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산주의는 프랑스어 'Communisme'에서 유래된 용어로, 라틴어 'Commúnis'에서 파생되어 '공동체' 또는 '공동체를 위한'을 의미한다. 19세기 초까지 인본주의적 정치 운동으로 간주되었으나,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에 의해 사회주의의 다음 단계로 정의되며 정치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공산주의는 유물론과 계급 투쟁에 기초한 혁명 사상으로 이해되며, 사회주의와 구분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플라톤의 이상 국가, 마즈다크교의 평등주의 운동,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등에서 공산주의적 사상이 나타났으며, 19세기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에 의해 과학적 사회주의로 체계화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으면서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었고, 제3인터내셔널을 통해 국제 공산주의 운동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공산주의는 부르주아 경제학, 포스트모더니즘, 무정부주의 등 다양한 비판에 직면했으며, 공산주의 국가의 과잉 사망과 학살, 경제 계산 문제, 유물사관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전쟁의 경험과 권위주의 정부의 영향으로 공산주의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존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0년대 신조어 - 질풍노도
《질풍노도》는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으로, 자연적 개성을 존중하고 감정적 극단과 주관성을 강조하며,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등의 작가들이 반귀족적 경향의 작품을 발표했다. - 1770년대 신조어 - 관광
관광은 휴식, 기분 전환, 새로운 경험을 위해 일상에서 벗어나 문화와 자연을 접하는 여가 활동으로, 시대에 따라 그 의미와 형태가 변화해왔으며, 경제적 효과와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측면을 가진다. - 혁명 - 프롱드의 난
프롱드의 난은 1648년부터 1653년까지 프랑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왕권 강화에 대한 반발과 과도한 세금 부과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되어 쥘 마자랭 추기경과 귀족 세력 간의 권력 다툼으로 변질되었고, 결국 실패했으나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왕정 체제 확립에 영향을 미쳤다. - 혁명 -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면직물 기술 혁신과 증기기관 개량으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산업 전반의 성장을 이끌었지만, 사회 문제와 환경 오염 또한 야기했으며, 이후 여러 나라로 전파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했다. - 철학 이론 - 변증법
변증법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철학적 방법론으로 발전했으며, 헤겔은 사유와 현실의 자기운동에 대한 보편적 합법칙성으로, 마르크스는 유물론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연, 사회, 사유의 일반적 운동법칙으로 확립했다. - 철학 이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공산주의 | |
---|---|
공산주의 정보 | |
주요 개념 | |
핵심 개념 | 공유제 평등주의 무계급 사회 계급 투쟁 프롤레타리아 독재 폭력 혁명 평화 혁명 국제주의 세계 혁명론 일국 사회주의론 반제국주의 사회 파시즘론 인민 전선 마르크스 철학 마르크스 경제학 비시장 경제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유물 사관 유물 변증법 계급 의식 공산주의 사회 |
주요 측면 | |
관련 측면 | 공산주의 국가 공산당 공산주의 혁명 공산주의의 상징 마르크스주의와 종교 공산주의의 역사 공산주의 사회 |
주요 조류 | |
관련 조류 | 마르크스주의 무정부 공산주의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좌익 공산주의 스탈린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쩌둥주의 주체사상 호찌민 사상 평의회 공산주의 티토주의 카스트로주의 게바라주의 호자주의 종교적 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 유로 코뮤니즘 세계 공산주의 무국가 공산주의 민족 공산주의 반수정주의 국제 공산주의 조류 |
국제 조직 | |
관련 국제 조직 | 공산주의자 동맹 (1847년) 제1인터내셔널 제2인터내셔널 코민테른 제4인터내셔널 제5인터내셔널 코민포름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IMCWP)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그라쿠스 바뵈프 로버트 오언 샤를 푸리에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에티엔 카베 빌헬름 바이틀링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표트르 크로포트킨 로자 룩셈부르크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헤르만 고르터 이오시프 스탈린 안토니오 그람시 팔미로 톨리아티 마오쩌둥 김일성 도쿠다 규이치 호찌민 체 게바라 피델 카스트로 요시프 브로즈 티토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사회주의 과학적 사회주의 사회주의 경제 과학적 공산주의 아나키즘 반자본주의 민주집중제 소비에트 연방 제2세계 반공주의 매카시즘 냉전 좌익 신좌익 공산주의 정권 하의 대량 학살 공산주의 비판 신계급 탈공산주의 원시 공산제 적기 붉은 별 낫과 망치 |
역사 | |
역사적 사건 | 독일 농민 전쟁 (1524년)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프랑스 혁명 (1789년) 의인동맹 창설 (1836년) 공산주의자 동맹 창설 (1847년)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파리 코뮌 (1871년)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월 혁명 (1917년) 러시아 내전 (1917년)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스페인 내전 (1936년) 대숙청 (1937년 7월)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냉전 (1947년) 한국 전쟁 (1950년) 베트남 전쟁 (1955년)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대약진 운동 (1958년) 쿠바 혁명 (1959년) 문화 대혁명 (1966년) 니카라과 혁명 (1978년)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소련의 붕괴 (1991년) |
상징 및 표어 | |
관련 상징 및 표어 | 낫과 망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붉은 별 인터내셔널가 적기 적기가 |
핵심 요소 | |
전근대 핵심 요소 | 가족 제도 폐지 공산제 금욕주의 노예제 폐지 보편주의 대규모 사회 계획 사회물리학 세계 정부 엄숙주의 의지주의 중앙집권 지상 낙원 철인 정치 토지 개혁 혁명 형이상학 |
근대 이후 핵심 요소 | 계급 투쟁 계급 의식 계획 경제 능력에 따른 생산, 필요에 의한 분배 마르크스주의 철학 마르크스 경제학 무계급 무국가 반자본주의 변증법적 유물론 사회 공학 사회주의 생산 양식 이론 세계 혁명 유물 사관 인본주의 집단 지도제 집산주의 총 투쟁 총파업 코뮌 폭력 혁명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프롤레타리아 혁명 활동주의 |
관련 문헌 | |
관련 문헌 | 플라톤, 《국가》 (BC.4세기?) 플라톤, 《법률》 (BC.4세기?) 캄파넬라, 《태양의 나라》 (1602년) 캄파넬라, 《형이상학》 (1623년) 미상, 《바뵈프 선언에 대한 분석》 (1796년) 빌헬름 바이틀링, 《인류의 현실과 이상》 (1839년) 빌헬름 바이틀링, 《조화와 자유의 보증》 (1842년) 빌헬름 바이틀링, 《가난한 죄인의 복음》 (1843년) 마르크스,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1843년) 마르크스, 《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 (1844년) 엥겔스, 《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 (1845년) 마르크스, 《독일 이데올로기》 (1846년) 마르크스, 《공산주의의 원리》 (1847년) 마르크스, 《임노동과 자본》 (1847년)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1848년)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1858년) 마르크스, 《자본 I》 (1867년) 마르크스, 《고타 강령 비판》 (1875년) 엥겔스, 《반듀링론》 (1878년) 엥겔스, 《자연 변증법》 (1883년) 엥겔스, 《가족, 사유 재산, 국가의 기원》 (1884년) 마르크스, 《자본 II》 (1885년) 마르크스, 《자본 III》 (1894년) 레닌,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3년) 레닌,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1899년) 룩셈부르크,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1900년)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 (1902년) 파네쿡, 《마르크스주의와 다윈주의》 (1909년) 레닌, 《유물론과 경험 비판론》 (1909년) 레닌, 《철학 노트》 (1909년) 파네쿡, 《계급 투쟁과 국가》 (1912년) 스탈린,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룩셈부르크, 《자본 축적론》 (1913년) 레닌, 《제국주의론》 (1916년) 레닌, 《국가와 혁명》 (1917년) 루카치, 《정통 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1919년) 파네쿡, 《세계 혁명과 공산주의 전술》 (1920년) 루카치, 《역사와 계급 의식》 (1923년)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 (1924년) 마오쩌둥, 《실천론》 (1937년 7월) 마오쩌둥, 《모순론》 (1937년 8월) 스탈린, 《변증법적 유물론》 (1938년) 파네쿡, 《철학자로서의 레닌》 (1938년) 파네쿡, 《노동자 평의회》 (1947년) 루카치, 《실존주의에 대해》 (1949년) 루카치, 《이성의 파괴》 (1951년) |
영향 | |
관련 영향 | 공상적 사회주의 신플라톤주의 아나키즘 재세례파 청년 헤겔주의 프랑스 유물론 합리주의 |
관련 조직 | |
관련 조직 | ML당 공산당 노동당 노동자당 인민혁명당 의인동맹 (BG, 1836 - 1847) 공산주의자 동맹 (BK, 1847 - 1852) 국제노동자협회 (IWA, 1864 - 1876) 제2인터내셔널 (ZI, 1889 - 1816)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Comintern, 1919 - 1943) 제4인터내셔널 (FI, 1938 -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IMCWP, 1998 - ) 혁명 정당 조직 국제 협력 (ICOR, 2010 - ) 공산당-노동자당 행동 (INITIATIVE, 2013 - ) |
관련 분파 | |
관련 분파 | 국민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카우츠키주의 바뵈프주의 신자코뱅주의 아나르코 공산주의 유럽 공산주의 종교 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 마즈다크교 평의회주의 |
주요 운동가 | |
주요 운동가 | 뮌처 (1489년 ~ 1525년) 뒤파이 (1746년 ~ 1818년) 바뵈프 (1760년 ~ 1797년) 부오나로티 (1761년 ~ 1837년) 바이틀링 (1808년 ~ 1871년) 리프크네히트 (1871년 ~ 1919년) 팽크허스트 (1882년 ~ 1960년) 무케르지 (1891년 ~ 1937년) 네루다 (1904년 ~ 1973년) 마줌다르 (1919년 ~ 1972년) 친펭 (1924년 ~ 2013년) 하바시 (1926년 ~ 2008년) 체 게바라 (1928년 ~ 1967년) 구스만 (1934년 ~ ) H. 뉴턴 (1942년 ~ 1989년) 마르코스 (1957년 ~ ) 말레마 (1981년 ~ ) |
주요 이론가 | |
주요 이론가 | 플라톤 (BC.5c ~ BC.4c) 마즈다크 (5c ~ 528년) 캄파넬라 (1568년 ~ 1639년) 마르크스 (1818년 ~ 1883년) 엥겔스 (1820년 ~ 1895년) 레닌 (1870년 ~ 1924년) 룩셈부르크 (1871년 ~ 1919년) 파네쿡 (1873년 ~ 1960년) 스탈린 (1878년 ~ 1953년) 트로츠키 (1879년 ~ 1940년) 루카치 (1885년 ~ 1971년) 부하린 (1888년 ~ 1938년) 그람시 (1891년 ~ 1937년) 마오쩌둥 (1893년 ~ 1976년) 클리프 (1917년 ~ 2000년) 러커토시 (1922년 ~ 1974년) 만델 (1923년 ~ 1995년) S. 아민 (1931년 ~ 2018년) 바디우 (1937년 ~ ) 시손 (1939년 ~ ) |
주요 정치인 | |
주요 정치인 | 체트킨 (1857년 ~ 1933년) 콜론타이 (1872년 ~ 1952년) 디미트로프 (1882년 ~ 1949년) 호찌민 (1890년 ~ 1969년) 티토 (1892년 ~ 1980년) 톨리아티 (1893년 ~ 1964년) 흐루쇼프 (1894년 ~ 1971년) 처이발상 (1895년 ~ 1952년) 저우언라이 (1898년 ~ 1976년) 브레즈네프 (1906년 ~ 1982년) 호자 (1908년 ~ 1985년) 수파누봉 (1909년 ~ 1995년) 보응우옌잡 (1911년 ~ 2013년) 김일성 (1912년 ~ 1994년) 네투 (1922년 ~ 1979년) 폴 포트 (1925년 ~ 1998년) F. 카스트로 (1926년 ~ 2016년) 김정일 (1941년 ~ 2011년) 상카라 (1949년 ~ 1987년) 프라찬다 (1954년 ~ ) 브장스노 (1974년 ~ ) |
2. 어원
communism|코뮤니즘영어이라는 용어는 communisme|코뮈니슴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어원은 "'''공동체'''의" 또는 "공동체를 위한"을 의미하는 communis|코무니스la와 "상태, 운동, 사상"으로의 추상화를 나타내는 접미사인 "ism"으로 구성되었다.[348][349][350] 따라서 직역하면 "커뮤니티의 (커뮤니티를 위한) 상태"를 의미한다.
