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연두는 두창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천연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바리올라 마요르와 바리올라 미노르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잠복기는 7~19일이며, 발열, 근육통과 같은 독감 유사 증상 후 특징적인 발진이 나타난다. 치사율은 유형에 따라 다르며, 예방접종은 인두법에서 시작하여 바키니아 바이러스를 이용한 종두법으로 발전했다. 현재는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지만, 생물무기로 사용될 위험이 있어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여러 유명 인물들이 감염되었으며, 종교와 사회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연두 - 접종
접종은 미생물이나 백신을 인체에 주입하는 행위를 지칭하며,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 천연두 - 도날드 헨더슨
도널드 헨더슨은 천연두 박멸을 이끈 미국의 의사이자 공중 보건 전문가이며, 세계 보건 기구에서 천연두 근절 캠페인을 지휘하여 1977년 천연두를 인류가 근절한 최초의 질병으로 만들었다. - 폭스바이러스과 - 럼피스킨병
럼피스킨병은 소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럼피스킨병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며 흡혈 곤충이나 감염된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어 발열, 피부 결절,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 폐사에 이르며, 2023년 대한민국에서 최초 발생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 폭스바이러스과 - 점액종
점액종은 점액종 바이러스로 인해 유럽 토끼에게 발병하는 감염병으로, 곤충 매개 또는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발열, 결막염, 젤라틴양 종양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천연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야 | 감염병 |
증상 | 초기: 발열, 구토, 구내염 후기: 위에 딱지가 진 물집 |
합병증 | 피부 흉터, 시각 장애 |
발병 시기 | 노출 후 1~3주 |
지속 시간 | 약 4주 |
원인 | 대두창 바이러스 소두창 바이러스 (사람 간 전파) |
진단 | 증상에 따라, 중합효소 연쇄 반응으로 확인 |
감별 진단 | 수두 농가진 전염성 연속종 원두 |
예방 | 종두 |
치료 | 지지적 치료 |
약물 | 브린시도포비르 |
예후 | 사망 확률 30% |
빈도 | 근절 (야생에서 마지막 발생 사례는 1977년) |
병인 | |
원인체 | 천연두바이러스(Variola virus) |
역사 | |
어원 | 라틴어 varius (다양한) 또는 varus (반점)에서 유래, 고대 영어 poc (뾰루지)에서 유래 |
발생 | 기원전 10,000년 이전 발생 추정 |
고대 기록 | 이집트 람세스 5세 미라에서 천연두 흔적 발견 |
종두법 | 중국에서 10세기경 개발, 18세기 유럽에 전파 |
백신 개발 | 에드워드 제너가 1796년 우두 백신 개발 |
박멸 | 세계 보건 기구의 박멸 프로그램 (1967–1980), 1977년 마지막 자연 발생 환자 발생, 1980년 공식 박멸 선언 |
바이러스 | |
바이러스 종 | 대두창 (variola major) 소두창 (variola minor) |
형태 | dsDNA 바이러스 |
전파 | 사람 간 직접 접촉 감염자의 체액 오염된 물건 |
추가 정보 | |
기타 명칭 | 알라스트림 (alastrim) 면화두창 (cottonpox) 우유두창 (milkpox) |
관련 질병 | 원두 |
치료법 | 현재는 브린시도포비르 등의 항바이러스제 |
2. 분류
천연두는 크게 바리올라 마요르(대두창)와 소두창(바리올라 미노르) 두 가지 임상형으로 분류된다. 바리올라 마요르는 더 흔하고 심각한 증상을 보이며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는 반면, 소두창은 비교적 가벼운 증상을 보이며 치사율이 1% 또는 그 이하이다.[279] 바리올라속 바이러스들의 무증상 감염도 보고된 바는 있지만 흔하지 않다.[283]
라오(Rao) 분류법에 따라 천연두를 보통 유형, 완화 유형, 악성 유형, 출혈 유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기도 한다.
- 보통 유형: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 발생하는 천연두의 90% 이상을 차지한다.[283] 발진은 얼굴, 사지, 몸통 순서대로 밀도가 높으며, 손바닥과 발바닥에도 대개 발진이 생긴다. 때로는 수포들이 서로 합쳐져 융합성 발진을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이 경우 치사율이 62%에 달한다.[283]
- 완화 유형: 대부분 예전에 예방접종을 받았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며, 전구증상이 보통 유형에 비해 훨씬 덜 심하다. 발진 개수도 적고, 빨리 형성되며, 뿌리도 깊지 않다.[282] 완화 천연두는 수두와 혼동되는 경우가 잦다.[283]
- 악성 유형: 발진이 수포가 되지 않고 붉은 반점으로 남아 있는 형태이다. 역사적으로 전체 천연두 감염 사례의 5 ~ 10%이며, 그 감염자의 절대다수(72%)는 아동이었다.[283] 거의 모든 경우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283]
- 출혈 유형: 피부, 점막, 소화관에 광범한 내출혈을 동반하는 심각한 유형이다. 전체 천연두 감염 사례의 약 2% 정도였으며, 대부분 성인에게 발병했다.[283] 피부 아래로 출혈이 일어나 마치 새까맣게 탄 것처럼 검은색을 띤다고 하여 검은마마(black pox)라고도 불렸다.[340]

질병 유형 | 사망률 (%) | 빈도 (%) | ||
---|---|---|---|---|
미접종 | 접종 | |||
일반 분리형 | 9.3 | 0.7 | 42.1 | 58.4 |
일반 합류형 | 62 | 26.3 | 22.8 | 4.6 |
일반 반합류형 | 37 | 8.4 | 23.9 | 7 |
수정형 | 0 | 0 | 2.1 | 25.3 |
악성형(평평형) | 96.5 | 66.7 | 6.7 | 1.3 |
출혈성 초기형 | 100 | 100 | 0.7 | 1.4 |
출혈성 후기형 | 96.8 | 89.8 | 1.7 | 2.0 |
천연두의 잠복기는 7일에서 19일(평균 12일) 정도이다. 잠복기 이후 초기에는 섭씨 38.3도 이상의 발열, 근육통, 두통 등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47] 소화관이 감염된 경우에는 욕지기와 구토, 요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구 증상은 보통 2~4일 동안 지속된다.[47]
3. 징후 및 증세
12~15일째가 되면 입, 혀, 목구멍 등의 점막에 작고 붉은 반점(점막진)이 나타나고, 이때 열은 거의 정상으로 떨어진다.[47] 점막진은 빠르게 커지면서 파열되어 타액 속에 대량의 바이러스를 내놓는다.[283]
천연두 바이러스는 피부 세포를 우선적으로 공격하여 특징적인 뾰루지(반)를 유발한다. 점막진이 나타나고 24~48시간 후, 피부에 발진이 이마에서 시작하여 얼굴, 사지, 몸통 순서로 빠르게 퍼진다.[283] 발진은 24~36시간 안에 빠르게 진행되며, 이 시기가 지나면 새로운 발진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47]
발진은 반(macule), 구진(papule), 수포(vesicle), 농포(pustule) 단계를 거쳐 딱지(crust)를 형성하고, 탈색된 흉터를 남기며 떨어진다.
역사적으로 천연두의 치사율은 30% 정도였으며, 특히 악성 천연두와 출혈성 천연두가 치명적이었다.[281]
3. 1. 보통 천연두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 발생하는 천연두의 90% 이상은 보통 유형으로 분류된다.[283] 이 유형의 천연두는 발진이 나타나고 이틀째가 되면 반점이 구진으로 변한다. 3~4일째에는 구진이 유백색 액체로 채워져 소포가 된다. 이 액체는 24~48시간 안에 불투명해지고 탁해져 농포가 된다.[283]
6~7일째에는 모든 피부 병변이 농포로 변한다. 7~10일 사이에는 농포가 성숙하여 최대 크기에 도달한다. 농포는 뚜렷하게 부풀어 오르고, 둥글고, 팽팽하며, 만졌을 때 단단하다. 농포는 진피에 깊이 박혀 있어 피부 속 작은 구슬 같은 느낌을 준다. 농포에서 천천히 액체가 새어 나오고, 2주 말에는 농포가 수축하여 말라붙기 시작해 딱지를 형성한다. 16~20일째에는 모든 병변 위에 딱지가 형성되어 벗겨지기 시작하면서 탈색된 흉터를 남긴다.[282]
보통 유형 천연두는 대개 농포가 피부에서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이산적 발진을 유발한다. 발진은 얼굴에 가장 밀집되어 있고, 몸통보다 사지에 더 밀집되어 있으며, 사지의 근위부보다 원위부에 더 밀집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손바닥과 발바닥에도 발진이 나타난다.
때때로 수포들이 합쳐져서 넓게 퍼지는 융합성 발진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피부의 바깥층을 아래쪽 살갗에서 분리하기 시작한다. 융합성 천연두 환자들은 모든 병변에 딱지가 형성된 후에도 종종 병이 지속되었다. 한 사례 분석에서 융합성 천연두의 치사율은 62%였다.
