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키시 (프로레슬링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키시는 사모아계 미국인 프로레슬러로, 1985년부터 2004년까지 WWF/E에서 활동했다. 그는 헤드슈링커스, 투 쿨 등의 태그팀 멤버로 활약했으며,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WWE 태그팀 챔피언을 역임했다. 2015년에는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주요 기술로는 반자이 드롭, 리키쉬 드라이버, 스팅크 페이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쌍둥이 - 필립 K. 딕
필립 K. 딕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 정체성 혼란, 기술 발달과 인간 소외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룬 미국의 유명한 과학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사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미국의 쌍둥이 - 니콜 톰
니콜 톰은 1992년 영화 《베토벤》으로 데뷔하여 《비벌리힐스 90210》, 《유모》, 《슈퍼맨: 애니메이션 시리즈》 등 다양한 작품에서 배우로 활동하며,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에서 슈퍼걸 목소리 연기를 맡기도 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로디 파이퍼
로디 파이퍼는 로데릭 조지 툼스라는 본명을 가진 캐나다 출신의 프로레슬러이자 배우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NWA와 WWF에서 활동하며 "파이퍼스 핏" 인터뷰 코너 진행 및 헐크 호건 등과의 대립으로 인기를 얻었고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에는 영화 《그들이 사는 세상》에 출연하는 등 배우로도 활동했다. - WWE의 챔피언십 틀 목록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더스티 로즈
더스티 로즈는 "아메리칸 드림"이라는 링네임으로 유명한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트레이너, 부커로, NW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3회 지냈으며 은퇴 후 WWE에서 프로듀서와 각본가로 활동하며 2007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미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셰인 맥마흔
미국의 사업가이자 프로레슬러인 셰인 맥마흔은 빈스 맥마흔과 린다 맥마흔의 아들이며, WWE에서 선수 및 경영진으로 활동하며 유러피언 챔피언십, 하드코어 챔피언십, 스맥다운 태그팀 챔피언십을 획득했고 WWE 월드컵에서 우승했으며, WWE 외에 유 온 디맨드 CEO, 인터내셔널 스포츠 매니지먼트 이사 등을 역임했다.
리키시 (프로레슬링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솔로파 파투 주니어 |
링네임 | 리키시 파투 리키시 F.A.T.U. 주니어 파투 마카하 더 술탄 헤드슈링커 파투 |
신장 | 185cm |
체중 | 188kg |
출생일 | 1965년 10월 11일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사망일 | 생존 |
가족 관계 | 우마가(사촌 형), 요코주나(사촌 형), 로만 레인즈(사촌 동생), 제이 우소(아들), 지미 우소(아들), 솔로 시코아(아들) |
프로레슬링 입문 | 1985년 |
경력 | |
주요 커리어 |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1회 WWE 태그팀 챔피언 1회 - 스쿠티 투 하티와 함께 WCW 태그팀 챔피언 3회 - 새뮤얼 패투와 함께 WWE 명예의 전당 헌액 (2015년) |
2. 선수 경력
2. 1. 초기 활동 (1985-1992)
2. 2. WWF/E (1992-2004)
2. 2. 1. 헤드슈링커스 (1992-1995)
요약과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source`)와 요약(`summary`) 정보가 제공되면 위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겠습니다.2. 2. 2. 술탄 (1996-1997)
내용이 없습니다.2. 2. 3. 리키쉬 (1999-2004)
1999년 WWF 스맥다운! 에서 빈스 맥맨/Vince McMahon영어에 의해 등 부위가 노출된 스모 선수 복장을 입고 링에 등장한다. 2000년 초, 투 쿨/Too Cool영어의 멤버 그랜드 마스터 섹세이/Grand Master Sexay영어, 스코티 투 하티/Scotty 2 Hotty영어와 함께 다니면서 대립, 혹은 태그팀으로 경기를 치른다.리키쉬 파투/Rikishi Phatu영어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하던 중, 2000년 5월 6일 WWF 메탈에서 빅 보스 맨/The Big Boss Man영어을 꺾고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에 등극한다. 6월 22일, 킹 오브 더 링에서 발 베니스/Val Venis영어에게 패배하여 타이틀을 잃는다. 2000년 12월, 아마겟돈에서 열린 헬 인 어 셀 경기에서 언더테이커/The Undertaker영어에게 초크슬램을 맞고 패배한다.