신플라톤주의와 플라톤적 양분론을 고수하는 철학 체계에서 공산주의적 공동체나 그 실천을 강조하는 사상이 발견된다. 이러한 사상은 객관적 관념론과 유물론의 경계에 걸쳐 있었다.
현대 공산주의자들은 사회주의를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로 간주하는데, 이는 블라디미르 레닌이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사회주의로 규정한 이후부터 나타난 관점이다.[404] 레닌 이전에는 사회주의는 경제 영역의 평등과 분배 정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사회 운동을, 공산주의는 경제 영역에서 사유재산 제도의 완전한 철폐를 위한 문화, 사회, 정치 등 전방위적 변혁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여겨졌다.[404]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7년 공산주의자동맹의 강령 문서인 『공산당선언』에서 자본주의 사회를 부르주아지(자본가 계급)와 프롤레타리아(노동자 계급) 간의 계급 투쟁으로 특징짓고, 부르주아적 소유 폐지를 위한 프롤레타리아의 권력 장악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들은 계급 투쟁 해소 후 국가권력의 정치적 성격 상실과 함께,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이 모두의 자유로운 발전 조건이 되는 협동 사회, 즉 공산주의 사회 형성을 예견했다.
이 용어의 현대적 의미에서의 초기 사용 예로는, 1785년경 프랑스 작가인 빅토르 뒤페가 니콜라 에드메 레티프 드 라 브르통에게 보낸 편지가 있으며, 그 편지에서 뒤페는 자신을 auteur communiste|오퇴르 코뮈니스트프랑스어 (공산주의 작가)라고 묘사했다.[351] 이후 레티프는 이 용어를 자신의 저서에서 자주 사용하며, '''정치 체제'''로서 "공산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352] 1840년경 영국의 사회주의자인 존 굿윈 밤비가 이 용어를 처음으로 영어로 사용했다.[353]
1793년,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는 "공산주의"라는 말에 "완전한 평등"이라는 의미를 담아 "평등 클럽"을 "코뮤니스트 클럽"으로 바꾸었다. 1795년, 바뵈프는 "평민 선언"에서 "토지는 만인의 것"이라고 하며, 개인이 필요 이상의 토지를 사유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등, 평등 사회 실현을 위해 '''사유 재산제의 폐지'''를 주장하여 "공산주의의 선구자"라고도 불린다.
블라디미르 레닌이 사회주의를 낡은 용어라고 규정한 후 볼셰비키당을 러시아 공산당으로 개칭한 이후부터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와 확실히 다른 개념이자, 동시에 유물론과 계급 투쟁에 기초한 진일보한 혁명 사상이라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다.[405]
레닌이 '공산주의는 사회주의와 확실히 다른 개념이다.'라고 선언한 이후부터 마르크스주의자 사이에서 사회주의는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를 의미하는 용어로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등치됐다. 유럽 내 비(非)마르크스주의 집단 사이에서 공산주의는 주로 계급 투쟁, 무신론, 유물론에 기초한 반신론(反神論)적 폭력 혁명 사상으로 여겨졌다. 유럽 내에서의 이러한 규정은 당시 유럽 사회가 기독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는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이다.[406]
3. 기원
6세기 마니교의 일파인 마즈다크교는 경제, 문화, 정치 등 모든 영역에서 평등을 추구했다. 마즈다크교는 선악 이원론과 존재론에 기초하여 인간의 이성적 자각을 통해 궁극적인 선으로 나아간다는 형이상학적, 신비주의적 성격을 가졌다. 동시에 종교 의례 파괴를 주장하며 인간의 내적 수련만을 강조하는 엄숙주의적 측면도 존재했다.[408] 마즈다크교는 아랍 하층민을 중심으로 무장 반란을 선동했고, 조로아스터교와 이슬람은 마즈다크교를 마교(魔敎)로 칭하며 탄압했다.[408]
16세기 초 급진 재세례파 신학자 토마스 뮌처는 유아 세례를 배격하고 이성의 외적 발현을 통한 진정한 신앙 실현을 주장했다. 그는 뮐하우젠에서 빈민 공동체인 '영원한 의회'를 수립하고 농노 반란을 지도하다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참수형을 당했다. 그는 "모든 사람은 그 능력에 따라 일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분배받아야 한다"는 말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409]
톰마소 캄파넬라는 이탈리아의 공산주의 사상가로, 가톨릭 기조에 반하는 합리주의 철학을 전개하다 종교 재판에 회부되기도 했다. 그는 스페인에서 계급과 착취가 없는 이상적인 신정국가 건설 운동에 참여하다 27년간 투옥당했다. 그는 모든 것이 계획되고, 똑같으며, 철인에 의해 통제받는 공산제(共産制)라는 미래상을 그렸다.
전근대 공산주의 사상의 특징은 인간이 절대선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확신했다는 점이다. 이는 인간에게 내재된 이성 일반을 성장시켜 현실 사회의 경제, 정치 구조로 풀어낼 수 있다는 이상주의와 연결된다.
라인홀트 니부어, 이사야 벌린 등은 이러한 역사적 사례를 통해 소비에트 연방과 같은 공산국가에서 나타나는 소수 혁명가에 의한 독재, 욕구 억압, 일원론 철학 강요가 우연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조르조 아감벤, 알랭 바디우 등 유럽 철학자들은 공산주의의 기원이 현실 변혁과 실천주의를 원용으로 하는 존재론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4. 사회주의와의 관계
17세기 말~18세기 전반, 사회주의는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를 전제로 한 협동 경제 형성과 사회 부조리 해결을 위한 공동체 노력을 강조했다. 반면 공산주의는 기존 사회 체제 전복과 혁명 세력의 강제력을 강조하여 실행 과정에서 차이를 보였다.
정치철학적으로 사회주의는 초기 자유주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조명하여 논리를 전개한 반면, 공산주의는 자유주의 이전의 형이상학 담론을 인용하여 독자적인 정치철학 구조를 형성했다.
이러한 차이로 사회주의는 기존 질서 내에서 종교 명망가 및 선진적 활동가의 분배 정의 실천 운동으로 여겨졌지만, 공산주의는 전통 파괴를 동반한 반국가 및 반그리스도교 운동으로 이해되어 유럽 사회에서 배척받았다.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공산주의의 급진적 성격을 강조하고, 스스로의 사상이 사회주의보다는 공산주의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특히 엥겔스는 《공산주의의 원리》에서 사회주의 운동의 기회주의적, 온건적 성격을 비판하며, 이러한 특징의 소멸로 공산주의자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이후 레닌의 입장과 더불어, 공산주의는 사회주의 범주 안에 포함된 사상이라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 1840년대 이후, "공산주의"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회주의"와 구분되어 사용되었다.[64] 19세기 유럽에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용어의 사용은 결국 종교에 대한 지지자와 반대자들의 문화적 태도와 일치하게 되었다.[66]
5. 역사
엥겔스는 1880년 『공상에서 과학으로』에서 유물사관과 잉여가치설을 통해 사회주의가 과학이 되었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입장을 과학적 사회주의로 명명했다. 마르크스주의는 공산주의 사회의 구체적인 모습보다는 자본주의 사회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공산주의 혁명의 역사적 필연성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산당선언』, 『자본론』, 『고타강령비판』 등에서 공산주의 사회의 모습을 일부 언급했다. 『자본론』에서는 "공동의 생산수단으로 노동하고 자신의 많은 개인적 노동력을 스스로 의식하여 하나의 사회적 노동력으로서 사용하는 자유로운 사람들의 결합체[370]"를 언급하며, 상품 생산 사회를 넘어선 사회를 묘사했다. 『고타강령비판』에서는 공산주의 사회를 낮은 단계와 높은 단계로 구분하고, 낮은 단계에서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To each according to his contribution|노동에 따라 받는다영어", 높은 단계에서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받는다"는 기준이 실현된다고 보았다.
이후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 트로츠키즘, 마오쩌둥주의, 유로공산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5. 1.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전개
1919년 3월 2일 볼셰비키는 '전 세계 공산주의 운동'을 표방하며 제3인터내셔널, 약칭 코민테른을 성립시켰다.[419] 코민테른 창건 대회에는 30개국 35개 공산당에서 52명의 대표단이 참여했다.[419]
1920년 코민테른은 제2차 대회를 통해 가맹 조건을 확립, 가맹 정당은 다음 21개 조항을 수락해야 했다.[420]
번호 | 내용 |
---|---|
1 | 프롤레타리아 독재 인정 |
2 | 교조주의, 수정주의, 개량주의에 대한 투쟁 |
3 | 체제 전복을 위한 불법 조직 구성 |
4 | 자본주의적 개량 가능성 부정 |
5 |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 원칙 |
1920년 〈제1차 동양 인민 대회〉에서 코민테른은 아시아 국가 해방을 지원하기로 결의했다. 1922년 볼셰비키는 내전에서 승리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탄생시켰다.
1924년 코민테른은 사회 파시즘을 규정, 사회민주주의와의 투쟁을 강조했다. 1928년 제6차 대회에서 코민테른은 식민지 공산주의자의 투쟁 방침을 정하고, 여러 나라를 반봉건사회로 규정, 민주주의 혁명을 목표로 설정했다.[421] 1935년 코민테른은 '반파쇼인민전선론'을 채택, 반파시즘, 반제국주의를 위한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세력과의 연합을 강조했다.[422] 1943년 코민테른은 각국 혁명의 지역적 특성 강화 명분으로 해체되었다.[423]
레닌 사망 1년 전인 1923년부터 러시아 공산당 내 권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이 투쟁에서 최종 승리한 인물은 이오시프 스탈린이었다. 스탈린은 1926년 당내 분파 활동을 금지하고,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 잔당을 추방, 제명하였다.
1928년, 스탈린은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모든 공산국가 경제 계획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이 계획은 기계·섬유·전기·화학공업의 급속한 발전을 목표로 했으며, 1942년까지 3차에 걸쳐 진행되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 결과, 소비에트 연방은 공업 국가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소비에트 연방의 공장 지대가 대규모로 파괴되었지만, 1950년 복구 계획을 통해 전쟁 전 상태로 회복하는 데 성공하였다.
