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가 수력 발전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가 수력 발전소는 1966년에 착공하여 1974년에 개업한 라트비아의 수력 발전소이다. 다우가바강에 댐을 건설하여 리가 저수지를 만들었으며, 댐 상부는 자동차 도로로 사용된다. 주요 전력 공급원이며, 리가 저수지는 리가 주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원천이다. 또한 TEC2 화력 발전소의 보상 설비로 사용되며, 발트 해 연안의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발전소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수력 발전소 - 인구리 댐
    인구리 댐은 조지아 인구리 강에 위치한 아치형 댐으로, 1987년 완공되었으며 1,320MW의 발전 용량을 갖춘 수력 발전소 시설의 일부로서 조지아 전력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해안 침식 문제,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 분실 사고 등의 논란이 있었으나 국제 사회의 지원으로 유지 보수되고 2015년 조지아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소련의 수력 발전소 - 누레크 댐
    타지키스탄 바흐시강에 위치한 누레크 댐은 소련 시대에 건설된 높이 300m의 댐으로, 내부 시멘트 코어를 가진 흙과 암석 댐이며, 수력 발전과 관개에 활용되는 누레크 저수지를 만들었다.
  • 1974년 완공된 건축물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국가대표 도서관으로, 국내외 도서 자료의 수집, 제공, 보존 및 관리,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정보화를 통한 국가 문헌 정보 체계 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디지털 자료와 중요 문화재를 소장하고 온라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 1974년 완공된 건축물 - 케냐타 국제 컨벤션 센터
    케냐타 국제 컨벤션 센터는 조모 케냐타 대통령의 지시로 1973년에 완공된 컨벤션 센터로, 나이로비에 위치하며, 비즈니스 여행 및 MICE 관광 활성화를 위해 운영된다.
리가 수력 발전소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리가 수력 발전소
현지 이름 (라트비아어)Rīgas hidroelektrostacija
위치살라스필스
국가라트비아
발전소 정보
운영사라트베네르고
상태운영 중
발전소 종류수력 발전소
터빈 수6
설비 용량402 MW
연간 발전량564 GWh (2018년)
설비 이용률16% (2018년)
가동 시작1974년
기타 정보
리가 수력 발전소
리가 수력 발전소

2. 역사

리가 수력 발전소는 1974년에 가동되었다.[1] 다우가바강의 돌레스 살라 섬을 가로질러 을 건설하면서 섬의 절반이 리가 저수지를 위해 침수되었고, 여러 작은 섬들도 함께 침수되었다. 댐은 저수지 유지 외에도 상단을 자동차 고속도로로 사용하며, 철도 또한 건설되었으나 발전소 건설 기간에만 사용되고 21세기 초에 철거되었다.

2. 1. 건설 배경

리가 수력 발전소는 1966년 착공하여 1974년에 개업하였다.[2] 다우가바강의 돌레스 살라(Doles Sala) 섬 지역에 댐을 건설하여 리가 수력 발전소를 지었고, 이 지역은 댐 건설 이후 리가 저수지의 일부가 되었다. 돌레스 살라 섬 이외에도 다우가바강의 작은 섬들이 저수지에 편입되었다.

저수지를 지탱하는 역할 이외에도, 댐의 상부는 자동차 도로로 사용된다. 댐 건설을 위하여 철도가 같이 시공되었으나, 발전소 건설 기간에만 사용되었고, 다우가바강 좌안에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 없었기 때문에 21세기 초에 폐선되었다. 영업 당시 철도 노선은 살라스필스 역에서 분기되어 돌레스 살라 섬의 중앙부까지 이어졌다.

2. 2. 건설 과정

리가 수력 발전소는 1966년 착공하여 1974년에 개업하였다.[2] 리가 수력 발전소를 짓기 위해서 다우가바강의 돌레스 살라(Doles Sala) 섬 지역에 을 건설하였고, 이 지역은 댐 건설 이후 리가 저수지의 일부가 되었다. 돌레스 살라 섬 이외에도 다우가바강의 작은 섬들이 저수지에 편입되었다.

저수지를 지탱하는 역할 이외에도, 댐의 상부는 자동차 도로로 사용된다. 댐 건설을 위하여 철도가 같이 시공되었으나, 발전소 건설 기간에만 사용되었고, 다우가바강 좌안에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 없었기 때문에 21세기 초에 폐선되었다. 영업 당시 철도 노선은 살라스필스 역에서 분기되어 돌레스 살라 섬의 중앙부까지 이어졌다.

