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튬 코발트 산화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₂)은 충전식 리튬 이온 배터리의 양극 재료로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층상 구조를 가지며, 리튬 이온 층과 코발트, 산소 원자 층으로 구성된다. 탄산 리튬과 산화 코발트(II,III)을 가열하여 합성하거나, 나노미터 크기 입자를 만들기 위해 수산화 리튬과 옥살산 코발트를 소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1980년에 삽입 전극으로 유용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현재 일부 리튬 이온 배터리에 사용된다. 충전 시 코발트가 산화되고 리튬 이온이 전해질로 이동하며, 안정적인 용량을 가지지만, 고온에서 열 폭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튬 화합물 - 유기리튬 시약
    유기리튬 시약은 탄소-리튬 결합을 가진 화합물로 카를 치글러, 게오르크 비티히, 헨리 길먼 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극성을 띠는 결합과 강염기성 및 친핵성을 이용하여 유기 합성 반응에서 친핵체, 탈양성자화제, 중합 개시제 등으로 널리 쓰인다.
  • 리튬 화합물 - 과산화 리튬
    과산화 리튬(Li2O2)은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특징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 정화나 리튬-공기 전지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이다.
  • 산화물 - 산화 아연
    산화 아연(ZnO)은 흰색 분말 형태의 양쪽성 산화물로, 고무, 안료, 의약품, 세라믹,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며 높은 굴절률, 열전도율, 항균성 및 자외선 차단 능력을 지닌 물질이다.
  • 산화물 - 이산화 규소
    이산화규소(SiO₂)는 규소 원자와 산소 원자가 사면체 구조로 결합된 3차원 네트워크 고체 화합물로, 결정질과 비결정질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지구 지각에서 풍부하게 발견되고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미세 결정질 형태는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리튬 코발트 산화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리튬 이온(Li+) 코발트(Co3+) 산소(O2-)
IUPAC 명칭리튬 코발트(III) 산화물
다른 이름코발트산 리튬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12190-79-3
PubChem CID23670860
EC 번호235-362-0
ChemSpider ID11262976
StdInChI1S/Co.Li.2O/q+3;+1;2*-2
StdInChIKeyLSZLYXRYFZOJRA-UHFFFAOYSA-N
SMILES[Li+].[O-2].[Co+3].[O-2]
속성
화학식LiCoO2
몰 질량97.87 g mol−1
외형짙은 파란색 또는 청회색 결정성 고체
밀도알 수 없음
녹는점알 수 없음
끓는점알 수 없음
용해도알 수 없음
위험성
주요 위험유해함
인화점알 수 없음
자연 발화점알 수 없음
신호어위험

2. 구조

LiCoO|2영어의 구조는 X선 회절, 전자 현미경, 중성자 분말 회절, EXAFS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로 연구되었다.[5]

고체는 단원자 리튬 양이온(Li|리튬영어)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층은 모서리를 공유하는 팔면체로 배열된 코발트와 산소 원자의 확장된 음이온 시트 사이에 놓여 있고, 두 면이 시트 평면에 평행하다.[6] 코발트 원자는 형식적으로 3가 산화 상태(Co|3+영어)에 있으며, 두 개의 산소 원자(O|2-영어) 층 사이에 끼워져 있다.

각 층(코발트, 산소 또는 리튬)에서 원자는 정삼각형 격자 형태로 배열된다. 격자는 리튬 원자가 코발트 원자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도록 서로 어긋나 있으며, 구조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세 개의 코발트(또는 리튬) 층마다 반복된다. 점군 대칭성은 Hermann-Mauguin 표기법으로 R\bar 3m이며, 이는 삼중 부정 회전 대칭과 거울면을 가진 단위 세포를 나타낸다. 삼중 회전 축(층에 수직)은 산소의 삼각형(각 팔면체의 반대쪽에 있음)이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부정 회전 축이라고 한다.[7]

3. 합성

리튬 코발트 산화물은 탄산 리튬(Li2CO3)과 산화 코발트(II,III)(Co3O4) 또는 금속 코발트의 혼합물을 600–800 °C에서 가열한 후, 산소 분위기에서 여러 시간 동안 900 °C에서 열처리하여 제조한다.[6][3][7]



음극에 더 적합한 나노미터 크기 입자는 막대 모양의 결정 형태로 약 8μm 길이와 0.4μm 너비의 수화물 옥살산 코발트(β-CoC2O4·2H2O)을 수산화 리튬(LiOH)과 함께 최대 750–900 °C까지 소성하여 얻을 수도 있다.[11]

세 번째 방법은 아세트산 리튬, 아세트산 코발트, 구연산을 동일한 몰량으로 수용액에 사용한다. 80 °C에서 가열하면 혼합물이 점성 투명 겔로 변한다. 그런 다음 건조된 겔을 갈아서 550 °C까지 점차적으로 가열한다.[10]

4. 충전식 배터리에서의 활용

이 화합물은 현재 일부 충전식 리튬 이온 배터리의 양극으로 사용되며, 입자 크기는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미터까지 다양하다.[10][11] 충전 시 코발트는 부분적으로 +4 상태로 산화되고, 일부 리튬 이온이 전해질로 이동하여 0 < ''x'' < 1의 화합물 범위를 생성한다.[3]

