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룽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룽탕은 '골목'을 의미하는 '룽'(弄)과 '집'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 '탕'(堂)이 결합된 단어로, 중국의 주거 형태를 나타낸다. 상하이 등지에서 '룽'은 골목이나 차선을 의미하며, 주소에 사용된다. 릴롱 주거 단지, 사회주의 스타일 블록 주택, 현대식 아파트 단지 등 다양한 형태의 건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어 간체자에서는 '룽'과 '건드리다'의 의미를 가진 'nòng'이 같은 글자로 표기되어 혼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하이 룽탕은 역사적으로 릴롱 위원회와 같은 자치 행정 기관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하이시의 문화 - 동방 위성 텔레비전
    동방 위성 텔레비전은 상하이 미디어 그룹의 자회사인 드래곤 TV에서 제작하는 뉴스 프로그램들을 방송하는 채널이다.
  • 상하이시의 문화 - 2010년 세계 박람회
    2010년 상하이에서 "더 나은 도시, 더 나은 삶"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세계 박람회는 192개 국가와 50개 국제기구가 참가하고 7,30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되었으며, 중국의 경제적, 정치적 부상을 알리고 상하이를 국제 금융 중심지로 발돋움시키는 데 기여했다.
룽탕
지도
개요
유형주거 지역
위치중국 상하이
설명좁은 골목길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하이의 독특한 주거 형태
특징
건축 양식스쿠먼
신식 리룽
광식 리룽
화원 리룽
공위 리룽
언어상하이어
역사 및 문화
시대적 배경19세기 후반 ~ 20세기
사회적 의미상하이 서민들의 삶의 터전, 공동체 문화 형성
현대적 가치상하이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

2. 명칭 및 어원

룽탕은 주로 상하이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골목 형태의 주거 단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베이징의 후통(胡同)이나 난양(南阳)의 쟈다오(夹道)와 유사하지만, 시대적, 지역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룽'(弄)은 '골목'을 의미하며, 룽탕이라는 명칭의 핵심 요소이다. 이러한 룽탕은 상하이 외에도 역사적 맥락을 공유하는 항저우, 쑤저우나 시탕, 퉁리, 저우장, 주자자오 같은 강남 지역의 전통 고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 1. '룽'의 사용

衖|룽중국어 또는 弄|룽중국어 (간체: )은 중국어로 '골목' 또는 '차선'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중국 주소에서는 종종 번역되지 않지만, 영어로는 'Lane'으로 번역될 수 있다. '룽'은 오래된 ''릴롱'' 주거 단지뿐만 아니라,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지어진 사회주의 양식의 블록형 주택 단지나 상하이의 현대식 아파트 단지 주소에도 일부로 사용되어 '룽' 번호가 부여된다. 주소 형식은 보통 "상하이 징안루 20번 골목 4호 205호실"(가상의 주소) 또는 "상하이 징안루 20롱 4호 205호실"()과 같이 표기된다.

전통적인 ''릴롱'' 양식의 ''룽탕''에는 일반적으로 개발자가 이름을 부여했다. 이 이름은 일반적으로 '룽'(弄중국어), '리'(里중국어), '팡'(坊중국어) 또는 '춘'(邨중국어)으로 끝나거나, 매우 드물게 몽골어 단어인 '후퉁'(胡同중국어)으로 끝난다. (예: 상하이의 兴仁里, 平安里 등) 일부 ''룽탕''의 이름은 과거의 사업 연관성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장위안 롱(醬園弄|장위안 룽중국어, 간장 절임 가게 골목)과 같은데, 개발자의 이름, 인접한 주요 도로의 이름 또는 다른 상서로운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일반적이다.[7] 이러한 이름은 여전히 흔히 사용되지만, 공식적인 도로 주소의 일부는 아니며, 대신 ''룽'' 번호를 사용한다.[7]

2. 2. 한자 표기

간체자에서는 '골목'을 뜻하는 ''lòng'' (전통 중국어: 衖|중국어 또는 弄|중국어)과 '건드리다'라는 동사 ''nòng'' (전통 중국어: 挵|중국어) 사이에서 혼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두 글자 모두 부수가 제거되고 간체자 '弄|중국어'으로 통일되었기 때문이다. ('건드리다'의 경우 손 수(扌) 부수가, '골목'의 경우 뜻 부분인 행(行)의 일부(彳, 亍)와 소리 부분 共|중국어 "공공"이 결합된 형태에서 부수가 제거되었다.)

