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우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우그룹은 1967년 설립되어 1970년대 경제 성장과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힘입어 급성장하여 대한민국 최대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1990년대 후반 외환 위기 속에서 구조조정 실패와 과도한 차입금으로 인해 1999년 해체되었으며, 대우그룹의 해체는 '대마불사' 신화를 깨는 계기가 되었다. 대우그룹의 계열사들은 분리되어 각자의 길을 걸었으며, 현재 대우건설,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GM 등이 그 흔적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7년 설립된 제조 기업 - 맥도널 더글러스
    맥도널 더글러스는 더글러스 항공기 회사와 맥도널 항공기 회사의 합병으로 1967년에 설립되어 다양한 상업용 및 군용 항공기를 생산하다가 1997년 보잉에 인수된 미국의 항공기 제조 회사이다.
  • 196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알파인 전자
    알파인 전자는 1967년 설립되어 차량용 오디오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 생산, 판매하며, 1980년대 혁신적인 기술 개발로 시장을 선도하고 2019년 알프스알파인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다.
  • 196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는 1967년 설립된 미국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기업으로, 반도체 웨이퍼 팹리케이션 장비, 디스플레이 장비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반도체 공정 장비를 개발, 제조해왔으나, 최근 고쿠사이 일렉트릭 인수 무산 및 미국 법무부의 제재 위반 조사 등 이슈에 직면해 있다.
  • 2000년 해체된 기업 - 아에로스파시알
    아에로스파시알은 1970년 프랑스 국영 기업 합병으로 설립되어 콩코드 여객기 개발, 에어버스 컨소시엄 참여, 아리안 로켓 개발 등 유럽 우주 및 항공 산업에 기여했으며, 민영화를 거쳐 EADS를 설립하고 현재 에어버스의 전신이 되었다.
  • 2000년 해체된 기업 - 엘피다 메모리
    엘피다 메모리는 NEC와 히타치의 DRAM 사업 부문 통합으로 설립된 일본의 반도체 회사였으나, 경영 위기로 인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인수되어 마이크론 메모리 재팬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대우그룹
기본 정보
대우 로고
대우 로고
명칭대우(大宇)
유형재벌
설립일1967년 3월 22일
설립자김우중
해체일1999년 11월 1일
해체 사유파산 (자세한 내용은 참조)
설립 당시 위치서울, 대한민국
핵심 인물김우중
산업다각화
직원 수320,000명
재무 정보
매출액분식회계로 정확히 추산 불가
매출 (1999년 기준)78조원
영업이익 (1999년 기준)-4조원
자산 총액자본 약 15조, 부채 89조
모기업
모기업(주)대우
주요 자회사
자회사버스
전자
중공업
국제
자동차
자동차 판매
증권
조선 및 해양 엔지니어링
코로나 데이터 시스템즈
Leading Edge
OCN (TV 채널)
SNT Motiv
관련 정보
한국어 명칭대우그룹
한자 표기大宇財閥
로마자 표기Daeu Jaebeol

2. 기업 연혁

대우는 1967년 소규모 사업체로 시작했지만, 1970년대 경제 성장과 수출 호조, 그리고 정부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 덕분에 빠르게 성장하여 대한민국 최대 기업 중 하나가 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해외 시장, 특히 동유럽과 신흥 시장 개척에 힘썼고, 1993년 '세계경영'을 선언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1997년에는 법정관리에 들어간 쌍용자동차를 인수했고, 1998년 상반기에는 현대그룹에 이어 자산 총액 기준 재계 2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외환위기 속에서 구조조정에 실패하고 무리한 차입금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98년 10월, 대우그룹이 신청한 기업어음(CP) 발행이 중단되면서 위기가 찾아왔다.

1999년에는 삼성그룹과 대우전자-삼성자동차 간의 빅딜 협상을 시도했지만, 7월에 협상이 결렬되었다. 이후 김우중 회장은 자동차를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시도했으나 채권단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1999년 10월 그룹은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2022년 9월 현재 "대우"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는 대우건설, 대우 익스프레스, 타타대우상용차, 자일대우버스 등이 있다.