서구 민주 사회는 세계 공산주의 혁명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 설립은 동유럽 공산권의 군사적 고립을 목표로 하였다.[392] 한편,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필리핀, 대한민국, 중화민국, 베트남 공화국 등에는 미국의 전면적 후원을 등에 업은 강력한 권위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이들 정부는 반공산주의 교육을 강화하고 국내 진보 사회운동 세력들을 탄압했으며, 정치계에서는 매카시즘 등으로 진보 진영의 분열을 꾀했다.[392]
미국에서도 반공주의가 극심하였다. 1950~60년대 미국의 공산주의 탄압은 공산주의자와 간첩 추방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뉴딜 정책 관련 정치인과 지식인들을 약화시키려는 미국 공화당의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 또한 미국 정부는 반공주의 지식인들의 활동을 CIA에서 거액의 보조금으로 지원하여 정치와 외교 문제에 대해 자유주의적 견해를 주장하는 미국 내 자유주의자들의 수를 급감시키기도 했다.[392] 1954년 매카시즘 광풍이 막을 내린 이후에도 미국 내 공산주의 탄압은 계속되어 미국 지식인 사회는 큰 타격을 입었다. 이는 미국 지식인 사회에서 활약하던 진보주의자들은 물론, 공산주의자들과 그 지지자들이 탄압받았기 때문이다. 출판계도 마찬가지여서, 미국 출판사 편집자들은 논란의 소지가 있는 진보적 작가들의 책을 출판하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 출판인들은 유럽 출판계와 협동하거나, 다른 출판사에서 외면받은 작가들과 계약하는 등 공산주의 탄압으로 침체된 미국 지식인 사회를 회복시키고자 하였다.[424]
5. 1. 1. 프랑스 혁명과 초기 공산주의 운동 (18세기 말)
프랑스 대혁명을 통해 정치 영역에서 최초로 국제 공산주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흐름이 일어났다. 프랑스 대혁명의 지도 세력이라고 할 수 있는 자코뱅 좌익(앙라제)에서 공산주의적 사고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앙라제는 사유재산의 제한 및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를 주장하였으나, 사유재산 폐지 자체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았다.[77]앙라제가 권력 유지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판단한 몽타뉴파는 앙라제 지도자 자크 루를 체포하였다. 루가 자살로 사망하자 앙라제는 구심점을 잃고 해체되었다. 테르미도르의 반동 이후 몽타뉴파는 지리멸렬하여 극소수의 정파만 남게 되었다. 이후 앙라제의 사상을 이어받은 공산주의자 그라쿠스 바뵈프가 테르미도르파 정권에 저항하였으나, 결국 처형되었다.[77]
5. 1. 2. 공산주의자동맹 성립 (1847)
벨기에의 청년헤겔주의 조직인 브뤼셀 공산주의자 연락위원회와 영국의 기독교 공산주의 단체인 정의자동맹이 1847년 6월에 합당하여 '공산주의자동맹'이 성립하였다. 공산주의자동맹 창당 시기에 쓰여진 선언문이 바로 『공산당 선언(독일어: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이다.
공산주의자동맹의 맹원들은 급진적 공화주의자들이 요구하던 기초적 요구와 더불어 자본주의 사회가 갖고 있는 비인간성을 비판하였고, 자본주의 사회보다 질적으로 더 높은 사회 단계를 이룰 것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정의자동맹의 지도자였던 빌헬름 바이틀링과 연락위원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칼 마르크스의 노선 차이로 인해 내부 맹원들이 서로 수시로 다퉜고 결국 1852년에 동맹을 해산하게 된다.[410]
5. 1. 3.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
정식 명칭은 국제노동자협회(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이다. 1864년 9월 28일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주도로 런던에서 성립되었다. 당대 유럽 사회를 자본주의 단계라고 분석하였으며, 자본주의 사회가 갖고 있는 온갖 병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자 계급이 주도하는 계급 투쟁이 국제적으로 벌여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카를 마르크스가 작성한 국제노동자협회 발기문 및 임시 규약문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411]제1인터내셔널은 공산주의자 외에도 유토피아주의자, 급진적 공화주의자, 아나키스트, 국가사회주의자 등 수많은 진보적 운동가들이 참여한 국제 노동운동 단체였기에 내부 노선 투쟁이 상당히 가열차게 진행됐다. 마르크스는 1872년 제1인터내셔널 헤이그 대회에서 프루동파의 주택 문제 해결 방법[412]이 급진적 부르주아가 구상하는 일반적인 방법론과 다를 게 없다고 하였다. 당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가 갖고 있는 투기성을 극복하지 않는 한 국가 주도의 주택 공급이든, 사회적 기금 형태의 주택 공급이든 모두 최종적 실패에 도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으며, 결과적으로 투기성은 자본주의의 본질이기에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 투기를 없앨 수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를 타파해야지만 토지 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얻을 수 있다고 한 것이다.
1875년에는 『고타 강령 초안 비판』를 작성하여 페르디난트 라살레 주도 국가사회주의의 소부르주아성과 이들과 타협한 전(全)독일노동자동맹(독일 사회민주당의 전신)을 비판하였다.[413]
파리 코뮌 붕괴 이후 각국의 노동운동 탄압이 심해지고 일련의 투항주의 경향이 잇따라 일어나자 제1인터내셔널 내 이론적 논쟁은 더욱 심화되었고, 내부 계파는 더욱 많은 수로 증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1876년 해산하게 된다.
5. 1. 4. 파리 코뮌의 형성 (1871)
1870년 9월 2일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프랑스가 패배한 후, 나폴레옹 3세는 프로이센의 총리인 오토 폰 비스마르크에게 항복하였다. 이 소식이 파리 군중에게 전해지자 분노한 군중은 거리로 나와 항쟁하였고 프랑스 제2제정 정부는 빠르게 무너져갔다. 이후 제2제정을 구성했던 일부 대의원이 프랑스 임시정부를 세웠으나 혼란은 멈추지 않았다.프랑스는 국민의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1871년 2월 8일에 총선거를 치렀다. 이 선거에서 왕당파가 60% 이상 넘는 득표율을 얻었으나, 파리 지역만은 공화파가 더 높은 의석을 확보하게 된다. 1871년 2월 12일에는 국민의회가 구성하였던 프랑스 임시정부가 프로이센에게 유리한 조건인 강화 조약을 체결하였다. 프랑스 임시정부는 기존의 체제를 다시 공고히하기 위하여 파리 지역도 복고화하려고 했으나 파리 대중은 이에 불만을 느꼈다. 임시정부의 수반인 아돌프 티에르가 파리 지역의 수비대를 해산하려고 하자 같은 해 3월 26일 파리 대중이 봉기하여 파리 코뮌이 성립되었다.[414]
이 시기 공화파는 크게 두 가지 계파로 이루어졌는데, 급진자코뱅의 경우는 공산주의적 신념을 갖고 있었으며, 이 중에서 폭력혁명을 긍정한 계파는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가 지도하고 있었다. 또 한편으로는 집산주의에 기초한 자율적 사회주의를 추구한 프루동도 공화파로 분류되었다. 이 시기 공화파는 특정 작업소의 야간 노동 금지, 교육의 세속화와 무상교육 실시, 공창제 폐지, 노동자를 향한 고용주의 독단적인 행동 저지, 토지 분배 등의 정책을 실현하였다. 1871년 5월 21일 마크 마옹이 이끄는 진압군이 파리에 진입하여 코뮌을 파괴하였고, 코뮌에 동조하였던 공화파는 학살당하였다.
5. 1. 5.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
독일 사회민주노동당을 중심으로 1860년대 후반기에 걸쳐 유럽 노동 운동이 발전하였다. 한편, 독일 제정은 1878년 사회주의 탄압법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유럽의 사회주의자들은 통일적인 행동 지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였고, 그 결과 독일 사회민주노동당, 프랑스 노동당 등을 중심으로 제2인터내셔널이 성립되었다.[77]제2인터내셔널은 명목상 국제적인 노동 운동 지도 조직이었지만, 인적 구성은 독일, 벨기에, 프랑스의 사회주의 조직에서 활동하던 주요 인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제2인터내셔널의 지도를 받는다는 것은 곧 서유럽의 담론 체계에 묶인다는 것과 같은 뜻이었다. 제2인터내셔널은 초기에 프랑스의 쥘 게드 및 독일의 카를 카우츠키의 이론에 크게 영향받았다.[77]
1890년 사회주의 탄압법이 폐지되기까지 제2인터내셔널은 각국 노동 운동에 지도 지침을 내렸고, 그 결과 세계적으로 노동 운동이 급성장하였다. 또한 노동조합의 일반적인 조직 형태, 노동자 정당의 구성 등에서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진보를 이루었다.[77]
1891년 제2인터내셔널은 브뤼셀에서 제2차 노동자 대회를 통해 군국주의에 대항할 것을 천명했고, 1907년 슈투트가르트 제7차 노동자 대회를 통해 제국주의에 대항할 것을 맹세했다. 그러나 모로코 분쟁과 발칸 전쟁으로 인해 형성된 바젤 긴급 회의에서 위와 같은 원칙은 무색하게 되었다. 각국 사회주의 조직은 국제주의 원칙을 버리고 조국방위주의의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에 의해 주도된 이러한 수정주의 흐름은 제2인터내셔널의 국제주의 방침에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 이러한 간극은 나아지지 않았으며, 1916년에 제2인터내셔널은 해체되었다.[77]
제2인터내셔널의 해체는 국제 사회주의 운동에 단기적으로 악영향을 주었지만, 러시아의 볼셰비키파는 오히려 독자적으로 성공하여 혁명을 성취하게 되었다.[77]
5. 1. 6. 러시아 혁명 (1917)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3월, 러시아 제국에서는 부르주아, 농본주의자, 마르크스주의자 연합 혁명이 일어나 로마노프 왕조가 무너지고 제국이 멸망했다.[415] 이 혁명은 전쟁으로 인한 극심한 생활고 때문에 일어났으며, 페트로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노동자, 병사들이 소비에트를 중심으로 단결했다.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 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 지속을 주장했으나, 전쟁에 지친 민중의 불만은 커져갔다. 1917년 7월, 볼셰비키가 주도한 봉기가 일어났지만 임시 정부에 의해 진압되었고, 볼셰비키는 일시적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416]
1917년 10월, 볼셰비키는 무장봉기를 결정하고, 레온 트로츠키의 주도로 '공농혁명위원회'를 설치했다.[418] 1917년 10월 25일(양력 11월 7일), 공농혁명위원회는 임시 정부를 타도하고 권력 장악을 선언했다.
5. 1. 7. 제3인터내셔널(코민테른) 성립 (1919)
1919년 3월 2일 볼셰비키는 '전 세계 공산주의 운동'을 표방하며 제3인터내셔널, 약칭 코민테른을 성립시켰다.[419] 코민테른 창건 대회에는 30개국 35개 공산당에서 52명의 대표단이 참여했다.[419]1920년 코민테른은 제2차 대회를 통해 가맹 조건을 확립, 가맹 정당은 다음 21개 조항을 수락해야 했다.[420]
번호 | 내용 |
---|---|
1 | 프롤레타리아 독재 인정 |
2 | 교조주의, 수정주의, 개량주의에 대한 투쟁 |
3 | 체제 전복을 위한 불법 조직 구성 |
4 | 자본주의적 개량 가능성 부정 |
5 | 민주주의적 중앙집권제 원칙 |
1920년 〈제1차 동양 인민 대회〉에서 코민테른은 아시아 국가 해방을 지원하기로 결의했다.
1922년 볼셰비키는 내전에서 승리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탄생시켰다.
1924년 코민테른은 사회 파시즘을 규정, 사회민주주의와의 투쟁을 강조했다.
1928년 제6차 대회에서 코민테른은 식민지 공산주의자의 투쟁 방침을 정하고, 여러 나라를 반봉건사회로 규정, 민주주의 혁명을 목표로 설정했다.[421]
1935년 코민테른은 '반파쇼인민전선론'을 채택, 반파시즘, 반제국주의를 위한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세력과의 연합을 강조했다.[422]
1943년 코민테른은 각국 혁명의 지역적 특성 강화 명분으로 해체되었다.[423]
5. 1. 8.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작 (1928)
레닌 사망 1년 전인 1923년부터 러시아 공산당 내 권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이 투쟁에서 최종 승리한 인물은 이오시프 스탈린이었다. 스탈린은 1926년 당내 분파 활동을 금지하고,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 잔당을 추방, 제명하였다.1928년, 스탈린은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실시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모든 공산국가 경제 계획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이 계획은 기계·섬유·전기·화학공업의 급속한 발전을 목표로 했으며, 1942년까지 3차에 걸쳐 진행되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 결과, 소비에트 연방은 공업 국가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소비에트 연방의 공장 지대가 대규모로 파괴되었지만, 1950년 복구 계획을 통해 전쟁 전 상태로 회복하는 데 성공하였다.
