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항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항선은 천안에서 익산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으로, 1922년 충남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개통과 개칭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 장항선은 195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이후 역 신설 및 폐지, 노선 개량 등의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전철화 및 복선화 공사가 진행 중이며, 특히 2024년 11월 2일 신창~홍성 구간의 복선 전철화 완공과 ITX-새마을 운행 개시를 앞두고 있다. 장항선은 서해선과의 연결을 통해 수도권과의 접근성을 더욱 향상시킬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철도 - 전라선
    전라선은 익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까지 연결되는 간선 철도 노선으로, 1914년 개통되어 국유화와 개량을 거쳐 현재 전철화되었으며, KTX가 운행되고, 노선 번호는 309번이며 총 길이는 180.4km이다.
  • 충청남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충청남도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19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2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큐 이케가미선
    도큐 이케가미선은 도쿄도 시나가와구 고탄다역과 오타구 가마타역을 잇는 10.9km 길이의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1922년 가마타역과 이케가미역 구간이 이케가미 전기 철도에 의해 개통되어 현재는 3량 편성의 열차가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 구간을 운행하며 각 역에 정차한다.
장항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장항선
로마자 표기Janghangseon
한자 표기長項線
종류간선 철도, 여객/화물 철도, 광역 철도, 통근 열차
상태운영 중
지역충청남도, 전라북도
기점천안역
종점익산역
역 수30
소유주한국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154.4 km
선로복선 (천안역 - 신창역)
단선
궤간1,435 mm
전철화교류 25 kV 60 Hz 가공 전차선
(천안역 - 신창역)
노선 정보
노선 번호308
개통일1922년 6월 1일 (천안~온양온천)
1922년 6월 15일 (온양온천~예산)
1923년 11월 1일 (예산~홍성)
1923년 12월 1일 (홍성~광천)
1929년 12월 1일 (광천~남포)
1931년 8월 1일 (남포~판교)
영업 거리152.8 km
선로 수복선 2 (천안역~홍성역)
대야역~목천신호소)
단선 1 (홍성역~남포역)
웅천역~대야역)
목천신호소~익산역)
전철화 구간천안역~홍성역
대야역~익산역
전철화 방식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천안역~신창역) [수동 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운행 정보
사용 차량새마을호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
한국철도 2000계 전동차
한국철도 5000계 전동차
노선도
장항선의 위치

2. 역사

장항선은 조선경남철도에 의해 사설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초기 이름은 '''충남선'''으로, 1922년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까지 구간이 개통되었다.[10] 1931년 남포역부터 판교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며 전 구간이 완전히 영업을 개시하게 되었다.[11][12] 그러나 1946년 국유화된 이후에도 선로 개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1년 11월 25일 서울역에서 출발해 장항역으로 가는 새마을호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10]

2000년 5월 15일부터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는 복선전철, 신창역부터 대야역까지는 단선 비전철로 선형 개량 공사가 이루어졌다. 2008년 말까지 전 구간이 단선 비전철이었던 장항선은 선형 또한 좋지 않아 잦은 지연과 긴 소요 시간이 문제였다. 그러나 개량 공사를 통해 대부분의 운행 문제점이 개선되었다. 이 공사로 금강으로 단절되었던 장항선과 군산선이 하나로 이어져 직통 운행하게 되었으며, 화물 열차를 위해 기존선의 일부가 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으로 분리되었다.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을 거쳐 신창역까지 연결하는 약 19.5km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되어 운행되고 있다. 직선화로 인해 12개의 역이 폐역되었는데, 이는 14개의 역이 폐역된 경북선(구 경북선 포함 17개) 다음으로 가장 많다.

현재 장항선 전 구간의 표정속도 향상과 서해선과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개량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서 직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2024년 11월 기준으로 홍성 ~ 대야 구간의 복선전철화 사업이 현재 착공되어 공사 중이고 해당 구간의 복선전철화는 서해선 개통 때까지 모두 마무리 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 일제강점기 (1922년 ~ 1945년) === 과 ===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 를 참조.