2001년 로얄 럼블에서 30번으로 등장했으나, 더 락/The Rock영어에게 탈락한다. 2002년, WWE 스맥다운! 에서 빌리 & 척/Billy and Chuck영어과 대립한다. 2003년 11월, WWE 스맥다운!에서 스코티 투 하티/Scotty 2 Hotty영어가 복귀하면서 다시 태그팀으로 활동한다. 2004년 2월 5일, WWE 스맥다운!에서 빌리 & 척을 꺾고 WWE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3월 22일, 레슬매니아 20에서 월드 그레이티스트 태그팀/The World's Greatest Tag Team영어, 배샴 브라더스/The Basham Brothers영어, APA/APA영어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에 성공한다. 4월 19일, WWE 스맥다운!에서 찰리 하스/Charlie Haas영어, 리코 콘스탄티노/Rico Constantino영어에게 패배하여 타이틀을 잃는다.
엉덩이를 상대방 얼굴에 비비는 기술인 스팅크 페이스/Stink Face영어는 당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2. 3. WWE 이후 (2004-현재)
3. 주요 기술
리키쉬는 다양한 피니싱 무브를 사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99년부터는 요코주나로부터 물려받은 '''반자이 드롭'''(Corner slingshot seated senton)을 ''럼프 셰이커''라는 기술명으로 사용했다. 또한, '''리키쉬 드라이버'''(Reverse over the shoulder piledriver)도 그의 대표적인 피니싱 무브 중 하나였다.
그 외에도 ''앨라배마 슬램'' (Double leg slam; 1987-1989), ''반자이 짐'' (Military press slam; 1999-현재), ''반자이 초크'' (Arm triangle choke; 1999-현재), ''반자이 킥'' (Side kick; 1999-현재), ''반자이 슬램'' (Argentine neckbreaker slam; 1999-현재), 암바(1987-1989), 백 엘보 스매시(1991-1992), 바이시클 킥(1985-1987), 보스턴 크랩(1997-1999), 브레인버스터(1989-1991), 카멜 클러치(1996-1997), 크로스페이스(1985-1987), 크로스바디(1992-1994), 더블 언더훅 DDT(1989-1991), 페이스버스터(1987-1989), 피스트 드롭(1989-1991), 포암 클럽(1991-1992), 풀 넬슨(1991-1992), 하트 펀치(1992-1994), 하이 니(1991-1992), 레그 드롭 불독(1987-1989), 넥브레이커 슬램(1985-1987), 오버헤드 촙(1992-1994), 리버스 피겨 포 레그락(1992-1994), 러닝 파워슬램(1989-1991), ''사모안 캐논볼'' (Senton bomb; 1991-1992), ''사모안 촙 드롭'' (Chop drop; 1992-1994), ''사모안 드롭킥'' (Front dropkick; 1987-1989), ''사모안 엘보 드롭'' (Diving elbow drop; 1985-1987), ''사모안 문설트'' (문설트; 1989-1991), ''사모안 스플래시'' (Diving splash; 1992-1994), ''사모안 스톰프'' (Diving double foot stomp; 1987-1989), ''사모안 슈플렉스'' (Leg hook belly to back suplex; 1985-1987), ''사모안 어퍼컷'' (European uppercut; 1989-1991), 사이드 슬램(1997-1999), 슈팅 스타 프레스(1997-1999), ''솔로파 브롱코 버스터'' (Bronco buster; 1996-1997), ''솔로파 아이언 클로'' (Iron claw slam; 1996-1997), ''솔로파 문설트 레그 드롭'' (Moonsault leg drop; 1996-1997), ''솔로파 랙'' (Backbreaker rack drop; 1996-1997), ''솔로파 슬램'' (Fallaway slam; 1996-1997), 스윙잉 스파인버스터(1985-1987), ''벌컨 백 촙'' (Back chop; 1994-1996), ''벌컨 부트'' (Jumping big boot; 1994-1996), ''벌컨 드롭'' (Death Valley driver; 1994-1996), ''벌컨 레리어트'' (Running lariat; 1994-1996), ''벌컨 시티드 센턴'' (Diving seated senton; 1994-1996), ''벌컨 STF'' (Stepover Toehold Facelock; 1994-1996),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아토믹 드롭'' (Atomic drop; 1985-1987),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조브레이커'' (Jawbreaker; 1989-1991),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킥'' (Heel kick; 1991-1992),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파워밤'' (Gutwrench powerbomb; 1991-1992),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슬리퍼 홀드 슬램'' (Sleeper hold slam; 1992-1994),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슬램'' (Military press slam; 1987-1989), 리스트 락(1989-1991), ''제로원 불독'' (Three-quarter facelock bulldog; 1997-1999), ''제로원 드라이버'' (Belly-to-back piledriver; 1997-1999), ''제로원 드롭'' (Falling inverted DDT; 1997-1999), ''제로원 슬램'' (Two-handed chokeslam; 1997-1999)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했다.
