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어는 몽골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몽골 문자와 키릴 문자를 함께 사용하며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다. 13세기 초 위구르 문자를 기반으로 몽골 문자가 채택되었으며, 20세기에는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가 도입되었다. 몽골어는 8개의 격을 가진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서술어 어순을 따른다. 어휘는 튀르크어,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되었으며, 현대에는 러시아어와 영어의 영향도 받는다. 한국어와 몽골어는 어휘에서 일부 연관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몽골의 상징 - 몽골의 국기
    몽골의 국기는 몽골의 역사를 담아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1992년 민주주의 헌법 채택 이후 현재의 국기가 사용되고 파랑, 빨강, 노랑의 색상과 2011년 제정된 색상 기준을 가진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몽골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몽골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몽골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몽골어
고유 이름lang: mn
text: 몽골 хэл
lang: mn
text: MongolUnicode|ᠮᠣᠩᠭᠣᠯ|lang=mn MongolUnicode|ᠬᠡᠯᠡ|lang=mn
#td: 키릴 문자: ,
#td: Traditional 몽골 문자: ,
#td: Image: [[File:Monggol kele.svg|25px|text-top]]
#
#
발음IPA: mɔŋɢɔɬ xeɬ
IPA: ˈmɔ̙̃ɴɢɞ̜̆ɮ çe̝ɮ
IPA-mn: ˈmɔɴ.ɢəɮ xiɮ
사용 국가몽골
중국 (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러시아 (칼미크 공화국, 칼미크어)
사용 지역몽골 고원
사용자500만–600만 명 (몽골 제어)
사용 민족몽골족
부랴트족
칼미크족
언어 계통알타이어족 (논쟁 중)
몽골어족
중부 몽골어
부랴트-몽골어
문자몽골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
파스파 문자 (역사적)
아랍 문자 (역사적)
한자 (역사적)
위구르-몽골 문자
공용어 지정 국가몽골
중국 (내몽골 자치구)
언어 관리 기관몽골: 국가 언어 위원회
내몽골 자치구: 국가 언어문학공작위원회
ISO 639-1mn
ISO 639-2mon
ISO 639-3mon
Glottologmong1331
Glottolog 참조몽골어
방언
주요 방언할하 방언
오이라트 방언
주변 몽골어
표준어할하 몽골어 (몽골)
차하르 몽골어 (중국)
오이라트 몽골어
지도
몽골어 사용 지역
몽골어 사용 지역

2. 역사

초기 몽골어는 선비어, 오환어 등에서 사용된 고유 룬 문자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13세기 초, 칭기즈 칸위구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몽골 문자를 채택하여 몽골 제국의 공식 문자로 사용하였다. (塔塔統阿), (比俚伽普華) 등 위구르인들이 이 과정에 참여했다. 가장 초기의 몽골어 텍스트는 이순게의 비문(Чингисов_камень)일 수 있는데, 이는 1224년 또는 1225년으로 추정되는 몽골 문자로 된 스포츠에 관한 보고서이다.[7] 키라코스 오브 간자크가 편집한 55개의 단어로 된 몽골어-아르메니아어 단어 목록(13세기)은 몽골어 단어의 첫 번째 기록이다.[8]

원나라 시기에는 몽골어가 '국어(國語)'로 불렸으며, 파스파 문자가 공용 문자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6] 예순 테무르 칸의 칙령(1328)에서 사용된 파스파 문자는 완전한 중세 몽골어 모음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6]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몽골어 텍스트는 위구르 몽골 문자(UM), 파스파 문자(Ph), 한자(SM) (''몽골비사''), 아랍 문자(AM) (사전에 사용됨)의 4개의 문자로 기록되었다.[9]

16세기 이후 티베트 불교가 확산되면서 티베트 문자로 몽골어를 표기하는 경우도 많았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고전 몽골어 시기로, 철자법과 구문론에서 높은 수준의 표준화를 가진 문어로서, 이후의 현대 몽골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이 언어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문서는 몽골어 강경과 단경[12]뿐만 아니라 여러 연대기이다.[13] 1686년에는 소욤보 문자 (불교 경전)가 만들어져, 초기 고전 몽골어의 음운론적 특징에 대한 독특한 증거를 제공했다.[14]

20세기 초 몽골 인민 공화국은 소련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를 도입하였으며, 1941년 공식 문자로 채택하였다. 이는 문맹률 감소에 기여하였다. 몽골어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키릴 문자에 Өmn와 Үmn 두 개의 모음을 추가한 것이다.

