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흐무드 1세 (셀주크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의 아들로, 1092년 부친의 사망 이후 어린 나이에 술탄으로 즉위했다. 그의 어머니 테르켄 하툰은 섭정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려 했으나, 이복 형제 바르키야루크와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했다. 내전 중에 테르켄 하툰이 사망하고, 마흐무드 1세 역시 1094년 천연두로 사망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분열되었고, 이는 십자군 전쟁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87년 출생 - 요안니스 2세
요안니스 2세 콤네노스는 콤네노스 왕조의 비잔티움 황제로, 알렉시오스 1세의 뒤를 이어 제국 재건을 위해 노력하며 검약 정책과 군사력 재건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칼로요안네스"라는 칭호를 얻었다. - 1087년 출생 - 야율대석
야율대석은 요나라 황족 출신으로 서요를 건국하여 중앙아시아를 정복하고 구르 칸으로 칭했으며, 카라한 왕조를 멸망시키고 셀주크 투르크를 격파하여 중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다. - 1094년 사망 - 선종 (고려)
선종은 고려의 제13대 왕으로, 불교와 유교의 균형 발전을 추구하며 안정적인 통치를 펼쳤고 활발한 교역을 통해 고려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1094년 사망 - 인목덕비
고려 문종의 왕비인 인목덕비는 경주 김씨 김원충의 딸이자 용절덕비의 자매로, 1049년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1094년 사망하였고 문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은 요절하였다.
마흐무드 1세 (셀주크 제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나시르 앗 딘 마흐무드 1세 |
전체 이름 | 나시르 앗 딘 마흐무드 1세 |
![]() | |
통치 | |
셀주크 제국 술탄 즉위 | 1092년 11월 19일 |
셀주크 제국 술탄 퇴위 | 1094년 10월 |
섭정 | 테르켄 하툰 |
이전 통치자 | 말리크 샤 1세 |
다음 통치자 | 바르키야루크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088년 |
사망일 | 1094년 10월 (향년 6세) |
종교 | 수니 이슬람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말리크 샤 1세 |
어머니 | 테르켄 하툰 |
기타 | |
묻힌 곳 | 알 수 없음 |
2. 생애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와 카라한 왕조 출신의 테르켄 하툰 사이에서 태어났다.[14] 마흐무드에게는 여러 명의 형이 있었는데, 그 중 동복 형제로는 다우드와 아부 슈자 아흐마드가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다우드: 1082년 사망, 아부 슈자 아흐마드: 1088년 사망)[14]
테르켄 하툰은 자신의 아들 마흐무드를 후계자로 삼기 위해 노력했지만, 대재상 니잠 알물크는 마흐무드의 어린 나이를 이유로 제국의 안정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바르키야루크를 지지했다.[14] 그러나 1092년 10월 14일 니잠 알물크가 암살되고, 테르켄 하툰의 재상 타즈 알물크 아불가나임이 그 뒤를 이으면서 상황은 테르켄 하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14] 같은 해 11월 중순, 말리크샤 1세가 열병으로 사망하자, 칼리프는 테르켄 하툰과 타즈 알물크의 지지를 받는 마흐무드 1세를 술탄으로 인정하였다.[15]
말리크샤 1세 사후, 테르켄 하툰은 칼리프 알 무크타디와 협상하여 권력을 확보하려 했다. 칼리프는 처음에는 어린아이와 여성이 통치하는 것을 반대했으나,[2][3] 결국 쿠트바가 마흐무드 1세의 이름으로 행해지고, 칼리프가 임명한 베지르의 도움을 받는 조건으로 통치를 허락했다.[4] 테르켄 하툰은 공식적인 섭정은 아니었지만, 알-시라지를 베지르로, 우나르를 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5]
그러나 말리크샤 1세의 죽음 이후, 니잠 알물크를 따르던 세력(니자미야)과 군대 대부분이 바르키야루크를 지지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내전에 휩싸였다.[16] 타즈 알물크와 테르켄 하툰은 이스파한을 장악하고 군대에 금일봉을 지급하며 충성을 확보하려 했으나, 니자미야는 바르키야루크를 라이에서 술탄으로 옹립했다.[17] 보루제르드 근처 하마단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바르키야루크 군대가 승리하고 수도 이스파한을 점령했다.[17]