상대방을 구석에 몰아넣고 엉덩이로 깔아뭉개는 기술인 '''스팅크 페이스'''는 그가 고안해낸 기술이다.
3. 1. 피니싱 무브
리키쉬는 다양한 피니싱 무브를 사용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1999년부터는 요코주나로부터 물려받은 '''반자이 드롭'''(Corner slingshot seated senton)을 ''럼프 셰이커''라는 기술명으로 사용했다. 또한, '''리키쉬 드라이버'''(Reverse over the shoulder piledriver)도 그의 대표적인 피니싱 무브 중 하나였다.그 외에도 ''앨라배마 슬램'' (Double leg slam; 1987-1989), ''반자이 짐'' (Military press slam; 1999-현재), ''반자이 초크'' (Arm triangle choke; 1999-현재), ''반자이 킥'' (Side kick; 1999-현재), ''반자이 슬램'' (Argentine neckbreaker slam; 1999-현재), 암바(1987-1989), 백 엘보 스매시(1991-1992), 바이시클 킥(1985-1987), 보스턴 크랩(1997-1999), 브레인버스터(1989-1991), 카멜 클러치(1996-1997), 크로스페이스(1985-1987), 크로스바디(1992-1994), 더블 언더훅 DDT(1989-1991), 페이스버스터(1987-1989), 피스트 드롭(1989-1991), 포암 클럽(1991-1992), 풀 넬슨(1991-1992), 하트 펀치(1992-1994), 하이 니(1991-1992), 레그 드롭 불독(1987-1989), 넥브레이커 슬램(1985-1987), 오버헤드 촙(1992-1994), 리버스 피겨 포 레그락(1992-1994), 러닝 파워슬램(1989-1991), ''사모안 캐논볼'' (Senton bomb; 1991-1992), ''사모안 촙 드롭'' (Chop drop; 1992-1994), ''사모안 드롭킥'' (Front dropkick; 1987-1989), ''사모안 엘보 드롭'' (Diving elbow drop; 1985-1987), ''사모안 문설트'' (문설트; 1989-1991), ''사모안 스플래시'' (Diving splash; 1992-1994), ''사모안 스톰프'' (Diving double foot stomp; 1987-1989), ''사모안 슈플렉스'' (Leg hook belly to back suplex; 1985-1987), ''사모안 어퍼컷'' (European uppercut; 1989-1991), 사이드 슬램(1997-1999), 슈팅 스타 프레스(1997-1999), ''솔로파 브롱코 버스터'' (Bronco buster; 1996-1997), ''솔로파 아이언 클로'' (Iron claw slam; 1996-1997), ''솔로파 문설트 레그 드롭'' (Moonsault leg drop; 1996-1997), ''솔로파 랙'' (Backbreaker rack drop; 1996-1997), ''솔로파 슬램'' (Fallaway slam; 1996-1997), 스윙잉 스파인버스터(1985-1987), ''벌컨 백 촙'' (Back chop; 1994-1996), ''벌컨 부트'' (Jumping big boot; 1994-1996), ''벌컨 드롭'' (Death Valley driver; 1994-1996), ''벌컨 레리어트'' (Running lariat; 1994-1996), ''벌컨 시티드 센턴'' (Diving seated senton; 1994-1996), ''벌컨 STF'' (Stepover Toehold Facelock; 1994-1996),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아토믹 드롭'' (Atomic drop; 1985-1987),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조브레이커'' (Jawbreaker; 1989-1991),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킥'' (Heel kick; 1991-1992),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파워밤'' (Gutwrench powerbomb; 1991-1992),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슬리퍼 홀드 슬램'' (Sleeper hold slam; 1992-1994),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슬램'' (Military press slam; 1987-1989), 리스트 락(1989-1991), ''제로원 불독'' (Three-quarter facelock bulldog; 1997-1999), ''제로원 드라이버'' (Belly-to-back piledriver; 1997-1999), ''제로원 드롭'' (Falling inverted DDT; 1997-1999), ''제로원 슬램'' (Two-handed chokeslam; 1997-1999)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했다.