3. 2. 완화 천연두
주로 예방접종을 받았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며, 증상이 비교적 가볍다.[282] 발진의 개수가 적고, 빠르게 형성되며, 뿌리가 깊지 않다. 또한, 일반적인 천연두의 특징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282] 수두와 혼동되는 경우가 잦다.[283] 치사율은 매우 낮다.[282]
3. 3. 악성 천연두
악성 천연두는 발진이 수포가 되지 않고 붉은 반점으로 남아 있는 심각한 유형이다. 어째서 일부 사람들에게 악성 천연두가 나타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역사적으로 악성 천연두는 전체 천연두 감염 사례의 5 ~ 10%이며, 그 감염자의 절대다수(72%)는 아동이었다.[283] 악성 천연두는 3 ~ 4일간의 극심한 전구증상을 동반하며, 고열이 지속되고 치명적인 독소혈증 증세를 나타낸다. 혀와 구개에 발진이 매우 광범하게 나타난다. 피부 발진은 서서히 성숙하여 7 ~ 8일 정도가 되면 평평해져서 피부 속에 묻힌 것 같은 꼴이 된다. 보통 천연두와 달리 악성 천연두의 수포는 유체가 거의 없고, 만져보면 매우 부드럽다. 또 수포에서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악성 천연두는 거의 모든 경우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283]
3. 4. 출혈성 천연두
출혈성 천연두는 피부, 점막, 소화관에 광범위한 내출혈을 동반하는 심각한 천연두 유형이다. 전체 천연두 감염 사례의 약 2% 정도였으며, 대부분 성인에게 발병했다.[283] 출혈성 천연두의 발진은 수포를 형성하지 않고 부드러운 상태로 남아 있다. 대신 피부 아래로 출혈이 일어나서 마치 새까맣게 탄 것처럼 검은색을 띤다.[283] 그래서 이 유형의 천연두를 검은마마(black pox)라고도 했다.[340]
감염 초기, 또는 전격형(fulminating) 출혈성 천연두는, 감염 이틀째 내지 사흘째가 되면 결막하 출혈로 인해 눈의 흰자위가 심홍색이 되면서 출혈이 확인된다. 출혈성 천연두는 어스름한 홍반, 점상출혈 및 지라, 신장, 장막, 근육에 출혈을 일으키고, 드물지만 외심막, 간, 고환, 난소, 방광에도 출혈을 일으킨다. 환자는 보통 감염 5 ~ 7일째 경미해 보이는 피부 발진만을 남기고 갑자기 죽는다. 전격형 출혈성 천연두는 8 ~ 10일 정도 생존한 환자들에게서 나타났다. 발진 초기에 출혈이 나타나며, 발진은 도드라지지 않고 평평하고 수포 단계 이상 발달하지 않는다.[283]
출혈성 천연두 초기 환자는 혈중 응고인자(e.g. 혈소판, 프로트롬빈, 글로불린)가 감소하고 안티트롬빈이 증가한다. 말기 환자는 확연한 혈소판감소증을 나타내지만 응고인자 감소는 덜 심하다. 말기 단계에서는 안티트롬빈 증가도 나타났다.[283] 천연두 유형의 병독성에 따라 이 유형의 천연두는 치명적 천연두 감염 사례의 3 ~ 25% 정도로 잡힌다.[281] 출혈성 천연두는 대개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283]
4. 원인
천연두의 출혈성 형태는 고열, 심한 두통, 복통을 동반하며, 피부는 검붉고 홍반이 나타난다. 이후 피부, 결막, 점막에서 페테키아와 출혈이 빠르게 발생한다. 질병 발생 5일에서 7일 사이에 갑작스럽게 사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몇 가지 사소한 피부 병변만 나타난다.[38] 부검 결과 페테키아와 비장, 신장, 장막, 골격근, 심낭, 간, 생식선, 방광에서 출혈이 나타난다.[37] 이러한 상태는 종종 오진되었으며, 정확한 진단은 부검에서만 이루어졌다.[37] 이 형태는 일반 인구보다 임산부에게 더 많이 발생하며, 초기 출혈성 천연두의 치사율은 거의 100%에 달한다.[38]
4. 1. 병원체
두창바이러스과( Poxviridae|폭스비리다에la) 오르토두창바이러스속( ''Orthopoxvirus''|오르토폭스비루스la)에 속하는 천연두바이러스( ''variola''|바리올라la)에 감염되어 천연두가 발병한다.천연두바이러스는 커다란 벽돌 모양 바이러스로, 크기는 302 ~ 350 nm × 244 ~ 270 nm 정도이다.[287] 유전물질은 단일선형 이중가닥 DNA로서 게놈 염기쌍은 186개이며 가닥의 양 끝에 헤어핀 루프가 있다.[288][289]
천연두의 고전적인 두 변종은 ''variola major''|바리올라 마요르la와 ''variola minor''|바리올라 미노르la이다. 천연두 바이러스는 포ക്스바이러스과 오르토폭스바이러스속에 속하는 DNA 바이러스이다. 지름 200나노미터 정도로, 여러 바이러스 중에서도 가장 큰 종류에 속한다.
4. 2. 전염
천연두는 주로 감염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나오는 작은 물방울(비말)을 통해 전파되지만, 감염된 체액이나 오염된 물건(침구, 의복 등)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283] 드물지만 건물, 버스, 열차 등의 밀폐된 환경에서 공기를 통해 바이러스가 퍼진 적도 있다.[283]피부에 발진이 나타난 후부터 딱지가 모두 떨어질 때까지 전염성이 있다.[291] 발진 초기 1주일 동안 전염성이 가장 강하다.[283]
천연두는 전염성이 매우 높지만, 다른 바이러스성 질병에 비해 비교적 느리게 전파되고 전파 지역도 넓지 않다. 그 이유는 전염되기 위해서 발진이 나타난 이후의 근접 접촉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283] 온대 기후 지역에서는 겨울과 봄철에 감염이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열대 기후 지역에서는 계절별 편차가 뚜렷하지 않았다.[283]
홋카이도의 아이누족은 에도 시대에 혼슈에서 온 선원과 상인들을 통해 결핵, 매독 등과 함께 천연두에 감염되었다. 특히 천연두를 두려워하여, 천연두 신 "파요카캄이"가 병을 퍼뜨린다고 믿었다. 1857년 막말에 아이누를 대상으로 대규모 종두를 실시하여 면역을 갖게 함으로써 유행을 막을 수 있었다.[209][210]
5. 진단
임상 증상으로 섭씨 38.3도 이상의 급성 발열, 그리고 다른 명백한 이유가 없는 수포성 또는 농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것을 통해 천연두를 의심할 수 있다.[283]
현미경으로 보면 두창바이러스는 특유의 세포질 봉입, 특히 과리네리체를 나타내는데, 이곳이 바이러스 복제의 장소가 된다. 과리네리체는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을 염색하는 생체조직검사에서 쉽게 확인되며 분홍색 얼룩처럼 보인다. 모든 두창바이러스 감염증에서 발견되지만, 과리네리체의 부재가 곧 천연두가 아님을 확정할 수 있는 근거는 아니다.[292] 농포 속 유체나 딱지를 전자현미경 검사하면 오르토두창바이러스 감염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지만, 모든 오르토바이러스들은 전자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모두 똑같은 벽돌모양 비리온을 나타낸다.[267]
실험실에서는 닭의 배아 장요막에 바이러스를 배양시키고 그 결과 발생한 마맛자국 발진을 검사함으로써 천연두바이러스를 확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293] DNA 가닥은 폴리메라아제 연쇄반응(PCR) 및 제한효소 단편 다형성(RFLP) 분석을 통해 특징지을 수 있다. 혈청학 검사와 효소연결 면역흡착측정법(ELISA)에서는 천연두바이러스 특유의 항면역 글로블로빈과 항원을 검사함으로써 천연두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294]
수두는 천연두와 매우 흔히 혼동되곤 했다. 그러나 수두와 천연두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천연두와 달리 수두는 대개 손바닥과 발바닥에 발진이 나지 않는다. 또 수두는 농포마다 수포 분출 시기가 달라서 농포의 크기가 농포마다 제각각이지만, 천연두는 바이러스의 효과가 보다 일정하게 진행되어 농포들의 크기가 거의 모두 똑같다. 천연두로 의심되는 감염사례가 사실 수두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다양한 실험실 방법들이 마련되어 있다.[283]
6. 예방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인두법과 종두법이 있다. 인두법은 천연두 환자의 감염물질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방법이고, 종두법은 우두를 이용해 면역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천연두 백신은 접종 후 3~5년 동안 높은 수준의 면역력을 제공하며, 이후 면역력은 점차 감소한다. 1950년대 ~1960년대 유럽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10년 이내 천연두 치사율은 1.3%, 11~20년 사이는 7%, 20년 이후는 11%였다.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의 치사율은 52%였다.[301]
천연두 백신에는 부작용도 존재했다. 과거 백신 접종자 1,000명 중 1명꼴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바키니아 바이러스 전파 등의 증상을 보였다. 백신을 처음 맞은 사람 1백만 명 중 14~500명 꼴로 생명이 위험한 부작용이 나타났고, 1백만 명 중 한두 명(0.00198%)은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백신접종 후 뇌염이나 접종 부위의 심각한 괴사였다.[283]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천연두가 박멸되고 자연감염 사망자 수가 백신 부작용 사망자 수 이하로 감소하자, 미국에서는 1972년,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1970년대 중반에 아동 정기 백신 접종이 중단되었다.[265][302] 의료계 종사자 정기 접종은 1976년, 군 징집병 접종은 1990년에 중단되었다(단, 중동과 한국 징집병은 여전히 접종을 받는다[303]). 1986년에는 전 세계 모든 나라에서 천연두 백신 정기 접종이 중단되었다.[265] 현재 천연두 예방접종은 바이러스 노출 위험이 있는 연구실 인력에게 주로 권고된다.[283]
6. 1. 인두법 (Variolation)
메리 워틀리 몬태규는 오스만 제국에 머물면서 인두법을 관찰하고 이를 서간에 상세히 기록했다. 그녀가 잉글랜드로 귀환한 1718년 이래 인두법은 널리 시술되었다.[298] 1721년, 코튼 매더와 동료들이 보스턴에서 수백 명에게 인두법을 시술하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인두법은 천연두 환자의 딱지 따위 감염물질을 피부에 접촉시켜 천연두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유럽과 접촉하기 이전의 인도, 아프리카, 중국에서 인두법이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295] 다만 고대 산스크리트 의학서적에서 인두법을 설명한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인도 기원설은 논란이 있다.[296] 중국의 인두법 사례는 10세기 후반부터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16세기 명나라때 매우 널리 사용되었다.[297] 인두법이 성공하면 천연두에 대한 지속적 면역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천연두바이러스에 감염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심각한 감염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인두법을 시술받은 자가 다른 이에게 천연두를 옮길 수도 있었다. 인두법의 치사율은 0.5 ~ 2%로, 천연두의 치사율 20 ~ 30%보다는 훨씬 낮았다.[283]6. 2. 종두법 (Vaccination)
에드워드 제너가 1796년에 우두를 이용한 백신 접종의 효과를 입증하면서 종두법(vaccination)이 시작되었다.[299] 제너는 우두 발진에서 나온 물질을 백신(vaccine)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라틴어로 암소를 뜻하는 어근 바카(''vacca''la)에서 유래했다. 백신 접종은 인두법보다 훨씬 안전했으며 천연두 전염의 위험도 없었다. 19세기에 종두법에 사용되는 우두바이러스가 바키니아바이러스로 대체되었다. 바키니아는 우두바이러스 및 천연두바이러스와 같은 과에 속하지만 유전적으로 두 바이러스와 모두 구분된다. 바키니아 바이러스의 기원과 이것이 백신 효과를 내는 경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 천연두 백신은 감염성 바키니아 바이러스의 생바이러스로 만들어진다. 분지침을 백신 용액에 담그고 피부를 수 초에 걸쳐 수 번 찌르는 방식으로 접종한다. 접종이 성공하면 3 ~ 4일 이내로 붉고 가려운 돌출부가 돋아나고, 1주차에 고름이 가득찬 커다란 농포를 형성하며 마르기 시작한다. 2주차가 되면 농포가 말라서 딱지가 형성되고, 3주차에 딱지가 떨어지고 작은 흉터가 남는다.[300]
바키니아 백신을 통해 만들어진 항체는 원두, 우두, 천연두를 비롯해 다른 오르토두창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력도 갖는다. 최초 접종 10일 후 항체의 무력화가 확인되며, 7일 후에 재접종을 받는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백신은 접종자의 95%의 천연두 감염을 막음으로써 천연두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283]
7. 치료
현재 천연두를 치료할 수 있는 검증된 약물은 없다. 상처 치료, 감염 통제, 체액 보충, 인공호흡기 등의 대증 치료가 주가 된다.[283][304][70][81] 키도포비르(시도포비르) 등의 항바이러스제가 치료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승인된 테코비리마트와 브린시도포비르도 사용될 수 있다.[305][82][83][85][86]
8. 예후
천연두의 치사율은 유형에 따라 크게 달랐다. 역사적으로 전체 치사율은 약 30% 정도였으나,[281] 세부 유형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 보통 유형: 농포 분포에 따라 치사율이 달랐다.