1093년, 바르키야루크는 테르켄 하툰에게 승리하고 타즈 알물크를 처형했다.[18] 테르켄 하툰은 바르키야루크의 외삼촌 이스마일 이븐 야쿠티 이븐 차그리를 끌어들여 대항하려 했으나 패배하고 이스마일은 처형당했다. 이후 테르켄 하툰은 시리아의 투투쉬 1세와 연합하려 했으나 1094년에 급사했고, 한 달 뒤 마흐무드 1세도 사망했다.[18] 마흐무드 1세는 1094년 11월, 천연두에 걸려 죽었다.[9]
말리크 샤 1세 사후, 아나톨리아의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시리아의 투투쉬 1세 등 여러 총독들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분열되었고,[6][7] 이는 제1차 십자군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7]
2. 1. 초기 생애와 상속 분쟁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와 카라한 왕조 출신의 테르켄 하툰 사이에서 태어났다.[14] 마흐무드에게는 여러 명의 형이 있었는데, 그 중 동복 형제로는 다우드와 아부 슈자 아흐마드가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다우드: 1082년 사망, 아부 슈자 아흐마드: 1088년 사망)[14]테르켄 하툰은 자신의 아들 마흐무드를 후계자로 삼기 위해 노력했지만, 대재상 니잠 알물크는 마흐무드의 어린 나이를 이유로 제국의 안정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바르키야루크를 지지했다.[14] 그러나 1092년 10월 14일 니잠 알물크가 암살되고, 테르켄 하툰의 재상 타즈 알물크 아불가나임이 그 뒤를 이으면서 상황은 테르켄 하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14] 같은 해 11월 중순, 말리크샤 1세가 열병으로 사망하자, 칼리프는 테르켄 하툰과 타즈 알물크의 지지를 받는 마흐무드 1세를 술탄으로 인정하였다.[15]
말리크샤 1세 사후, 테르켄 하툰은 칼리프 알 무크타디와 협상하여 권력을 확보하려 했다. 칼리프는 처음에는 어린아이와 여성이 통치하는 것을 반대했으나,[2][3] 결국 쿠트바가 마흐무드 1세의 이름으로 행해지고, 칼리프가 임명한 베지르의 도움을 받는 조건으로 통치를 허락했다.[4] 테르켄 하툰은 공식적인 섭정은 아니었지만, 알-시라지를 베지르로, 우나르를 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5]
그러나 말리크샤 1세의 죽음 이후, 니잠 알물크를 따르던 세력(니자미야)과 군대 대부분이 바르키야루크를 지지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내전에 휩싸였다.[16] 타즈 알물크와 테르켄 하툰은 이스파한을 장악하고 군대에 금일봉을 지급하며 충성을 확보하려 했으나, 니자미야는 바르키야루크를 라이에서 술탄으로 옹립했다.[17] 보루제르드 근처 하마단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바르키야루크 군대가 승리하고 수도 이스파한을 점령했다.[17]
1093년, 바르키야루크는 테르켄 하툰에게 승리하고 타즈 알물크를 처형했다.[18] 테르켄 하툰은 바르키야루크의 외삼촌 이스마일 이븐 야쿠티 이븐 차그리를 끌어들여 대항하려 했으나 패배하고 이스마일은 처형당했다. 이후 테르켄 하툰은 시리아의 투투쉬 1세와 연합하려 했으나 1094년에 급사했고, 한 달 뒤 마흐무드 1세도 사망했다.[18] 마흐무드 1세는 1094년 11월, 천연두에 걸려 죽었다.[9]
말리크 샤 1세 사후, 아나톨리아의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시리아의 투투쉬 1세 등 여러 총독들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분열되었고,[6][7] 이는 제1차 십자군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7]
2. 2. 섭정과 권력 투쟁
1092년 니잠 알물크가 암살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말리크샤 1세가 사망하자, 타즈 알물크는 마흐무드 1세를 술탄으로 추대하고 이스파한으로 향했다.[15][8] 마흐무드의 어머니 테르켄 하툰은 아들의 이름으로 권력을 장악하고자 사위인 칼리프 알무크타디와 협상하여 통치를 확보하려 했다.[2] 칼리프는 어린아이와 여성이 통치하는 것과 여성의 이름으로 ''쿠트바''를 선포하는 것을 반대했지만,[3] 결국 아들의 이름으로 쿠트바를 행하고 칼리프가 임명한 재상의 도움을 받는 조건으로 통치를 허락했다.[4] 테르켄 하툰은 공식적인 섭정은 아니었지만, 알-시라지를 재상으로, 우나르를 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5]말리크샤 1세의 장남 바르키야루크 또한 술탄으로 선포되면서, 두 경쟁자 군대는 보루제르드 근처 하마단에서 격돌했다.[16][17] 이 전투에서 바르키야루크 군대가 승리하여 수도 이스파한을 점령했다. 1093년 바르키야루크는 테르켄 하툰에게 패배를 안기고 타즈 알물크를 사로잡아 죽였다.[18] 이후 테르켄 하툰은 바르키야루크의 외삼촌 이스마일 이븐 야쿠티 이븐 차그리를 불러들였으나 패배하고 이스마일은 처형당했다. 테르켄 하툰은 시리아의 투투쉬 1세와 접촉하려 했으나 1094년 급사했고, 한 달 뒤 마흐무드 1세도 사망했다.[18]