상대방을 구석에 몰아넣고 엉덩이로 깔아뭉개는 기술인 '''스팅크 페이스'''는 그가 고안해낸 기술이다.
3. 2. 시그니처 무브
리키시는 다양한 종류의 시그니처 기술들을 사용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사모안 드롭, 사바테 킥, 헤드벗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코너에 몰린 상대에게 엉덩이로 공격한 후 스팅크 페이스를 하는 패턴, 사모안 드롭, 사바테 킥, 착석 센턴 등이 있다. 우마가에게서 가져온 빠른 속도의 ''사모안 스파이크'' (섬 쓰러스트)도 사용했다.4. 수상 내역
- '''WWE'''
- *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1회
- *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 사무 (1회), 리코 (1회)
- * WWE 태그팀 챔피언 1회 - 스카티 투 하티 (1회)
- * WWE 홀 오브 페임 (2015년)
- * 슬리미 어워드 1994 포어 베스트 애티켓 (1994) - 사무
- '''기타 단체'''
- * NSWA 태그팀 챔피언 (1회) - 사무
- * 포틀랜드 퍼시픽 노스웨스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파워 프로레슬링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캄페오나투 인터내셔널 압솔루토 (5회)
- * UWA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 (1회) - 코키나 막시무스 언드 사모안 세비지
- * WCWA 텍사스 태그팀 챔피언 (1회) - 사무
- * WWC 캐리비언 태그팀 챔피언 (1회) - 사무
- * WC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3회) - 사무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레이티드'''
- * 컴백 오브 더 이열 (2000)
- * 랭크드 넘버 27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2000
- * 랭크드 넘버 347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오브 더 PWI 500 이열즈 인 2003
-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 * 워스트 워크드 매치 오브 더 이열 (1993) - 사무, 바스티언 쿠거, 뱀 뱀 비글로우 vs 부쉬웨커스, 맨 온 어 미션 엑트 WWF 서바이버 시리즈 1993
4. 1. WWE
-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1회
-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 사무 (1회), 리코 (1회)
- WWE 태그팀 챔피언 1회 - 스카티 투 하티 (1회)
- WWE 명예의 전당 (2015년)
4. 2. 기타 단체
- NSWA 태그팀 챔피언 1회 - 사무
- 포틀랜드 퍼시픽 노스웨스트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파워 프로레슬링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컴백 오브 더 이열 (2000)
- 랭크드 넘버 27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인 더 PWI 500 인 2000
- 랭크드 넘버 347 오브 더 탑 500 싱글즈 레슬링 오브 더 PWI 500 이열즈 인 2003
- 캄페오나투 인터내셔널 압솔루토 5회
- UWA 월드 트리오스 챔피언 1회 - 코키나 막시무스 언드 사모안 세비지
- WCWA 텍사스 태그팀 챔피언 1회 - 사무
- WWC 캐리비언 태그팀 챔피언 1회 - 사무
- WC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3회 - 사무
- WWF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1회
-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 2회 - 사무 (1회), 리코 (1회)
- WWE 태그팀 챔피언 1회 - 스카티 투 하티 (1회)
- WWE 홀 오브 페임 (2015)
- 슬리미 어워드 1994 포어 베스트 애티켓 (1994) - 사무
- 워스트 워크드 매치 오브 더 이열 (1993) - 사무, 바스티언 쿠거, 뱀 뱀 비글로우 vs 부쉬웨커스, 맨 온 어 미션 엑트 WWF 서바이버 시리즈 1993
5. 테마곡
"Danger in the Jungle" (짐 존스턴) (WWF; 1992-1995; The Headshrinkers와 팀을 이룰 때 사용)
"Clean It Up" by Jim Johnston (WWF; 1995-1996)
"Royal Emperor" by Jim Johnston (WWF; 1996-1997; The Iron Sheik and Bob Backlund와 팀을 이룰 때 사용)
"Sayonara" by Sumeet Chopra (WWF; 1999)
'''"U Look Fly 2 Day"''' by OD Hunte (WWF/WWE; 1999-2000; 2001-2004; 2012-2020; Too Cool과 팀을 이루거나 싱글 경기에 사용)
"Bad Man" by Ike Dirty (WWF; 2000-2001)
6. 기타
6. 1. 신체 사항
키는 185cm에다가 몸무게는 182kg이다.6. 2. 아노아이 가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