양극으로 생산된 배터리는 매우 안정적인 용량을 가지지만, (특히 니켈이 풍부한)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 (NCA) 또는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 (NCM)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양극을 가진 배터리보다 용량과 출력이 낮다.[12] 열적 안정성 문제는 다른 니켈이 풍부한 화학보다 양극에서 더 우수하지만, 크게 다르지는 않다. 이로 인해 배터리는 고온 작동(> 130°C) 또는 과충전과 같은 남용의 경우에 열 폭주에 취약하다. 고온에서 의 분해산소를 생성하며, 이 산소는 셀의 유기 전해질과 반응한다. 이 반응은 배터리가 매우 불안정해지고 안전한 방식으로 재활용해야 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자주 관찰된다. LiCoO2의 분해는 이 매우 발열 반응의 크기 때문에 안전 문제이며, 인접한 셀로 확산되거나 근처의 가연성 물질에 점화될 수 있다.[13] 일반적으로 이는 많은 리튬 이온 배터리 양극에서 관찰된다.

탈리튬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화학적 수단에 의해 이루어지지만,[14] 이온 스퍼터링 및 어닐링 사이클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물리적 공정이 개발되어 재료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다.[15]

5. 한국의 관련 연구 동향

대한민국의 여러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LiCoO2영어의 성능 개선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표면 코팅, 도핑 등의 방법을 통해 LiCoO2영어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열 폭주 현상을 억제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LiCoO2영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양극 재료 개발에도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LiCoO2영어 양극으로 생산된 배터리는 매우 안정적인 용량을 가지지만,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 (NCA) 또는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 (NCM) 산화물을 기반으로 하는 양극을 가진 배터리보다 용량과 출력이 낮다.[12] 열적 안정성 문제는 다른 니켈이 풍부한 화학보다 LiCoO2영어 양극에서 더 우수하지만, 크게 다르지는 않다. 이로 인해 LiCoO2영어 배터리는 고온 작동(> 130°C) 또는 과충전과 같은 남용의 경우에 열 폭주에 취약하다. 고온에서 LiCoO2영어분해산소를 생성하며, 이 산소는 셀의 유기 전해질과 반응한다. 이 반응은 배터리가 매우 불안정해지고 안전한 방식으로 재활용해야 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자주 관찰된다. LiCoO2영어의 분해는 이 매우 발열 반응의 크기 때문에 안전 문제이며, 인접한 셀로 확산되거나 근처의 가연성 물질에 점화될 수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Sigma-Aldrich product page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com 2012-09-14
[2] 논문 Thermochemical properties of lithium cobaltate 2011
[3] 논문 Thermodynamic properties of stoichiometric lithium cobaltite LiCoO2 2016
[4] 웹사이트 Lithium Cobalt Oxide (LiCoO2) for lithium ion battery https://www.diytrade[...] LinYi Gelon New Battery Materials Co., Ltd 2018-04-10
[5] 간행물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and neutron diffraction analyses of de-intercalation behavior in the LiCoO2 and LiNiO2 systems
[6] 간행물 Atomic resolution of lithium ions in LiCoO2 https://digital.libr[...] 2003-07
[7] 간행물 Cobalt(III) lithium oxide, CoLiO2: structure refinement by powder neutron diffraction 1984-01
[8] 간행물 High-Performance LiCoO2Sub-Micrometer Materials from Scalable Microparticle Template Processing 2016-08-16
[9] 논문 LixCoO2 (0
[10] 간행물 Nano-LiCoO2 as cathode material of large capacity and high rate capability for aqueous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2010-11-01
[11] 간행물 High-Performance LiCoO2 Sub-Micrometer Materials from Scalable Microparticle Template Processing 2016-08
[12] 간행물 The Structural Stability Limit of Layered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s Due to Oxygen Release at High State of Charge and Its Dependence on the Nickel Content https://iopscience.i[...] 2023-03-01
[13] 웹사이트 Vehicle Battery Safety Roadmap Guidance http://www.nrel.gov/[...]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13-01-19
[14] 간행물 A short review of failure mechanisms of lithium metal and lithiated graphite anodes in liquid electrolyte solutions https://linkinghub.e[...] 2002-06-02
[15] 간행물 Physical Delithiation of Epitaxial LiCoO 2 Battery Cathodes as a Platform for Surface Electronic Structure Investigation https://pubs.acs.org[...] 2023-08-02
[16] 웹사이트 Sigma-Aldrich product page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com 2012-09-14
[17] 간행물 Atomic resolution of lithium ions in LiCoO2 2003-07
[18] 간행물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and neutron diffraction analyses of de-intercalation behavior in the LiCoO2 and LiNiO2 systems
[19] 간행물 Cobalt(III) lithium oxide, CoLiO2: structure refinement by powder neutron diffraction 1984-01
[20] 웹사이트 Vehicle Battery Safety Roadmap Guidance http://www.nrel.gov/[...]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013-01-19
[21] 간행물 LixCoO2 (0
[22] 웹인용 Sigma-Aldrich product page http://www.sigmaaldr[...] Sigmaaldrich.com 2012-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