3. 시설

저수지 중간에는 송전탑이 있으며, 살라스필스-옐가바 및 살라스필스-리가 수력 발전소 간 330kV 송전선이 2기 설치되어 있다. 저수지 끝에서 끝까지의 거리는 약 1km이다.[2]

3. 1. 발전 설비

리가 수력 발전소는 리가 개발의 중요한 부분으로, 리가의 주요 전력 공급원이다. 또한 리가 저수지는 대다수 리가 주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원천이다. 이 발전소는 TEC2 화력 발전소의 보상 설비로 사용되어, 전기 네트워크의 전압을 조절하고 전력 부족을 보상한다.[1]

발트 해 연안에서 가장 큰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발전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의 터빈 1기가 멈추면 3기의 터보 발전기가 가동을 시작하며, 2기가 멈추면 6기의 터보 발전기가 가동을 시작한다.

저수지 중앙에는 송전선 철탑이 있으며, 330 kV 선로 2개(살라스필스에서 옐가바로, 살라스필스에서 리가 수력 발전소(Rīgas HES)로)가 지나가며, 해안 간 거리는 약 1km이다.

이 발전소는 라트벤에르고(Latvenergo)가 운영한다.

3. 2. 송전선

저수지 중간에는 송전탑이 있으며, 살라스필스-옐가바 및 살라스필스-리가 수력 발전소 간 330kV 송전선이 2기 설치되어 있다. 저수지 끝에서 끝까지의 거리는 약 1km이다.[2] 이 송전선은 리가의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리가 저수지는 리가 대부분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한다.[1] 전력망의 전압을 조절하고 전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TEC2 화력 발전소의 대체 발전소로 펌프 저장식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2] 발전소는 라트벤에르고에서 운영하고 있다.

3. 3. 저수지

리가 수력 발전소를 짓기 위해서 다우가바강의 돌레스 살라(Doles Sala) 섬 지역에 댐을 건설하였고, 이 지역은 댐 건설 이후 리가 저수지의 일부가 되었다. 돌레스 살라 섬 이외에도 다우가바강의 작은 섬들이 저수지에 편입되었다.[2]

댐의 상부는 자동차 도로로 사용되며 저수지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댐 건설을 위하여 철도가 같이 시공되었으나, 발전소 건설 기간에만 사용되었고, 다우가바강 좌안에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 없었기 때문에 21세기 초에 폐선되었다. 영업 당시 철도 노선은 살라스필스 역에서 분기되어 돌레스 살라 섬의 중앙부까지 이어졌다. 저수지 중간에는 송전선 철탑이 있으며, 살라스필스-옐가바 및 살라스필스-리가 수력 발전소간 330kV 송전선이 2기 설치되어 있다. 저수지 끝에서 끝까지의 거리는 약 1km이다. 리가 저수지는 리가 대부분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며, 리가의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다.[2]

4. 운영 및 역할

저수지 중간에는 송전선 철탑이 있으며, 살라스필스에서 옐가바와 리가 수력 발전소(Rīgas HES)로 가는 330kV 송전선 2기가 설치되어 있다. 해안 간 거리는 약 1km이다. 발전소는 라트브에네르고에서 운영하고 있다.[2]

4. 1. 역할

리가 수력 발전소는 리가의 전력 공급원이며, 리가 저수지는 리가 대부분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전력망의 전압을 조절하고 전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TEC2 화력 발전소의 대체 발전소로 펌프 저장식 발전기가 설치되어 있다.[2] 또한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의 대체 발전소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의 터빈 1기가 멈추면 3기의 터보 발전기가, 2기가 멈추면 6기의 터보 발전기가 가동을 시작한다.

리가 수력 발전소는 리가 개발의 중요한 부분이며, 주요 전력 공급원이자 리가 주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원천이다. 이 발전소는 TEC2 화력 발전소의 보상 설비로 사용되어 전기 네트워크의 전압을 조절하고 전력 부족을 보상한다.[1] 발전소는 라트브에네르고(Latvenergo)가 운영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augava hydropower plants https://latvenergo.l[...] Latvenergo 2010-01-09
[2] 웹인용 Hydropower plants https://www.webcitat[...] Latvenergo 2010-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