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도서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서관으로, 1923년 조선총독부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1945년 국립도서관으로 개관했다. 1963년 국립중앙도서관으로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종합적인 도서관 자료 수집, 보존, 정보 제공, 그리고 국내 도서관 지원 및 국제 교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본관 외에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디지털도서관, 국립세종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등의 소속 기관을 두고 있으며, 1,300만 권이 넘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서울 지하철 3, 7, 9호선 고속터미널역 근처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설립된 도서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립 대학 도서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립 대학교 도서관은 1945년 설립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민의 지식 제공과 과학 및 예술 활동 지원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 납본도서관 - 국립국회도서관
국립국회도서관은 일본 제국의회의 도서관과 제국도서관을 계승하여 미군 점령기의 민주화 과정을 거쳐 1948년 개관, 1949년 국립도서관과 통합되었으며, 현재 법정납본제도를 통해 수집된 방대한 자료를 국회 및 대중에게 제공하는 일본의 국립도서관이자 국회도서관이다. - 납본도서관 - 미국 의회도서관
미국 의회도서관은 1800년 설립되어 정치 자료를 주로 소장했으나, 토마스 제퍼슨 도서관 인수를 통해 확장되었고, 현재 1억 6천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하며 연구 지원, 저작권 등록, 디지털 자료 공개, 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 국제적 협력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1963년 설립된 도서관 - 안성시립도서관
안성시립도서관은 1963년 안성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199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안성시립중앙도서관 등 여러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 1963년 설립된 도서관 - 연암도서관
연암도서관은 1963년 진주시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구인회 기증을 거쳐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으며, 일반열람실 등을 갖추고 자료실별로 운영하며, 휴관일이 존재한다.
국립중앙도서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명칭 | 국립중앙도서관 |
한자 명칭 | 國立中央圖書館 |
로마자 표기 | Gungnip Jungang Doseogwan |
개관 | 1945년 10월 15일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소장 자료 수 | 12,565,821점 |
법정 납본 | 예 (도서관법 제20조) |
웹사이트 | www.nl.go.kr |
운영 및 조직 | |
관리 운영 |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
관장 | 서혜란, 최고 책임자 |
분관 수 | 2 |
법적 근거 | 대한민국 법률, 도서관법 제18조 |
기타 정보 | |
유형 | 국립 도서관 |
2. 연혁
- 1945년 10월 15일: 조선총독부도서관을 개편하여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에서 국립도서관으로 개관하였다.[4]
- 1963년 10월 28일: 도서관법 제정으로 국립중앙도서관으로 개편되었다.
- 1965년 3월 26일: 자료제출(납본)제도가 시행되었다.
- 1974년 12월 2일: 남산으로 본관을 이전하였다.[2]
- 1988년 5월 28일: 서초구 반포동으로 본관을 신축 이전하였다.[2]
- 2004년 9월 15일: 장서 수가 500만 권을 돌파하였다.
- 2006년 6월 28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2006년 10월 6일: 도서관법이 공포(법률 제8029호)되었다.
- 2009년 5월 25일: 디지털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2012년 9월 24일: 국립장애인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2013년 12월 12일: 국립세종도서관이 개관하였다.
3.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도서관법」 제18조제1항에 따라 국립중앙도서관이 설치되었다.[10]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내외 도서관 자료 수집, 보존,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정보화를 통한 국가문헌정보체계 구축, 도서관 직원 교육 훈련, 국내외 도서관과의 교류 협력, 독서 진흥 활동 지원 등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1]
3. 1. 설치 근거
「도서관법」 제18조제1항[10]3. 2. 소관 업무
국립중앙도서관의 소관 업무는 다음과 같다.[1]- 종합계획에 따른 관련 시책 시행
- 국내외 도서관 자료의 수집·제공·보존관리
-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 정보화를 통한 국가문헌정보체계 구축
- 도서관 직원 교육훈련 등 국내 도서관에 대한 지도·지원 및 협력
- 외국 도서관과의 교류 및 협력
- 도서관 발전을 위한 조사 및 연구
- 「독서문화진흥법」에 따른 독서 진흥 활동 지원 및 협력
- 그 밖에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업무

4. 조직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으로, 대한민국의 ISBN, ISSN 관리를 담당하며, 사서 교육 기관도 부설하고 있다.