2. 1. 성장 (1967년 ~ 1981년)

1967년 김우중 회장이 대우실업을 창립하면서 대우그룹이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는 와이셔츠 등 봉제 및 섬유 제품 수출 호조와 경제 성장, 그리고 정부 주도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했다. 대우는 금융, 전자, 중공업, 자동차 사업에도 진출하며 대한민국 최대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3]

1960년대 박정희 정부는 경제 성장과 발전을 위해 재벌 기업에 자원 접근성, 수출 장려, 산업화 지원, 경쟁 보호 등의 혜택을 제공했다. 대우는 정부 지원 저금리 대출을 받아 노동 집약적인 의류 및 섬유 산업에 집중하여 높은 이윤을 냈다.

1973년부터 1981년까지 시행된 제3차 및 제4차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정부는 기계 및 전기 공학, 조선, 석유화학, 건설 및 군사 사업에 집중했다. 대우는 정부의 강제로 조선업에 진출했으나, 경쟁력 있는 가격의 선박과 석유 굴착 장치를 생산하며 명성을 얻었다.

1980년대에 들어 대한민국 정부는 경제 정책을 더욱 자유주의적으로 전환했다. 대우는 미국 및 유럽 기업과 합작 투자를 설립하고, 공작 기계, 방위 제품, 항공 우주 관련 사업, 반도체 설계 및 제조 등으로 수출을 확대했다. 또한 자동차 산업에도 진출하여 세계적인 자동차 수출 및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대우그룹의 성장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67년 3월 22일대우실업(주) 창립 (섬유류 봉제품 생산, 수출 주도)
1969년 8월대한민국 기업 해외지사 1호 시드니에 개설
1971년 9월(주)내쇼날의류 설립
1972년 9월고려피혁(주) 인수
1973년쌍미섬유공업(주) 인수, 대우증권의 전신 동양증권(주) 인수, 대우건설(주) 설립
1975년 2월대우빌딩 착공
1975년 5월대우실업(주), 종합무역상사 지정
1976년 2월한국기계공업(주) 인수
1976년 10월해외건설업면허 취득, 대우중공업(주) 출범
1977년대우센터 빌딩 준공
1977년 8월(주)제철화학 경영권 인수
1978년 7월산업은행으로부터 새한자동차(주) 지분 인수, 대한조선공사 옥포조선소 인수
1978년 9월대우조선공업(주) 설립


2. 2. 도약기 (1982년 ~ 1992년)

1981년 10월 옥포조선소를 준공하고 수출의 날 15억불탑을 수상하였다. 대우실업(주) 및 대우개발(주) 합병을 결의하였다.[1] 1982년 모기업 (주)대우가 출범하였고, 수출의 날 20억불탑을 수상하였다.[1] 1983년 대우자동차(주)가 출범하였고, 대우전자(주)에서 대한전선(주)의 가전부문을 흡수하였으며, 대우통신(주)를 설립하였다.[1] 1984년 경남기업(주) 경영에 참여하였고, (주)대우경제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0월에는 대우자동차부품(주)를 설립하였고, 대한민국 최초로 VTR을 수출하였다.[1]

1986년 대우증권 런던사무소를 개설하였고, 9월 경남기업(주)을 계열 편입하였다.[1] 1987년 미얀마 현지 철도차량공장을 준공하였다.[1] 1988년 (주)대우 동베를린지사를 설치하였고, 대우투자자문(주)를 설립하였다. 프랑스 롱위에는 전자레인지 공장을 건립하였고, 대우증권 홍콩사무소를 개설하였다.[1] 1989년 제철화학 외 3개사를 매각하였고, 대우정보시스템을 설립하였다. 대우기전공업㈜이 출범하였으며, MHB-Daewoo Bank를 설립하였다.[1]

1990년 (주)대우 모스크바지사를 설치하였고, 대우중공업(주) 유럽현지법인을 설립하였다. 멕시코에는 컬러TV 공장을 건립하였다.[1] 1991년 (주)대우 북경지사를 설치하였고, 대우증권(주) 유럽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취리히사무소를 개설하였다.[1] 1992년 4월 프랑스에 컬러TV 공장을 건립하고, 컴퓨터 판매법인을 설립하였다. 대우증권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하였으며, 대우차-GM 제휴관계가 청산되었다.[1]

대우 그룹은 (주)대우의 출범과 새한자동차 경영권 장악, 가전사업 진출을 잇달아 성사시키며 현대, 삼성, 럭키금성(LG)과 함께 대한민국 4대 기업군으로 성장하였다. 국내 업체들과의 출혈 경쟁에서 기술력과 수익성의 한계를 느낀 대우는 세계로 눈을 돌려 냉전체제의 완화가 도래한 시점에 동유럽 및 공산권 국가에 현지법인을 설립하면서 신시장 개척을 준비하였다.[1]