1990년대 민주화 이후 몽골 문자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국민들의 낮은 관심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여전히 몽골 문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소수민족 우대 정책으로 인해 몽골어 사용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2020년부터 중국 정부가 내몽골 지역 학교에서 중국어 교육을 강화하면서 몽골족의 반발을 샀다.

3. 문자

몽골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 온 언어 중 하나이다. 초기에는 고유의 룬 문자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920년에 채택된 거란 대자는 초기 몽골 문자 중 하나이다.[124] 테무진이 1204년에 채택한 전통적인 몽골 문자위구르 문자에서 발전한 것이다.[124] 1930년대 초 라틴 문자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125] 1941년에 키릴 문자가 공식 채택되었다.[126]

울란바토르에 있는 담딘 수흐바타르 동상에는 몽골 문자와 몽골 키릴 문자가 함께 새겨져 있다.


몽골 키릴 문자는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영향으로 도입되었으며, 1941년 정부 법령에 의해 의무화되었다.[126] 키릴 문자 도입은 문해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여, 1941년에서 1950년 사이에 문맹률이 17.3%에서 73.5%로 감소하였다.[126] 몽골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키릴 문자에 Ө, Ү 두 글자를 추가한 것이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전통 문자를 재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127] 현재는 전자 텍스트 제작 등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도 한다.[128]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에서는 전통적인 몽골 문자가 사용되고 있으며,[129]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오이라트족은 토드 문자를 사용한다.[130]

2020년 3월, 몽골 정부는 2025년까지 공식 문서에 키릴 문자와 전통 몽골 문자를 병기할 계획을 발표했다.[131][132][133]

몽골어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대문자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ӨП
소문자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өп
음가



대문자РСТУҮФХЦЧШЩЪЫЬЭЮЯ
소문자рстуүфхцчшщъыьэюя
음가



몽골어 키릴 문자에서 кmn, пmn, фmn, щmn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4. 방언

몽골어는 방언 연속체로서, 방언 간 차이가 적지만 멀리 떨어진 방언 간에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26] 음운론적, 어휘적 연구는 비교적 잘 발달했지만, 다양한 변이 간의 비교 형태 통사론적 연구 기반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27][28]

몽골어의 방언 구분은 논쟁적인 문제이며, 주요 변이에 대한 기존 데이터는 공통적인 언어학적 기준에 따라 쉽게 정리되지 않는다.[26] 몽골어 방언은 크게 할하 몽골어, 코르친 몽골어, 오르도스 몽골어, 오이라트어, 함니간 몽골어, 부랴트어 등으로 나뉜다.



현대 몽골어의 몽골어족 계통수에서의 위치


몽골국에서는 할하 몽골어가 표준어이며, 몽골 문자로 표기된다.[46] 중국 내에서는 차하르 몽골어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 몽골어가 전통 몽골 문자로 표기되며 사용된다.[46][47] 두 표준어는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중세 몽골어의 파찰음 *와 *는 몽골에서 와 로, 내몽골에서는 와 로 분화되었다.[50]

중세 몽골어내몽골몽골의미
*[][]
*[][]
*[][] 가다
*[][]



어휘 사용에서도 차이가 있어, 몽골국에서는 러시아어 차용어가, 내몽골에서는 중국어 차용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51]

5. 음운

다음 설명은 주로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에서 사용되는 할흐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오르도스, 코르친, 심지어 차하르와 같은 다른 방언의 음운론은 상당히 다르다.[52] 이 절에서는 모음, 자음, 음운 배열 및 강세에 대한 하위 섹션과 함께 할흐 몽골어의 음운론에 대해 논의한다.

최대 음절은 CVVCCC이며, 여기서 마지막 C는 어말 접사이다. 단모음 하나는 음절 종결 위치에 드물게 나타난다. 단어가 역사적으로 단음절이었다면, *CV는 CVV가 되었다. 고유어에서 다음 자음은 어두에 나타나지 않는다: , , , , , , , 그리고 . 은 코다로 제한되며(그렇지 않으면 이 된다), 와 는 역사적인 이유로 코다에 나타나지 않는다. 두 자음 군집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약이 적용된다:


  • 구개음화 자음은 다른 구개음화 자음이나 때로는 및 앞에만 올 수 있다.
  • 은 및 앞에만 올 수 있다.
  • 는 두 번째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 것 같다.
  • 와 는 첫 번째 자음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두 번째 자음으로는 또는 또는 그들의 구개음화 대응이 앞에 오는 경우에만 나타난다.