- 기획연수부
- * 총무과
- * 기획총괄과
- * 사서교육문화과
- * 국제교류홍보팀
- 자료관리부
- * 자료기획과
- * 주제정보과
- * 정책자료과
- 디지털자료운영부
- * 디지털총괄기획과
- * 디지털정보이용과
- * 정보시스템운영팀
- * 디지털전략팀
4. 1. 관장
관장4. 2. 소속기관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 자료보존연구센터
- 국립세종도서관
- 도서관정보정책연구소
-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5. 시설
국립중앙도서관 본관은 지상 7층, 지하 1층 규모이며, 사서교육관은 지상 2층, 지하 1층, 자료보존관은 지상 2층, 지하 4층 규모이다. 도서관 내에는 서고, 주제별자료실, 열람실, 강의실, 회의실, 보존처리실 등이 있다. 2009년에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완공되어 본관과 지하통로로 연결되었다. 통일부 북한자료센터는 국립디지털도서관 개관과 함께 본관 5층으로 이전하였다.
층별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지하 1층: 지하서고, 국립디지털도서관 연결통로
- 1층: 장애인정보누리터
- 2층: 문학실
- 3층: 연속간행물실(잡지·신문·공공간행물), 연구정보실
- 4층: 도서자료실(인문·사회·자연과학)
- 5층: 고문헌·지도자료실, 고문헌전시실
- 6층: 국립장애인도서관 등
- 7층: 서고
5. 1. 북한자료센터
북한자료센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자료를 국민에게 공개하고,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된 정부기관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5층에 있다.대한민국 통일부에서 별도로 운영하는 통일·북한 전문 도서관으로, 약 9만 4천 건의 북한 관련 도서, 정기간행물, 시청각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원래 광화문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으나 국립디지털도서관 개관 이후 본관 5층으로 이전하여 다시 문을 열었다.
운영 주체가 다르고 보유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자료실과는 이용 방법에 차이가 있다.
- 북한자료센터의 자료는 도서관 내 다른 PC나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는 검색할 수 없다. 북한자료센터 내의 PC를 이용하거나 북한자료센터 홈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다.
- 일반 자료는 관외 대출이 가능하다.
- 열람 자료는 북한자료센터 밖으로 가지고 나갈 수 없다.
- 북한 및 반국가 단체에서 발행된 정치적 이념성 자료는 특수자료로 분류되어 열람은 가능하지만, 관외 대출이나 복사는 공공/행정기관 및 각종 단체장의 추천서가 필요하다.
6. 소장 자료
국립중앙도서관은 1965년 납본 제도 시행 이후 국내에서 제작·발행되는 도서, 연속간행물, 각종 CD를 소장하고 있다.[18] 1965년 이전에 수집된 출판 자료와 국보 · 보물로 지정된 도서 문화재도 소장하고 있다.[18] 외국에서 발간된 동남아시아 관련 자료, 유엔 · 세계 보건 기구 등 국제기구 발간 자료, 개인이나 단체가 기증한 문헌, 전자 자료도 소장품에 포함된다.[18]
2015년 5월 국내 최초, 세계 국립도서관 중 15번째로 장서 1,000만 권 시대를 열었다.[18] 2021년 10월 31일 기준 총 13,291,306책을 소장하고 있으며,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다.[18]
구분 | 수량 |
---|---|
국내 도서 | 9,584,718책 |
해외 도서 | 1,609,108책 |
비도서자료 | 1,803,691점 |
고서 | 293,789책 |
문화재로 지정된 자료 | 69책 |
2020년 11월 기준으로는 총 12,768,751권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9,158,363권은 한국어 도서, 1,552,489권은 외국어 도서, 1,771,738권은 비도서 자료, 286,161권은 고서이다.[5]
주요 문화재로는 국보 제148호 십칠사찬고금통요, 국보 제319호 동의보감, 보물 제523-1호 석보상절, 보물 제710-3호 동인지문사륙, 보물 제865호 민간활자 및 인쇄용구, 보물 제1088호 언해태산집요, 보물 제1595호 목장지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8호 조아통상조약,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9호 조·영 통상 조약,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0호 대조선국·대덕국 통상 조약,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1호 대한국·대청국 통상 조약,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2호 대조선국·대법민주국 통상 조약 등이 있다.[18]
초기 금속활자(계미자)로 인쇄된 세종실록(1402년 간행)이 국보 제148호로 지정되어 있다.[18] 이 외에 문화재로 지정된 것으로는 석보상절(1447년 간행, 보물 제523-1호), 동의보감(1613년 간행, 보물 제1085호) 등의 서적, 조청상민수호조규(1885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08호), 조영통상조약(1885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09호) 등의 외교 문서가 있다.