5. 1. 9. 냉전과 공산주의 (1947)
서구 민주 사회는 세계 공산주의 혁명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 설립은 동유럽 공산권의 군사적 고립을 목표로 하였다.[392]한편, 미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필리핀, 대한민국, 중화민국, 베트남 공화국 등에는 미국의 전면적 후원을 등에 업은 강력한 권위주의 정부가 들어섰다. 이들 정부는 반공산주의 교육을 강화하고 국내 진보 사회운동 세력들을 탄압했으며, 정치계에서는 매카시즘 등으로 진보 진영의 분열을 꾀했다.[392]
미국에서도 반공주의가 극심하였다. 1950~60년대 미국의 공산주의 탄압은 공산주의자와 간첩 추방을 목표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뉴딜 정책 관련 정치인과 지식인들을 약화시키려는 미국 공화당의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 또한 미국 정부는 반공주의 지식인들의 활동을 CIA에서 거액의 보조금으로 지원하여 정치와 외교 문제에 대해 자유주의적 견해를 주장하는 미국 내 자유주의자들의 수를 급감시키기도 했다.[392]
1954년 매카시즘 광풍이 막을 내린 이후에도 미국 내 공산주의 탄압은 계속되어 미국 지식인 사회는 큰 타격을 입었다. 이는 미국 지식인 사회에서 활약하던 진보주의자들은 물론, 공산주의자들과 그 지지자들이 탄압받았기 때문이다. 출판계도 마찬가지여서, 미국 출판사 편집자들은 논란의 소지가 있는 진보적 작가들의 책을 출판하지 않았다. 그래서 미국 출판인들은 유럽 출판계와 협동하거나, 다른 출판사에서 외면받은 작가들과 계약하는 등 공산주의 탄압으로 침체된 미국 지식인 사회를 회복시키고자 하였다.[424]
5. 2. 공산주의 사상사
카를 마르크스 이후 공산주의는 서구 사회의 민주주의 제도와 자유 확립이라는 가치를 지양(止揚)의 결과로서 보존해야 했고, 미래 사회에 대한 공상적인 제시를 거부하는 추세가 이론적으로 타당하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 해체까지, 공산주의 운동은 미래 사회에 대한 공상적인 제시와 인공적인 사회 계획을 실질적으로 긍정하였다."공산주의(Communism)"는 프랑스어(French) 단어 "communisme"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라틴어(Latin) 단어 "communis"(문자 그대로 "공통의"를 의미함)와 접미사 "isme"(어떤 것을 하는 행위, 관행 또는 과정)의 결합이다.[58] "communis"는 "공동체의 또는 공동체를 위한"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isme"는 추상적인 상태, 조건, 행위 또는 교리를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따라서 "공산주의"는 "공동체의 또는 공동체를 위한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1848년 이후 "공산주의"는 『공산당 선언』에 구체적으로 반영된 마르크스주의와 주로 관련되게 되었다.[59]
이 단어가 현대적 의미로 처음 사용된 예 중 하나는 1785년경 빅토르 뷔페(Victor d'Hupay)가 니콜라 레스티프 드 라 브르통(Nicolas Restif de la Bretonne)에게 보낸 편지인데, 여기서 뷔페는 자신을 "auteur communiste"(공산주의 저자)라고 묘사했다.[60] 레스티프는 평등주의와 재산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질서를 묘사하기 위해 처음으로 "communisme"을 사용했다.[61] 존 굿윈 바비(John Goodwyn Barmby)는 1840년경 영어로 "communism"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3]
1956년, 니키타 흐루쇼프는 스탈린 격하를 단행하여 전 세계 공산당에 큰 충격을 주었다. 소련은 스탈린 체제 개혁에 착수했고, 각국 공산당도 이를 따랐다. 반면, 중화인민공화국과 알바니아는 소련의 변화를 "수정주의", "국제 사회 제국주의"로 비난하며 Anti-Revisionism|반수정주의영어를 주장했다. 소련 역시 마오쩌둥의 인민 탄압을 비난하면서 양국은 심각하게 대립했다(중소분쟁). 중국 공산당은 마오쩌둥 사상을 형성했고, 코민테른 직계 공산당 분열과 신좌파 추종자를 낳았다. 알바니아 노동당과 크메르 루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측에 섰다.[393]
마오쩌둥 사후 중국은 덩샤오핑 이론에 따라 사회주의 시장 경제를 도입했지만, 1980년대 이후 페루, 인도, 네팔 등에서 마오쩌둥주의 무장 투쟁이 벌어졌다. 헝가리 혁명에서 소련의 민중 봉기 진압은 각국에서 소련에 대한 실망을 낳았고, 유럽과 일본에서 신좌파와 트로츠키즘이 영향력을 확대했다.
1959년 쿠바 혁명 성공 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중동에서 소련파와 서방파의 대립이 고조되어 대리 전쟁이 발생했다. 베트남 전쟁, 콩고 폭동, 앙골라 내전, 오가덴 전쟁 등 장기간 대규모 분쟁이 발생했고,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체 게바라, 마오쩌둥 사상 등 영향을 받은 좌파 게릴라가 형성되었다.
1968년 프라하의 봄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군에 의해 진압되어 소련에 대한 실망을 증폭시켰다. 서유럽 공산당은 소련식 사회주의와 거리를 두고 시장 경제, 개인 자유, 민주주의를 전제로 한 유럽 공산주의를 지향했다. 이탈리아 공산당이 중심이었고, 일본 공산당도 "자유와 민주주의의 선언"을 통해 일본형 사회주의 비전을 제시했다.[394]
1977년경, 알바니아 엔베르 호자는 미국과 가까워진 중국과 결별하고 독자적인 스탈린주의파(호자주의)를 형성했다. 호자는 미합중국, 소련, 중화인민공화국, 프라하의 봄, 티토주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김일성을 비판하며 고립을 심화시켰다. 알바니아 이데올로기는 콜롬비아 혁명군, 브라질 공산당 등 라틴 아메리카에서 마오쩌둥주의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국제적 지지를 얻었다.[395]
5. 2. 1. 고대 공산주의
플라톤은 저서 『국가』에서 생산자, 수호자, 철인이라는 세 계급으로 구성되는 공공(公共) 국가를 구상하였다. 플라톤은 『국가』 제5권과 제8권에서 민주주의 정치는 개인의 억견(Doxa)에 기반한 정치이기에 필연적으로 부정의를 낳을 수밖에 없으며, 결국엔 잘못된 자에 의해 이끌어지는 참주정으로 타락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철학적 능력이 뛰어난 자를 선별하여 이들을 수호자 계급으로 하고, 최정점에 선 자를 철인으로 정하여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25]플라톤은 제5권에서 유동 재산, 주거, 토지에 관한 완전한 국가 소유 및 이에 기초한 공유를 주장하는 동시에, 자녀도 국가가 책임을 지고 양육(養育)해야 한다는 급진적인 사상을 제시하였다.[425]
5. 2. 2. 캄파넬라의 공산제
톰마소 캄파넬라는 『형이상학』에서 선의 이데아가 세계를 선하게 만드는 경로를 논했으며, 그 결실이 『태양의 나라』이다. 그는 인본주의 사상에 기초하여 선의 이데아는 부동의 일자이며, 만유 그 자체이고, 인간 이성으로 이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합리주의적 사고는 당시 로마 가톨릭 사회에서 금기시되어 여러 번 투옥을 겪었다.[426]그는 『태양의 나라』에서 주요 원칙으로 토지와 주거의 공유, 교육과 의료의 무상 제공을 제시했다. 자녀 양육은 국가가 맡고, 자손 증식은 국가 규정에 따르며, 모든 인민은 노동권을 보장받아 일요일을 제외하고 하루 4시간 노동한다고 묘사했다.[426] 이 외에도 이혼의 자유, 철인 집단 제도, 토지 국유화, 주거·식량·의복 균일화, 농축산업 기계화, 전쟁 포로에 대한 인도적 대우, 국가 운영 고아원 등 다양한 비전을 제시했다.[426]
캄파넬라의 저작은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와 비교되지만, 모어가 노예제를 긍정한 반면 캄파넬라는 노예제 폐지를 주장했다. 모어는 토지 분배를 옹호했지만 캄파넬라는 정부의 토지 소유를 주장했다.[427] 모어는 대가족 기반 가부장제를 옹호했지만, 캄파넬라는 가족 제도 폐지를 주장했다. 노동 시간은 모어가 6시간, 캄파넬라가 4~5시간을 제시했다. 모어는 인격신 부정자를 추방했지만, 캄파넬라는 범신론적 논리로 합리적 사유를 허용했다. 즉, 모어는 가톨릭 기득권 수호 내 개혁을 주장했지만, 캄파넬라는 기존 사회를 완전히 바꾸는 급진적 주장을 펼쳤다.[427]
카를 카우츠키는 『태양의 나라』가 공산주의 이론 성립에 중요한 가교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블라디미르 레닌과 소비에트 연방은 이를 공산주의 문화 예술 선전, 즉 '기념비적 선전 계획'에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는 캄파넬라가 17세기 초 '사회주의적' 사상가들과 달리 프로토-공산주의자로 특정될 수 있는 근거라고 판단했다.[428]
5. 2. 3.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카를 마르크스는 이전의 관념적 사회주의와 자신의 사상을 구별하여 '과학적 사회주의'라고 칭하고, 스스로를 공산주의자라고 하였다.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이론은 생산 관계와 생산력 사이의 모순이 역사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사적 유물론에 기초한다. 마르크스는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노동(Arbeit)이 갖는 의식적 성격을 규명한다. 그는 현상계와 절대계를 나누면서도, 현상 없이는 절대가 없고, 절대 없이는 현상이 없다는 실천주의적 논지로 이전의 형이상학과 자신의 철학을 구분한다. 그리고 본질로 나아가려는 인간의 의식적 실천을 노동이라고 정의했다. 노동은 인간의 추상성을 대표하는 전위적인 의식 활동으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해방성을 갖춘 능동적 창조 행위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의 자유로운 노동은 생산력의 한계로 구축된 노예제, 봉건제, 자본주의로 인해 온전히 발현되지 못한다.[429]
마르크스는 노예제 사회에서 노동은 노예노동, 봉건제에서는 소생산 행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력(Arbeitcraft) 산출로 열화된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이 진정 자유로운 의식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생산 관계와 생산력 사이의 모순이 사라진 공산주의 사회에서 가능하다고 하였다.[430] 그리고 인류는 모순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투쟁하며 사회를 발전시켜 왔는데, 이를 계급 투쟁이라고 불렀다.
계급 투쟁은 생산 관계와 생산력의 모순을 해소하여 더 높은 수준의 생산력을 수용할 수 있는 생산 관계를 구축하는 혁명 실천이다.[431] 마르크스는 인간의 의식성이 생산 관계와 생산력의 모순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당시 시대 상황은 자본주의 사회로, 노동력 산출이 노동의 열화된 형태로 기능하는 사회라고 분석했다.
5. 2. 4. 제국주의 시대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블라디미르 레닌은 카를 마르크스의 이론을 현실에 맞게 발전시키고, 정통마르크스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카를 카우츠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로자 룩셈부르크 등과 경쟁하며 레닌주의를 정립했다.[432] 이오시프 스탈린은 레닌주의를 계승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확립했다.레닌은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허구성을 지적하고, 민족자결론을 통해 세계 민족해방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433] 그는 소비에트 독재의 필요성을 주장했는데, 이는 직접민주주의, 간접민주주의, 혁명적 독재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또한 국가 무신론을 주장하며 종교 문제에 급진적으로 개입했다.

