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이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이야기는 김남우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숙해가는 과정을 그린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이병헌, 류덕환, 공형진, 안성기, 배종옥, 나문희 등이 출연했으며, 류덕환이 남우, 성인규가 준호, 이날이가 수기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이 작품은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으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색채 분석, 들뢰즈의 영화 기호학, 관계 이미지 분석 등 다양한 학술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타지 영화 - 포르투나의 눈동자
《포르투나의 눈동자》는 햐쿠타 나오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죽음이 보이는 눈을 가진 주인공이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하는 내용을 그린 2019년 개봉한 일본 영화이다. - 판타지 영화 - 브레이브 스토리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브레이브 스토리》는 삶의 어려움을 겪는 와타루가 가상 세계 '환계'에서 모험하며 성장하는 판타지 작품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어린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 애니메이션 영화 - 제불찰씨 이야기
TV 생방송 재판에서 사형 여부가 결정되는 거미 제불찰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제불찰씨 이야기는 어린 시절 누나와의 기억을 쫓으며 사건에 휘말리는 제불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엄상현, 조현정 등의 성우진이 참여했고 관련 학술 논문도 존재한다. - 애니메이션 영화 - 브레이브 스토리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브레이브 스토리》는 삶의 어려움을 겪는 와타루가 가상 세계 '환계'에서 모험하며 성장하는 판타지 작품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어린이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 2002년 영화 - 웨일 라이더
《웨일 라이더》는 마오리족 소녀 파이케아가 부족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 노력하며 고래를 구출하고 지도자로 인정받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 2002년 영화 - 취화선
《취화선》은 2002년에 개봉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로, 조선 말기의 천재 화가 장승업의 삶을 다룬 작품이며, 최민식이 주연을 맡아 예술혼을 표현했으며,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 마리이야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원어 제목 | 마리이야기 |
| 로마자 표기 | Mariiyagi |
| 영화 정보 | |
| 감독 | 이성강 |
| 제작자 | 조성원 |
| 작가 | 강수정 이성강 서미애 |
| 음악 | 이병우 |
| 촬영 | 권근욱 |
| 편집 | 박곡지 |
| 제작사 | 대우엔터테인먼트 국동 시즈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 청어람필름 ADV Films |
| 개봉일 | 2002년 1월 18일 |
| 상영 시간 | 80분 |
| 국가 | 대한민국 |
| 언어 | 한국어 |
| 출연 | |
| 주연 | 류덕환 성인규 |
| 조연 | 배종옥 나문희 안성기 이병헌 공형진 |
2.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2. 1. 주요 등장인물
| 등장인물 | 한국 성우 | 영어 성우 |
|---|---|---|
| 남우 | 류덕환 | Alejandro Féliz|알레한드로 팰릭영어 |
| 어른 남우 | 이병헌 | Jay Hickman|제이 히크먼영어 |
| 준호 | 성인규 | Clint Bickham|클린트 빅햄영어 |
| 어른 준호 | 공형진 | Chris Patton|크리스 패튼영어 |
| 남우 엄마 | 배종옥 | Christine Auten|크리스틴 오튼영어 |
| 남우 할머니 | 나문희 | Shelley Calene-Black|셸리 칼린-블랙영어 |
| 준호 아버지 | 장항선 | John Swasey|존 스웨이시영어 |
| 수기 | 이날이 | Kira Vincent-Davis|키라 빈센트-데이비스영어 |
| 경민 | 안성기 | Andy McAvin|앤디 맥아빈영어 |
2. 2. 조연
- 류덕환: 남우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성인규: 준호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안성기: 경민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배종옥: 남우 엄마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 나문희: 남우 할머니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김남우는 주변 사람들이 끊임없이 그를 떠나면서 힘겨운 삶을 살아간다. 그의 가장 친한 친구 준호는 서울로 유학을 떠나고, 어떤 면에서는 과부인 그의 어머니도 새로운 남자친구에게 더 많은 관심을 쏟으면서 그를 "떠나고" 있다.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는 꿈의 세계로 들어가 마리라는 소녀를 만난다. 이 이야기는 김남우가 자신을 발견하고 성숙해 가는 과정을 따라간다.
이성강 감독은 섬세한 연출과 아름다운 영상미로 《마리이야기》를 완성했다. 영화 속 몽환적인 분위기는 유희열의 서정적인 음악과 어우러져 극대화된다.
3. 줄거리
4. 제작
4. 1. 사운드트랙
영화의 분위기를 한층 더 깊게 만드는 사운드트랙은 다음과 같다.
| 번호 | 곡명 | 아티스트 |
|---|---|---|
| 1 | 프롤로그 | |
| 2 | 우리가 사는 곳 | 유희열 |
| 3 | 바닷가에서 - 회상 | |
| 4 | 아이들의 잠수함 | |
| 5 | 새들의 등대 | |
| 6 | 낯선 세상 속으로 Part 1 | |
| 7 | 첫만남 | |
| 8 | 낯선 세상 속으로 Part 2 | |
| 9 | 바다의 비 | |
| 10 | 낯선 세상 속으로 Part 3 | |
| 11 | 하늘 높이 | |
| 12 | 마리와 함께 | |
| 13 | 믿을 수 없는 일 (폭풍우가 지나고) | |
| 14 | 안녕마리 | |
| 15 | 먼길떠나는 준호 | |
| 16 | 에필로그 - 남우의 겨울 | |
| 17 | 마리 이야기 | 성시경 |
| 18 | 마리 - 예고편 Theme |
5. 평가 및 영향
《마리이야기》는 2002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그랑프리(최우수 장편 영화상)를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마리이야기》는 학술적으로도 연구되었는데, 김남훈은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캐릭터의 색채를 시간대별, 날씨별 장면에 따라 분석했고, 이소연은 질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에 기반하여 작품을 분석했으며, 이소연·고은영은 작품에 표현된 관계 이미지를 분석했다. 정은주는 서사적 특성에 기반하여 작품을 재조명했다.
5. 1. 수상
제26회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안시, 프랑스)에서 그랑프리(최우수 장편 영화상)를 수상했다.5. 2. 학술 연구
김남훈은 논문 〈애니메이션의 시간대별, 날씨별 장면에 나타난 캐릭터의 색채분석 연구: 2D 애니메이션 '마리이야기'를 중심으로〉에서 2D 애니메이션 《마리이야기》에 나타난 캐릭터의 색채를 시간대별, 날씨별 장면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소연은 논문 〈질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에 기반한 〈마리이야기〉 분석〉에서 질 들뢰즈의 영화기호학에 기반하여 《마리이야기》를 분석하였다. 이소연·고은영은 논문 〈애니메이션 〈마리이야기〉에 표현된 관계 이미지 분석〉에서 《마리이야기》에 표현된 관계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정은주는 논문 〈서사적 특성에 기반한 〈마리 이야기〉의 재조명〉에서 《마리이야기》를 서사적 특성에 기반하여 재조명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