북한에서 발행된 문헌도 소장하고 있다. 한국 역사와 사회 관련 신문 및 1차 자료 아카이브를 포함한 방대한 디지털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자료들 중 상당수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일부 자료는 유료 또는 특별 허가가 필요하다.[6]
7. 디지털도서관
2009년 5월에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이 개관하였다.[19] 유네스코의 세계디지털도서관(WDL)이나 유럽연합(EU)의 유로피아나보다 많은 1억 1600만 건의 디지털 콘텐츠와 25만 건의 동영상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UCC제작 스튜디오, 복합상영관, 첨단 세미나실을 갖추고 있어 첨단장비를 갖춘 오프라인 시설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옆에 독립적으로 지어진 건물로 지하 5층, 지상 3층, 연면적 38014m2 규모이다. 257석 규모의 디지털 열람실을 갖추고 있으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료를 검색할 수 있다. 미국 의회도서관과 도쿄대·싱가포르대 등 세계 700여 개 기관이 제공하는 자료도 검색 가능하다.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는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지만, 디지털도서관 내에서 이용하면 유료 데이터를 무료로 볼 수 있다.
복합상영관에서는 시청각 자료 25만 건을 볼 수 있다. 대형 LCD 모니터를 두고 여러 명이 무선 헤드폰으로 동시 관람도 가능하다. 최대 16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세미나실 8곳도 갖추고 있으며, 회의 중 전자칠판에 쓴 내용은 참석자들의 e-메일로 전송된다.
2011년 11월 19일 위키백과 학교의 첫 번째 대한민국 세미나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8.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2021-03-04
[2]
학회발표논문
The modern history of the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campaign in Korea
https://web.archive.[...]
2022-05-26
[3]
백과사전
국립중앙도서관 (國立中央圖書館)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12
[4]
백과사전
국립중앙도서관 (國立中央圖書館)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12
[5]
웹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2021-03-04
[6]
웹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2021-03-05
[7]
뉴스
South Korea Wants More Babies, Just Not in These Places
https://www.nytimes.[...]
2024-07-13
[8]
기타
[9]
웹인용
시설·자료현황
https://www.nl.go.kr[...]
국립중앙도서관
2022-12-07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웹사이트
http://www.nl.go.kr/[...]
2017-05-05
[19]
뉴스인용
25일 개관 '책없는 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 가보니…
http://www.seoul.co.[...]
2010-08-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문수 “헌법에 ‘지방분권’ 명시…대법원·헌재 지방 이전”
4월25일 알림
김금희 작가의 신작 ‘오디오북’으로 만난다
배우 박정민 “기자님 안녕하세요” 직접 신간 보도자료 보낸 사연
LH, 작은도서관 활성화 공로로 문체부 장관상 수상
4월8일 인사
3월27일 알림
3월25일 인사
시간과 역사 품은 도서관, 한국의 오늘을 묻다
올해는 ‘그림책의 해’…그림책을 그림책이라 불러주세요 [.txt]
2월14일 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