간체자에서는 두 글자가 동일하게 표기되지만, 표준 중국어에서는 문맥에 따라 ''lòng'' 또는 ''nòng''으로 발음을 구별한다. 그러나 상하이 방언에서는 '건드리다'라는 동사 역시 'lon'으로 발음되어 '골목'과 발음이 같다.

'룽탕'의 전통적인 한자 표기에 관해서는, 衖堂|중국어 형태가 적어도 19세기 말부터 사용되었지만,[8] 19세기 학자들 사이에서는 '룽탕'의 '올바른' 표기는 弄堂|중국어이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9]

3. 역사

룽탕 중에서는 상하이의 것이 가장 유명하다. 룽탕은 베이징의 전통 뒷골목인 후통(胡同)이나 난양(南阳)의 쟈다오(夹道)와 유사한 형태를 띠지만, 시대적, 지역적 차이가 존재한다.

상하이의 룽탕은 대부분 'XX里'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예를 들어 싱런리(兴仁里), 핑안리(平安里) 등이 있다. 상하이뿐만 아니라 역사적 맥락을 공유하는 항저우나 쑤저우, 그리고 시탕, 퉁리, 저우장, 주자자오와 같은 강남 지역의 전통적인 수향 마을에서도 룽탕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3. 1. 공산주의 통치 시기 (20세기 중반)

1964년 상하이의 한 지역 경찰관이 ''릴롱'' 주민들과 피드백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20세기 중반, 상하이에 공산주의 통치가 수립된 후 도시 지역의 가장 낮은 수준의 자치 행정 기관으로 "지역 위원회"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1960년부터 1968년까지 상하이에서는 이 위원회를 "''릴롱'' 위원회"(, 줄여서 , ''리웨이후이'')로 대체했는데, 이는 이전의 지역 위원회보다 약간 더 넓은 관할 구역을 가졌다. ''릴롱'' 위원회는 주민과 다음 단계 행정 정부인 구역 사이의 연락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공공 안전 및 내부 보안, 교육, 사회 복지, 고용, 산업, 건강 및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행정 권한을 행사했다.

1963년, 공산당 상하이 위원회는 구역 업무에 관한 회의를 열었고, 당시 시 정부였던 상하이 인민 위원회는 ''상하이 시 릴롱 위원회 업무 규정''을 발표했다. 이 규정은 구역과 ''릴롱''이 "계급 투쟁의 최전선, 생산의 가정, 생활의 장소이며, 프롤레타리아트를 육성하고 부르주아를 파괴하기 위한 투쟁의 중요한 전투 위치"임을 강조했다.

1968년에는 ''릴롱'' 위원회가 "''릴롱'' 혁명 위원회"(, 줄여서 , ''리거후이'')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1978년에 ''릴롱'' 혁명 위원회가 폐지되면서, 더 작은 규모의 지역 위원회, 즉 "주민 위원회"(, 줄여서 , ''쥐웨이후이'')가 다시 부활했다. 오늘날에도 지역 위원회를 구어체로 "''릴롱'' 위원회"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4. 현대의 룽탕

상하이의 룽탕이 가장 유명하다. 룽탕은 베이징의 전통 뒷골목인 후통( 胡同|후퉁중국어 )이나 난양(南阳)의 쟈다오(夹道)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시대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상하이의 룽탕은 대부분 "XX里"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兴仁里|싱런리중국어, 平安里|핑안리중국어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상하이뿐만 아니라 역사적 배경을 공유하는 항저우나 쑤저우, 그리고 강남 지역의 전통적인 옛 마을인 시탕, 퉁리, 저우장, 주자자오 등에서도 룽탕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上海话大词典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2] 서적 Frommer's Shanghai Day By Day
[3] 서적 Walking between slums and skyscrapers: illusions of open space in ...
[4] 서적 Postsocialism and Cultural Politics: China in the Last Decade of ...
[5] 서적 Narrating Architecture: A Retrospective Anthology
[6] 서적 Cities Surround The Countryside: Urban Aesthetics in Postsocialist ...
[7]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Early 20th Century
[8] 문서 Guanchang Xianxing Ji
[9] 문서 Liangbanqiuyu An Sui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