이러한 제약에 부합하지 않는 군집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되는 음절화 과정에서 삽입 비음운 모음으로 분리된다. 예를 들어, '둘', '일', 그리고 '중립'은 음운적으로 각각 , , 이다. 이러한 경우, 허용되지 않는 자음 군집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 모음이 삽입된다. 따라서 위에 제시된 예에서, 단어들은 음성적으로 , , 그리고 이다. 삽입 모음의 음성적 형태는 선행 음절의 모음에 의해 유발되는 모음 조화에서 비롯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소리의 중설화된 버전이며,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가 선행하면 가 생성되고, 는 단어의 앞부분에 중립이 아닌 모음이 있으면 무시되며, 치경후음 또는 구개음화 자음은 가 삽입되어 뒤따른다(예: ).

몽골어의 강세는 비음운적(다른 의미를 구별하지 않음)이며, 따라서 음절 구조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강세 위치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은 크게 엇갈린다.[65] 대부분의 몽골어 원어민 언어학자들은 어떤 방언을 사용하든 강세가 첫 음절에 온다고 주장한다. 1941년에서 1975년 사이에 여러 서양 학자들은 가장 왼쪽에 있는 무거운 음절이 강세를 받는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1835년에서 1915년 사이에 출판된 연구에서는 다른 입장이 취해졌다.

Walker (1997)[66]는 강세가 가장 오른쪽에 있는 무거운 음절에 오지만, 이 음절이 단어의 마지막 음절인 경우는 제외한다고 제안한다.

HˈHLLбайгуулагдахmn'조직되다'
LHˈHLхөндийрүүлэнmn분리하며(부사)
LHHˈHLУлаанбаатрынханmn'울란바토르 거주민'
HˈHHууртайгаарmn'화나게'
ˈHLHуйтгартайmn'슬픈'



"무거운 음절"은 완전 모음 길이 이상인 것으로 정의된다. 짧은 단어 시작 음절은 따라서 제외된다. 단어가 두 음절이고 유일한 무거운 음절이 단어의 마지막 음절인 경우에도 강세를 받는다. 음운론적으로 짧은 단어 시작 음절이 하나만 있는 경우, 이 음절조차 강세를 받을 수 있다:[67]

:

LˈHгалууmn'거위'
ˈLLуншсанmn'읽은'



최근에는 몽골어 연구에서 가장 광범위한 음성 데이터가 밀접하게 관련된 차하르 방언의 강세 위치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에 적용되었다.[68][69] 짧은 첫 음절을 가진 이음절 및 삼음절 단어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첫 음절이 긴 경우, 다양한 음향 매개변수에 대한 데이터는 상반된 결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강도 데이터는 종종 첫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F0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70]

몽골어를 구사하는 여성

5. 1. 홀소리 (모음)

몽골어에는 7개의 홑홀소리(단모음) 음소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장단 구분이 있다.[53] 는 짧게 발음될 때 중앙 모음 로 중앙화된다.[53]

몽골 키릴 문자IPA로마자 표기
а, аа, a, aa
и, ий/ы, i, ii
о, оо, o, oo
ө, өө, /, /ö, öö
у, уу, u, uu
ү, үү, ü, üü
э, ээ, e, ee



홑홀소리 외에 와 같은 겹홀소리(이중모음)도 존재한다.[54]

몽골어는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나는 언어이다. 모음은 혀뿌리 전진(ATR) 여부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뉜다.[52]

:

+ATR ("전설")−ATR ("후설")중립
IPA
키릴 문자э, ү, өа, у, ои, ы and й
로마자 표기e, ü, öa, u, oi



복합어가 아닌 단어에서는, 접미사를 포함하여 모든 모음이 같은 그룹에 속해야 한다. 즉, 한 단어 안에서 양성 모음(ㅏ, ㅗ, ㅜ 계열)과 음성 모음(ㅓ, ㅔ, ㅠ, ㅣ 계열)이 함께 나타나지 않는다.[57][58] 중립 모음 는 양성/음성 모음 모두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57]