- 융합성: 50 ~ 75%
- 준융합성: 25 ~ 50%
- 이산적: 10% 이하
- 악성 천연두: 90% 이상[282]
- 출혈성 천연두: 거의 100%[282]
- 소두창: 1% 이하[282]
- 1세 이하 영아: 유형에 관계없이 40 ~ 50%
천연두는 만성적이거나 재발하지 않는다.[282]
보통 유형 천연두가 치명적일 경우, 대개 감염 10일 ~ 16일차에 사망한다. 사망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면역복합체 순환, 압도적 바이러스혈증, 통제불능의 면역반응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초기 출혈성 천연두는 발열 후 약 6일경에 갑작스럽게 사망하며, 심부종이나 폐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말기 출혈성 천연두는 지속적 바이러스혈증, 심각한 혈소판 감소, 면역반응 무력화 등이 사망 원인으로 거론된다.[283] 악성 천연두는 화상과 유사하게 체액, 단백질, 전해액 부족, 또는 전격성 패혈증으로 사망한다.[306]
8. 1. 합병증
천연두의 주요 합병증은 호흡계통에서 발생하며, 가벼운 기관지염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폐렴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호흡기 합병증은 천연두 발병 후 약 8일 경에 나타나며, 바이러스 자체 또는 2차 세균 감염이 원인일 수 있다. 드물게 피부에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발열 증상이 지속된다.다른 합병증으로는 뇌염(성인 50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며, 일시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영구적인 흉터(특히 얼굴에 두드러짐), 그리고 다양한 안구 관련 합병증(전체 사례의 약 2%) 등이 있다. 눈꺼풀, 결막, 각막에 농포가 형성되어 결막염, 각막염, 각막궤양, 홍채염, 모양체염, 시신경 위축증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각막염이나 각막궤양을 앓은 환자의 35%~40%는 실명에 이르렀다. 출혈성 천연두의 경우, 결막하 출혈이나 망막 출혈을 동반하기도 한다.[267]
드물지만, 소아 천연두 환자의 약 2%~5%는 바이러스가 관절과 뼈에 침투하여 천연두 골수염( ''osteomyelitis variolosa'')을 앓았다. 이 경우, 팔꿈치, 정강이, 종아리뼈를 중심으로 뼈와 관절에 특징적인 병변이 대칭적으로 나타났으며, 골단 및 골막 반응을 보였다. 관절 부종은 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관절염으로 인해 사지 변형, 강직증(관절 강직), 뼈의 기형, 관절 불안정, 손가락 단축 등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267]
9. 역사
가장 이른 시기의 신뢰할 수 있는 천연두의 임상적 증거는 고대 인도의 문헌(기원전 1500년경),[307][308]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5세의 미라(기원전 1145년),[269] 중국(기원전 1122년)에서 찾아볼 수 있다.[309] 기원전 제1천년기에 이집트 상인들이 천연두를 인도에 퍼뜨린 것으로 추측되며, 인도에서 천연두는 최근 2000년간 풍토병으로 맹위를 떨쳤다. 이후 기원전 1세기에 서남쪽을 통해 중국으로, 6세기에 한국에서 일본으로 퍼졌다.[283] 735~737년 천연두 유행은 당시 일본 인구의 3분의 1을 죽인 것으로 생각된다.[270][310] 요루바교의 소포나, 힌두교의 시탈라 마타 여신 등 여러 종교의 신들이 천연두와 관련된 신으로 여겨졌다.[311]
천연두가 유럽과 동남아시아에 도달한 시기는 다소 불분명하다. 구약성경이나 신약성경, 그리스 로마 시대 문헌들에는 명확히 천연두라고 판단할 수 있을 만한 기록이 없다. 그러나 아테네 역병(에티오피아와 이집트에서 유래)이나 기원전 396년 카르타고가 시라쿠사 공성전 당시 시라쿠사의 포위를 풀게 만들었던 전염병이 천연두라고 추측하기도 한다.[260] 그러나 다수의 학자들은 천연두 같은 심각한 질병이 당대 지중해 세계에 존재했다면 히포크라테스에게 기록되지 않았을 리 없다는 데 동의한다.[312]
기원후 161년 로마와 중국에서 끔찍한 역병이 발병했는데, 증인들의 서술을 보면 두 곳 모두 천연두로 보인다. 4세기 중국의 어느 의사는 “역병의 발진은 (중략) 하얀 고름 같은 것이 들어 있는 종기처럼 생겼다. (중략) 회복된 사람에게는 자줏빛 흉터가 남는다.”라고 기록했다.[313] 기원후 165년~180년 로마 제국을 휩쓴 안토니누스 역병이 천연두일 가능성이 있다.[314] 기원후 200년경 이 역병은 이집트 사람 넷 중 하나의 목숨을 앗아갔고, 로마 제국과 한나라에서 엄청나게 많은 목숨을 빼앗았다. 250년 무렵 로마시에서는 하루에 5000명씩 죽어나갔다고 하며, 중국에서 최악의 시기는 310년에서 322년 사이였다.[315]
랭스의 니카시우스는 450년 천연두 유행에서 살아남아 천연두 환자의 수호성인이 되었다.[260] 580년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는 오늘날의 프랑스와 이탈리아 지방에서 유사한 전염병 유행이 있었음을 기록하였고 이때 "바리올라(''variola''la)라는 말이 처음 사용되었다.[260] 7세기 ~ 8세기에 아랍 군대가 아프리카로부터 남서유럽으로 천연두를 옮겨왔다고 추측한다. 9세기 페르시아의 의사 무하마드 이븐 자카리야 아르라지(라제즈)는 《두창과 홍역의 서》(''Kitab fi al-jadari wa-al-hasbah''|ar)에서 최초로 천연두를 수두 및 홍역과 구분되는 질병임을 명확히 기록했다.[316]
한나라, 쿠샨 제국, 페르시아 제국, 서로마 제국은 모두 200년에서 700년 사이에 쇠퇴했다. 종교 단체들은 국가의 실패로 생긴 공백을 메우고 방어와 식량 공급을 조직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그들이 알아온 세계가 끝나가는 이유를 설명하여 기독교와 대승불교가 1세기부터 5세기까지 신도 수천만 명을 얻었다.[317]
중세 유럽에서는 천연두가 주기적으로 발발했지만, 인구 증가와 십자군 시대가 되어서야 더욱 활발해졌다. 16세기가 되면 유럽 전역에 확실히 자리를 잡았다. 인도, 중국, 유럽에 전래된 천연두는 주기적으로 유행하여 감염자의 30% 정도를 죽였다. 유럽인들의 탐험과 식민의 시대(대항해시대)가 시작되자 천연두는 세계의 나머지 지역들로 퍼졌다. 16세기, 천연두는 세계 전역에서 중요한 이환 및 사망 요소가 되었다.
15세기 유럽인들의 탐험 이전에 아메리카 대륙에 천연두와 유사한 질병이 있었다는 믿을 만한 증거는 없다.[285] 1509년 캐리비안의 히스파니올라섬에 전래되었고, 1520년 에스파냐인들이 멕시코에 도착함으로써 미주 본토로 퍼졌다. 천연두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인구를 급감시켰고 에스파냐인들의 아스텍, 잉카 정복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283] 북미 동해안 정착(1633년 플리머스) 역시 북미 원주민들 사이의 천연두 창궐과 그로 인한 인구 감소를 야기했으며,[318] 그 뒤 미주 현지에서 태어난 식민지인들도 천연두에 걸렸다.[319] 미주 원주민들 사이의 천연두 치사율은 80 ~ 90%에 달했다.[320] 호주에는 1789년과 1829년에 천연두가 전래되었지만,[283] 호주대륙의 풍토병으로 자리잡지는 못했고,[283] 1780년에서 1870년 사이 어보리진 원주민들의 주요 사망원인이었다.[321]
18세기 중반, 천연두는 호주와 여러 작은 섬들을 제외한 전세계 모든 지역의 주요 풍토병이었다. 유럽에서는 18세기까지 주요 사망원인이었으며 매년 400,000 여명의 유럽인이 천연두로 죽었다.[322] 매년 스웨덴의 유아 중 10% 이상, 러시아의 유아사망률은 그보다도 높았다.[309] 18세기 후기, 중국, 영국 및 영국의 북미 식민지들에서 인두법이 사용되면서 부유층 사이의 천연두 영향은 다소 줄어들었다. 19세기 후기 종두법이 보편화되기 전에는 천연두 발생의 유의미한 감소는 없었다. 유럽과 북미에서는 발전된 백신과 백신 재접종을 통해 환자가 상당히 줄어들었으나,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손을 놓고 있었다. 19세기 말, 미국과 남아프리카에서 훨씬 순한 천연두의 변종인 소두창(''variola minor''la)이 나타났다. 소두창은 천연두(''variola major''la)와 함께 20세기 중반까지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함께 유행했다. 소두창 환자는 경미한 증상만 나타냈으며 병에 걸린 상태에서도 걸어다닐 수 있었기 때문에 쉽게 퍼졌다. 소두창 감염 생존자는 천연두에 대한 면역도 가지게 되어 미국, 캐나다, 남아메리카, 영국에 퍼진 소두창이 지배적인 천연두 변종이 되었고 치사율이 크게 감소했다.[283]
9. 1. 천연두 발생사
가장 오래되고 신뢰할 수 있는 천연두의 임상적 증거는 고대 인도(기원전 1500년경 이전)[89][90]와 중국(기원전 1122년)[91]의 의학 서적에서 천연두와 유사한 질병에 대한 설명에서, 그리고 이집트 미라 람세스 5세(기원전 1145년 사망)[90][92]에 대한 연구에서 발견된다. 이집트 상인들이 기원전 1천년기에 천연두를 인도로 가져왔고, 그곳에서 최소 2000년 동안 풍토병으로 존재했다는 추측이 있다. 천연두는 기원 1세기에 남서쪽에서 중국으로 유입되었고, 6세기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파되었다.[70] 일본에서는 735년~737년 유행으로 인구의 3분의 1이 사망한 것으로 여겨진다.[15][93] 서아프리카의 요루바 신앙의 신 소포나와 같이 천연두에 특별히 헌정된 종교 신이 최소 7명 있다. 인도에서는 천연두의 힌두 여신 시탈라가 전국 사원에서 숭배되었다.[94]
다른 견해는 천연두가 1588년에 출현했으며, 이전에 보고된 사례는 천연두로 잘못 식별되었다는 것이다.[95][42]
천연두가 유럽과 남서아시아에 도착한 시기는 불분명하다. 천연두는 성경의 구약이나 신약 또는 그리스인이나 로마인의 문헌에 명확하게 묘사되어 있지 않다. 어떤 학자들은 "에티오피아"와 이집트에서 발생했다고 알려진 아테네의 역병 또는 기원전 396년 카르타고의 시라쿠사 포위 공격을 해제한 역병을 천연두와 동일시하지만,[28] 많은 학자들은 바리올라 마이저(Variola major)와 같은 심각한 질병이 그의 생애 동안 지중해 지역에 존재했다면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묘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동의한다.[96]