2. 3. 팽창기: 세계경영 (1993년 ~ 1998년)

(주)대우가 구축한 세계무역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우자동차(주), 대우중공업(주), 대우전자(주)가 국제적으로 널리 진출하는 '세계경영'은 1993년 '세계경영 우리기술' 슬로건 선포를 시점으로 본격화되었다.[1] 대우가 당시 내세웠던 세계경영은 선진업체가 진출하지 않은 옛 공산권 국가와 앞으로 발전가능성이 무한한 개발도상국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으로, 현지법인 설립과 인수합병을 통해 단기간에 정착하여 사세확장을 꾀하는 형태였다.[1] 실제로 대우가 진출을 시도한 개발도상국가의 정부에서는 자국의 경제활성화 목적에서 대우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었기에, 대우의 사업확장은 더욱 쉽게 이뤄질 수 있었다.[1] 대한민국 시장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대우자동차(주)의 경우는 대한민국 외 국가에서 판매하는 수량이 대한민국에서 판매하는 수량을 앞지르는 현상을 가져오기도 했다.[1] 이같은 대우의 급속한 성장은 대한민국 경제계와 대한민국 외 국가 경제에 큰 반향을 가져다 주었다.[1]

연도사건
1993년1월 대우자판 설립.2월 베트남 합작은행 출자.3월 세계경영 선포.5월 우즈벡 가전 공장 설립.7월 대우중공업(주) 미국현지법인 DEC 설립.8월 폴란드 TV 공장 설립.9월 세계최초 공기방울 세탁기 개발.
1994년2월 대우할부금융 설립.3월 인도 합작증권사 CRB-Daewoo Securities Ltd 출자.5월 대우자동차(주) 영국 워딩 자동차 기술연구소 건립.6월 대우중공업 영국현지법인 유로 대우 UK 설립.10월 대우중공업(주) 대우조선공업 흡수 합병, 중국현지법인 대우중공업연대유한공사 설립.11월 루마니아 자동차합작공장 DAEWOO-RODAE 설립, 대우중공업(주) 러시아 기술연구소 DISK 설립.
1995년1월 대우중공업(주) 독일 현지법인 ECO 설립, 대우전자(주) 말레이시아 세탁기 공장 설립, 대우뱅크 출범.2월 대우중공업(주) 일본 현지법인 대우건기 설립.3월 체코 최대 국영상용차업체 AVIA사 인수, 대우증권(주) 홍콩현지법인 설립.4월 대우증권(주) 상해사무소 개설.5월 대한민국 기업 최초, 대북 협력사업 정부승인 획득.6월 다이너스카드사 인수.7월 동우개발(주)의 사명을 (주)대우개발로 변경.9월 베트남 하노이 컬러브라운관 공장 준공, 우즈벡 공화국에 교환기합작공장 알로카대우 설립.10월 중국천진 팩스밀리 합작공장 설립.11월 베트남 최초 타포린 합작생산 공장 준공, 폴란드 최대 자동차기업 FSO 인수, DAEWOO-FSO 출범.
1996년3월 대우증권(주) 싱가폴사무소 개설, 루마니아 DAEWOO-RODAE 공장 준공.5월 남북경협 최초회사 민족산업총회사 남포에 설립, 앙골라 대규모 유전발견.6월 프랑스 롱위 컬러브라운관 공장 준공, 인도뉴델리 첨단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센타 설립, 페루육상 유전인수 입찰수주.7월 한진투자증권 합작 법인 서울투신운용(주) 설립, 우크라이나 대용량교환기 합작공장 드니프로-대우 설립.10월 대우증권(주) 동경지점 개점, UZ-Daewoo 자동차 공장 준공, 베트남 비담코 자동차 공장 준공.11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컬러브라운관 공장 준공, 중국 광케이블 합작회사 우시-대우 설립, 루마니아 합작은행 설립.
1997년3월 우즈베키스탄 대우은행 (Uz-Daewoo Bank) 설립.4월 인도 종합 가전공장 설립, 군산 종합 자동차공장 준공.5월 인도 CRB증권 대우파이낸스로 상호 변경, 대우선물(주) 설립.6월 대우증권(주) 싱가포르 현지법인 설립.7월 대우리스 체코에 설립.9월 대우자동차(주) 우크라이나 합작공장 설립계약 체결.12월 한국전기초자(주) 인수.