2. 1. 일제강점기 (1922년 ~ 1945년)

조선경남철도에 의해 사설 철도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초기 명칭은 '''충남선'''으로, 1922년 6월 1일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까지 구간이 개통되었다.[10] 1922년 6월 15일에는 온양온천역에서 예산역 구간이, 1923년 11월 1일에는 예산역에서 홍성역 구간이, 1923년 12월 1일에는 홍성역에서 광천역 구간이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1929년 12월 1일에는 광천역에서 남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1년 8월 1일 남포역부터 판교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며 전 구간이 완전히 영업을 개시하게 되었다.[11][12]

일제강점기 동안 충남선은 다음과 같이 개통되었다.



이 외에도, 1923년 12월 15일에는 신곡정류장이, 1930년 10월 22일에는 기동역삼산역이 개업하였다. 1926년 8월 8일에는 오목역이 충남신창역으로 개칭되었으며, 1933년 1월 1일에는 보령역이 주포역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1943년 12월 5일에는 기동역삼산역이 폐역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46년 5월 10일 사설 철도 및 부대사업 일체에 대한 국유화 조치로 국유화되었다.[10] 1949년 12월 20일 충남서천역으로 개칭하였다가, 1955년 7월 1일 서천역으로 역명을 환원하였다. 1955년 9월 1일 노선명을 '''장항선'''으로 개칭했다.[13]

1991년 11월 25일 서울역에서 출발해 장항역으로 가는 새마을호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10] 2008년 말까지만 하더라도 전 구간 단선 비전철이었던 장항선은, 선형 또한 매우 좋지 않아 잦은 지연과 긴 소요 시간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태로는 증가하는 수요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었으며, 열차 운행에도 상당한 애로사항을 주었다.

2000년 5월 15일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는 복선전철로, 신창역부터 대야역까지는 단선 비전철로 선형 개량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후 구간별 개량 공사 완료 및 개통 일자는 다음과 같다.

  • 2007년 3월 30일: 천안~온양온천 구간
  • 2007년 12월 21일: 신창~신례원, 주포~남포 구간
  • 2007년 12월 28일: 신장항~대야 구간
  • 2008년 11월 28일: 신례원~화양, 간치~신장항 구간
  • 2008년 12월 1일: 화양~신성 구간
  • 2008년 12월 15일: 온양온천~신창 구간


위의 공사들을 통해 대부분의 운행 문제점이 개선되었다. 이 공사로 금강으로 단절되었던 장항선과 군산선이 하나로 이어져 직통 운행하게 되었으며, 화물 열차를 위해 기존선의 일부가 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으로 분리되었다. 2008년 1월 1일부터 용산역을 출발하여 장항을 경유하는 장항선 무궁화호 열차의 일부는 서대전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이 운행 계통은 2016년 12월 9일부터 종착역이 익산역으로 변경되었다.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을 거쳐 신창역까지 연결하는 약 19.5 km 정도의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또한, 해당 구간의 복선 전철화 공사 준공과 함께 개통되었다. 직선화로 인해 12개의 역이 폐역되었는데, 이는 14개의 역이 폐역된 경북선(구 경북선 포함 17개) 다음으로 가장 많다.

현재는 장항선 전 구간의 표정속도 향상과 서해선과의 원활한 연결을 목적으로, 개량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서 직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신성~주포 구간과 남포~간치 구간은 2015년 4월 착공하였으며, 이 구간이 완공되면 광천역웅천역은 읍 외곽으로 이전한다. 또 2020년까지 익산~대야 구간을 복선 전철화하고 대야역을 기점으로 하는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를 만들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11][12] 이 사업이 완공되면 장항선과 전라선동익산역을 잇는 삼각선이 신설되며, 대야역은 이설된다. 한편, 아산시 측은 장항선 상에 탕정역(P173)과 풍기역(P175)의 신설도 검토 중이었으며, 2018년탕정역은 착공하여 2021년 10월에 개통하였다.