레닌주의는 혁명에 대한 입장에서도 정통마르크스주의와 차이를 보였다. 정통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 발전으로 인한 '자발적 혁명'을 주장했지만, 레닌주의자들은 자본주의 공황의 영향이 이미 러시아에 미치고 있으며, 혁명 실패는 노동자 세력 와해와 국가 탄압 때문이라고 주장했다.[434] 레닌주의는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구체적인 제도화를 계획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이를 계승했다.[435]
레닌주의는 혁명적 전위당이 이끄는 프롤레타리아 독재 수립을 통해 공산주의 건설을 제안한다. 전위당은 노동 계급에게 정치 의식과 혁명적 지도력을 제공한다.[188] 볼셰비키는 변증법적 유물론을 통해 자본주의 타도와 사회주의 제도화를 정당화하고, 혁명적 국가 정부를 통해 사회경제적 전환을 실현하려 했다.[189]
5. 2. 5. 로자 룩셈부르크의 레닌 비판
로자 룩셈부르크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원칙에는 동의했지만, 그가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원칙을 폐기했다고 비판했다.[436] 특히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이 사회주의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의 주체성을 격하시키고, 농민 동맹에 지나치게 의존한다고 지적했다.로자는 레닌의 전위당 이론과 직업 혁명가에 의한 엘리트주의가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파괴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1920년부터 볼셰비키가 러시아 내 노조를 탄압하자 레닌의 이론이 권위주의적인 정치 수단을 수반하는 자본주의라고 비판했다.[437]
로자가 주장하는 사회주의는 개별 노조, 노동자 집단이 참여하고, 그들이 직접적으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의회주의 형태의 정치 구조였다.[437]
5. 2. 6.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일원화 (마르크스-레닌주의)
레닌 사후 이오시프 스탈린은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좌익반대파와 통합반대파를 몰아냈다. 스탈린은 니콜라이 부하린을 당내 우파로 규정하고, 자신을 당의 정통 세력이라고 선전했다. 1928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당시 부하린과의 갈등이 심화되자 그를 숙청했고, 1938년에는 《볼셰비키당사》를 통해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의 해석을 독점하였다. 이를 통해 마르크스-레닌주의가 탄생했다.[404]마르크스-레닌주의는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35년 코민테른 7차 대회에서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를 중심으로 반파쇼인민전선론이 채택되었는데, 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핵심적인 투쟁 방침이 되었다. 당시 식민지 지역의 공산주의 운동가들은 통일 전선과 반파쇼인민전선론에 따라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민족주의자, 자유주의자와 동맹을 맺었다. 코민테른은 이러한 투쟁에 이론적 기초를 제공했다.
이 시기는 공산주의 확립 과정의 일반적인 틀이 형성되던 시기였다. 이때부터 공산주의는 대규모 사회 계획, 계획 경제, 중공업 중시, 토지와 산업의 전면적인 국유화, 선진 노동계급이 점유한 당의 독재, 무상 복지, 계급 투쟁을 수반한 종합적인 정치 운동이라는 인식이 확고해졌다. 이러한 내용은 본래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특징이지만,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이론적 주도권을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쥐면서 공산주의 특징의 일반적인 내용이 되었다.
5. 2. 7. 트로츠키의 혁명론 (트로츠키주의)
레프 트로츠키는 권력 투쟁에서 밀려 멕시코로 망명한 후 스탈린 비판에 집중했다. 그는 스탈린의 독재 체제가 사회주의를 타락시키는 원흉이며, 이는 관료주의로 대표된다고 주장했다. 트로츠키는 소비에트 연방을 사회주의 사회로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기형적 노동자 국가(타락한 노동자 국가)'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438]또한 트로츠키는 스탈린의 인민 전선 노선이 스페인 혁명을 망치고 프랑스에서 파시즘의 성장을 방관하게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인민 전선 노선이 '혁명이라는 대의를 위한 협조'라는 본래의 목적을 무색하게 할 정도로 극심한 분열주의를 낳았고, 공산주의자가 정권을 확실히 잡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다고 분석했다.[439]
트로츠키의 혁명론은 연속 혁명으로, 한 지역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면 이 혁명을 지속적으로 수출하여 혁명 전선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일국사회주의론을 주장한 스탈린과 대립하는 노선이었다.[440]
레닌 사후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 소련에서 추방된 트로츠키는 스탈린주의에 대항하는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스탈린주의 날조학》이 있다.
5. 2. 8. 유럽공산주의 등장
1970년대 초반부터 프랑스 공산당 등 서구의 공산당들은 유럽공산주의(Eurocommunism)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자신을 소련, 특히 스탈린주의에 대한 무비판적이며 무조건적인 지지의 전통에서 분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당들은 프랑스,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으며, 일본도 비슷한 노선을 걸었다. 프랑스 공산당의 경우 1970년대 프랑스 사회당과 함께 70% 이상의 득표율을 얻기도 했었으나, 1990년대 소련의 해체와 소련의 위성 국가들의 붕괴 이후 의석 수가 줄어들며 위상이 급격히 떨어졌다.[187]6. 공산주의에 대한 비판
부르주아 경제학에서는 공산주의를 유토피아적 체제로 보았다. 이들은 공산주의가 사람들의 근본적인 욕구를 무시하고, 개인에게 동기 부여가 되지 않아 낮은 생산성과 개인의 불행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64] 자유주의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공산주의자는 자신의 의지와 사회의 의지를 동일시한다는 점에서 완벽한 독재자"라고 비판했다.[64]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는 공산주의가 존재론을 근대화한 최종적 산물이자, 근대주의적 사고 방식에 의존하는 역사적 단계론이라고 비판한다.[64]
무정부주의(아나키즘)자들은 레닌주의가 마르크스주의에서 '국가'를 언젠가는 없어져야 할 권위체로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를 절대화시켰다고 비판한다.[64]
7. 공산주의에 대한 오해
공산주의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산주의가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독재 정치를 옹호한다는 오해이다. 이는 냉전 시대 소비에트 연방과 동구권 공산 국가들의 현실 정치에서 비롯된 것이다. 카를 마르크스 이론에서 공산주의는 민주주의보다 발전된 사회 형태로, 경제적 모순을 완전히 해소한 상태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의 공산주의 국가들은 민주주의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북한은 인민민주주의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독재 체제이다.
둘째, 공산주의가 모든 재산을 평등하게 나누고 노동의 대가도 똑같이 받는다는 오해이다. 이는 마르크스가 말한 노동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마르크스는 공산주의 사회에서 노동이 인간의 자율적인 표현이 되며, 재산과 노동의 대가는 필요와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원칙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아 불평등을 낳았다.
1840년대 이후 "공산주의"라는 용어는 "사회주의"와 구분되어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생산과 소비 모두를 사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공산주의와 생산만 사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회주의를 구분했다.[64] 마르크스는 공산주의 사회에서 생산물 분배는 "각자의 필요에 따라", 사회주의에서는 "각자의 기여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보았다.[65]
19세기 유럽에서는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용어가 종교에 대한 태도와 관련되기도 했다. 그리스도교 세계에서는 공산주의가 무신론적인 것으로 여겨졌고, 프로테스탄트 국가인 영국에서는 로마 가톨릭과 유사하게 들린다는 이유로 무신론자들이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불렀다.[66]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848년 공산당 선언 출판 당시 사회주의는 존경받았지만 공산주의는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67]
1888년까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공산주의" 대신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생산력이 사회주의 혁명에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다는 비판에 맞서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을 옹호하기 위해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의 중간 단계로 "사회주의"를 사용했다.[70]
미국에서는 붉은 공포의 영향으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가 권위주의적인 공산주의 국가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소비에트 연방의 등장으로 이 용어는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소련식 경제 계획 모델과 연관되게 되었다.[72][73]
반공주의는 공산주의가 19세기에 정치 운동이 되면서 나타났고, 반공주의자 대량 학살은 공산주의자 또는 그들의 지지자들에 대한 것으로,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반공주의자들과 정치 조직 또는 정부에 의해 자행되었다. 공산주의 운동은 창설 이후 반대에 직면해 왔으며, 이에 대한 반대는 종종 조직적이고 폭력적이었다. 이러한 반공주의적 대량 학살 운동의 상당수는 특히 냉전 기간 동안,[267] 미국과 서방 진영 동맹국들의 지원을 받았다.[268][269]
7. 1. 대한민국의 사례
대한민국에서 공산주의는 경제, 정치, 철학적, 학술적인 의미보다는 왜곡되고 적대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441] 이는 한국 전쟁의 경험으로 인해, 한국 전쟁 발발 20년 전후에 태어난 세대가 남북한 대립 상황에서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것 자체를 꺼리거나 적대시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대한민국에서는 공산주의가 철학적 이념, 정치·경제 체제뿐만 아니라 절대적인 통치 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경제 권력이 김일성, 김정일 일가에 독점되는 특유의 시스템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또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을 거치면서 공산주의가 민주주의의 반의어로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이 군인 대통령 시대를 지나 선진국형 민주주의와 전 지구적 시장경제 체제로 점차 변화하고 냉전이 종식되면서, 공산주의에 대한 공개적인 언급 자체를 금기시하는 분위기는 상당히 완화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내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은 지지 정당과 관계없이 부족한 편이다.[441]
참조
[1]
백과사전
Communism
https://www.britanni[...]
2020-06-10
[2]
백과사전
Communism
World Book
2008
[3]
서적
French and German socialism in modern times
Harper & Brothers
1883
[4]
서적
The ABC of Communism
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2021-08-18
[5]
서적
1992
[6]
서적
The Principles of Communism
2021-08-18
[7]
서적
The ABC of Communism
Communist Party of Great Britain
2021-08-18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litical Science
CQ Press
2016-01-03
[9]
웹사이트
Communism - Non-Marxian communism
https://www.britanni[...]
2022-05-13
[10]
서적
Libertarian Socialism: Politics in Black and Red
Palgrave Macmillan
[11]
학술지
Contemporary Far Left Parties in Europe: From Marxism to the Mainstream?
https://library.fes.[...]
2009
[12]
웹사이트
Left
https://www.britanni[...]
2022-05-22
[13]
웹사이트
Radical left
https://www.dictiona[...]
2022-07-16
[14]
학술지
Contemporary Far Left Parties in Europe: From Marxism to the Mainstream?
https://library.fes.[...]
2009
[15]
서적
Radical Left Parties in Europe
Routledge
[16]
서적
Dictionnaire de l'extrême gauche
https://books.google[...]
Larousse
2021-11-19
[17]
학술지
Contemporary Far Left Parties in Europe: From Marxism to the Mainstream?
https://library.fes.[...]
2009
[18]
학술지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Contemporary European Radical Left Parties: Chasing a Lost World or Still a World to Win?
https://www.research[...]
Routledge
2012-09
[19]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Progress Publishers
2022-03-01
[20]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Progress Publishers
2022-03-01
[21]
서적
The Communist Manifesto: A Road Map to History's Most Important Political Document
Haymarket Books
2005
[22]
서적
1992
[23]
서적
Comparing Economic Systems in the Twenty-First
South-Western College Pub.
2003
[24]
서적
Markets in the Name of Socialism: The Left-Wing Origins of Neoliberal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6]
서적
Fire in the Minds of Men: Origins of the Revolutionary Faith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021-08-18
[2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Commu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8]
웹사이트
IV. Glossary
https://www.washingt[...]
University of Washington
2021-08-13
[29]
서적
Roads to Dominion: Right-wing Movements and Political Power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21-08-23
[30]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1-08-23
[31]
서적
Exiles from a Future Time: The Forging of the Mid-Twentieth-Century Literary Lef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21-08-13
[32]
서적
Socialism: What Went Wrong? An Inquiry into the Theoretical and Historical Sources of the Socialist Crisis
https://www.marxists[...]
Pluto Press
[33]
백과사전
Communism
Macmillan Publishers|Macmillan Reference USA
2008
[34]
웹사이트
Communism
http://encarta.msn.c[...]
2023-06-15
[35]
서적
A History of Orthodox, Islamic, and Western Christian Political Values
Palgrave-Macmillan
2016
[36]
웹사이트
Political change and democracy in China
https://laviedesidee[...]
2023-01-13
[37]
논문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ts Changes and Implications
http://ir.lawnet.for[...]
2020-08-10
[38]
뉴스
Bug gaejeong heonbeob 'seongunsasang' cheos myeong-gi
https://www.rfa.org/[...]
2020-08-10
[3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Modern Korea: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0-09-11
[40]
뉴스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
https://www.vox.com/[...]
2020-09-11
[41]
서적
North Korea: A Country Study
http://cdn.loc.gov/m[...]
Library of Congress
2020-09-11
[42]
서적
A Socioeconomic History of North Korea
McFarland & Company
2011
[43]
문서
Chomsky 1986; Howard & King 2001; Fitzgibbons 2002
[44]
웹사이트
Socialism Means Abolishing the Distinction Between Bosses and Employees
http://www.truth-out[...]