2. 4. 해체 (1998년 ~ 2000년)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속에서 김대중 정부와의 관계 악화, 그리고 자체적인 부실한 재정 관리로 인해 대우그룹은 1998년에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했다.[4] IMF 구제금융 이후 한국 정부의 긴축 정책으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졌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해외 시장 개척을 추진해 온 대우는 1993년 세계경영을 선언하며 해외 법인을 1993년 150여 개에서 1998년 11월 396개로 늘렸다. 1997년 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쌍용자동차를 인수하여 소형차에서 대형차, 버스, 트럭, SUV까지 생산하는 라인업을 갖추었고, 해외 공장 인수 및 확장을 계속하여 1998년에는 삼성을 제치고 재계 2위로 도약했다.

날짜사건
1998년 3월 30일대우자동차, 쌍용자동차 인수
1998년 5월스페인 냉장고 공장 설립
1998년 6월우크라이나 자동차 법인 AUTOZAZ-DAEWOO 공장 가동
1998년 7월미국 Fortune 선정 매출 500대 기업 중 세계 18위
1998년 10월대우중공업 이집트 공장 준공
1998년 11월무역의 날 150억불 수출의 탑 수상



그러나 경기 침체와 세계 시장 위축으로 개발도상국 중심의 판매망을 가진 대우자동차의 부진이 이어졌다. 쌍용자동차 인수도 큰 성과를 내지 못했고, 정부의 구조조정 요구에도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구조조정이 늦어졌다. 대우전자-삼성자동차 빅딜 협상마저 양측의 입장 차이로 결렬되었고, 1999년 여름 GM과의 대우차 경영권 협상 실패로 대우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1999년 3월 대우의 부채 비율은 400%를 초과하여 수습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7월에 발표된 고강도 구조조정안은 채권단에 의해 반려되었고, 결국 1999년 8월 16일 채권단의 재무구조개선수정약정 체결과 함께 8월 26일 채권단 관리하에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그룹은 해체되었다. 1967년 창업 이후 32년간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대우는 1993년 세계경영 선포 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날짜사건
1998년 11월대우그룹 1차 구조조정안 발표
1998년 12월대우전자 및 삼성자동차 빅딜 발표
1999년 4월 19일대우 2차 구조조정안 발표 (대우조선, 상용차, 힐튼호텔 등 매각)
1999년 6월 30일삼성자동차 워크아웃 돌입
1999년 7월 16일대우그룹 구조조정안 발표 (자동차 전문그룹으로 재탄생)
1999년 8월 3일제일은행 등 채권단 구조조정안 반려
1999년 8월 16일대우 채권단, 재무구조개선수정약정 체결
1999년 8월 26일㈜대우, 대우중공업, 대우자동차, 대우전자 등 12개 회사 워크아웃 돌입
1999년 8월 30일대우증권 계열 분리, 채권단 이양
1999년 10월김우중 회장, 중국 옌타이 대우자동차 부품공장 준공식 참석
1999년 11월 1일김우중 회장 및 대우그룹 사장단 퇴진
2000년 4월 15일대규모기업집단 지정 제외



1998년 말, 대우그룹은 5500억의 손실과 62조의 매출을 기록했다. 당시 대한민국 4대 재벌이었던 대우는 자본의 거의 5배에 달하는 부채를 안고 있었으며, 삼성과 LG가 사업을 축소하는 동안에도 부채를 40%나 늘렸다.[4] 1999년에는 약 500억 달러(1999년 당시 500억달러 상당)의 부채로 파산했다.[4]

파산 직후 김우중 회장은 베트남으로 도피했고, 전 대우 공장 노동자들은 그의 수배 전단을 붙이기도 했다. 2005년 6월 한국으로 돌아온 김우중은 41조 원(434억달러) 규모의 분식 회계, 9조 8천억 원(103억달러)의 불법 대출, 32억 달러(32억달러)의 해외 밀반출 혐의로 체포되었다.[5] 2006년 5월 30일, 김우중은 사기 및 횡령 혐의로 10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6]

대우그룹의 해체는 '대마불사' 신화를 깨고 부실기업 퇴출의 사례로 건실한 기업 풍토 조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정치적 문제나 국제적 외압에 의한 희생이라는 주장도 있다.

