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플라빈 키네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보플라빈 키네이스는 X선 결정학 및 핵자기 공명(NMR)으로 관찰할 수 있는 효소이다. 테르모플라스마 아시도필룸에서 분리한 리보플라빈 키네이스는 22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2.20 Å 해상도로 X선 결정학을 통해 구조가 밝혀졌다. 이차 구조는 알파 나선 형태의 69개 잔기(30%)와 베타 시트 형태의 60개 잔기(26%)를 포함하며, 아미노산 131번과 133번에 마그네슘 결합 부위, 아미노산 188번과 195번에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부위를 갖는다. 2007년 말 기준으로 14개의 3차 구조가 밝혀졌으며, 단백질 데이터 뱅크(PDB) 접근 코드는 1N05, 1N06, 1N07, 1N08, 1NB0, 1NB9, 1P4M, 1Q9S, 2P3M, 2VBS, 2VBT, 3CTA, 2VBU, 2VBV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 |
---|---|
효소 정보 | |
이름 |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
EC 번호 | 2.7.1.26 |
CAS 번호 | 9032-82-0 |
GO 코드 | 0008531 |
![]() | |
단백질 패밀리 정보 | |
심볼 | 플라보키네이스 |
이름 |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
![]() | |
Pfam | PF01687 |
InterPro | IPR015865 |
SMART | 해당 없음 |
PROSITE | 해당 없음 |
MEROPS | 해당 없음 |
SCOP | 1mrz |
TCDB | 해당 없음 |
OPM 패밀리 | 해당 없음 |
OPM 단백질 | 해당 없음 |
CAZy | 해당 없음 |
CDD | 해당 없음 |
2. 구조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효소의 전체 배열은 X선 결정학과 핵자기 공명(NMR)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테르모플라스마 아시도필룸에서 분리한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효소는 22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X선 결정학을 통해 2.20 Å 해상도로 구조가 밝혀졌다. 이 효소의 이차 구조는 알파 나선 형태의 잔기 69개(30%)와 베타 시트 형태의 잔기 60개(26%)를 포함한다. 마그네슘 결합 부위는 아미노산 131번과 133번에,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부위는 아미노산 188번과 195번에 있다.
2. 1. 3차 구조
전체 효소 배열은 X선 결정학과 핵자기 공명(NMR)으로 관찰할 수 있다.
''테르모플라스마 아시도필룸''에서 분리한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효소는 아미노산 220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효소의 구조는 X선 결정학을 통해 2.20 Å 해상도로 밝혀졌다. 이차 구조는 알파 나선 형태의 잔기 69개(30%)와 베타 시트 형태의 잔기 60개(26%)를 포함한다. 효소는 아미노산 131번과 133번에 마그네슘 결합 부위, 아미노산 188번과 195번에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부위를 가지고 있다.
2007년 말 기준으로,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효소의 3차 구조는 14개가 밝혀졌다. PDB 접근 코드는 1N05, 1N06, 1N07, 1N08, 1NB0, 1NB9, 1P4M, 1Q9S, 2P3M, 2VBS, 2VBT, 3CTA, 2VBU, 2VBV이다.
2. 2. 테르모플라스마 아시도필룸 유래 효소
''테르모플라스마 아시도필룸''에서 분리한 리보플라빈 키네이스 효소는 아미노산 220개로 구성된다. 이 효소의 구조는 X선 결정학을 통해 2.20 Å 해상도로 밝혀졌다. 이차 구조는 알파 나선 형태의 잔기 69개(30%)와 베타 시트 형태의 잔기 60개(26%)를 포함한다. 마그네슘 결합 부위는 아미노산 131번과 133번에 있으며,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부위는 아미노산 188번과 195번에 있다.참조
[1]
논문
Crystal structure of riboflavin kinase from Thermoplasma acidophilum
[2]
논문
Ligand binding-induced conformational changes in riboflavin kinase: structural basis for the ordered mechanism
[3]
논문
Over-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soform 2 of human FAD synthetase
[4]
논문
A conserved domain in prokaryotic bifunctional FAD synthetases can potentially catalyze nucleotide transfer
[5]
논문
A CTP-Dependent Archaeal Riboflavin Kinase Forms a Bridge in the Evolution of Cradle-Loop Barrels
https://www.unipr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