말리크 샤 1세 사후, 셀주크 제국은 분열되어 아나톨리아에서는 킬리지 아르슬란 1세가, 시리아에서는 마흐무드의 삼촌인 투투쉬 1세가 독립했다.[6][7] 알레포와 디야르바키르의 다른 총독들도 독립을 선언하면서, 제1차 십자군의 예상치 못한 성공을 가져왔다.[7][12]
2. 3. 내전과 죽음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와 카라한 왕조의 공주 테르켄 하툰 사이에서 태어난 마흐무드 1세는[14] 1092년 아버지 말리크샤 1세와 재상 니잠 알물크가 사망한 후, 테르켄 하툰과 재상 타즈 알물크 아불가나임의 지지를 받아 술탄으로 즉위했다.[15] 그러나 니잠 알물크를 따르던 세력(니자미야)과 군대 대부분은 마흐무드 1세의 이복형 바르키야루크를 지지하여[16] 셀주크 제국은 내전에 돌입했다.테르켄 하툰은 자신의 사위인 칼리프 알 무크타디와 협상하여 통치권을 확보하려 했다.[2][3] 칼리프는 여성의 통치와 여성의 이름으로 된 ''쿠트바'' 선포를 반대했지만,[2][3] 결국 쿠트바가 아들의 이름으로 행해지고, 칼리프가 임명한 베지르의 도움을 받는 조건으로 통치를 허락했다.[4] 테르켄 하툰은 알-시라지를 베지르로, 우나르를 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사실상 권력을 장악했다.[5]
타즈 알물크와 테르켄 하툰은 이스파한을 장악하고 군대에 금일봉을 지급하며 충성을 확보하려 했으나,[17] 라이에서 술탄으로 추대된 바르키야루크가[17] 1093년 테르켄 하툰에게 승리하고 타즈 알물크를 처형했다.[18] 테르켄 하툰은 바르키야루크의 외삼촌 이스마일 이븐 야쿠티 이븐 차그리를 끌어들였으나 패배하고 처형당했으며, 1094년 테르켄 하툰마저 급사했다.[18]
바르키야루크 군대는 보루제르드 근처 하마단에서 마흐무드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이스파한을 점령했다. 그 후, 마흐무드와 그의 어머니는 베지르 니잠 알-물크의 가족에 의해 암살당했다.
테르켄 하툰이 사망하고 한 달 뒤, 마흐무드 1세 역시 1094년 11월 천연두로 사망했다.[9][18]
말리크 샤 1세 사후, 아나톨리아의 킬리지 아르슬란 1세, 시리아의 투투쉬 1세 등 여러 총독들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셀주크 제국은 분열되었고,[6][7][11][12] 이는 제1차 십자군의 성공에 영향을 주었다.[7][12]
3. 셀주크 제국의 분열과 십자군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Anmol Publication PVT Ltd.
2005
[2]
서적
The forgotten queens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
서적
Queens, Eunuchs and Concubines in Islamic History, 661–1257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4]
서적
The forgotten queens of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
서적
Queens, Eunuchs and Concubines in Islamic History, 661–1257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9
[6]
서적
The Crusades: The Authoritative History of the War for the Holy Land
Harper Collins
2010
[7]
서적
The First Crusade: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8]
웹사이트
WEST ASIA & north africa (2)
http://fmg.ac/Projec[...]
2017-05-00
[9]
간행물
トルコ民族の活動と西アジアのモンゴル支配時代
[10]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Anmol Publication PVT Ltd.
2005
[11]
서적
The Crusades: The Authoritative History of the War for the Holy Land
Harper Collins
2010
[12]
서적
The First Crusade: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3]
웹인용
Terken Hatun
https://islamansiklo[...]
TDV
2019-06-16
[14]
웹사이트
MALEKŠĀH
http://www.iranicaon[...]
2012
[15]
백과사전
Malik-Shāh
E.J. Brill
1997
[16]
백과사전
The Iranian world (A.D. 1000 - 12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7]
백과사전
The Iranian world (A.D. 1000 - 12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8]
백과사전
The Iranian world (A.D. 1000 - 12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