대우그룹은 대우전자, 대우건설, 대우인터내셔널의 세 회사로 재편되었다. 대우전자는 파산 후에도 존속하며, 타겟에서 "Trutech" 브랜드로 ODM 방식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GM2004년 대우자동차 브랜드를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철수시켰고, 2005년 유럽에서는 쉐보레로,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홀덴으로 변경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우가 GM코리아로 개명되었다. 2011년, GM은 대한민국베트남에서 대우 브랜드를 쉐보레로 대체했다. 대우 상용차 제조사는 타타 모터스에 인수되었다.[22]

3. 구 대우그룹 계열사

대우그룹은 여러 주요 기업들을 산하에 거느리고 있었다. 그룹 해체 후 자립 혹은 새로운 기업의 인수를 통해 각자 다른 길을 걷고 있다. 그룹이 해체된 이후에도 포스코인터내셔널, 대우건설, 한화오션 등 몇몇 회사들은 여전히 대우의 이름을 유지하며 성공적으로 영업 중이다.[21]

대우건설에서 리비아 트리폴리에 건설한 앗-에마드 타워


1985년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한 '이란 사드르'호

  • 위니아전자 (자회사: 대우전자부품, 대우전기, 오리온전기)
  • 대우전자부품: 자동차, 텔레비전, 모니터, VHS 플레이어 및 기타 멀티미디어 제품용 전자 부품 제조 및 판매[18]
  • 대우자판: GM 자동차 등을 한국에서 판매 (자회사: 건축 Iaan 부문, SAA-서울 오토 경매)
  • 자일대우버스: 2002년 설립된 대한민국 부산에 본사를 둔 버스 제조업체. 주로 대중교통에 사용.
  • S&T모티브: 소구경 화기, 자동차 부품 및 피아노 생산. 2002년 2월 분사되어 2002년 3월 한국 증시에 재상장. 2006년 9월 S&T대우로,[19] 2012년 3월 S&T모티브로 사명 변경.[20]
  • 대우섬유
  • 대우중공업 (DHI): 중장비 기계 제작
  • 대우건설
  • 한화오션: 컨테이너선, 유조선, 비행기 생산. 2000년 분사하여 DSME가 되었고, 2001년 한국 증시에 재상장.
  • 미래에셋증권: 금융 증권 회사
  • 대우통신: 통신 사업 집중 (자회사: 대우정보시스템)
  • 포스코인터내셔널: 무역 회사
  • 대우(주): (자회사 대우건설, 경남기업) 고속도로, 댐, 고층 빌딩 건설 (특히 중동 및 아프리카)
  • 대우개발: 전 세계 대우 호텔 관리, 한국 내 밀레니엄 서울힐튼 프랜차이즈 운영
  • IAE (선진기술연구소): 연구 개발 통합 센터


대우개발은 그룹의 자금으로 설립되어 호텔 개발을 담당했다. 한국, 중국, 베트남, 아프리카에 7개의 호텔이 건설되었다. 이 호텔들은 김우중 회장의 부인 희자가 직접 디자인하고 가구를 배치했다. 가장 호화로운 곳은 1996년 건설 비용 1.63억달러가 소요된 하노이 대우 호텔로, 희자가 미술품, 도자기, 조각품, 대리석 등으로 장식했다. 그녀는 블라디미르 푸틴을 포함한 3,000명의 손님을 초청하여 개관 행사를 열었다. 김 회장은 "도피 중"에 그곳에서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3. 1. 자동차 사업

대우자동차의 1997년 레간자


대우자동차(Daewoo Motor Co., Ltd.)는 대우그룹이 1978년 새한자동차를 인수하면서 설립되었지만, 대우자동차라는 이름은 1983년이 되어서야 등장했다.

대우자동차 브랜드는 1995년 영국에 처음 등장했다. 당시 대우자동차는 전통적인 판매 대리점을 사용하지 않은 유일한 제조사였으며, 자체 소매 네트워크를 소유하고 운영했다. 한때 생산량 기준 세계 10대 자동차 회사로 여겨지기도 했다.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대우의 자동차 부문인 대우자동차는 2001년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에 매각되었다. 대우 브랜드는 2011년까지 대한민국베트남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이전 대우 시설은 현재 아시아 시장을 위한 제너럴 모터스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대우 상용차 부문은 타타자동차에 매각되었다.[22]

대우가 가장 심혈을 기울였던 자동차 사업은 1997년 신차 출시, 1998년 쌍용자동차 인수에 따른 사세 확장으로 대한민국 시장에서 호조를 거두었으나, 부채 누적으로 인한 만성적인 적자로 인해 대우그룹 핵심 계열사들이 워크아웃에 돌입하면서 완전히 공중분해되고 말았다.