장모음과 단모음의 발음은 단어 내 음절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59]

5. 2. 닿소리 (자음)

몽골어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전동음, 접근음 등 다양한 자음을 가지고 있다.[60][62] 특히 유성 치경 설측 마찰음 l/ɮmn은 몽골어의 특징적인 소리이며, 무성음 l̥/ɬmn로 실현되기도 한다.[62]

할흐 몽골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52]

colspan=2 rowspan=2|양순음치음연구개음구개수음
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
비음
파열음안울림소리와 울림소리ɡʲ
무성 유기음tʲʰ
파찰음안울림소리
무성 유기음
마찰음중설음
설측음ɮʲ
전동음
반모음w̜ʲ



몽골어는 구개음화 자음과 비구개음화 자음의 대립이 있다.[61] , , , 를 제외한 구개음화 자음은 [−ATR] 모음이 있는 단어에만 나타난다.[61]

어말에서 은 으로 실현된다.[63] 유기 자음은 중간 및 단어 종결 문맥에서 사전 기음화되어 앞의 자음과 모음을 무성음화시키며, 무성 단모음은 종종 삭제된다.[63]

6. 문법

몽골어는 교착어에 속하며,[71] 주어-목적어-서술어(SOV) 어순을 갖는다.[102][81]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143]

비/Биmn몽골/Монголmn 헬리그/хэлийгmn소른/сурнаmn.(나는 몽골어를 배울거야)
주어수식어 피수식어
목적어
서술어



관계대명사 용법은 연체형을 통해 수식어로 쓰인다.[143]

미니/Минийmn소르닥/сурдагmn헬/хэлmn(내가 배우는 언어)
주어연체형명사



체언의 격변화는 어간 뒤에 교착적인 격어미(조사)를 통해 표현한다.[143] 체언의 격은 주격, 속격(屬格)(인/이/인/이/-ын/-ы/-ийн/-ийmn), 대격(對格)(이그/이그/그/-ыг/-ийг/-гmn), 여위격(與位格)(트/드/-т/-дmn), 구격(具格)(아르/-аарmn), 탈격(奪格)(아스/-аасmn), 공동격(共同格)(타이/-тайmn), 방향격(方向格)(로/-рууmn)의 8개가 있다.[79] 격어미는 모음조화를 따른다.


  • 한/Хаанmn아스/асmn 이르셍 베?/ирсэн бэ?mn (어디에서 왔습니까?)
  • 올랑곰/Улаангомmn 오스/оосmn 이르셍./ирсэн.mn (올랑곰/올란곰mn에서 왔습니다.)


특수한 격으로, 비인칭 재귀 소유격과 인칭 소유격이 있다.

인칭대명사에는 1인칭 단수 비/биmn, 1인칭 복수 비드/бидmn, 2인칭 단수 치/чиmn/타/таmn, 2인칭 복수 타 나르/та нарmn, 3인칭 단수 테르/тэрmn, 3인칭 복수 테드/тэдmn가 있다.[89] 2인칭 단수 치/чиmn는 친칭, 타/таmn는 경칭이다.[89]

  • 치/Чиmn 솔롱고스 훙 우?/солонгос хүн үү?mn ( 는 한국인인가?)
  • 타/Таmn 솔롱고스 훙 우?/солонгос хүн үү?mn ( 당신은 한국인입니까?)


지시사는 근칭(近稱)과 원칭(遠稱)의 두 종류가 있다. 에네/энэmn(이것) - 테르/тэрmn(저것), 엔드/эндmn(여기) - 텐드/тэндmn(저기).

의문사에는 헹/хэнmn(누구), 요/юуmn(무엇), 하나/хаанаmn(어디), 알리/альmn(어느, 어느것), 야마르/ямарmn(어떤), 헤드/хэдmn(몇), 헤제/хэзээmn(언제), 야흐/яахmn(어찌하다), 야가드/яагаадmn(왜), 야지/яажmn(어떻게) 따위가 있다. 헹/хэнmn, 요/юуmn, 하나/хаанаmn는 명사에 있는 격변화를 따른다. 현대 몽골어에서는 하나/хаанаmn는 하/Хааmn샤/шааmn변화한다.

  • 한/Хаанmn아스/аасmn 이르셍 베?/ирсэн вэ?mn (어디에서 왔습니까?)
  • 하/Хааmn샤/шааmn 야와흐 오?/явах уу?mn (어디 갑니까?)