2024년 11월 기준으로 장항선은 홍성 ~ 대야 구간의 복선전철화 사업이 현재 착공되어 공사 중이고 해당 구간의 복선전철화는 서해선 개통 때까지 모두 마무리 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

'''이후 연혁'''

3. 노선 개량

조선경남철도에 의해 사설 철도 노선으로 건설된 장항선은 초기에는 '''충남선'''으로 불렸으며,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까지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다. 1931년에 남포역부터 판교역까지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 영업을 시작했지만, 1946년 국유화 이후에도 선로 개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0] 1991년 11월 25일 새마을호 운행을 시작으로 점차 개선되기 시작했다.[10]

2000년대 이후 장항선은 본격적인 개량 사업을 통해 현대적인 철도로 탈바꿈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8년 말까지 전 구간 단선 비전철이었던 장항선은 선형이 좋지 않아 잦은 지연과 긴 소요 시간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00년 5월 15일부터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는 복선전철로, 신창역부터 대야역까지는 단선 비전철로 선형 개량 공사가 시작되었다.[10] 이후 지속적인 개량 사업을 통해 대부분의 운행 문제점이 개선되었다.

3. 1. 1단계: 천안-신창 복선 전철화

2008년 12월 15일 천안역~신창역 구간의 장항선 복선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23] 이와 함께 봉명역쌍용역이 신설되고 오가역은 폐역되었다.

2009년 6월 1일 서울~신창 간 누리로가 운행을 시작했고,[23] 2015년 2월 5일 용산~익산 간 서해금빛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17년 2월 28일 다시 운행을 재개했으나, 2020년 5월 23일 운행이 중지되었다.

3. 2. 2단계: 장항선 직선화 및 일부 구간 복선화

2000년 5월 15일,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는 복선전철로, 신창역부터 대야역까지는 단선 비전철로 선형 개량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 공사로 금강으로 단절되었던 장항선과 군산선이 하나로 이어져 직통 운행하게 되었으며, 화물 열차를 위해 기존선의 일부가 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으로 분리되었다.[10]

구간별 개통 내역은 다음과 같다.

개통일구간비고
2007년 3월 30일천안~온양온천
2007년 12월 21일온양온천~신례원, 주포~남포도고온천역, 장재역(현 아산역), 대천역 이전
2007년 12월 28일신장항~대야
2008년 1월 1일장항~군산~대야군산선 대야~익산 구간 본선 편입, 장항역, 군산역 이전, 신군산역을 군산역으로 역명 변경, 학성역, 주교역 폐역, 군산선은 군산화물선으로 개칭하면서 군산화물선과 옥구선을 장항선의 지선으로 편입, 구 장항역은 장항화물역으로 변경하고 새 장항역에서 장항화물역까지를 장항화물선으로 하여 장항선의 지선으로 신설.
2008년 11월 27일간치~신장항[22]
2008년 11월 28일신례원~화양삽교역 이전
2008년 12월 1일화양~신성홍성역 이전
2008년 12월 15일천안~신창복선전철 개통, 오가역 폐역, 봉명역쌍용역 개업[23]
2021년 1월 5일남포 ~ 웅천복선화 및 웅천 ~ 간치 구간 직선화 개통, 웅천역 이전.
2024년 11월 2일신창 ~ 홍성복선 전철화 완공[29][30]



2008년 1월 1일부터 용산역을 출발하여 장항을 경유하는 장항선 무궁화호 열차의 일부는 서대전역까지 운행했으나, 2016년 12월 9일부터 종착역이 익산역으로 변경되었다.[10]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을 거쳐 신창역까지 연결하는 약 19.5km 구간의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장 또한, 해당 구간의 복선 전철화 공사 준공과 함께 개통되었다. 직선화로 인해 12개의 역이 폐역되었는데, 이는 14개의 역이 폐역된 경북선(구 경북선 포함 17개) 다음으로 가장 많다.[10]

2015년 4월, 신성~주포 구간과 남포~간치 구간의 직선화 공사가 착공되었으며, 이 구간이 완공되면 광천역웅천역은 읍 외곽으로 이전한다. 2020년까지 익산~대야 구간을 복선 전철화하고 대야역을 기점으로 하는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를 만들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11][12] 이 사업이 완공되면 장항선과 전라선동익산역을 잇는 삼각선이 신설되며, 대야역은 이설된다.