대우자동차(주)는 포드, 제너럴 모터스(GM) 등 두 양사 간의 해외 매각 의사를 타진하였으나 최종적으로 협상이 모두 결렬되었으며, 경영 정상화 실패로 인해 2000년 11월 10일인천지방법원에 법정관리(정리절차) 개시 신청을 냈다. 이후 노사가 극적으로 노사협의회 합의문에 합의하고 회사 측의 자구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법정관리 개시 결정이 내려졌다.

대우자동차는 GM 매각을 위한 구조조정 계획의 일환으로 9992억 원의 자구계획을 마련해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인력을 7300여 명 줄이고 재료비, 경상비, 투자비 등을 대폭 감축했으며, 2001년 2월 초에는 부평공장 생산직 직원 1750명이 강제로 거리로 내몰리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정리해고가 김대중 정부 출범 당시 근로기준법 개정 이후 단행되기도 했다.

미국 GM은 2001년 6월 초에 대우차 인수 의향서를 제출하여, 이듬해인 2002년 10월 28일에 GM대우(현 한국지엠)라는 외국계 기업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대한민국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에 실패하여 고전을 계속하였던 GM대우는 글로벌 GM의 전략적 요충지로 키우기 위해 2011년 1월 쉐보레 브랜드로의 흡수 통합을 선언하였으며, 같은 해 한국GM(주)가 새롭게 출범하였다.

GM이 인수하지 않은 버스 부문, 상용차 부문, 부평공장은 대우버스(주), 대우상용차(주), 대우인천자동차(주)로 분할, 매각되었다.

대우자동차(주)의 버스 부문인 대우버스(주)는 영안모자에 매각되었고, 트럭을 생산하는 상용차 부문은 인도 최대의 재벌인 타타(TATA)에 매각되어 타타대우상용차(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대우그룹 시절 대우자동차와의 합병을 계획하였던 쌍용자동차(주)는 대우그룹의 구조조정 당시 대우차와의 분리 매각이 결정되면서 2000년 4월 대우 계열에서 정식으로 분리되었다. 후에 쌍용자동차(주)는 2005년 중국 국영 자동차 회사인 상하이자동차 그룹에 인수되었으나, 미국발 금융 위기로 인한 판매 부진이 계속되면서 2009년 경영권을 포기하고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였다. 같은 해 쌍용자동차(주)는 법정관리 체제에 들어갔으며, 구조조정에 따른 대규모 정리해고 사태로 노사 간의 첨예한 대립까지 위태로울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다가 2010년 말 인도의 마힌드라 자동차에 인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2. 건설, 무역

1999년 워크아웃으로 (주)대우지스틱스가 먼저 분사되었으며, 2000년 12월 모기업 (주)대우는 3개사로 재탄생한다. 청산을 위한 (주)대우 존속법인과 무역부문의 (주)대우인터내셔널, 건설부문의 (주)대우건설로 나뉜다.

(주)대우인터내셔널은 대우의 모태사업인 무역 사업을 하고 있다. 2010년 포스코에 인수되었고, 포스코대우로 재출범한다.

(주)대우건설은 워크아웃을 단기에 졸업했으며 2006년 12월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되었다. 그러나 금호아시아나그룹이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인한 후유증에 세계 금융위기까지 겪으며 극심한 자금난을 겪자, 2010년 (주)대우건설에 대한 경영권을 포기하였고, 2011년 1월에 금호아시아나 계열에서 정식으로 분리되었고 한국산업은행을 거쳐 중흥그룹에 의해 인수되었다. 현재 최대주주는 중흥그룹이다.