동사는 어간에 동사 어미를 수반하여 종지형, 연체형(형용동사형), 연용형(부동사형)이 된다. 명령형은 문법형식상 종지형이다. 동사의 사전형은 어간에 연체형어미 -흐/-хmn가 붙는다.[92]

  • 비 온시/Би уншmn상/санmn 옴./ом.mn (내가 읽 책.)
  • 비 놈 온시/Би ном уншmn상/санmn. (내가 책을 읽는다.)


동사 어간과 동사 어미의 사이에 삽입하는 접사는, (態)의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

  • 오당 휄레-/Удаан хүлээ-mn을게/лгэmn-치흐/чихmn-을레./-лээ.mn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 휄레-/хлээ-mn: 동사「기다리다」, -을게-/-лгэ-mn: 접사<사동>, -치흐-/-чих-mn: 접사<완료>, -을레/-лээmn: 어미<과거>


형용사는 어형 불변화사이다.[143]

  • 미니 에지 회르헝./Миний ээж хөөрхөн.mn (나의 어머니는 아름답다.)
  • 미니 에지 회르헝/Миний ээж хөөрхөнmn 바이/байmn상./сан.mn (나의 어머니는 아름다웠다.)


후치사는 명사의 뒤에 와서 격을 표시하거나 형용사나 부사 역할을 한다.[143]

  • 시렌/ширээнmn 데르/дээрmn (책상 위: 격표시)
  • 데르/дээрmn 텡게르/тэнгэрmn (위 하늘: 형용사)
  • 데르/дээрmn 가라흐/гарахmn (위로 오르다: 부사)


조사(助詞)는 문장 끝에서 뉘앙스를 나타낸다.[143]

  • 엔드 비치/Энд бичmn 데/дээmn. (여기에 쓰세요.)

7. 어휘

몽골어 어휘는 고유어 외에도 여러 언어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다. 고대에는 튀르크어, 산스크리트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고전 티베트어,[117] 퉁구스어족, 중국어 등에서 차용어가 유입되었다.[118]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의 예로는 shashinmn (shashana/शशनsa '종교'), sansarmn (sansāra/सँसारsa '공간'), buyanmn (punya/पुण्यsa '선행') 등이 있다. 페르시아어 차용어에는 anarmn (anar/انارfa '자수정'), baishinmn (pishivânfa '건물'), boldmn (pulâdfa '강철') 등이 있으며, 중국어 차용어로는 banzmn (bǎnzi/板子중국어 '판자'), luuwanmn (lúobo/萝卜중국어 '무'), denlüümn (dēnglù/灯路중국어 '램프') 등이 있다.

현대에는 러시아어, 영어,[119] 중국어(주로 내몽골에서)[120] 차용어가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어 차용어는 'компьютерmn(컴퓨터)', 'принтерmn(프린터)', 'кофеmn(커피)' 등과 같이 러시아어를 통해 들어온 경우가 많다. 20세기에는 doktormn '의사', shokoladmn '초콜릿', wagonmn '기차 객차'와 같은 러시아어 차용어가 많이 유입되었다. 사회 정치 개혁 이후에는 menezhmentmn '관리', komputermn '컴퓨터', failmn '파일' 등 영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공식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몽골 정부는 새로운 전문 용어를 몽골어로 번역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121] 예를 들어 yerönhiilögchmn '대통령' ('일반화'), shar airahmn '맥주' ('노란 쿠미스')와 같은 어휘가 있다. 또한, 중국어 火车|huǒchē중국어 '기차'를 차용 번역한 galt teregmn '기차' ('불 수레')와 같은 차용 번역 사례도 있다.[122]

다른 언어들도 몽골어에서 단어를 차용했다. 페르시아어 کشيكچى|kešikcifa (heshigmn '왕실 경호원'에서 유래), 한국어 수라|sura한국어 (shülemn '왕의 식사'에서 유래)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다양한 차용어 유입에도 불구하고, 할하 및 코르친과 같은 몽골 방언은 공통 몽골어 어휘의 95%를 원어 단어로 유지하고 있다.[123]

