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시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시열은 대한민국의 금융인이다. 경기고등학교 재학 중 서울대학교 법대에 진학하여 한국은행, 제일은행, 신한금융지주 등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한국은행 부총재, 제일은행 은행장을 거쳐, 대우그룹 구조조정 당시 채권단 대표를 맡았으며, 제6대 전국은행연합회 회장을 지냈다. 신한금융지주 사외이사와 회장 대행을 역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은행 부총재 - 천병규
천병규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금융인, 관료,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6.10 통화 개혁을 주도하며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내다 사망했다. - 한국은행 부총재 - 이주열
이주열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로서 제25·26대 한국은행 총재를 역임했으며, 1977년 한국은행에 입행하여 부총재를 거쳐 총재로 취임, 44년 만에 연임에 성공했고 퇴임 후에도 경제 현안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며 활동하고 있다. - 풍산 류씨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풍산 류씨 - 유재하
유재하는 1962년 안동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의 키보드 연주자, 봄여름가을겨울의 객원 멤버로 활동했으며, 사후 재평가된 1987년 데뷔 앨범 《사랑하기 때문에》로 한국 대중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친 싱어송라이터이자 작곡가이다. - 대한민국의 금융인 - 주진형
주진형은 1959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제 전문가,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세계은행 컨설턴트,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고 더불어민주당, 열린민주당에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금융인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류시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류시열 |
원어명 | 柳時烈 |
본명 | 류시열 |
로마자 표기 | Ryu Si-yeol |
출생일 | 1938년 9월 5일 |
출생지 | 경상북도 안동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금융인 |
2. 생애
경기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서울대학교 법대에 진학했다. 1962년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한국은행에 입행, 1981년 비서실장[1], 1983년 5월 30일 임원부속실장(1급)[2], 1983년 11월 24일 국제금융부장[3], 1986년 6월 26일 외환관리부장[4]을 역임했다. 1987년 7월 23일에는 자금부장을 맡아 무역 수지 흑자 시기의 통화 관리를 담당했다.[5] 1989년 1월 20일 한국은행 이사에 발탁되었다.[6]
1995년 1월 12일 금융통화운영위원회는 그를 한국은행 부총재로 임명하였다.[7] 1997년 3월 8일 제일은행 주주총회에서 은행장에 선임되었으며[8], 같은 해 5월, 한보와 삼미 등의 부도로 실추된 제일은행의 이미지를 회복시키기 위해 TV 광고에 직접 출연하여 “한눈 팔지 않겠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고객과의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9] 1999년 4월에는 대우그룹 구조조정 당시 채권단 대표를 맡았다.[10]
류시열은 1999년 4월 당시 재계 2위였던 대우그룹의 몰락 과정에서 채권단 대표로서 구조조정을 지휘했다. 이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 구조조정으로 기록된다. 이후 1999년 11월 12일 은행연합회 회원총회에서 회장으로 추대되었으며,[11] 1999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제6대 전국은행연합회장으로 활동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신한금융지주 사외이사를 역임했다.[12] 2010년 9월 신한금융지주가 신상훈 사장을 검찰에 고발하며 10월에는 회장, 사장 그리고 행장이 동시에 물러나는 사태가 일어났을 때 신한금융지주 회장 대행을 맡아서 사태 수습을 지휘했다.[13]
성격이 원만하고 차분해 주위에 따르는 사람이 많다. 다만, 신한 사태 당시 경영진 간의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는 다소 미흡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부인 신동인(申東仁)과 사이에 2남 1녀를 두고 있다.
2. 1. 한국은행 및 제일은행 재직 시절
경기고등학교 1학년 재학 중 대입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서울대학교 법대에 진학했다. 1962년 대학 졸업과 동시에 한국은행에 입행, 1981년 비서실장[1], 1983년 5월 30일 임원부속실장(1급)[2], 1983년 11월 24일 국제금융부장[3], 1986년 6월 26일 외환관리부장[4]을 역임했다. 1987년 7월 23일에는 자금부장을 맡아 무역 수지 흑자 시기의 통화 관리를 담당했다.[5] 1989년 1월 20일 한국은행 이사에 발탁되었다.[6]1995년 1월 12일 금융통화운영위원회는 그를 한국은행 부총재로 임명하였다.[7] 1997년 3월 8일 제일은행 주주총회에서 은행장에 선임되었으며[8], 같은 해 5월, 한보와 삼미 등의 부도로 실추된 제일은행의 이미지를 회복시키기 위해 TV 광고에 직접 출연하여 “한눈 팔지 않겠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고객과의 신뢰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9] 1999년 4월에는 대우그룹 구조조정 당시 채권단 대표를 맡았다.[10]
2. 2. 대우그룹 구조조정 및 전국은행연합회장
류시열은 1999년 4월 당시 재계 2위였던 대우그룹의 몰락 과정에서 채권단 대표로서 구조조정을 지휘했다. 이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 구조조정으로 기록된다. 이후 1999년 11월 12일 은행연합회 회원총회에서 회장으로 추대되었으며, 1999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제6대 전국은행연합회장으로 활동했다.2. 3. 신한금융지주 회장 대행 및 평가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신한금융지주 사외이사를 역임했다.[12] 2010년 9월 신한금융지주가 신상훈 사장을 검찰에 고발하며 10월에는 회장, 사장 그리고 행장이 동시에 물러나는 사태가 일어났을 때 신한금융지주 회장 대행을 맡아서 사태 수습을 지휘했다.[13]성격이 원만하고 차분해 주위에 따르는 사람이 많다. 다만, 신한 사태 당시 경영진 간의 갈등을 중재하고 해결하는 데 있어서는 다소 미흡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부인 신동인(申東仁)과 사이에 2남 1녀를 두고 있다.
참조
[1]
뉴스
“복잡한 業務털고 自然즐기는 財界의 週末”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1-06-06
[2]
뉴스
“人事”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3-05-30
[3]
뉴스
“人事”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3-11-24
[4]
뉴스
“人事”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6-06-26
[5]
뉴스
“人事”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87-07-23
[6]
뉴스
“새얼굴”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89-01-20
[7]
뉴스
韓銀부총재 柳時烈씨 금융결제원장 申復泳씨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95-01-13
[8]
뉴스
인터뷰 : 신임 柳時烈 제일은행장 “행장직 걸고 외부청탁 막겠다”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97-03-08
[9]
뉴스
제일銀, “이젠 한눈팔지 않겠습니다” 柳행장 TV광고 출연 “한보후유증 탈출” 다짐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7-05-08
[10]
웹인용
[秘錄, 김우중신화의 몰락] 刑場은 꾸려지고
https://news.naver.c[...]
2019-03-05
[11]
뉴스
새 은행연합회장 류시열씨 선출
http://dna.naver.com[...]
매일경제
1999-11-13
[12]
웹인용
신한지주 신임 사외이사 3명 선임
http://www.fntimes.c[...]
2019-03-04
[13]
웹인용
류시열 신한금융 회장 대행은 누구?…향후 과제는
http://biz.heraldcor[...]
헤럴드경제
2019-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