰링(Jérôme Lulling)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최초의 룩셈부르크어 맞춤법 검사기(Projet C.ORT.IN.A)의 기반이 되는 125,000개 단어 형태의 어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26] ''Lëtzebuergesch als Friemsprooch''(LaF, 외국어로서의 룩셈부르크어)는 유럽 언어 시험 협회(ALTE)의 언어 시험 표준 프레임워크를 따르는 룩셈부르크어 능력 인증 시험으로, 룩셈부르크 국립 언어 연구소에서 관리한다.[27]
셰필드 대학교에는 1995년 제럴드 뉴턴 교수의 주도로 룩셈부르크 연구 센터가 설립되었다.[28] 룩셈부르크 정부는 이 센터를 지원하며, 기부 교수직을 지원한다.[28]
참조
[1]
웹사이트
Luxemburgish – definition of Luxemburgish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5-03-21
[2]
간행물
Diets, Nederlands, Nederduits, Hollands, Vlaams, Belgisch-Nederland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
서적
Immigrants and Cultural Development in European Towns
Council for Cultural Co-operation
[4]
서적
Our Country's Regions: Outline maps
https://archive.org/[...]
Macmillan/McGraw-Hill
[5]
웹사이트
Letzeburgesch – definition of Lëtzeburgesch in English from the Oxford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15-03-21
[6]
웹사이트
Le nombre de locuteurs du luxembourgeois revu à la hausse
http://infolux.uni.l[...]
2012-11-08
[7]
웹사이트
Law establishing the Conseil Permanent de la Langue Luxembourgeoise (CPLL)
http://www.cpll.lu/p[...]
[8]
웹사이트
Luxemburgs Sprachenmarkt im Wandel
https://orbilu.uni.l[...]
uni.lu
[9]
웹사이트
The Transylvanian Saxon dialect, a not-so-distant cousin of Luxembourgish
https://www.rtl.lu/y[...]
2020-01-13
[10]
웹사이트
The Saxons first arrived in Romania's Transylvania region in the 12th Century, but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community has all but vanished from the region.
https://www.bbc.com/[...]
2019-09-10
[1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Transylvanian Saxon Dialect
https://www.thedocky[...]
2015-08-19
[12]
웹사이트
"''Mémorial A'' no. 16 (27 February 1984), pp. 196–7: \"Loi du 24 février 1984 sur le régime des langues\"."
https://web.archive.[...]
2006-09-15
[13]
서적
Luxemburger Lexikon - Das Großherzogtum von A-Z
[14]
웹사이트
What languages do people speak in Luxembourg?
https://luxembourg.p[...]
2021-09-28
[15]
웹사이트
Une diversité linguistique en forte hausse
https://statistiques[...]
2024-02-15
[16]
서적
Acquisition and Loss of Nationality: Policies and Trends in 15 European States – Volume 2: Country Analysis
Amsterdam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VIDEO: ADR-Kongress: Déi 3 Haaptpilieren: Wuesstem, Lëtzebuerger Sprooch a Famill
https://www.rtl.lu/n[...]
[18]
웹사이트
Lëtzebuerger Sprooch stäerken: ADR: Wichteg Gesetzer och op Lëtzebuergesch
https://www.rtl.lu/n[...]
[19]
웹사이트
26. Lëtzebuergesch, DÉI Sprooch fir eist Land!
https://web.archive.[...]
2021-10-13
[20]
웹사이트
De l'usage de la langue luxembourgeoise dans le contexte européen : Une question parlementaire de Fernand Kartheiser - Europaforum Luxembourg - Septembre 2010
https://europaforum.[...]
[21]
웹사이트
Reconnaissance de la langue luxembourgeoise en tant que langue officielle de l'Union européenne au même titre que la langue irlandaise
https://www.chd.lu/f[...]
2024-01-30
[22]
서적
Ammon, Ulrich - Die Stellung der deutschen Sprache in der Welt (de Gruyter Mouton)
[23]
웹사이트
"''Mémorial A'' no. 40 (7 September 1946), pp. 637–41: \"Arrêté ministériel du 5 juin 1946 portant fixation d'un système officiel d'orthographe luxembourgeois\""
https://web.archive.[...]
2006-09-15
[24]
문서
[25]
문서
[26]
웹사이트
"''Mémorial A'' no. 112 (11 August 1999), pp. 2040–8: \"Règlement grand-ducal du 30 juillet 1999 portant réforme du système officiel d'orthographe luxembourgeoise\"."
https://web.archive.[...]
2006-09-15
[27]
문서
[28]
웹사이트
Eurogermanistik - Band 20
http://www.ids-mannh[...]
2021-07-26
[29]
웹사이트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 INL – Passer un examen à l'INL
https://web.archive.[...]
[30]
웹사이트
Centre for Luxembourg Studies
http://shef.ac.uk/lu[...]
2011-09-11
[31]
웹사이트
"Endangered" but growing: The Luxemburgish language celebrates 35th anniversary
https://today.rtl.lu[...]
[32]
웹사이트
Is Luxembourgish an endangered language?
https://www.luxtimes[...]
2017-12-11
[33]
웹사이트
Lëtzebuergesch gëtt ëmmer méi aus dem Alldag verdrängt
https://web.archive.[...]
2021-10-12
[34]
웹사이트
'Examen d''évaluation de la langue luxembourgeoise " Sproochentest " {{!}}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https://www.inll.lu/[...]
2021-10-12
[35]
웹사이트
Lëtzebuergesch gëtt ëmmer méi aus dem Alldag verdrängt
https://web.archive.[...]
2021-10-12
[36]
웹사이트
Welche Sprachen werden in Elsass-Lothringen gesprochen?
https://de.babbel.co[...]
2021-10-12
[37]
웹사이트
D'Lëtzebuergescht, bald eng langue morte?!
https://guykaiser.lu[...]
2021-10-16
[36]
웹사이트
D'Lëtzebuergescht, bald eng langue morte?!
https://guykaiser.lu[...]
2020-08-12
[37]
웹사이트
Findel airport: Public announcements no longer available in Luxembourgish
https://today.rtl.lu[...]
2021-10-13
[38]
웹사이트
D'Sprooche vun den automateschen Ukënnegungen um Flughafe Findel
http://www.actioun-l[...]
2021-09-07
[39]
웹사이트
Invité vun der Redaktioun (30. Mee) - Fred Keup: "D'ADR ass wichteg fir de politeschen Debat"
https://www.rtl.lu/r[...]
[40]
문서
https://kaken.nii.ac[...]
[41]
웹인용
Le nombre de locuteurs du luxembourgeois revu à la hausse
http://infolux.uni.l[...]
2012-11-08
[42]
웹인용
Luxemburgs Sprachenmarkt im Wandel
https://orbilu.uni.l[...]
uni.l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