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쓰다이라 사다쿠니 (172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다이라 사다쿠니는 시라카와 번의 2대 번주이다. 1728년 마쓰다이라 사다카타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1770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번주 자리를 계승했다. 도쿠가와 무네타케의 아들인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를 양자로 들였으며, 1783년 사다노부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1790년 에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0년 사망 - 벤저민 프랭클린
    벤저민 프랭클린은 미국의 정치가, 과학자, 발명가, 작가, 출판인, 외교관으로서 미국 독립 선언문 초안 작성, 프랑스와의 군사 동맹 체결, 피뢰침과 프랭클린 스토브 발명, 전기에 대한 연구, "가난한 리처드의 연감" 출판, 사회 개혁 활동, 필라델피아 도서관 설립, 미국 헌법 제정 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며 미국 건국과 계몽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790년 사망 - 요제프 2세
    요제프 2세는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관용, 농노 해방, 교육 개혁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으나 저항에 직면했고, 그의 개혁 이념인 요제프주의는 이후 오스트리아 개혁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시라카와번주 - 혼다 다다히라
    혼다 다다히라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혼다 타다요시의 장남으로 태어나 우쓰노미야 번과 고리야마 번의 번주를 역임하며 연공 감면, 백성 구휼, 성하 마을 신설, 번찰 발행 등 번정 개혁을 시도했다.
  • 시라카와번주 - 아베 마사키요 (1850년)
    에도 막부 말기의 다이묘인 아베 마사키요는 시라카와 번주를 지냈으나 다나구라 번으로 이봉되었고, 보신 전쟁 당시 소극적인 참여로 영지를 삭감당한 후 가독을 양도하고 도쿄에서 은거하다 사망했다.
  • 히사마쓰 마쓰다이라씨 - 다카다번
    다카다번은 에치고국에 위치했던 번으로, 마쓰다이라 다다테루가 다카다 성을 건설하며 시작되어 여러 다이묘 가문이 통치하다가 사카키바라 씨를 거쳐 폐번치현되었고, 간분 대지진과 에치고 소동, 보신 전쟁 등의 사건을 겪었다.
  • 히사마쓰 마쓰다이라씨 - 나가시마번
    나가시마번은 센고쿠 시대 학살 이후 여러 다이묘가 통치했으며, 스가누마 사다요리에 의해 설치되었다가 폐지되었고,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에 의해 재설치되었으나 몰수된 후 마시야마 가문이 지배했으며,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마쓰다이라 사다쿠니 (1728년)
기본 정보
씨명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사다카쓰 류
이름마쓰다이라 사다쿠니
자(字)규메지로(幼名), 사다쿠니
시대에도 시대 중기 - 후기
출생교호 13년 9월 14일 (1728년10월 16일)
사망간세이 2년 6월 7일 (1790년7월 18일)
계명간코인덴자시쇼요렌도다이코지(寛光院殿刺史紹誉憐道大居士)
묘소도쿄도고토구시라카와의 렌게이지, 미에현구와나시 동쪽의 쇼겐지
관위종5위 하가와치노카미 → 오미노카미 → 엣추노카미, 종4위 하모쿠노카미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하루
무쓰시라카와번 번주
가족아버지: 마쓰다이라 사다카타 , 어머니: 가라스마루 미쓰히데 딸
형제자매사다쿠니, 겐노스케, 사나다 유키히로 정실
배우자구로다 쓰구타카 네 번째 딸
자녀마쓰다이라 사다노부 정실 등 1남 3녀, 양자: 사다노부
경력
전임마쓰다이라 사다요시
후임마쓰다이라 사다노부
직책시라카와 번 번주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대수2
임기1770년 ~ 1783년

2. 생애

안에이 2년(1773년) 12월 16일, 종4위하로 승진하였다.

2. 1. 출생과 초기 이력

교호 13년(1728년) 시라카와 번 초대 번주 마쓰다이라 사다카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간포 3년(1743년) 12월 15일,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를 알현했다. 같은 해 12월 28일, 종5위하, 가와치노카미에 서임되었고, 후에 오미노카미로 개명했다.

2. 2. 번주 상속과 양자 입적

메이와 7년(1770년) 8월 27일, 아버지 사다카타가 사망함에 따라 시라카와 번의 가독을 상속받았다. 같은 해 9월 4일, 엣추노카미로 개명했으며, 같은 해 10월 15일, 오쿠니이리의 허가를 받았다.

안에이 3년(1774년) 3월 15일, 막부의 명령에 따라 도쿠가와 무네타케의 일곱째 아들 가시와마루(후의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를 양자로 맞이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도쿠가와 일문에서 양자를 맞이함으로써 가문의 격상을 꾀한 것으로 보인다.

2. 3. 중풍과 은거

안에이 4년(1775년) 시라카와에서 벚꽃놀이를 하던 중 중풍을 앓아 에도로 갔으나 몸 상태가 좋지 않았다.

덴메이 3년(1783년) 10월 16일, 사다노부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같은 해 10월 19일, 통칭을 모쿠노카미로 고쳤다.

2. 4. 사망

寛政|간세이일본어 2년(1790년) 6월 7일에 에도에서 사망했다.

3. 가계

마쓰다이라 사다쿠니는 1남 3녀를 두었다.

구분내용
아버지마쓰다이라 사다카타
어머니가라스마 미쓰히데의 딸
정실구로다 쓰구타카의 넷째 딸
양자마쓰다이라 사다노부 (도쿠가와 무네타케의 일곱째 아들)


3. 1. 부모


  • 아버지: 마쓰다이라 사다카타
  • 어머니: 가라스마 미쓰히데의 딸

3. 2. 정실

구로다 쓰구타카의 넷째 딸

3. 3. 자녀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정실은 구로다 쓰구타카의 넷째 딸이다.

3. 4. 양자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를 도쿠가와 무네타케의 일곱째 아들에서 양자로 들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