안토니누스 역병이 165년~180년에 로마 제국을 휩쓸었을 가능성이 있지만,[97] 성 랭스의 니카시우스는 450년에 천연두를 극복했다고 알려져 천연두 희생자들의 수호 성인이 되었고,[28] 성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는 580년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유사한 발병을 기록했는데, 이것이 '바리올라(variola)'라는 용어의 첫 번째 사용이다.[28] 다른 역사가들은 아랍 군대가 7세기와 8세기에 아프리카에서 남서유럽으로 천연두를 처음으로 가져왔다고 추측한다.[70] 9세기에는 페르시아 의사 무함마드 이븐 자카리야 알라지(라지)가 천연두에 대한 가장 명확한 설명 중 하나를 제공했으며, 그의 저서 ''키타브 피 알자다리 와 알하스바''(''천연두와 홍역에 관한 책'')에서 천연두를 홍역과 수두와 구분한 최초의 인물이였다.[98] 중세 동안 유럽에서는 여러 차례 천연두가 발생했다. 그러나 십자군 전쟁으로 인구 증가와 이동성이 증가하기 전까지는 유럽에 정착하지 못했다. 16세기까지 천연두는 유럽 대부분에 퍼져 있었고,[70] 사망률은 30%에 달했다. 유럽에서 천연두가 풍토병으로 발생한 것은 특히 역사적으로 중요한데, 유럽인들의 탐험과 식민지 개척으로 인해 다른 나라로 질병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16세기까지 천연두는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 되었다.[70]
15세기 유럽인들의 서쪽 탐험 이전에는 아메리카에 천연두와 유사한 질병에 대한 신뢰할 만한 설명이 없었다.[40] 천연두는 1507년 카리브해 섬 히스파니올라에, 그리고 1520년 히스파니올라의 스페인 정착민들이 멕시코에 도착하면서 본토에 유입되었는데, 그들은 우연히 천연두를 가지고 왔다. 원주민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이 새로운 질병에 대한 획득 면역이 없었기 때문에 유행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다. 이러한 혼란과 인구 감소는 스페인이 아즈텍과 잉카를 정복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70] 마찬가지로 1633년 매사추세츠주 플리머스에서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에 영국인이 정착하면서 아메리카 원주민들[99]과 그 후 토착 식민지 주민들에게 천연두가 파괴적으로 발생했다.[100] 아메리카 원주민 인구에서의 발병 중 치사율은 90%에 달했다.[101] 천연두는 1789년과 1829년에 오스트레일리아에 유입되었지만,[70] 1829년에는 천연두와 수두(원주민들에게 거의 치명적일 수 있음)를 구분하려고 시도했던 식민지 외과의사들은 1829년~1830년 유행병이 수두인지 천연두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102] 천연두는 대륙에서 풍토병이 된 적이 없지만,[70] 1780년부터 1870년까지 원주민 인구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03]

18세기 중반까지 천연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외부 탐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작은 섬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주요 풍토병이였다. 18세기 유럽에서는 천연두가 주요 사망 원인이었으며, 매년 약 40만 명의 유럽인이 사망했다.[104] 스웨덴 유아의 최대 10%가 매년 천연두로 사망했고,[15] 러시아 유아의 사망률은 더 높았을 것이다.[91] 특히 영국, 북미 식민지, 중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종두법이 널리 사용되어 18세기 후반 부유층의 천연두 영향을 다소 줄였지만, 천연두 발생률이 실제로 감소한 것은 19세기 말 예방 접종이 일반화된 이후였다. 개선된 백신과 재접종으로 유럽과 북미의 천연두 사례가 크게 감소했지만,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통제되지 않았다. 20세기 중반에는 아프리카 여러 지역에서 바리올라 마이너(Variola minor)가 바리올라 마이저(Variola major)와 함께 다양한 비율로 발생했다. 바리올라 마이너 환자는 경미한 전신 질환만 경험하고, 질병 기간 동안 종종 보행이 가능하므로 질병을 더 쉽게 퍼뜨릴 수 있다. 바리올라 마이너 바이러스 감염은 더 치명적인 바리올라 마이저 형태에 대한 면역력을 유도한다. 따라서 바리올라 마이너가 미국 전역, 캐나다, 남미 국가 및 영국으로 퍼지면서 천연두의 주요 형태가 되어 사망률이 더욱 감소했다.[70]
천연두의 정확한 기원은 불명확하지만, 가장 오래된 천연두 기록은 기원전 1350년경 히타이트와 이집트의 전쟁 무렵이며, 천연두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된 가장 오래된 사례는 기원전 12세기(기원전 1100년대)에 죽은 이집트 왕조의 람세스 5세이다. 그의 미라에는 천연두의 흔적이 발견되었다.[202]
이슬람의 경전인 『코란』의 「코란의 코끼리」에서는 570년경 에티오피아 군대가 메카를 공격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에티오피아 군대는 메카 수비대보다 군사력이 우세했지만, 알라가 새떼(아바빌)를 보내 에티오피아 병사들의 머리 위에 돌을 떨어뜨리자 맞은 자들에게는 천연두가 생겨 전염병이 만연하여 퇴각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에티오피아 군대 사이에 천연두가 만연한 것을 신의 기적으로 묘사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203]
알라지는 저서 『천연두와 홍역의 책』(Kitab fi al-judari wa-al-hasbah)에서 홍역과 천연두의 차이에 대해 언급했다.[204]
고대 그리스 기원전 430년의 "아테네의 역병"은 "아테네의 페스트"라고도 불렸지만, 기록된 증상으로 보아 천연두였던 것으로 생각된다(홍역, 발진티푸스, 또는 이들의 동시 유행이었다는 설도 있다).
165년부터 15년간 로마 제국을 휩쓴 "안토니누스의 역병"(Antonine Plague)도 천연두로 여겨지며, 최소 350만 명이 사망했다.
그 후, 12세기에 십자군의 원정으로 유입된 이후, 유행을 반복하면서 점차 정착되어 거의 모든 사람이 감염되었다.
르네상스 이후 초상화가 활발하게 그려지게 되었지만, 천연두의 흉터를 그리지 않는 것은 암묵적인 약속이었다.
콜럼버스 상륙 이후, 백인의 식민과 함께 천연두도 아메리카 대륙에 침입하여, 면역력이 없던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백인뿐만 아니라, 노예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유입된 흑인도 감염원이 되었다. 「콜럼버스 교환」도 참조.
구대륙에서는 오랫동안 유행 상태가 계속되어 주민들에게 어느 정도 저항력이 생겨 증상과 사망률이 감소했지만, 소나 말 같은 가축을 기르지 않았던 아메리카 인디언은 천연두 면역력이 없었기 때문에 전혀 저항력이 없어, 어떤 곳에서는 사망률이 9할에 달해 멸망한 부족도 있었다. 이 외에도 홍역과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등이 유럽에서 아메리카로 들어왔지만, 특히 천연두의 피해가 가장 컸으며, 백인의 북아메리카 대륙 정복을 돕는 결과가 되었다. 신대륙의 두 대 제국이었던 아즈텍과 잉카 제국 멸망의 큰 원인 중 하나가 천연두였다. 아즈텍에 천연두가 유입된 것은 1520년경, 에르난 코르테스의 침공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지만, 천연두는 순식간에 대유행을 일으켜, 몬테수마 2세를 대신하여 즉위한 신왕 쿠이틀라왁을 병사하게 하는 등 아즈텍 멸망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욱이 스페인의 점령 후에도 천연두는 맹위를 떨쳤고, 압정과 강제 노동, 홍역과 티푸스 등 다른 전염병과 더불어, 정복 전 인구가 추정 2500만 명이었던 것에 비해, 16세기 말 인구는 약 100만 명으로 감소하여 중앙아메리카 원주민 사회는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205] 또한, 잉카 제국에서는 침공을 받기 전에 이미 스페인 사람들이 도착했던 카리브해 연안 지역에서 천연두가 침입하여, 현재의 콜롬비아 남부에서 1527년경에 대유행을 일으켰다. 이 대유행으로 당시 잉카 황제였던 와이나 카팍과 황태자인 니난 쿠요치가 모두 사망하여 공석이 된 왕위를 놓고 와스카르와 아타왈파 두 왕자가 제국을 이분하는 내전을 일으켰다. 이 내전은 아타왈파의 승리로 끝났지만, 잉카의 국력은 피폐해져 스페인의 프란시스코 피사로에 의한 정복을 허용하는 결과가 되었다. 더욱이 잉카 제국에서도 정복 후에는 마찬가지로 천연두를 비롯한 전염병이 대유행하여 원주민 인구의 격감을 초래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백인에 의해 고의로 천연두가 인디언에게 퍼진 예도 있다고 한다. 프랑스-인디언 전쟁이나 폰티악 전쟁에서는, 영국군이 천연두 환자가 사용하고 오염된 담요 등의 물품을 인디언에게 선물하여 발병을 유발·섬멸하려고 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19세기에 들어서도 이러한 민족 말살 수법은 계속되었다. 몬태나주의 블랙풋족 등은 부족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이 역사를 전하고 있다. 단, 정작 영국 측에는 그러한 작전을 수행했다는 증거가 되는 기록은 없다.
중국 대륙에서는 남북조 시대의 남조 제가 495년에 북위와 전쟁을 벌이면서 유입되어 유행했다는 기록이 처음이다. 머리와 얼굴에 발진이 생겨 온몸으로 퍼지고 많은 사람이 사망했으며, 살아남은 사람들은 흉터를 남겼다는 것으로 보아 분명 천연두이다. 이후 중국 대륙 전역에서 단기간에 유행했고, 6세기 전반에는 한국에서도 유행을 보였다.
6세기 중반, 외국인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최초의 유행병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침 신라에서 미륵보살상이 전달되고, 용명천황이 불교의 전파를 허용한 시기와 겹쳐, 일본 고유의 신을 경시한 천벌이라는 시각이 퍼지면서 불교를 지지하던 소가씨의 영향력이 저하되는 등의 영향이 나타났다. 『일본서기』에는 “몸이 타고, 맞고, 부서지는 것 같다”라고 적혀 있으며, 창이 발생하고 격렬한 고통과 고열을 수반한다는 의미에서 천연두 최초의 기록으로 여겨진다(홍역 등의 설도 있다). 585년 용명천황의 죽음도 천연두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735년부터 738년에 걸쳐 서일본에서 관내에 걸쳐 대유행하여 “완두창(완두瘡 또는 엔도우창)”이라고 불렸으며, 평성경에서는 정권을 담당했던 후지와라 사형제가 잇따라 사망했다(천평의 역병 대유행). 사형제 이외에도 고위 귀족들이 잇따라 사망했다. 정치를 할 수 있는 인재가 급감하여 조정의 정치는 대혼란에 빠졌다.
이 당시 천연두에 대해 『속고사담』의 기록으로 보아, 당시 신라에 파견되었던 견신라사의 왕래 등에 의해 신라에서 유입되었다고 하는 것이 정설이지만, 견신라사의 신라 도착 전에 최초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반대로 일본에서 신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206] 나라의 동대사 석가여래상(대불) 조영의 계기 중 하나가 이 천연두 유행이다.
“독안룡”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오슈의 전국대명 다테 마사무네가 유년기에 오른쪽 눈을 실명한 것도 천연두 때문이었다.