2024년 11월 기준으로 장항선 홍성 ~ 대야 구간의 복선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어 공사 중이고, 해당 구간의 복선전철화는 서해선 개통 때까지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10]

3. 3. 3단계: 홍성-대야 복선 전철화 (진행 중)

현재 장항선 전 구간의 표정속도 향상과 서해선과의 원활한 연결을 목적으로, 개량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에서 직선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신성~주포 구간과 남포~간치 구간은 2015년 4월 착공하였으며, 이 구간이 완공되면 광천역웅천역은 읍 외곽으로 이전한다.[11][12]

2024년 11월 기준으로, 홍성~대야 구간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어 공사 중이며, 서해선 개통 때까지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29][30]

2020년까지 익산~대야 구간을 복선 전철화하고 대야역을 기점으로 하는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를 만들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11][12] 이 사업이 완공되면 장항선과 전라선동익산역을 잇는 삼각선이 신설되며, 대야역은 이설된다.

한편, 아산시 측은 장항선 상에 탕정역(P173)과 풍기역(P175)의 신설도 검토하였고, 수도권 전철 역번호 제정 당시 이 두 역의 번호를 비워두었다. 2018년에 탕정역은 착공하였고, 2021년 10월에 개통하였다.

2023년 4월 기준, 신창-홍성 구간의 복선화 공정률은 85%이며, 2024년 하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6] 2023년 착공 예정인 18.8km 신성-주포 구간 재정비를 포함한 홍성-대야 구간의 복선화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6]

2024년 11월 2일에는 신창 ~ 홍성 복선 전철화가 완공되었고, 용산 ~ 홍성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29][30]

3. 4. 서해선과의 연결

장항선은 홍성역에서 서해선과 연결될 예정이다. 서해선은 2024년 하반기에 개통되어 홍성과 경기도 화성을 연결할 예정이다.[6] 서해선은 소사원시선 남측 연장선 및 신안산선과 연결될 것이다. 서해선은 시속 250km로 운행되어 서울과 홍성 간의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것이다.

신창-홍성 구간은 서해선 개통 시 복선 전철화될 예정이다.[7]

4. 역 목록

장항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 2020년 8월 13일 기준[31]
  • 노선 거리: 152.8km
  • 노선 번호: 308
  • 운영 기관: 한국철도공사
  • 궤간: 1435mm (표준궤)
  • 통행 방식: 좌측 통행
  • 역 수: 29
  • 복선 구간: 천안~홍성, 대야~목천
  • 전철화 구간: 천안~홍성, 대야~익산
  • 보안 장치: ATS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I역간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부선 직결
천안Cheonan天安전역 정차0km0km경부선충청남도천안시
봉명Bongmyeong鳳鳴1.3km1.3km
쌍용(나사렛대)Ssangyong
(Korea Nazarene Univ.)
雙龍
(拿撒勒大)
1.6km2.9km
아산(선문대)Asan
(Sunmoon Univ.)
牙山
(鮮文大)
1.6km4.5km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아산시천안아산역과 환승 취급
탕정Tangjeong湯井1.8km6.3km
배방Baebang排芳3.1km9.4km
온양온천Onyang oncheon溫陽溫泉4.9km14.3km
신창(순천향대)Sinchang
(Soonchunhyang Univ.)
新昌
(順天鄕大)
5.1km19.4km
도고온천Dogo oncheon道高溫泉미운행5.8km25.2km무인역(대매소)
신례원Sillyewon新禮院4.5km29.7km예산군
예산Yesan禮山5km34.7km
삽교Sapgyo揷橋7.8km42.5km
화양Hwayang華陽6.7km49.5km홍성군
홍성Hongseong洪城5.3km54.5km서해선
신성Sinseong新城미운행4.1km58.6km
광천Gwangcheon廣川8.6km67.2km
원죽Wonjuk元竹4.1km71.3km보령시
청소Cheongso靑所3.7km75km
주포Jupo周浦4.3km79.3km
대천Daecheon大川8.3km87.6km
남포Nampo藍浦3.1km90.7km무인역
웅천Ungcheon熊川9km99.7km
판교Pangyo板橋11.2km110.9km서천군
서천Seocheon舒川8.6km119.5km
장항Janghang長項4.8km124.3km
군산Gunsan群山7km131.3km전북특별자치도군산시
(군산화물선
분기)
--7.2km138.5km
대야Daeya大野2.6km141.1km
목천Mokcheon木川9.4km150.5km익산삼각선익산시신호소
익산Iksan益山2.3km152.8km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에는 총 15개의 역이 폐역되었다.