대우그룹의 또다른 건설회사였던 경남기업(주)는 성완종이 이끄는 충남지역 건설사인 대아건설(주)에 인수되었다가 2004년에 대아건설(주)을 합병하면서 국내 10위권의 대형 건설사로 성장했다. 2009년 대한민국 건설사들의 잇따른 경영난으로 워크아웃을 재차 겪지만,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2011년 5월 워크아웃을 졸업하는데 성공한다. 2015년 하지만 건설업계 불황이 장기화되고 기업의 오너(Owner)인 성완종이 자원외교비리수사에 연루되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2015년 4월 마침내 경남기업은 법정관리에 들어가고 만다. 2017년 sm그룹이 인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3. 3. 중공업, 조선

2000년 대우중공업(주)는 대우종합기계(주), 대우조선공업(주), 그리고 대우중공업(주) 잔존법인으로 분할되었다. 대우중공업의 조선해양부문은 대우조선해양주식회사로 분사되었다가 곧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0년대 조선업계의 호황으로 대우의 계열사 중 가장 먼저 워크아웃을 졸업한 회사로도 주목받았고, 조선업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을 기반으로 건설, 상조사업 등에도 진출하며 자체적으로 조선사업 중심의 기업집단을 일구었다. 2000년 출범한 이래 수년간 경쟁업체인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과 함께 선박 수주잔량으로 세계 수위권을 다투었지만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변곡점으로 2010년대 중반에 이르러 조선업황의 악화로 존폐의 기로에 놓여있는 상태이다.[18]

3. 4. 전자, 통신

1999년 워크아웃 대상 기업으로 지정된 대우전자는 2000년 4월 대우전자 중심의 기업집단을 구축하고 비수익 사업을 정리하면서 벨로체(피아노 사업), 대우루컴즈(컴퓨터 사업), 대우가스보일러(가스보일러 사업) 등을 분리했다. 2002년 대우전자의 TV, 백색가전 등 주력 사업부문은 대우모터공업 주식회사로 인계되어 2003년 (주)대우일렉트로닉스로 재출범하였다. 2008년 대우디스플레이 등이 분리되면서 대우일렉트로닉스는 백색가전 전문업체가 되었다. 2013년 동부그룹, 2018년 대유그룹에 인수되며 동부대우전자, 대우전자로 변경되었다. 2019년 위니아대우를 거쳐 2020년 위니아전자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우전자부품1999년 대우그룹 구조조정으로 워크아웃 대상이 되어 2000년 4월 대우그룹에서 분리되었다. 2008년 회생절차개시, 2010년 2월 회생절차 종결 결정을 받았다. 이후 현대자동차의 1차 협력그룹인 아진그룹이 인수했다.

대우통신(주)은 통신 관련사업부문을 매각하여 컴퓨터사업은 대우컴퓨터에 양도하고, 대우텔레텍, 대우글로벌, 1999년 합병된 대우정밀공업 계열의 대우정밀, 대우파워트레인, 대우프라스틱 등으로 분사되었다.

대우정밀(주)은 S&T그룹에 인수되어 S&T모티브로, 대우파워트레인(주)은 GM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컴퍼니(한국지엠)에, 대우프라스틱(주)는 SM그룹에 매각된 후 대우라이프(주)를 거쳐 남선알미늄에 합병되었다.

오리온전기(주), 한국전기초자(주), 광전자(주) 등 전자 계열사들도 워크아웃으로 자취를 감추거나 독자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 대우전자: 국내외 강력한 기업 (자회사: 대우전자부품, 대우전기, 오리온전기)
  • 대우전자부품: 자동차, 텔레비전, 모니터, VHS 플레이어 및 기타 멀티미디어 제품용 전자 부품 제조 및 판매[18]
  • 대우통신: 통신 사업 집중 (자회사: 대우정보시스템)

3. 5. 금융

1999년 대우 해체 전 채권단이 대우증권을 인수하였으며, 이후 대주주가 한국산업은행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에는 한국산업은행의 민영화에 따라 새로 출범한 KDB금융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15년에는 미래에셋금융그룹에 인수되어 미래에셋대우가 되었다.[18]

2001년 8월 다이너스카드클럽코리아는 현대자동차에 매각되어 현대카드로 변경되었다.[18]

대우캐피탈은 아주그룹에 인수되어 아주캐피탈로 변경되었다.[18]

금융 관련 계열사들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회사명최종 변화
대우증권미래에셋대우 (2016년 미래에셋금융그룹에 인수)
다이너스클럽코리아현대카드 (2001년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
대우캐피탈아주캐피탈 (2005년 아주그룹에 인수)


3. 6. 스포츠

대우그룹은 부산 대우 로얄즈현대산업개발에 매각했고, 인천 대우 제우스신세기통신에 매각하여 인천 신세기 빅스로 변경했다. 현재 이들은 부산 아이파크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3. 7. 미디어

케이블 채널 중에서 대우시네마네트워크는 동양그룹에 매각되어 OCN으로 변경되었다.[1]

4. 평가 및 영향

아시아 외환 위기로 어려움에 처했던 대우그룹은 1999년 여름, 제너럴 모터스(GM)의 핵심 기업인 대우자동차(현재 한국GM)에 대한 출자 교섭이 결렬되면서 경영난이 드러났다. 그 결과, 한국 정부에 의해 그룹이 해체되며 경영 파탄(사실상 도산)을 맞았다.