2020-01-29
[45]
논문
Victims of Stalinism and the Soviet Secret Police: The Compa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rchival Data. Not the Last Word
1999
[46]
논문
The Scale and Nature of Stalinist Repression and Its Demographic Significance: On Comments by Keep and Conquest
2000
[47]
간행물
Starving the Ukraine
http://www.lrb.co.uk[...]
2021-08-13
[48]
논문
Ethnic Issues in the Famine of 1932–1933 in Ukraine
2009-05
[49]
서적
Stalin: A New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논문
Soviet Repression Statistics: Some Comments
http://sovietinfo.tr[...]
[51]
문서
Harff 1996; Hiroaki 2001; Paczkowski 2001; Weiner 2002; Dulić 2004; Harff 2017
[52]
논문
Le Livre noir du communisme: Crimes, terreur, répression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and Repression) by Stéphane Courtois.
1998
[53]
서적
Red Holocau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54]
논문
Russian Terror/ism and Revisionist Historiography
2007
[55]
논문
Victims of the Soviet Penal System in the Pre-War Years: A First Approach on the Basis of Archival Evidence
http://sovietinfo.tr[...]
2021-08-17
[56]
논문
Victims of Stalinism and the Soviet Secret Police: The Compa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rchival Data. Not the Last Word
http://sovietinfo.tr[...]
2021-08-17
[57]
간행물
Hitler vs. Stalin: Who Was Worse?
http://www.nybooks.c[...]
2021-08-17
[58]
웹사이트
-ism Definition & Meaning {{!}} Britannica Dictionary
https://www.britanni[...]
2023-09-26
[59]
웹사이트
Does communism work? If so, why not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08-13
[60]
논문
Quelques dates à propos des termes communiste et communisme
[61]
서적
Sandino's Communism: Spiritual Politic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4-02
[62]
웹사이트
Communism, the Word
http://commoningtime[...]
Commoning Times
2019-07-11
[63]
웹사이트
Communist
https://www.etymonli[...]
2021-08-15
[64]
서적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French and German socialism in modern times
Harper & Brothers
1883
[66]
서적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7]
서적
Preface to the 1888 English Edition of the Communist Manifesto
Penguin
2002
[68]
서적
The Lost World of Socialists at Europe's Margins: Imagining Utopia, 1870s–1920s
Bloomsbury Publishing
[69]
서적
The Revolutions in Europe, 1848–1849: From Reform to Re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0]
서적
Democratic Socialism: A Global Survey
Praeger
2000
[7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Karl Marx
https://www.oxfordha[...]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9-10
[72]
서적
Democratic Socialism: A Global Survey
Praeger
2000
[73]
백과사전
Communism
2007
[74]
학술지
Judging Nazism and Communism
Center for the National Interest
2002
[75]
문서
[76]
서적
Black Earth, Red Star: A History of Soviet Security Policy, 1917–1991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12-19
[77]
서적
Communism: A History
Random House Publishing
2001
[78]
서적
Economic Thought and Political Theory
Springer
[79]
학술지
Communism and Dictatorship in Ancient Greece and Ro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50-01-09
[80]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81]
서적
Communism: The Great Misunderstanding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82]
서적
Communism in History and Theory: From Utopian socialism to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Praeger
[83]
서적
Red Theology: On the Christian Communist Tradition
https://books.google[...]
Brill
[84]
서적
The Hutterites in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0-07-18
[85]
서적
Jesus in History, Legend, Scripture, and Tradition: A World Encyclopedia: A World Encyclopedia
ABC-CLIO
[86]
서적
From Darkness to Light: Class, Consciousness, and Salvation in Revolutionary Russi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87]
학술지
Thomas More and Commu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9-06
[88]
잡지
Communism, virtue and the ideal commonwealth in Thomas More's Utopia
https://retrospectjo[...]
University of Edinburgh
2020-12-13
[89]
학술지
The Communisitic Inclinations of Sir Thomas More
https://scholarlycom[...]
[90]
학술지
The Theological Basis of Digger Commu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4-09
[91]
학술지
Digger no Millenarian: The Revolutionizing of Gerrard Winstanle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4
[92]
서적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World History Volume Eight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93]
서적
Fire in the Minds of Men: Origins of the Revolutionary Faith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94]
백과사전
Communism
2006
[95]
서적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96]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Soviet Socialism
Praeger
1997
[97]
서적
Russia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Quest for Stability
Routledge
2010
[98]
학술지
The Marxist View of Russian Society and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07
[99]
학술지
Late Marx and the Russian Road: Marx and the 'Peripheries of Capitalism'
https://go.gale.com/[...]
1984-12
[100]
서적
A People's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library.oape[...]
Pluto Press
[101]
서적
The Socialist Alternative to Bolshevik Russia: The Socialist Revolutionary Party, 1921–39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2]
백과사전
Narodniks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103]
서적
Commun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04]
서적
Evgeny Pashukanis: A Critical Reappraisa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9-12
[105]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94-12-05
[106]
서적
After the Vote Was Won: The Later Achievements of Fifteen Suffragis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107]
서적
Lenin's Plan for Building Socialism in the USSR, 1917–1925
https://books.google[...]
Novosti Press Agency Publishing House
1976
[108]
서적
Lenin: A Political Life: Volume 1: The Strengths of Contradic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5-06-24
[109]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94-12-05
[110]
서적
The French Revolutionary Tradition in Russian and Soviet Politics, Political Thought,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11]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7-05-30
[112]
학술지
A Map of the Election to the Russian Constituent Assembly of 1917
1966-06
[113]
서적
The Socialist Alternative to Bolshevik Russia: The Socialist Revolutionary Party, 1921–39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18
[114]
학술지
Between Anarchism and Marxism: The Beginnings and Ends of the Schism
2012-05
[115]
학술지
The Soviet Union Has an Administered, Not a Planned, Economy
[116]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Stalinism
https://www.hoover.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8-12
[117]
서적
Transition and Beyond: Essays in Honour of Mario Nuti
Palgrave Macmillan
[118]
학술지
The Restoration of Capitalism in the Soviet Union
https://revolutionar[...]
2020-02-16
[119]
서적
Class Struggles in China
http://ml-review.ca/[...]
2020-02-16
[12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Communism
Oxford University Press
[121]
학술지
The Transition from War Communism to the New Economic Policy: An Analysis of Stalin's Views
[122]
학술지
Book Reviews: The Life and Times of Soviet Socialism
[123]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War II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4]
서적
The Red Book on the Moscow Trial: Documents
http://www.marxists.[...]
New Park Publications
1980
[125]
서적
Cold peace: Stalin and the Soviet ruling circle, 1945-1953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26]
서적
The Cold War: A New History
Penguin Books
2006
[127]
서적
Stalin: Revolutionary in an Era of War
Palgrave Macmillan
2006
[128]
서적
The Changing Face of China: From Mao to Marke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9]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0]
서적
China's economic policy and performance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and its aftermath
https://books.google[...]
Harvard Institut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131]
서적
Deng Xiaop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32]
잡지
Who Killed More: Hitler, Stalin, or Mao?
https://www.nybooks.[...]
2018-02-05
[133]
서적
Modern China: The Fall and Rise of a Great Power, 1850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Penguin Group
[134]
학술지
Mao: The Unknown Story
2007-03
[135]
서적
Peace Studies: Critical Concepts in Political Scien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6]
서적
Economic Policy Making In China (1949–2016): The Role of Economis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7]
서적
Mao: The Real Story
Simon & Schuster
2013
[138]
서적
49 Myths about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4
[139]
학술지
An exploration of China's mortality decline under Mao: A provincial analysis, 1950–80
2015
[140]
웹사이트
Programma kommunisticheskoy partii sovetskogo Soyuza
http://aleksandr-kom[...]
1961
[141]
학회발표
Lonely Superpower or Unapologetic Hyperpower? Analyzing American Power in the post–Cold War Era
https://web.archive.[...]
2007-02-28
[142]
서적
Kushtetuta e Republikës Popullore Socialiste të Shqipërisë: [miratuar nga Kuvendi Popullor më 28. 12. 1976]. SearchWorks (SULAIR)
http://searchworks.s[...]
8 Nëntori
1977-01-04
[143]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World History
Chambers
[144]
백과사전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2
[145]
백과사전
Communism
SAGE Publications
2011
[146]
논문
[147]
서적
In Search of Eurocommunism
https://www.palgrave[...]
Macmillan Press
1981
[148]
학술지
E. H. CarrA Personal Memoir
http://newleftreview[...]
2021-08-13
[149]
뉴스
One of the few places where a communist can still dream
https://www.washingt[...]
2023-08-10
[150]
웹사이트
Cuban Revolution
https://www.britanni[...]
2023-06-15
[151]
뉴스
Deklaratsiya Soveta Respublik Verkhovnogo Soveta SSSR v svyazi s sozdaniyem Sodruzhestva Nezavisimykh Gosudarstv
http://vedomosti.sss[...]
1991
[152]
뉴스
The End of the Soviet Union; Text of Declaration: 'Mutual Recognition' and 'an Equal Basis'
https://www.nytimes.[...]
2013-03-30
[153]
뉴스
Gorbachev, Last Soviet Leader, Resigns; U.S. Recognizes Republics' Independence
https://www.nytimes.[...]
2015-04-27
[154]
서적
Contemporary Political Ideologies: A Comparative Analysis
https://archive.org/[...]
Wadsworth Publishing
[15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cialism
Rowman & Littlefield
[156]
뉴스
Nepal's election The Maoists triumph
http://www.economist[...]
2009-10-18
[157]
뉴스
The (Re)Birth of the Nepal Communist Party
https://thediplomat.[...]
2020-11-29
[158]
웹사이트
Fighting Poverty: Findings and Lessons from China's Success
http://econ.worldban[...]
World Bank
2006-08-10
[159]
학술지
Contemporary Far Left Parties in Europe: From Marxism to the Mainstream?
https://library.fes.[...]
2009
[160]
서적
Economics: Marxian versus Neoclassical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1]
서적
The German Ideology
1845
[162]
서적
Encyclopedia of Political Economy
Routledge
[163]
백과사전
Communism
http://www.bartleby.[...]
[164]
학술지
Classical Marxism and the question of reformism
http://isj.org.uk/cl[...]
2019-12-19
[165]
서적
The Algebra of Revolution: The Dialectic and the Classical Marxist Tradition
Routledge
[166]
서적
History and Class Consciousness
Merlin Press
2021-09-22
[167]
서적
Marx & Engels Selected Works
Progress Publishers
1969
[168]
서적
Principles of Communism
https://www.marxists[...]
Progress Publishers
[169]
학술지
Soviet Democracy, 1917–91
https://library.fes.[...]
SAGE Publications
2021-08-19
[170]
서적
Trotsky and the Problem of Soviet Bureaucracy
Brill
2014
[171]
학술지
The Illusion of the Economic: Social Theory without Social Forms
2020-03-01
[172]
학술지
Engelsismen
https://fronesis.nu/[...]
2020-12-01
[173]
서적
Social Structure and Forms of Consciousness
Monthly Review Press
2010
[174]
서적
John Ruskin's political economy
Routledge
2000
[175]
서적
Reading Capital
https://www.marxists[...]
Verso Editions
[176]
논문
From Marx to Hegel and Back
Bloomsbury Academic
2020
[177]
저널
Ekonomi
[178]
서적
Time, labor, and social domination: a reinterpretation of Marx's critical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9]
웹사이트
John Ruskin: En brittisk 1800-talsaristokrat för vår tid? - OBS
https://sverigesradi[...]
Sveriges Radio
2019-02-07
[180]
웹사이트
Marx? Which Marx? Marx's work and its history of reception
https://www.eurozine[...]
2009-12-21
[181]
웹사이트
Toward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https://mronline.org[...]
2020-12-10
[182]
저널
The Illusion of the Economic: Social Theory without Social Forms
2020-03-01
[183]
뉴스
Overreliance on the Pseudo-Science of Economics
https://www.nytimes.[...]
[184]
저널
Introduction: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http://crisiscritiqu[...]