16세기에 기독교 포교를 위해 일본에 온 가톨릭교회예수회의 선교사 루이스 프로이스는 유럽에 비해 일본에서 전맹자가 많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데, 후천적 실명자의 대부분은 천연두 때문이라고 생각된다.[207]
유럽이나 중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여러 번 대유행을 거듭하여 에도 시대에는 정착하여 누구나 걸리는 병이 되었다. 유학자 안이 석헌, “쌀 백석”의 에피소드로 알려진 고바야시 코자부로도 천연두로 한쪽 눈이 실명되었다. 우에다 아키나리는 양손 일부 손가락이 크게 자라지 않아 결과적으로 새끼손가락보다 짧은 장애를 입었다. 천황도 예외는 아니었고, 도잔 천황은 천연두로 사망했다. 그 외, 고메이 천황의 사인도 천연두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미나모토노 산토모, 도요토미 히데요리, 요시다 쇼인, 나쓰메 소세키는 얼굴에 흉터를 남겼다.
홋카이도에는 에도 시대, 혼슈에서 온 선원과 상인들의 왕래와 함께 결핵, 매독 등이 전파되었다. 전염병에 대한 저항력이 없었던 아이누들은 이러한 질병에 잇따라 감염되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두려워했던 것은 천연두였다. 아이누들은 물방울 무늬 옷을 입은 천연두 신 "파요카캄이(파코로캄이)"가 마을들을 돌아다니면서 천연두가 퍼진다고 믿었고, 환자 발생이 알려지면 마을 입구에 냄새가 강한 명이 나물과 가시가 있는 두릅나무 가지를 악귀를 막는 부적으로 걸어놓고 병마의 물러감을 기원했다. 그리고 자신들은 얼굴에 그을음을 칠해 변장하고, 수리(數里)나 떨어진 신성한 산으로 피신하여 감염이 끝나기를 기다렸다. 에도 시대를 통해 천연두가 반복적으로 유행하여 아이누 인구 감소의 한 원인이 되었다. 민투치는 이와 관련된 전승으로 여겨진다. 막말 1857년에 아이누를 대상으로 대규모의 종두를 실시하여 면역을 획득하게 함으로써[209][210], 유행에 마침내 제동이 걸렸다.
9. 2. 천연두 근절
1796년 잉글랜드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우두를 이용한 백신 접종(종두법)의 효과를 증명한 후, 각 지역에서 천연두 근절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323] 1950년 범미주 보건기구는 서반구 전체의 천연두 근절을 위한 캠페인을 시작했다.[332] 이 활동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에콰도르를 제외한 모든 미주 국가들에서 천연두를 근절하는 성과를 거두었다.[331]1959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소련의 제안(결의안 WHA11.54)을 받아들여 전 세계적인 천연두 근절 계획을 수립했다.[333] 그러나 아프리카와 인도 아대륙 등에서 천연두 근절 노력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66년 미국의 도널드 헨더슨의 주도로 천연두 박멸단(SEU)이 만들어졌다.[334] 1967년 세계보건기구는 천연두 박멸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체코의 역학자 카렐 라슈카가 제안한 새로운 질병감시 방법을 도입했다.[335][336]
1975년 말이 되자 천연두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만 남아 있었다. 1977년, 호주의 미생물학자 프랭크 페너의 주도로 집중적인 감시, 격리, 접종 작전이 실시되었다.[339] 최후의 소두창(Variola minor|소두창la) 환자는 1977년 10월 26일 소말리아 메르카의 병원 요리사 알리 마오우 마알린이었다.[283] 소두창보다 심각한 천연두(Variola major|천연두영어)의 최후의 자연감염자는 1975년 10월 방글라데시의 2세 여아 라히마 바누였다.[340]

1979년 12월 9일, 여러 국가에서의 확인 작업을 거쳐 천연두의 세계적 박멸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1980년 5월 8일, 세계보건총회(WHA)는 천연두의 박멸을 선언했다.[265][341]
9. 3. 천연두 박멸 그 이후
1978년 영국 버밍엄에서 실험실 감염으로 인한 마지막 천연두 사망자가 발생했다. 의학사진가 재닛 파커는 버밍엄 의대에서 천연두에 감염되어 사망했고, 당시 천연두 연구 책임자였던 헨리 베드슨 박사는 자살했다.[261][343][342] 이후 보존 중이던 천연두바이러스 표본은 모두 파괴되거나, BSL-4 설비를 갖춘 세계보건기구(WHO) 지정 연구실(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러시아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전염매개체 국립연구센터)로 옮겨졌다.[344]세계보건기구는 1986년 바이러스 파괴를 처음 권고했고, 파괴 일자를 1993년 12월 30일로 지정했다가 1999년 6월 30일로 연기했다.[345] 2002년 세계보건회의는 미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인해 특정 연구 목적의 천연두바이러스 표본 임시 보관을 허가했다.[346] 일부 과학자들은 표본이 새로운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 개발, 진단실험에 유용하다고 주장했지만,[348] 2010년 WHO 평가반은 미국과 러시아의 천연두바이러스 표본 보유가 공공보건을 위한 필수적인 목적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349]
2004년 3월 뉴멕시코주 산타페에서 미국 내전 관련 서적 표지 속에서 천연두 딱지가 발견되었고,[351] 2014년 7월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의 국립보건원 FDA 연구실에서 천연두바이러스 병 여러 개가 발견되기도 했다.[352]
천연두 바이러스는 흡입되면 구강, 인후 및 호흡기 점막을 침범하며, 림프절에서 증식하다가 바이러스혈증을 일으켜 비장, 골수 등에서 2차 증식을 일으킨다.
천연두 바이러스의 게놈은 1990년대에 완전히 해독되었으며, 현재 천연두 바이러스의 표준 염기서열은 1967년 인도에서 유행했던 균주에서 시퀀싱된 것이다.[51]

10. 사회문화적 영향
세계보건기구(WHO)는 천연두 바이러스의 유전자 조작을 금지하고 있지만,[56] 2004년 WHO 자문위원회는 남아 있는 두 개의 천연두 바이러스 샘플에 GFP(녹색 형광 단백질) 마커 유전자를 추가하는 유전자 편집을 허용하는 데 찬성했다.[56][57] 위원회는 이 유전자 편집이 치료법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57]
일반 천연두는 38.3°C 이상의 급성 발열 후, 다른 원인 없이 같은 발달 단계에 있는 단단하고 깊이 박힌 수포 또는 농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질병으로 정의된다.[70]
천연두 바이러스는 현미경에서 특징적인 세포질 봉입체(Guarnieri 소체)를 생성하며, 이는 바이러스 복제 장소이다. Guarnieri 소체는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된 피부 생검에서 분홍색 반점으로 확인된다.[66] 농포액이나 딱지의 전자 현미경 검사로도 정바이러스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데, 모든 정바이러스는 전자 현미경에서 벽돌 모양으로 나타난다.[47]
천연두 박멸 직후에는 수두와 혼동되기도 했다. 수두는 천연두와 달리 손바닥과 발바닥에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수두 농포는 크기가 다양한 반면 천연두 농포는 크기가 거의 같다.[70]
10. 1. 생화학전
프렌치 인디언 전쟁(1754년 ~ 1763년) 당시 피트 요새 공성전에서 영국군이 프랑스-원주민 동맹군에게 천연두를 생물무기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353][354] 영국군 최고위 장교들은 원주민들에게 천연두를 사용하도록 명령하고 실행했다.[355] 1763년 6월 24일, 피트 요새 민병대 사령관 윌리엄 트렌트는 천연두 병원에서 나온 담요 두 장과 손수건 한 장을 원주민에게 전달했으며, 이것이 천연두를 퍼뜨리는 효과를 낼 수 있기를 바란다고 기록했다.[356][357] 미국 독립전쟁(1775년 ~1783년) 때도 천연두가 무기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358][359]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미국, 일본 제국 육군의 731 부대를 포함한 여러 국가의 과학자들이 천연두바이러스를 이용한 생물무기 개발을 연구했다.[366] 그러나 백신이 널리 보급되어 무기로서의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대량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358]
1947년 소련은 모스크바 북동쪽 75km 지점인 자고르스크에 천연두 무기화 공장을 설립했다.[367] 1971년에는 아랄 해의 보즈로즈데니야 섬에서 무기화된 천연두가 누출되는 아랄 해 천연두 사건이 발생했다.[368][369] 1992년 소련에서 망명한 켄 알리베크는 자고르스크에서 진행된 소련의 생물무기 프로그램을 통해 20톤 이상의 무기화된 천연두바이러스와 이를 운반할 냉장 탄두가 비축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알리베크는 이 무기들이 백신에 저항성을 갖도록 개조되었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으나, 그의 주장은 독립적인 기관에 의해 검증되지 않았다.
1997년 러시아 정부는 남아 있던 모든 천연두바이러스 표본을 노보시비르스크주 콜트소보에 있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전염매개체 국립연구센터로 옮길 것이라고 발표했다.[370]
10. 2. 종교와 관습
천연두의 심각성으로 인해 여러 문화권에서 천연두와 관련된 신들이 숭배되었다. 중국에서는 두진낭랑(痘疹娘娘)이라는 천연두 여신이 있었고, 사람들은 여신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천연두 물집을 "아름다운 꽃"이라고 부르는 완곡어법을 사용했다.[378] 섣달 그믐날에는 아이들에게 못생긴 가면을 씌워 재우는 풍습도 있었다.[378] 환자가 발생하면 집은 금줄이 쳐진 성역이 되고, 환자가 회복되면 금줄을 철거해 종이 의자나 배에 싣고 불태웠다.[377]인도에서는 기원후 400년경 의학서에 천연두와 유사한 질병이 기록되어 있다.[378] 시탈라라는 여신은 경외와 공포의 대상이었는데, 분노하면 병을 일으키지만 환자의 열을 내려주기도 한다고 믿었다.[379] 시탈라 여신은 오른손에는 빗자루, 왼손에는 냉수 단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78] 사람들은 시탈라를 모시는 사원을 찾아 숭배했고, 일부 여성들은 시탈라를 쫓기 위해 지붕에 음식을 식히는 접시와 물동이를 올려두기도 했다.[380]

일본에서는 천연두를 일으키는 악마(포창신)가 있다고 믿었으며, 다른 문화권과 마찬가지로 붉은색을 두려워한다고 여겨 환자와 환자의 방을 붉은색으로 꾸미는 요법이 있었다.[260] 이 관습은 12세기에 유럽으로 전래되어 샤를 5세, 엘리자베스 1세도 사용했다.[260]
조선시대에도 역병이 돌 때마다 마마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두신을 달래는 굿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10. 3. 유명한 감염자
역사적으로 많은 유명 인사들이 천연두를 앓았다. 람세스 5세[375], 강희제(생존), 순치제(사망), 동치제(사망), 다테 마사무네(생존했으나 후유증으로 애꾸가 됨), 쿠이틀라후악(1520년 사망), 후아이나 카팍(1527년 사망) 등이 천연두에 감염되었다.
보다 최근 인물로는 구루 하르 크리샨(1664년), 표트르 2세(1730년 사망),[376] 조지 워싱턴(생존), 루이 15세(1774년 사망), 정약용 (생존),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1777년 사망) 등이 있다.