그룹 회장 김우중은 43조(당시 일본 엔화 약 4조 900억 엔)을 가지고 유럽으로 도피했다. 이후 2005년 6월 14일 베트남에서 귀국, 배임 등의 죄로 재판에 회부되어 2006년 11월 3일 징역 10년과 210억(약 25억 엔)이라는 역대 최고액의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산하 기업들은 채권단의 관리(워크아웃)하에 재건을 순조롭게 진행, 건설 기계 분야 최대 기업인 대우종합기계를 필두로 매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대우' 이름을 딴 기업 대부분이 개명되어, 현재는 비영리 단체인 "대우재단", "대우세계경영연구회"(구 대우인회) 등이 당시 로고와 폰트를 사용하며 존속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d his life in exile. https://money.cnn.co[...]
[2] 뉴스 Daewoo boss gets 10 years in jail - BBC NEWS http://news.bbc.co.u[...] BBC NEWS
[3] 서적 Automotive FDI in Emerging Europe: Shifting Locales in the Motor Vehicle Indust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6-19
[4] 뉴스 South Korea: The death of Daewoo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1999-08-19
[5] 뉴스 Daewoo founder Kim gets 10-yr term http://www.cnn.com/2[...] CNN 2006-05-30
[6] 웹사이트 Daewoo founder sentenced to 10 years in prison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6-06-01
[7] 뉴스 Daewoo Founder Gets Prison Term - WSJ.com https://www.wsj.com/[...] Online.wsj.com 2006-05-31
[8] 웹사이트 General Motors: A Reorganized Brand Architecture for a Reorganized Company http://merriamassoci[...] Merriamassociates.com 2010-11-22
[9] 웹사이트 GM Korea Says Goodbye To Daewoo, Hello To Chevrolet http://www.bernama.c[...] bernama.com 2011-02-28
[10] 웹사이트 Belarus 2010: GAZ Gazelle and Daewoo Matiz dominate https://bestsellingc[...] 2011-08-25
[11] 웹사이트 Tajikistan 2013: Toyota Camry and Daewoo Nexia possible leaders https://bestsellingc[...] 2013-07-23
[12] 웹사이트 Moldova March 2014: Daewoo Matiz up to 2nd place https://bestsellingc[...] 2014-04-23
[13] 웹사이트 Kazakhstan June 2013: Lada Priora #1, Daewoo Nexia on podium https://bestsellingc[...] 2013-07-15
[14] 웹사이트 Uzbekistan 2015: Change of guard from UZ-Daewoo Nexia to Gentra? https://bestsellingc[...] 2015-11-21
[15] 웹사이트 Daewoo to tap Burma gas for China - Upstreamonline http://www.upstreamo[...] Upstreamonline.com
[16] 웹사이트 Blood Money - Chapter 7, Corporate Citizenship and the Oil and Gas Sector in Myanmar (Burma) http://www.nickyblac[...] nickyblack.com
[17] 웹사이트 Shwe Natural Gas Project https://www.offshore[...] Verdict Media Limited 2019
[18] 웹사이트 009320:Korea SE Stock Quote - Daewoo Electronic Components Co Ltd https://www.bloomber[...] 2020-09-08
[19] 웹사이트 Company History http://www.sntdaewoo[...] S&T Daewoo
[20] 웹사이트 Official S&T Motiv Co., Ltd. brochure, page 5 http://www.sntdaewoo[...]
[21] 서적 Which way next? Mercury Books 2004-01-03
[22] 보도자료 Tata Motors completes acquisition of Daewoo Commercial Vehicle Company http://www.tata.com/[...] 2004-03-29
[23] 뉴스 대우그룹, 쌍용自인수로 재계순위‘3위’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1997-12-09
[24] 문서 여기에 각주 내용을 적어 주세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