폐역 목록
역명한자 역명폐역일비고
세교역細橋駅1974년 6월 1일천안역배방역 사이
학성역鶴城駅2008년 1월 1일신창역도고온천역 사이
선장역仙掌駅2008년 1월 1일신창역도고온천역 사이
오가역吾可駅2008년 12월 15일예산역삽교역 사이
신곡역新谷駅1974년 6월 1일신성역과 광천역 사이
주교역舟橋駅2008년 1월 1일주포역대천역 사이
옥서역玉西駅1992년 5월 2일남포역웅천역 사이
간치역艮峙駅2020년 8월 13일웅천역판교역 사이
주산역珠山駅2006년 6월 23일웅천역판교역 사이
온동역温洞駅웅천역판교역 사이
기동역奇洞駅2006년 6월 23일판교역서천역 사이
삼산역三山駅2006년 6월 23일서천역장항역 사이
구절역九切駅서천역장항역 사이
임포역臨陂駅2020년 8월 13일대야역익산역 사이
오산리역五山里駅2020년 8월 13일대야역익산역 사이


4. 1. 전 구간 (천안-익산)

장항선은 원래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충남선이라는 이름으로 건설된 사설 철도 노선이었다. 처음 개통된 구간은 천안역에서 온양온천역까지였다. 1931년에 남포역부터 판교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전히 영업을 시작하였다. 1946년에 국유화되었지만, 선로 개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1년 11월 25일에는 서울역에서 장항역까지 새마을호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10]

2000년 5월 15일부터 장항선 개량 공사가 시작되어, 2008년 말에는 대부분의 구간이 직선화되었다. 이 공사로 천안역에서 신창역까지는 복선 전철화되었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연장 운행되기 시작했다. 또한, 금강으로 단절되었던 장항선과 군산선이 연결되어 직통 운행이 가능해졌으며, 일부 구간은 장항화물선군산화물선으로 분리되었다. 2008년 1월 1일부터는 용산역에서 장항을 경유하는 무궁화호 열차 일부가 서대전역까지 운행하게 되었고, 2016년 12월 9일부터는 종착역이 익산역으로 변경되었다.

장항선 직선화 공사로 인해 12개의 역이 폐역되었으며, 이는 경북선 다음으로 많은 수이다. 현재는 신성~주포, 남포~간치 구간의 직선화 공사가 진행 중이며, 2020년까지 익산~대야 구간 복선 전철화 및 군장국가산업단지 인입철도 건설이 예정되어 있다.[11][12] 이 사업이 완료되면 대야역은 이설되고, 장항선과 전라선동익산역을 잇는 삼각선이 신설될 예정이다. 한편, 아산시탕정역풍기역 신설을 검토했었고, 탕정역은 2021년 10월에 개통하였다.

2024년 11월 기준으로 홍성 ~ 대야 구간의 복선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어 공사 중이며, 서해선 개통 때까지 모두 마무리될 예정이다.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I역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경부선 직결
천안Cheonan天安전역정차0.00.0경부선충청남도천안시
봉명Bongmyeong鳳鳴1.31.3
쌍용(나사렛대)Ssangyong
(Korea Nazarene Univ.)
雙龍
(拿撒勒大)
1.62.9
아산(선문대)Asan
(Sunmoon Univ.)
牙山
(鮮文大)
1.64.5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아산시천안아산역과 환승 취급
탕정Tangjeong湯井1.86.3
배방Baebang排芳3.19.4
온양온천Onyang oncheon溫陽溫泉4.914.3
신창(순천향대)Sinchang
(Soonchunhyang Univ.)
新昌
(順天鄕大)
5.119.4
도고온천Dogo oncheon道高溫泉미운행5.825.2무인역(대매소)
신례원Sillyewon新禮院4.529.7예산군
예산Yesan禮山5.034.7
삽교Sapgyo揷橋7.842.5
화양Hwayang華陽6.749.5홍성군
홍성Hongseong洪城5.354.5서해선
신성Sinseong新城미운행4.158.6
광천Gwangcheon廣川8.667.2
원죽Wonjuk元竹4.171.3보령시
청소Cheongso靑所3.775.0
주포Jupo周浦4.379.3
대천Daecheon大川8.387.6
남포Nampo藍浦3.190.7무인역
웅천Ungcheon熊川9.099.7
판교Pangyo板橋11.2110.9서천군
서천Seocheon舒川8.6119.5
장항Janghang長項4.8124.3
군산Gunsan群山7.0131.3전북특별자치도군산시
(군산화물선
분기)
--7.2138.5
대야Daeya大野2.6141.1
목천Mokcheon木川9.4150.5익산삼각선익산시신호소
익산Iksan益山2.3152.8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5. 지선 노선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0801장항화물선장항역장항화물역4.22021년 1월 12일 폐선
30802군산화물선(장항선)군산화물역8.92022년 3월 6일 폐선
30803옥구선군산옥산신호장옥구역7.9
30804군산항선대야역군산항역25.8
30805익산삼각선목천신호소동익산역3.4