잉글랜드의 헨리 8세의 친척들, 그의 여동생 마가렛 튜더, 그의 아내 클레브스의 앤, 그리고 그의 두 딸인 메리 1세(1527년)와 엘리자베스 1세(1562년)도 천연두를 앓았다. 메리 스튜어트는 어린 시절 이 질병에 걸렸지만 눈에 띄는 흉터는 없었다.
유럽에서는 천연두로 인한 사망이 종종 왕조 계승을 바꾸었다. 프랑스의 루이 15세는 1774년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러시아의 표트르 2세는 14세의 나이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러시아의 표트르 3세는 천연두로 흉터가 남고 몰골이 망가졌다. 그의 아내인 예카테리나 2세는 아들 파벨 1세의 안전을 매우 걱정하여 영국 의사 토마스 딤즈데일에게 접종을 받았다.
미국 대통령 조지 워싱턴, 앤드류 잭슨, 에이브러햄 링컨은 모두 천연두에 걸렸다가 회복되었다.
소련 지도자 요셉 스탈린은 일곱 살 때 천연두에 걸려 얼굴에 심하게 흉터가 남았다.
10. 4. 한국의 천연두
한국에는 6세기경 중국으로부터 천연두가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에는 천연두를 '마마', '두창' 등으로 불렀으며, 역병이 돌 때마다 큰 피해를 입었다. 정조는 어릴 적 천연두를 앓았으나 회복하였고, 이후 종두법 보급에 힘썼다. 지석영은 1879년 일본에서 종두법을 배워와 한국에 처음으로 종두법을 도입하고 보급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55년 이후 한국에서는 천연두 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참조
[1]
서적
The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and Immunodeficiency Syndrom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
[2]
서적
Colour Atlas of Tropical Dermatology and Vener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3]
웹사이트
Diagnosis & Evaluation
https://www.cdc.gov/[...]
2017-12-14
[4]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5]
학술지
The Origin of the variola Virus
2015-03
[6]
웹사이트
Smallpox
https://www.who.int/[...]
[7]
웹사이트
Smallpox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04-27
[8]
웹사이트
Signs and Symptoms
https://www.cdc.gov/[...]
2017-12-14
[9]
웹사이트
What is Smallpox?
https://www.cdc.gov/[...]
2017-12-14
[10]
서적
Treatment of Skin Disease E-Book: Comprehensive Therapeutic Strategies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3
[11]
웹사이트
Prevention and Treatment
https://www.cdc.gov/[...]
2017-12-14
[12]
학술지
Edward Jenner and the history of smallpox and vaccination
2005-01
[13]
웹사이트
History of Smallpox
https://www.cdc.gov/[...]
2017-12-14
[14]
학술지
History of Smallpox and Its Spread in Human Populations
https://pubmed.ncbi.[...]
2016
[15]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https://archive.org/[...]
ABC-CLIO
2005
[16]
서적
Microbe hunters, then and now
Medi-Ed Press
[17]
학술지
The eradication of smallpox – an overview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2011-12
[18]
서적
Smallpox : the death of a disease
https://books.google[...]
Prometheus Books
2009
[19]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6, Bi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Part 6, Medic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0]
서적
A History of Immun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1]
서적
A Brief History of Medicine
Robinson
[22]
학술지
Anti-vaccinationists past and present
2002-08
[23]
웹사이트
Smallpox vaccines
https://www.who.int/[...]
[24]
서적
Health and Sustainabilit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5]
서적
Virus: An Illustrated Guide to 101 Incredible Microb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26]
사전
Smallpox
[27]
학술지
Smallpox: the triumph over the most terrible of the ministers of death
1997-10
[28]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8
[29]
서적
Medicine: The Definitive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
2016
[30]
간행물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8
[31]
웹사이트
CDC Smallpox
http://www.bt.cdc.go[...]
[32]
서적
Smallpox
Kothari Book Depot
1972
[33]
학술지
CBRNE – Smallpox
http://www.emedicine[...]
2018-08-22
[34]
학술지
Developments in understanding acquired immunity and innate susceptibility to norovirus and rotavirus gastroenteritis in children
2015-02
[35]
웹사이트
Smallpox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http://emergency.cdc[...]
[36]
웹사이트
Clinical Disease Smallpox
https://www.cdc.gov/[...]
CDC
2020-02-06
[37]
논문
Haemorrhagic smallpox
1969-12-01
[38]
논문
Remaining questions about clinical variola major
2011-04-01
[39]
논문
Genome sequence diversity and clues to the evolution of variola (smallpox) virus
https://zenodo.org/r[...]
2006-08-01
[40]
논문
On the origin of smallpox: correlating variola phylogenics with historical smallpox records
2007-10-01
[41]
논문
The evolutionary biology of poxviruses
2010-01-01
[42]
논문
17th Century variola Virus Reveals the Recent History of Smallpox
2016-12-01
[43]
논문
Structure of intracellular mature vaccinia virus observed by cryoelectron microscopy
1994-03-01
[44]
서적
Fields Virology
Lippincott-Raven
[45]
서적
Fields Virology
Lippincott-Raven
[46]
서적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The Pink Book)
Public Health Foundation
[47]
웹사이트
Smallpox
http://www.afip.org/[...]
[48]
웹사이트
Smallpox: Background, Etiology, Epidemiology
https://emedicine.me[...]
2024-03-21
[49]
웹사이트
The Spread and Eradication of Smallpox
https://www.cdc.gov/[...]
2019-02-19
[50]
논문
Variola virus, complete genome
http://www.ncbi.nlm.[...]
2020-12-20
[51]
논문
The rediscovery of smallpox
2014-03-01
[52]
서적
Fields virology
https://www.worldcat[...]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53]
논문
WHO Gives a Cautious Green Light to Smallpox Experiments
https://www.science.[...]
2004-11-19
[54]
논문
Vaccinia Virus: From Crude Smallpox Vaccines to Elaborate Viral Vector Vaccine Design
2021-11-26
[55]
웹사이트
Home
https://4virology.ne[...]
[56]
논문
Unanimous vote approves tweak to smallpox genome
2004-11-01
[57]
뉴스
W.H.O. Panel Backs Gene Manipulation in Smallpox Virus
https://www.nytimes.[...]
2004-11-11
[58]
웹사이트
WHO smallpox vaccine reserve gains support
https://www.cidrap.u[...]
2005-06-01
[59]
논문
The Perennial Use of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Marker in a Live Vaccinia Virus Ankara Recombinant Platform Shows No Acute Adverse Effects in Mice
2019-03-15
[60]
웹사이트
A paper showing how to make a smallpox cousin just got published. Critics wonder why
https://www.science.[...]
[61]
논문
Cloning the vaccinia virus genome as a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in Escherichia coli and recovery of infectious virus in mammalian cells
2002-09-17
[62]
웹사이트
How Canadian researchers reconstituted an extinct poxvirus for $100,000 using mail-order DNA
https://www.science.[...]
[63]
논문
What was the primary mode of smallpox transmission? Implications for biodefense
2012-11-29
[64]
논문
Smallpox as a biological weapon: medical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Working Group on Civilian Biodefense
1999-06-01
[65]
논문
ibid.
[66]
논문
Smallpox and biological warfare: a disease revisited
2005-01-01
[67]
웹사이트
Smallpox: Current,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pathogenesis, microbiology, epidem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ophylaxis
http://www.cidrap.um[...]
[68]
논문
Strengthening national preparedness for smallpox: an update
[69]
서적
Oriental Medicine: An Illustrated Guide to the Asian Arts of Healing
Serindia Publications
1995
[70]
서적
The Genius of China: 3,000 Years of Science, Discovery, and Invention
Simon and Schuster, Inc.
1986
[71]
서적
A History of Immun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72]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Lady Mary Wortley Montagu (1689–1762): Smallpox Vaccination in Turkey
https://web.archive.[...]
Fordham.edu
2010-10-15
[73]
서적
Letters on the English
2017-07-06
[7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Smallpox Vaccine
https://web.archiv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02-07
[75]
학술지
Smallpox in Europe, 1950–1971
1972-02-01
[76]
학술지
Prevalence of antibodies to Vaccinia virus after smallpox vaccination in Italy
2005-11-01
[77]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smallpox.[...]
[78]
학술지
Vaccines for preventing smallpox
2007-07-01
[79]
학술지
Monkeypox virus: An emerging epidemic
2022-09-01
[80]
웹사이트
Smallpox Preparedness and Response Updates from FDA
https://www.fda.gov/[...]
2021-06-04
[81]
웹사이트
Vaccine Overview
https://web.archive.[...]
[82]
학술지
Antiviral prophylaxis of smallpox
2004-07-01
[83]
웹사이트
Press Announcements – FDA approves the first drug with an indication for treatment of smallpox
https://www.fda.gov/[...]
[84]
학술지
Notes from the Field: Mpox Cluster Caused by Tecovirimat-Resistant Monkeypox Virus — Five States, October 2023–February 2024
https://www.cdc.gov/[...]
2024-01-01
[85]
웹사이트
FDA approves drug to treat smallpox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1-06-04
[86]
웹사이트
NDA Approval – Animal Efficacy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1-06-04
[87]
웹사이트
Smallpox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1-13
[88]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89]
학술지
Emergence and reemergence of smallpox: the need for development of a new generation smallpox vaccine
2011-12-01
[90]
서적
Vaccine and Serum Evils
[91]
서적
The Greatest Killer: Smallpox in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2]
웹사이트
Ramses V: Earliest known victim?
https://web.archive.[...]
WHO
[93]
서적
Mathematics in population biolog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94]
서적
Smallpox- the Death of a Disease: The Inside Story of Eradicating a Worldwide Killer
https://www.amazon.c[...]
Prometheus Books
[95]
웹사이트
Child Mummy Found With Oldest Known Smallpox Virus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6-12-08
[96]
서적
Smallpox
Churchill
[97]
웹사이트
Past pandemics that ravaged Europe
http://news.bbc.co.u[...]
2005-11-07
[98]
학술지
Abu Bakr Razi
2008-10-01
[99]
서적
Encyclopedia of North American Indians
https://books.google[...]
1996
[100]
웹사이트
Smallpox The Fight to Eradicate a Global Scourg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1]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Human Paleopath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02]
논문
"A Great Deal of Sickness": Introduced diseases among the Aboriginal People of colonial Southeast Australia 1788–1900
https://openresearch[...]
1997
[103]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smallpox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4]
웹사이트
Smallpox and Vaccinia
https://web.archive.[...]
[105]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6, Bi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6, Bi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Part 6, Medicin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07]
서적
A History of Immun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08]
서적
Selected Letters
Penguin Books
1997
[109]
학술지
Camphor, cabbage leaves and vaccination: the career of Johnie "Notions" Williamson, of Hamnavoe, Eshaness, Shetland
https://www.rcpe.ac.[...]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1998-07-00
[110]
학술지
The enigma of Johnnie "Notions" Williamson
2001-11-00
[111]
학술지
United Parishes of Mid and South Yell
https://stataccscot.[...]
Edinburgh: William Creech
1999
[112]
서적
A view of the ancient and present state of the Zetland islands
https://archive.org/[...]
John Ballantyne and Co.