8. 한국어와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Törijn alban josny helnij tuhaj huul' http://www.edulaws.p[...] MongolianLaws.com 2003-05-15
[2] 서적 Mongγul kele bičig-ün aǰil-un ǰöblel 2005
[3] 웹사이트 Mongolian scripts and writing culture https://www.mongolia[...] 2017
[4] 논문 The case against the Altaic theory http://altaica.ru/LI[...]
[5] 웹사이트 Mongol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3-14
[6] 서적 2005
[7] 서적 2002
[8] 서적 1991
[9] 서적 2003b
[10] 서적 1999
[11] 서적 2003b
[12] 서적 2003a
[13] 서적 1984
[14] 서적 1967
[15]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Academic 2014-10-27
[16]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Academic 2014-10-27
[17]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2003-08-02
[18] 서적 More Morphologies: Contributions to the Festival of Languages, Bremen, 17 Sep to 7 Oct, 2009 2012-11-30
[19]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Routledge 2003-08-02
[20]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2003-08-02
[21] 논문 Preferential policies for ethnic minorities in China https://www.tandfonl[...] 2007-12-24
[22] 뉴스 Chinese authorities face widespread anger in Inner Mongolia after requiring Mandarin-language classes https://www.washingt[...] 2020-08-31
[23] 뉴스 Curbs on Mongolian Language Teaching Prompt Large Protests in China https://www.nytimes.[...] 2020-08-31
[24] 뉴스 Parents Keep Children Home As China Limits Mongolian Language In The Classroom https://www.npr.org/[...] 2020-09-16
[25] 웹사이트 China Enforces Ban on Mongolian Language in Schools, Books https://www.voanews.[...] 2023-09-13
[26] 서적 1979
[27] 서적 2002
[28] 서적 2003
[29] 서적 1988
[30] 서적 2003
[31] 서적 1953
[32] 서적 2005
[33]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ory and Practice Since 1949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04-11
[34] 서적 2003
[35] 서적 2005
[36] 서적 Sečenbaγatur et al. (2005) Sečenbaγatur et al. 2005
[37] 서적 Sečenbaγatur et al. (2005) Sečenbaγatur et al. 2005
[38] 서적 Janhunen (2003) Janhunen 2003
[39]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Poppe (1955) Svantesson et al., Poppe 2005, 1955
[40] 서적 Svantesson et al. (2006), Dobu (1983) Svantesson et al., Dobu 2006, 1983
[41] 서적 Chuluu (1998) Chuluu 1998
[42] 서적 Činggeltei (1959, 1979, 1999), Bayančoγtu (2002) Činggeltei, Bayančoγtu 1959, 1979, 1999, 2002
[43] 서적 Sečenbaγatur et al. (2005) Sečenbaγatur et al. 2005
[44] 서적 Janhunen 2003d Janhunen 2003
[45]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2003
[46]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47] 서적 Dàobù 1982 Dàobù 1982
[48]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Routledge 2003
[49]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50]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Владимирцов 1988 (1929), 《蒙汉词典》 1999, Галсанпунцаг 2004 Facts On File 2004, 1988, 1929, 1999, 2004
[51] 서적 Atwood 2004
[52] 서적 Sečenbaγatur et al. (2005) Sečenbaγatur et al. 2005
[53] 서적 The phonology of Mongoli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4]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55] 서적 Colloquial Mongolian : the complete course for beginners Routledge 2015-08-14
[56]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57]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58]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59]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60]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61]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62] 서적 Karlsson (2005) Karlsson 2005
[63] 웹사이트 Vowels in Mongolian speech: deletions and epenthesis http://journals.lub.[...] 2014-07-26