장항화물선장항역장항화물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었다. 2008년 1월 1일 군산선과 직결되면서 기존 장항역과 신설된 장항역 구간이 분리되어 2021년 1월 12일에 폐선되었다.

군산화물선대야역군산화물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었다. 2008년 1월 1일 장항선과 직결되면서 이설되지 않은 대야 ~ 개정 ~ 기존 군산역 구간이 분리되어 2022년 3월 6일에 폐선되었다.

옥구선군산옥산신호장옥구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군산비행장 보급품 수송을 위한 군사적 목적의 화물선이며, 군산항선 개통으로 기점이 군산화물역에서 변경되었다.

군산항선대야역군산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익산삼각선은 장항선의 목천신호소전라선동익산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32]

역명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목천0.00.0장항선[33]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동익산3.43.4전라선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참조

[1]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Korail 2010-12-04
[2] 웹사이트 South Korea's growing network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8-09-08
[3] 웹사이트 장항선 타면 ‘곡선이 주는 여유’ 절로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10-06-16
[4] 웹사이트 Electricity Almanac 2009 http://www.epic.or.k[...] Korea Electric Association
[5] 웹사이트 보령시, 장항선 웅천역 신역사 5일 운영 개시 http://www.ebaekje.c[...] Baekje News 2021-01-06
[6] 웹사이트 철도공단 충청권 사업단, 8개 철도사업에 올해 7082억 투입 https://www.redaily.[...] Rail Economy News 2023-04-27
[7] 웹사이트 장항선 신창-홍성 간 복선전철화 곧 마무리된다 https://www.redaily.[...]
[8] 웹사이트 서해선·장항선·평택선 철도 노선, 오는 2일 동시 개통 https://biz.chosun.c[...]
[9] 웹사이트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과 환승역 취급
[10] 뉴스 25일부터 장항선에 새마을호열차 운행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1-11-14
[11] 간행물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773호
[12] 간행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554호
[1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 1955-08-30
[1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95호 1965-12-18
[1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09호 1966-01-17
[1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18호 1966-02-11
[1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23호 1967-04-22
[1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331호 1967-05-31
[1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24호 1974-06-01
[20] 웹사이트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http://theme.archive[...] 1997-05-22
[21] 웹사이트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22] 뉴스 장항선 개량...11년 만에 개통! https://n.news.naver[...] YTN 2008-11-26
[2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765호 2008-12-08
[24] 웹사이트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25] 웹사이트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568호 http://gwanbo.mois.g[...] 2020-08-13
[26] 웹사이트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http://www.letskorai[...] 2020-08-19
[27] 뉴스 익산~대야 복선전철, 마침내 11월 개통 http://www.pmnews.co[...] 익산열린신문 2020-11-02
[28] 웹인용 장항선(신창∼대야) 복선전철화 사업 실시계획 변경 승인 https://www.molit.go[...] 2023-04-28
[29] 뉴스 서해선·장항선·평택선 철도 노선, 오는 2일 동시 개통 https://biz.chosun.c[...] 조선일보 2024-11-01
[30] 뉴스 서해선축 3개 노선 ITX-마음 구간별 운임 알림 https://www.letskora[...] 2024-10-25
[31] 간행물 철도거리표(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568호)
[32] 뉴스 군산지역 철도인프라 구축사업 '본격화'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2-07-23
[33] 기타 천안 기점 150.5km
[34]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