[113]
서적
Historical Encyclopedia of Natural and Mathematical Scien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14]
서적
The Story of Trinity
The Trinity Historical Society
[115]
웹사이트
Dr. Francisco de Balmis and his Mission of Mercy
http://www.doh.gov.p[...]
Society of Philippine Health History
[116]
학술지
Against all odds: vanquishing smallpox in far-flung Japan
http://www.iias.nl/s[...]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sian Studies (IIAS)
2007
[117]
학술지
Impfgegner und Impfskeptiker
http://edoc.rki.de/d[...]
2004-12-01
[118]
학술지
Vom Zwang zur Pockenschutzimpfung zum Nationalen Impfplan
2012-10-21
[119]
서적
Sveriges Kyrkohistoria
2001
[120]
웹사이트
Zum 200. Geburtstag von Landesphysikus Gebhard Schaedler.
http://www.eliechten[...]
1976
[121]
웹사이트
The control and eradication of smallpox in South Asia
http://www.york.ac.u[...]
University of York
2015
[122]
서적
ABIM –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Indian Medicine
Orient BlackSwan
[123]
서적
Indian Health Manual
Indian Health Service
1976
[124]
서적
Bodily Matters: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in England, 1853–1907
Duke University Press
[125]
서적
Vaccines
https://www.ncbi.nlm[...]
W.B. Saunders Co
[126]
학술지
Smallpox eradication in the Americas
[127]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128]
학술지
Karel Raška: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eradication program of smallpox
http://apps.szu.cz/s[...]
2010-03-00
[129]
학술지
Lessons from a modern review of the smallpox eradication files
2015-12-00
[130]
학술지
Человек и вирусы (Man and viruses)
Знание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ва) (Knowledge)
1984
[131]
학술지
Smallpox: Eradicating the Scourge
https://www.bbc.co.u[...]
2011-02-17
[132]
학술지
Smallpox – Stockholm, Sweden, 1963
https://www.cdc.gov/[...]
1996-06-00
[133]
웹사이트
1613.001 Collections Online
https://collections.[...]
[134]
뉴스
Frank Fenner Dies at 95
https://www.nytimes.[...]
2010-11-25
[135]
뉴스
A reporter at large: Demon in the Freezer
http://www.newyorker[...]
1999-07-12
[136]
서적
Nature, Nurture and Chance: The Lives of Frank and Charles Fenner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37]
학술지
Smallpox and bioterrorism
https://www.who.int/[...]
[138]
Wikidata
[139]
서적
The Last Days of Smallpox: Tragedy in Birmingham
Amazon KDP
2018
[140]
뉴스
How smallpox claimed its final victim
https://www.bbc.co.u[...]
BBC News
2018-08-10
[141]
논문
The smallpox story: life and death of an old disease
https://europepmc.or[...]
1983-12-01
[142]
뉴스
How terrorism prevented smallpox being wiped off the face of the planet for ever
https://www.independ[...]
2016-05-18
[143]
뉴스
Final Stock of the Smallpox Virus Now Nearer to Extinction in Labs
https://query.nytime[...]
2007-11-23
[144]
잡지
Stay of execution
https://www.newscien[...]
2007-11-23
[145]
논문
Should the US and Russia destroy their stocks of smallpox virus?
2007-04-01
[146]
논문
Should the US and Russia destroy their stocks of smallpox virus?
2007-04-01
[147]
간행물
Comments on the Scientific Review of Variola Virus Research, 1999–2010.
https://archive.toda[...]
Advisory Group of Independent Experts to review the smallpox research program (AGIES) WHO document WHO/HSE/GAR/BDP/2010.4
[148]
논문
Why not destroy the remaining smallpox virus stocks?
2011-04-01
[149]
뉴스
Century-old smallpox scabs in N.M. envelope
https://www.usatoday[...]
2003-12-26
[150]
뉴스
Forgotten smallpox vials found in cardboard box at Maryland laboratory
https://www.theguard[...]
2015-07-16
[151]
뉴스
FDA found more than smallpox vials in storage room
https://www.washingt[...]
2017-02-24
[152]
웹사이트
Report of the Blue Ribbon Panel to Review the 2014 Smallpox (variola) Virus Incident on the NIH Campus
https://osp.od.nih.g[...]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8-02-24
[153]
논문
Construction of an infectious horsepox virus vaccine from chemically synthesized DNA fragments
2018-01-19
[154]
웹사이트
How Canadian researchers reconstituted an extinct poxvirus for $100,000 using mail-order DNA
http://www.sciencema[...]
2023-08-11
[155]
논문
Synthetic horsepox viruses and the continuing debate about dual use research
2018-10-01
[156]
뉴스
Russian Lab Explosion Raises Question: Should Smallpox Virus Be Kept Or Destroyed?
https://www.npr.org/[...]
NPR
2023-08-11
[157]
서적
Pontiac and the Indian Upris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8]
서적
The First Way of War: American War Making on the Frontier, 1607–18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59]
서적
Haughty Conquerors: Amherst and the Great Indian Uprising of 1763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160]
서적
Never Come to Peace Again: Pontiac's Uprising and the Fate of the British Empire in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05
[161]
논문
Colonial germ warfare
http://www.history.o[...]
2010-04-15
[162]
서적
Empire of fortune : crowns, colonies, and tribes in the Seven Years War in America
Replica Books
1988
[163]
웹사이트
Silent Weapon: Smallpox and Biological Warfare
https://www.bbc.co.u[...]
2015-07-28
[164]
논문
Biological warfare in eighteenth-century North America: beyond Jeffery Amherst.
2000-03-01
[165]
논문
Smallpox at Sydney Cove – who, when, why?
[166]
논문
Smallpox and cowpox under the Southern Cross: the smallpox epidemic of 1789 and the advent of vaccination in colonial Australia
2009-01-01
[167]
서적
Claiming a Continent: A New History of Australia
Harper Collins Publishers PTY Limited
[168]
웹사이트
Chicken pox or smallpox in the colony at Sydney Cove in April, 1789
http://www.abc.net.a[...]
2014-07-07
[169]
논문
Could First Fleet smallpox infect Aborigines? – A note
https://www.scribd.c[...]
2019-03-31
[170]
웹사이트
Friends of the First Government House Site Inc – Smallpox Epidemic
http://www.ffghs.org[...]
2019-03-29
[171]
논문
The History of Biological Weapons Use: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2015-01-01
[173]
웹사이트
'The 'myth' of smallpox at Sydney Cove in April 1789'
https://caepr.cass.a[...]
2020-06-28
[174]
웹사이트
Chickenpox blamed for Aboriginal deaths
https://www.watoday.[...]
WA Today
2013-08-08
[175]
웹사이트
USAMRIID's Medical Management of Biological Casualties Handbook
http://www.dhhr.wv.g[...]
2015-07-18
[176]
서적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 – Told from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https://archive.org/[...]
Delta
[177]
학술지
The Russian biological weapons program: vanished or disappeared?
[178]
웹사이트
Smallpox – not a bad weapon
https://web.archive.[...]
Moscow News
2007-06-18
[179]
학술지
Biowarfare. Did bioweapons test cause a deadly smallpox outbreak?
2002-06-00
[180]
서적
Microbe: are we ready for the next plague?
https://archive.org/[...]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181]
서적
The Demon in the Freezer
Fawcett
[182]
웹사이트
History and Epidemiology of Global Smallpox Eradication
http://www.bt.cdc.go[...]
CDC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83]
웹사이트
No evidence of smallpox
https://www.theguard[...]
2012-05-10
[184]
서적
Smallpox: The Fight to Eradicate a Global Scour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5]
웹사이트
President Abraham Lincoln: Health & Medical History
http://www.doctorzeb[...]
2007-03-24
[186]
서적
Catherine the Great: Portrait of as Woman
Random House
2011
[187]
서적
Viruses, Plagues, an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88]
웹사이트
Biography at the Edwards Center at Yale University
http://edwards.yale.[...]
Yale University
[189]
서적
Young Stalin
Phoenix
[190]
서적
Magyar írók élete és munkái
http://mek.niif.hu/0[...]
Arcanum
2000
[191]
서적
Princes and Peasants: Smallpox in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192]
서적
When Plague Strikes: The Black Death, Smallpox, AIDS
HarperCollins Publishers
1995
[193]
서적
Man, past and present
University Press
1920
[194]
웹사이트
Shapona, the Yoruba god of smallpox | David J. Sencer CDC Museum
https://www.cdc.gov/[...]
2021-04-30
[195]
웹사이트
Smallpox control from Africa to America and back again | African Art
http://www.africanar[...]
2017-07-03
[196]
서적
Medical Anthropology: A Biocultural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97]
서적
Scourge: The Once and Future Threat of Smallpox
Atlantic Monthly Press
2001
[198]
웹사이트
天然痘(痘そう)とは
https://www.niid.go.[...]
NIID 国立感染症研究所
2022-10-15
[199]
웹사이트
大坂救った発信力 洪庵、感染症と闘った不屈の医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0-05-14
[200]
웹사이트
IDWR: 感染症の話 天然痘
http://idsc.nih.go.j[...]
国立感染症研究所
[201]
웹사이트
Vaccine Overview
http://www.bt.cdc.go[...]
[202]
웹사이트
天然痘の歴史
http://www.news-medi[...]
[203]
서적
『クルアーン』語りかけるイスラーム
岩波書店
[204]
서적
A Treatise on the Small-pox and Measles
Printed for the Sydenham Society [by C and J. Adlrd]
[205]
서적
物語メキシコの歴史
中公新書
2008-02-25
[206]
서적
遣新羅使と疫瘡
塙書房
[207]
학술지
人類と感染症との戦い -「得体の知れないものへの怯え」から知れて安心」へ- 第2回「天然痘の根絶-人類初の勝利」-ラムセス5世からアリ・マオ・マーランまで
https://www.eiken.co[...]
栄研化学
[208]
서적
ビジュアル・ワイド 江戸時代館
小学館
[209]
학술지
新出の平沢屏山のアイヌ種痘図に関する一考察 : オムスク造形美術館所蔵の「種痘図」を巡って
http://jsmh.umin.jp/[...]
日本医史学会
[210]
간행물
医療史跡 五郎治と久蔵
https://www.jrias.or[...]
[211]
웹사이트
天然痘の予防
http://www.news-medi[...]
[212]
간행물
ジェンナーは本当に自分の子どもで実験したのか
https://www.chart.co[...]
数研出版
2001-05
[213]
논문
Revisiting Jenner’s mysteries, the role of the Beaugency lumph in the evolutionary path of ancient smallpox vaccines
2017-08-18
[214]
서적
ワクチンと薬の発見 牛痘から抗生物質へ
文渓堂
2010-03
[215]
서적
A History of Preventive Medicine
Springfield, Illinois
1970
[216]
웹사이트
130年前のワクチン接種証明書を調べてみたら…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1-10-11
[217]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istory of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o. 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8
[218]
서적
世界地理大百科事典1
朝倉書店
2000-02-01
[219]
뉴스
死亡二、隔離二百人 西独に天然痘侵入
朝日新聞
1970-02-02
[220]
뉴스
西独の天然痘拡大 五人の確定患者出る
朝日新聞
1970-02-02
[221]
뉴스
患者14人に 西独の天然痘
朝日新聞
1970-02-06
[222]
웹사이트
米で次々発覚、危険物のずさんな管理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協会
2014-07-23
[223]
웹사이트
忘れられた天然痘ウイルスの瓶、米研究施設で発見
https://www.cnn.co.j[...]