[64]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65] 서적 Svantesson et al. (2005) Svantesson et al. 2005
[66] 서적 Bosson (1964), Poppe (1970) Bosson, Poppe 1964, 1970
[67] 서적 Poppe (1970), Svantesson et al. (2005) Poppe, Svantesson et al. 1970, 2005
[68] 서적 Harnud [Köke] (2003) Harnud [Köke] 2003
[69] 논문 Review of Harnud (2003)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006-12
[70] 서적 Harnud [Köke] (2003) Harnud [Köke] 2003
[71] 논문 Sečenbaγatur 2003
[72] 논문 Bayančoγtu 2002
[73] 논문 Svantesson et al. 2005
[74] 웹사이트 Grammar http://www.linguamon[...] 2020-02-11
[75] 논문 Sečen 2004
[76] 논문 Luvsanvandan (ed.) 1987
[77] 논문 Hashimoto 1993
[78] 논문 Luvsanvandan (ed.) 1987
[79] 논문 Tsedendamba and Möömöö 1997
[80] 논문 Guntsetseg 2008
[81] 웹사이트 Differential object marking in Mongolian https://www.research[...] 2020-03-14
[82] 논문 Sečenbaγatur 2003
[83] 논문 Tsedendamba and Möömöö 1997
[84] 논문 Sajto 1999
[85] 웹사이트 Mongolian http://www.languages[...] 2019-06-01
[86] 서적 Modern Mongolian : a course-book Routledge 2006
[87] 웹사이트 Mongolian Grammar - Linguistics 35 https://sites.google[...] 2020-02-11
[88] 논문 Tsedendamba and Möömöö, Sečenbaγatur 1997, 2003
[89] 논문 Sečenbaγatur 2003
[90] 웹사이트 Mongolian Grammar http://learn101.org/[...] 2019-06-01
[91] 논문 Yu, Bjambasan 1991, 2001
[92] 서적 Modern Mongolian: A Course-book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4
[93] 서적 Modern Mongolian : a course-book Routledge 2006
[94] 웹사이트 Differential Case Marking in Mongolian https://www.research[...] 2020-03-16
[95] 논문 Guntsetseg 2008
[96] 논문 Tserenpil and Kullmann 2005
[97] 논문 Svantesson 2003
[98] 논문 Mönh-Amgalan 1998
[99] 논문 Sečenbaγatur 2003
[100] 논문 Matsuoka 2007
[101] 논문 Hashimoto 2004
[102] 논문 Guntsetseg 2008
[103] 논문 Tserenpil and Kullmann 2005
[104] 논문 Apatoczky 2005
[105] 논문 Hammar 1983
[106] 논문 2000
[107] 논문 2005
[108] 논문 2003
[109] 논문 2009
[110] 논문 2003
[111] 논문 2003
[112] 논문 2003
[113] 논문 1995
[114] 논문 1995
[115] 논문 1997
[116] 논문 2003
[117] 논문 2004
[118] 논문 2003
[119] 논문 2004
[120] 서적 Öbür mongγul-un yeke surγaγuli 2005
[121] 간행물 Yum bolgon nertei 2008-12-09
[122] 서적 Öbür mongγul-un yeke surγaγuli 2005
[123] 논문 2003
[124] 학술지 Uyghur Technologists of Writing and Literacy in Mongol China Brill Publishers 2005
[125] 서적 Socialist and Post–Socialist Mongolia: Nation, Identity, and Culture Routledge 2021-03-04
[126] 보고서 Literacy country study: Mongolia http://unesdoc.unesc[...] 2005
[127] 논문 2005
[128] 웹사이트 Mongol helnij kirill üsgijg latin üsgeer galiglah tuhaj http://www.infocon.m[...] InfoCon
[129] 논문 2005
[130] 논문 2005
[131] 웹사이트 Mongolia to promote usage of traditional script http://www.china.org[...] 2020-03-19
[132] 뉴스 Official documents to be recorded in both scripts from 2025 https://www.montsame[...] 2020-03-18
[133] 뉴스 Mongolian Language Law is effective from July 1st http://mongolia.gogo[...] 2015-07-01
[13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Mongolian, Halh (Cyrillic) https://unicode.org/[...]
[135] 웹사이트 UDHR - Mongolian, Halh (Mongolian) https://unicode.org/[...]
[136]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137] 웹사이트 モンゴル語 http://www.coelang.t[...] 東京外国語大学
[138] 웹사이트 Törijn alban josny helnij tuhaj huul http://www.edulaws.p[...] MongolianLaws.com 2003-05-15
[139] 서적 Unicode|Mongγul kele bičig-ün aǰil-un ǰöblel 2005
[140] 문서 b와 상보 분포를 이루기 때문에 같은 음소로 간주하는 견해도 있지만, 차용어를 고려하면 Араб арав과 같은 미니멀 페어가 존재한다.
[141] 문서 同化によりiに近づいたeを含む
[142] 웹사이트 中国のモンゴル語教育の危機 https://ja-ms.org/ja[...] 2021-12-28
[143] 뉴스 モンゴル人を悩まし続けている「文字」の変遷 政治勢力に翻弄され、縦書きと横書きを行ったり来たり http://jbpress.ismed[...] 2013-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