2016
[185]
문서
Free will, non-predestination and non-determinism are emphasized in Marx's famous quote "Men make their own history".
[186]
서적
But, the transformation{{snd}}either into joint-stock companies and trusts, or into State-ownership{{snd}}does not do away with the capitalistic nature of the productive forces.
Engels
[187]
서적
Collected Works
[188]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1999
[189]
백과사전
Leninism
[190]
잡지
Мифы и реальность
1989
[191]
잡지
Sotsializm segodnya: opyt i novaya teoriya
1996
[192]
저널
Comment on Wallerstein
Synthesis Publications
1981
[193]
서적
North Korea Under Communism: Report of an Envoy to Paradise
Routledge
2002
[194]
서적
"Marxism–Leninism' was the formal name of the official state ideology adopted by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 its satellite states in Eastern Europe, the Asian communist regimes, and various 'scientific socialist' regimes in the Third World during the Cold War.
Morgan
[195]
서적
As communist Parties emerged around the world, encouraged both by the success of the Soviet Party in establishing Russia's independence from foreign domination and by clandestine monetary subsidies from the Soviet comrades, they became identifiable by their adherence to a common political ideology known as Marxism–Leninism.
Morgan
[196]
저널
Entering a Theoretical Void: The Theory of Social Fascism and Stalinism in the German Communist Party
[197]
서적
In Stalins Gefolgschaft: Moskau und die KPD 1928–1933
Oldenbourg Verlag
[198]
서적
On Khrushchev's Phoney Communism and Its Historical Lessons for the World
http://www.marxists.[...]
Foreign Languages Press
[199]
서적
Imperialism and the Revolution
https://www.marxists[...]
Foreign Language Press
[200]
서적
Marx/Engels Collected Works
[201]
서적
The proletariat seizes the public power, and by means of this transforms the socialized means of production, slipping from the hands of the bourgeoisie, into public property.
Engels
[202]
서적
History for the IB Diploma: Communism in Crisis 1976–89
[203]
서적
A Documentary History of Communism in Russia
University of Vermont Press
1993
[204]
서적
Trotsky and the Problem of Soviet Bureaucracy
https://books.google[...]
BRILL
2014-05-08
[205]
저널
Socialism in One Country: A Reassessment
https://www.jstor.or[...]
1998
[206]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207]
서적
The Revolution Betrayed: What is the Soviet Union and where is it Going?
https://books.google[...]
Mehring Books
1991
[208]
서적
The Trotsky Reappraisal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2
[209]
서적
Marxism and Literary Critic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3-07
[210]
서적
Trotsky, Trotskyism and the Transition to Social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11-19
[211]
서적
Leon Trotsky : a revolutionary's lif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11
[212]
서적
The Theory of Revolution in the Young Marx
https://books.google[...]
Haymarket Books
2005
[213]
학술지
Trotsky and His Interpreters; or, Will the Real Leon Trotsky Please Stand up?
https://www.jstor.or[...]
1992
[214]
서적
Trotsky: The Eternal Revolutionar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8-06
[215]
잡지
The Transitional Program
http://www.marxists.[...]
2008-11-05
[216]
잡지
A Letter to Trotskyists Throughout the World
http://www.bolshevik[...]
1953-11-16
[217]
학술지
On the Problem of Trotskyism
https://www.peacelan[...]
2022-02-11
[218]
서적
Solidarity in Poland, 1980-1981 and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ehring Books
1989
[219]
학술지
Leninism and Maoism: Some Populist Perspectives on Marxism-Leninism in China
1971-01
[220]
문서
2001
[221]
웹사이트
On Marxism-Leninism-Maoism
http://library.redsp[...]
Communist Party of Peru
2020-01-20
[222]
뉴스
Le PCF et l'eurocommunisme: l'ultime rendez-vous manqué?
https://www.mediapar[...]
2023-02-09
[223]
백과사전
Eurocomunismo
https://www.treccani[...]
2021-09-22
[224]
잡지
Libertarian Marxism's Relation to Anarchism
https://theanarchist[...]
[225]
서적
Non-Leninist Marxism: Writings on the Workers Councils
Red and Black Publishers
2007
[226]
웹사이트
Trotsky, the Left Opposition and the Rise of Stalinism: Theory and Practice
http://libcom.org/li[...]
2021-08-31
[227]
잡지
The Retreat of Social Democracy ... Re-imposition of Work in Britain and the 'Social Europe'
http://libcom.org/li[...]
2021-08-31
[228]
서적
Libertarian communism: Marx Engels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Freedom
Palgrave Macmillan
2007
[229]
학술지
The Principle of Self-Emancipation in Marx and Engels
http://socialistregi[...]
2015-04-25
[230]
강의
Government In The Future
http://www.chomsky.i[...]
Poetry Center of the New York YM-YWHA
[231]
웹사이트
A libertarian Marxist tendency map
http://libcom.org/li[...]
libcom.org
2011-10-01
[232]
웹사이트
Yanis Varoufakis thinks we need a radically new way of thinking about the economy, finance and capitalism
https://www.ted.com/[...]
TED
2019-04-14
[233]
뉴스
Yanis Varoufakis: We leftists are not necessarily pro public sector – Marx was anti state
https://www.newslett[...]
2019-04-14
[234]
학술지
On Council Communism
[235]
잡지
The New Blanquism
https://www.marxists[...]
2020-07-31
[236]
학술지
Anarchism and Council Communism on the Russian Revolution
https://www.lwbooks.[...]
Lawrence & Wishart Ltd.
2022-05-27
[237]
서적
Anton Pannekoek and the Socialism of Workers' Self-Emancipation, 1873-1960
Kluwer
[238]
서적
Non-Market Socialism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St. Martin's Press
[239]
잡지
Socialism and Labor Unionism
https://www.marxists[...]
2020-07-31
[240]
웹사이트
The Communist Left in the Third International
https://www.marxists[...]
2021-09-23
[241]
웹사이트
Dialogue with Stalin
https://www.marxists[...]
Marxists Internet Archive
2019-05-15
[242]
서적
The Bolshevik Party in Conflict: The Left Communist Opposition of 1918
Palgrave MacMillan
1991
[243]
웹사이트
The Legacy of De Leonism, part III: De Leon's misconceptions on class struggle
http://en.internatio[...]
2000
[244]
서적
Italian Marx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45]
서적
From Politics Past to Politics Future: An Integrated Analysis of Current and Emergent Paradigm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46]
서적
Anarchism for Know-It-Alls
Filiquarian Publishing
[247]
웹사이트
Anarchism and Communism. Northeastern Anarchist No. 4. 1922
http://dwardmac.pitz[...]
2002-10-13
[248]
웹사이트
Constructive Section
http://www.nestormak[...]
[249]
서적
What is Anarchist Communism?
http://www.theanarch[...]
2011-01-19
[250]
서적
Leaving the 20th century: the incomplete work of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Rebel Press
1998
[251]
서적
Towards the creative Nothing
http://www.theanarch[...]
[252]
서적
Bob Black. ''Nightmares of Reason''
http://www.theanarch[...]
2010-11-01
[253]
웹사이트
Communism and Anarchy
http://www.theanarch[...]
1901
[254]
서적
Organisational Platform of the Libertarian Communists
http://www.theanarch[...]
1926
[255]
웹사이트
MY PERSPECTIVES – Willful Disobedience Vol. 2, No. 12
http://www.reocities[...]
[256]
웹사이트
The Sources of Early Christian Communism
https://churchlifejo[...]
2019-07-30
[257]
서적
Foundations of Christianity
http://www.marxists.[...]
Atheneum Books|Russell & Russell
1953
[258]
서적
All Things in Common The Economic Practices of the Early Christians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7
[259]
서적
Origins of Christianity
Carleton
[260]
서적
Political Grace. The Revolutionary Theology of John Calvi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61]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Cassell (publisher)|Cassell
[262]
서적
The Apostles
Zondervan
[263]
서적
Encyclopedia of Catholic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64]
잡지
Yegor Letov: Russkiy Proryv
http://grob-hroniki.[...]
1995-07-12
[265]
harvp
[266]
웹사이트
Why Communism Failed
https://fee.org/arti[...]
1991-03-01
[267]
서적
The Legacy of Nuremberg: Civilising Influence or Institutionalised Vengeance?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www.brill.com[...]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
[268]
서적
State Terrorism and Neoliberalism: The North in the South
http://www.routledge[...]
Routledge
2009
[269]
서적
State Violence and Genocide in Latin America: The Cold War Years (Critical Terrorism Studies)
https://www.routledg[...]
Routledge
[270]
잡지
How 'Jakarta' Became the Codeword for US-Backed Mass Killing
https://www.nybooks.[...]
2020-05-18
[271]
서적
Washington Bullets: A History of the CIA, Coups, and Assassinations
Monthly Review|Monthly Review Press
2020
[272]
harvp
[272]
harvp
[272]
harvp
[272]
harvp
[272]
harvp
[272]
harvp
[273]
서적
Century of Genocide: Critical Essays and Eyewitness Account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74]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5]
서적
Purify and Destroy: The Political Uses of Massacre and Genocid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76]
서적
Resisting Genocide: The Multiple Forms of Rescu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77]
서적
Final Solutions: Mass Killing and Genocide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78]
서적
Genocide: A Sociological Perspective; Contextual and Comparative Studies I: Ideological Genocid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79]
학술지
Racism, Marxism, Labelling, and Genocide in Ben Kiernan's 'The Pol Pot Regime'
SAGE Publications
1997-07
[280]
서적
The Historiography of Genocide
Palgrave Macmillan
2008
[281]
harvard
[282]
서적
Final Solutions: Mass Killing and Genocide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283]
학술지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By Stéphane Courtois, Nicolas Werth, Jean-Louis Panné, Andrzej Paczkowski, Karel Bartošek, and Jean-Louis Margolin. Trans. Jonathan Murphy and Mark Kramer.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xx, 858 pp. Notes. Index. Photographs. Maps. $37.50, hard bou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84]
서적
'Roter Holocaust'? Kritik des Schwarzbuchs des Kommunismus
Konkret Verlag Literatur
1998
[285]
학술지
On the Primacy of Ideology: Soviet Revisionists and Holocaust Deniers (In Response to Martin Malia)
2004
[286]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1-08-12
[287]
학술지
From National Victims to Transnational Bystanders? The Changing Commemoration of World War II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2009
[288]
학술지
Secondary Anti-Semitism: From Hard-Core to Soft-Core Denial of the Shoah
2008
[289]
서적
Final Solutions: Mass Killing and Genocide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290]
학술지
Explaining the onset of mass killing, 1949–87
2010
[291]
학술지
Review: Second-Generation Comparative Research on Genoc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92]
서적
Totalitarianism at the crossroads
Social Philosophy & Policy Center
1990
[293]
서적
Communism: a history
Modern Library
2001
[294]
서적
The Dark Side of Democracy: Explaining Ethnic Cleans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8-28
[295]
학술지
Review: The Lost Literature of Socialism
1999
[296]
뉴스
Cienīga atbilde: Soviet Story
http://www.lv.lv/?me[...]
2008-06-15
[297]
웹사이트
Socialism as a hate crime
https://newcriterion[...]
2021-10-22
[298]
뉴스
100 Years of Communismand 100 Million Dead
https://www.wsj.com/[...]
2021-10-22
[299]
harvard
[300]
뉴스
How British colonialism killed 100 million Indians in 40 years
https://www.aljazeer[...]
2022-12-14
[301]
웹사이트
Holocaust Revisionism, Ultranationalism, and the Nazi/Soviet 'Double Genocide' Debate in Eastern Europe
https://www.wilsonce[...]
Wilson Center
2020-11-14
[302]
학술지
Ideology, Memory and Religion in Post-Communist East Central Europe: A Comparative Study Focused on Post-Holocaust
http://jsri.ro/ojs/i[...]
2016
[303]
뉴스
Latvia's 'Soviet Story'. Transitional Justice and the Politics of Commemoration
https://satori.lv/ar[...]
2021-08-06
[304]
서적
The Actuality of Communism
Verso Books
2014
[305]
서적
The Road to Disillusion: From Critical Marxism to Post-Communism in Eastern Europe
Taylor & Francis
2015
[306]
웹사이트
The Communist Legacy: Pros and Cons in Retrospect
https://www.research[...]
2008
[307]
학술지
Hegemonic representations of the past and digital agency: Giving meaning to 'The Soviet Story' on social networking sites
2015
[308]
학술지
Advocating for the Cause of the 'Victims of Communism' in the European Political Space: Memory Entrepreneurs in Interstitial Fiel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309]
학술지
A History of Post-Communist Remembrance: From Memory Politics to the Emergence of a Field of Anticommunism
2020
[31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uropean History, 1914–194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311]
뉴스
The Forgotten Millions
https://www.theatlan[...]
2020-12-20
[312]
학술지
Anti-Communism: It's High Time to Diagnose and Counteract
https://www.ceeol.co[...]
Adam Mickiewicz University in Poznań
2020-12-26
[313]
서적
Purify and Destroy: The Political Uses of Massacre and Genocid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314]
학술지
A Tale of 'Two Totalitarianisms': The Crisis of Capitalism and the Historical Memory of Communism
http://scholar.harva[...]
2014
[315]
서적
The Criminalisation of Communism in the European Political Space after the Cold War
Routledge
2018
[316]
논문
Great Men and Large Numbers: Undertheorising a History of Mass Killing
2012-05-00
[317]
웹사이트
In Modern Dictatorships, Communism's Legacy Lingers On
https://freedomhouse[...]
2023-08-05
[318]
논문
The Legacy of Communism in Eastern Europe
https://www.jstor.or[...]
1991-00-00
[319]
서적
The Great Leveler: Violen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from the Stone Age to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0]
서적
The Great Leveler: Violen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from the Stone Age to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0-00
[321]
서적
The Great North Korean Famine
Institute of Peace Press
2002-00-00
[322]
서적
Europe Since 1989: A History
https://press.pri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3]
서적
Taking Stock of Shock: Social Consequences of the 1989 Revolu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0-00
[324]
서적
The Great Leveler: Violen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from the Stone Age to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5]
서적
The Capital Order: How Economists Invented Austerity and Paved the Way to Fascism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2-00-00
[326]
문서
[327]
논문
Changing life expectancy in Romania after the transition
https://jech.bmj.com[...]
2021-01-04
[328]
웹사이트
The Effects of Communism on Romania's Population
https://www.research[...]
2021-01-04
[329]
논문
Neoliberal Doctrine Meets the Eastern Bloc: Resistance, Appropriation and Purification in Post-Socialist Spaces
https://www.tandfonl[...]
2013-09-04
[330]
웹사이트
25 Years of Reforms in Ex-Communist Countries
https://www.cato.org[...]
2023-07-07
[331]
서적
From Triumph to Crisis: Neoliberal Economic Reform in Postcommunist Count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0-00
[332]
논문
After the Wall Fell: The Poor Balance Sheet of the Transition to Capitalism
[333]
서적
Red hangover: legacies of twentieth-century communism
Duke University Press
2017-10-00
[334]
뉴스
Confidence in Democracy and Capitalism Wanes in Former Soviet Union
http://www.pewglobal[...]
2018-11-24
[335]
웹사이트
End of the USSR: visualising how the former Soviet countries are doing, 20 years on {{!}} Russia
https://theguardian.[...]
2021-01-21
[336]
웹사이트
European Public Opinion Three Decades After the Fall of Communism
https://www.pewresea[...]
2023-06-15
[337]
뉴스
Europe's communist regimes began to collapse 30 years ago, but still shape political views
https://www.washingt[...]
2022-08-20
[338]
웹사이트
The Communist Horizon
https://marxandphilo[...]
2018-10-29
[339]
서적
The Left Side of History: World War II and the Unfulfilled Promise of Communism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340]
문서
[34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Neoliberal Order: America and the World in the Free Market Era
https://global.oup.c[...]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0-00
[342]
뉴스
One Recipe for a More Equal World: Mass Death
https://www.vice.com[...]
2022-06-27
[343]
사전
広辞苑(第六版)「私有財産制を否定して共有財産制を実現することで」
[344]
사전
オックスフォード・オンライン辞典「全ての財産が共同体によって所有され、各人は能力に応じて働き必要に応じて受け取る社会機構に関する学説または制度 (a theory or system of social organization in which all property is owned by the community and each person contributes and receives according to their ability and needs.)」
http://oxforddiction[...]
[345]
사전
「全ての財産が共同で保持され、実際の所有は全体としての社会または国家に帰せられることに基礎をおいた社会機構に関する学説または制度 (a theory or system of social organization based on the holding of all property in common, actual ownership being ascribed to the community as a whole or to the state. )」
http://dictionary.re[...]
[346]
사전
「財産の集団的な所有や、全構成員の共通利益のための労働の組織を特徴とする、理論的な経済システム(A theoretical economic system characterized by the collective ownership of property and by the organization of labor for the common advantage of all members.)」
http://www.thefreedi[...]
[347]
사전
「財産(特に土地や生産手段)を共有する社会システム」(A system of social organization in which property (especially real property and the means of production) is held in common. )"
[348]
사전
大日本百科辞典(ジャポニカ)「コミュニズムの訳。これは共有財産を意味するラテン語の[[コムーネ]]からきた言葉で、人間が人間を支配し、搾取することのない社会体制(共産社会)、あるいはその実現を目標とする思想。今日では一般にマルクス主義ないしマルクス=レーニン主義の意味に使われている。」
[349]
서적
エポカ 新版
旺文社
[350]
서적
現代政治学小辞典
有斐閣双書
[351]
논문
Quelques dates à propos des termes communiste et communisme
[352]
웹사이트
Communism, the Word
http://commoningtime[...]
Commoning Times
2019-07-11
[353]
어원
communist
[354]
서적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55]
서적
From Marx to Mises: Post-Capitalist Society and the Challenge of Economic Calculation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356]
서적
From Marx to Mises: Post-Capitalist Society and the Challenge of Economic Calculation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357]
서적
Democratic Socialism: A Global Survey
Praeger
2000-01-01
[358]
웹사이트
社会主義と共産主義の違いは?
https://www.jcp.or.j[...]
2022-03-08
[359]
웹사이트
民主社会主義とは
https://kotobank.jp/[...]
2022-03-08
[360]
웹사이트
社会民主主義とは
https://kotobank.jp/[...]
2022-03-08
[361]
서적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62]
서적
Preface to the 1888 English Edition of the Communist Manifesto
Penguin
[363]
논문
1848 in European Collective Memory
[364]
서적
マルクスを読む
青土社
[365]
서적
共産党宣言
岩波文庫
[366]
서적
ゴータ綱領批判
国民文庫
[367]
서적
現在の革命におけるプロレタリアートの任務について
大月書店
[368]
서적
フランス社会主義と初期マルクス
状況出版
[369]
서적
空想から科学へ
大月書店
[370]
용어
Assoziation
[371]
서적
From Politics Past to Politics Future: An Integrated Analysis of Current and Emergent Paradigms
https://books.google[...]
Books.google.com
1999-01-01
[372]
서적
Anarchism for Know-It-Alls
https://books.google[...]
Books.google.com
2008-01-01
[373]
웹사이트
Anarchism and Communism
http://dwardmac.pitz[...]
2002-10-13
[374]
웹사이트
The Organizational Platform of the Libertarian Communists
http://www.nestormak[...]
[375]
서적
Mutual Aid: A Factor of Evolution
Freedom Press
[376]
웹사이트
Supplement to the Organizational Platform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nestormak[...]
1926-11-02
[377]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flag.blackene[...]
2010-01-06
[378]
서적
The Problem of Work
[379]
서적
Manifesto
1911-09-23
[380]
서적
The Conquest of Bread
http://dwardmac.pitz[...]
[381]
서적
Leaving the Twentieth Century
[382]
웹사이트
Towards the creative Nothing
http://www.theanarch[...]
[383]
웹사이트
Nightmares of Reason
http://www.theanarch[...]
[384]
성서
欽定訳聖書
[385]
서적
国家 (上)
岩波書店
[386]
서적
プラトンの呪縛:二十世紀の哲学と政治
講談社
1998
[38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6-10
[388]
서적
Communism: The Great Misunderstanding
Amazon Digital Services LLC - Kdp
2019
[389]
웹사이트
共産党宣言
http://page.freett.c[...]
[390]
문서
Holmes 2009
[391]
문서
소비에트 연방 명칭
[392]
문서
위성국
[393]
문서
일본 공산당(좌파) 및 일본 신좌익
[394]
문서
유로 공산주의, 비동맹 및 평화주의
[395]
문서
일본 공산당(좌파)
[396]
문서
1990년대 후반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만성적인 전력 부족
2022-10
[397]
서적
베트남 신시대
岩波新書
2008
[398]
문서
스페인 공산당 등 유로 공산주의 계열 정당과 일본 공산당
[399]
웹사이트
Resolution 1481 (2006): Need for international condemnation of crimes of totalitarian communist regimes
http://assembly.coe.[...]
2006-01-25
[400]
웹사이트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http://www.togenkyo.[...]
[401]
웹사이트
붉은 말
http://lesenaokna.wo[...]
[402]
웹사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http://naenara.com.k[...]
[403]
저널
Quelques dates à propos des termes communiste et communisme
1983
[404]
서적
From Marx to Mises: Post-Capitalist Society and the Challenge of Economic Calculation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92
[405]
서적
From Marx to Mises: Post-Capitalist Society and the Challenge of Economic Calculation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92
[406]
서적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407]
서적
Preface to the 1888 English Edition of the Communist Manifesto
Penguin
2002
[408]
서적
A Comprehensive Commentary on the Quran comprising Sale's translation and Preliminary Discourse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882
[409]
서적
The Revolution of 1525: The German Peasants' War from a New Perspectiv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1
[410]
서적
The Revolutions of 1848
Random House
1973
[411]
서적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III
2005
[412]
문서
프루동의 주택 문제 해결 방안
[413]
서적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IV
2005
[414]
문서
Milza, 2009b
[415]
서적
The Great war
Longman
2007
[416]
서적
The Soviet colossus : the rise and fall of the USSR
https://archive.org/[...]
M.E. Sharpe
1993
[417]
서적
Three "whys" of the Russian Revolution
Vintage Books
1997
[418]
서적
The Bolsheviks Come to Power: The Revolution of 1917 in Petrograd
Pluto Press
2004
[41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http://www.marxists.[...]
[420]
서적
Workers of the World and Oppressed Peoples, Unite!
[421]
백과사전
Communist International
Great Soviet Encyclopedia
[422]
서적
Twilight of the Comintern
[423]
웹사이트
Dissolution of the Communist International
http://www.marxists.[...]
[424]
서적
책들의 사업 (The Business of Books)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425]
서적
국가
올재
2012
[426]
웹사이트
『태양의 나라』 본문
https://it.wikisourc[...]
[427]
서적
Итальянское возрождение. Проблемы и люди
РГГУ
1995
[428]
서적
«Город Солнца»: утопия и наука
Наука
1978
[429]
서적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I
2005
[430]
서적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I
2005
[431]
서적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I
2005
[432]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Third Edition
1999
[433]
서적
The Impact of Russian Culture on Soviet Communism
1953
[434]
서적
The New Penguin Dictionary of Modern History
1991
[435]
서적
Lenin’s Last Struggle
1969
[436]
웹사이트
В. И. Ленин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том 36 В. И. ЛЕНИН стр. 10
http://vilenin.eu/t3[...]
2012-06-04
[437]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 Chapter 6
http://www.marxists.[...]
[438]
웹사이트
Leon Trotsky: The Workers' State, Thermidor and Bonapartism (1935)
http://www.marxists.[...]
[439]
서적
Eurocommunism and the State
[440]
웹사이트
Socialism in one country or permanent revolution
http://www.wsws.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2013-06-03
[441]
뉴스
대한민국은 이제 반공주의를 버려야 한다
http://www.dailynk.c[...]
데일리 NK
2010-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