2014-07-09
[224]
웹사이트
天然痘ウイルス入りの薬瓶、米政府施設から見つかる
https://www.afpbb.co[...]
2014-07-09
[225]
뉴스
ワクチンで防ぐ感染症 第1回 幕末天然痘に対処
読売新聞
2012-08-17
[226]
웹사이트
次世代弱毒痘そう生ワクチンの開発について、米国政府から最大3,400 万ドルの資金提供を受ける契約を獲得
http://www.kaketsuke[...]
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2011-01-12
[227]
웹사이트
当時の例
https://kokkai.ndl.g[...]
1973-04-04
[228]
웹사이트
天然痘のリスク(1)
http://www.primate.o[...]
一般社団法人 予防衛生協会 国立感染症研究所
[229]
웹사이트
ワクチンなどに係る検討会報告書
https://www.mod.go.j[...]
防衛省
2005-07-08
[230]
서적
忍び寄るバイオテロ
NHKブックス
2003
[231]
서적
バイオハザード
二見書房
1999
[232]
뉴스
4 Nations Thought To Possess Smallpox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2-11-05
[233]
뉴스
生物兵器テロ想定、米韓が図上演習 5月、北朝鮮意識か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1-07-07
[234]
웹사이트
北朝鮮の「生物兵器」は、どれほどの脅威なのか
https://www.itmedia.[...]
2017-10-25
[235]
뉴스
在韓米軍、炭疽菌と天然痘の予防接種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4-07-01
[236]
웹사이트
平成29年版防衛白書
https://www.mod.go.j[...]
2017
[237]
뉴스
U.S. government stockpiles new, safer smallpox vaccine
https://usatoday30.u[...]
USA Today
2010-05-25
[238]
웹사이트
ゲノム科学が明らかにしたジェンナーの天然痘ワクチンの由来
http://www.primate.o[...]
一般社団法人 予防衛生協会
2017-11-07
[239]
논문
How Canadian researchers reconstituted an extinct poxvirus for $100,000 using mail-order DNA
http://www.sciencema[...]
2017-07-06
[240]
뉴스
天然痘近縁種の合成発表に疑問の声 悪用への懸念も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2-06
[241]
웹사이트
「バイオテロから国民を守る」 初の天然痘治療薬、米当局が認可
https://newsphere.jp[...]
2018-07-18
[242]
웹사이트
天然痘
https://h-crisis.nip[...]
[243]
웹사이트
CBRNテロ対策の各論
https://www.anzen.mo[...]
[244]
웹사이트
感染症法に基づく特定病原体等の管理規制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45]
웹사이트
病原体等の名称と疾患名称の対照表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46]
웹사이트
病原体等の適正管理について
https://www.mhlw.go.[...]
[247]
웹사이트
天然痘:類似ウイルス、今もアフリカ毒ヘビに寄生の可能性
http://www.mainichi-[...]
毎日新聞社
2007-07-10
[248]
웹사이트
天然痘に似た症状の「サル痘」が欧米などで拡大 厚労省、国内流入を警戒
https://scienceporta[...]
[249]
서적
The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and Immunodeficiency Syndrom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8
[250]
서적
Colour Atlas of Tropical Dermatology and Vener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251]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12-14
[252]
서적
Medicine: The Definitive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2016
[253]
웹인용
Signs and Symptoms
https://www.cdc.gov/[...]
2016-06-07
[254]
웹인용
What is Smallpox?
https://www.cdc.gov/[...]
2016-06-07
[255]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2004
[256]
웹인용
Diagnosis & Evaluation
https://www.cdc.gov/[...]
2017-07-25
[257]
웹인용
Prevention and Treatment
https://www.cdc.gov/[...]
2017-12-13
[258]
웹인용
Smallpox
http://www.who.int/m[...]
[259]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2004
[26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mallpox and Its Spread around the World
http://whqlibdoc.who[...]
2013-01-28
[261]
저널
Smallpox: the triumph over the most terrible of the ministers of death
http://www.annals.or[...]
1997-10-15
[262]
웹사이트
Medieval Diseases
http://www.labelle.o[...]
2013-01-28
[263]
웹사이트
천연두 [Smallpox]
https://terms.naver.[...]
[264]
웹사이트
두창 [smallpox]
https://terms.naver.[...]
[265]
웹인용
Smallpox
http://www.who.int/m[...]
[266]
저널
The smallpox story: life and death of an old disease
http://mmbr.asm.org/[...]
1983-12-01
[267]
웹인용
Smallpox
http://www.afip.org/[...]
2008-10-28
[268]
저널
Facial scarring after varicella. A comparison between variola major and variola minor
1981
[269]
웹인용
Ramses V:Earliest known victim?
http://whqlibdoc.who[...]
WHO
2010-07-06
[270]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
[271]
웹사이트
Smallpox and Vaccinia
http://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72]
저널
Edward Jenner and the history of smallpox and vaccination
2005
[273]
서적
Smallpox: the fight to eradicate a global scour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274]
웹인용
UC Davis Magazine, Summer 2006: Epidemics on the Horizon
http://ucdavismagazi[...]
2008-01-03
[275]
뉴스
How Poxviruses Such As Smallpox Evade The Immune System
http://www.scienceda[...]
ScienceDaily
2008-02-01
[276]
저널
(Book Review) The Eradication of Smallpox: Edward Jenner and The First and Only Eradication of a Human Infectious Disease
http://www.nature.co[...]
2001
[277]
저널
The eradication of smallpox, a success story for modern medicine and public health: What lessons for the future?
http://www.jidc.org/[...]
2016-01-11
[278]
뉴스
The world is free of rinderpest
http://mg.co.za/arti[...]
2011-05-25
[279]
웹인용
CDC Smallpox
http://www.bt.cdc.go[...]
2007-12-26
[280]
서적
Smallpox
Kothari Book Depot
1972
[281]
웹인용
CBRNE – Smallpox
http://www.emedicine[...]
2006-09-23
[282]
웹인용
Smallpox Disease and Its Clinical Management
http://emergency.cdc[...]
2007-12-26
[283]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istory of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o. 6)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84]
저널
Genome sequence diversity and clues to the evolution of variola (smallpox) virus
2006-08-00
[285]
저널
On the origin of smallpox: correlating variola phylogenics with historical smallpox records
[286]
저널
The evolutionary biology of pox viruses
[287]
저널
Structure of intracellular mature vaccinia virus observed by cryoelectron microscopy
[288]
서적
Fields Virology
Lippincott-Raven
[289]
서적
Fields Virology
Lippincott-Raven
[290]
서적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The Pink Book)
http://www.cdc.gov/v[...]
Public Health Foundation
[291]
저널
Smallpox as a biological weapon: medical and public health management. Working Group on Civilian Biodefense
[292]
저널
Smallpox and biological warfare: a disease revisited
2005-01-00
[293]
웹인용
Smallpox: Current,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pathogenesis, microbiology, epidemiology, diagnosis, treatment, and prophylaxis
http://www.cidrap.um[...]
2007-12-27
[294]
저널
Strengthening national preparedness for smallpox: an update
http://wwwnc.cdc.gov[...]
[295]
저널
Edward Jenner and the history of smallpox and vaccination.
2005-01-00
[296]
서적
Medicine in India
Serindia Publications
[297]
서적
The Genius of China: 3,000 Years of Science, Discovery, and Invention
Simon and Schuster, Inc
[298]
웹인용
Modern History Sourcebook: Lady Mary Wortley Montagu (1689–1762): Smallpox Vaccination in Turkey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0-10-15
[299]
서적
100 디스커버리
생각의날개
[300]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Smallpox Vaccine
http://www.bt.cdc.go[...]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02-07
[301]
저널
Smallpox in Europe, 1950–1971
[302]
저널
Prevalence of antibodies to Vaccinia virus after smallpox vaccination in Italy
http://vir.sgmjourna[...]
2016-02-10
[303]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smallpox.[...]
[304]
웹인용
Vaccine Overview
http://www.bt.cdc.go[...]
2008-01-02
[305]
저널
Antiviral prophylaxis of smallpox
http://jac.oxfordjou[...]
[306]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istory of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o. 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02-10
[307]
저널
Emergence and reemergence of smallpox: the need for development of a new generation smallpox vaccine
2011-12-00
[308]
서적
Vaccine and Serum Evils
[309]
서적
The Greatest Killer: Smallpox in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0]
서적
Mathematics in population bi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1]
서적
Smallpox- the Death of a Disease: The Inside Story of Eradicating a Worldwide Killer
https://www.amazon.c[...]
Prometheus Books
2009-06-23
[312]
서적
Smallpox
Churchill
[313]
서적
옥스퍼드 세계사
교유서가
2020
[314]
뉴스
Past pandemics that ravaged Europe
http://news.bbc.co.u[...]
BBC News
2005-11-07
[315]
서적
[316]
저널
Abu Bakr Razi
BMJ Group
[317]
서적
[318]
서적
Encyclopedia of North American Indians
https://books.google[...]
[319]
웹인용
Smallpox The Fight to Eradicate a Global Scourge
http://www.ucpres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02-22
[320]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human paleopath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1]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smallpox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2]
웹인용
Smallpox and Vaccinia
http://www.ncbi.nlm.[...]
2010-10-15
[323]
서적
The Story of Trinity
The Trinity Historical Society
[324]
웹인용
Dr. Francisco de Balmis and his Mission of Mercy
http://www.doh.gov.p[...]
Society of Philippine Health History
2015-07-14
[325]
웹인용
Against all odds: vanquishing smallpox in far-flung Japan
http://www.iias.nl/s[...]
2015-07-14
[326]
웹인용
The control and eradication of smallpox in South Asia
http://www.york.ac.u[...]
University of York
2015-07-14
[327]
웹인용
Atsuko Naono, 'State of Vaccination: The Fight Against Smallpox in Colonial Burma'
http://indianmedicin[...]
Indianmedicine.eldoc.ub.rug.nl
2010-10-15
[328]
웹인용
Chapter 3 – Indian Health Program
http://www.ihs.gov/i[...]
Indian Health Service
2012-02-08
[329]
서적
Bodily Matters: The Anti-Vaccination Movement in England, 1853–1907
[330]
저널
Variation in type of infectious disease as shown by the history of smallpox in the United States 1895–1912
[331]
서적
Vaccines
http://www.ncbi.nlm.[...]
W.B. Saunders Co
[332]
저널
Smallpox eradication in the Americas
[333]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istory of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o. 6)
World Health Organization
[334]
서적
Smallpox and Its Eradication (History of International Public Health, No. 6)
http://whqlibdoc.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335]
웹인용
Karel Raška and Smallpox
http://apps.szu.cz/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5-07-15
[336]
웹인용
Karel Raška – The Development of Modern Epidemiology. The role of the IEA
http://apps.szu.cz/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5-07-15
[337]
저널
Smallpox: Eradicating the Scourge
http://www.bbc.co.uk[...]
2015-07-28
[338]
저널
International Notes—Quarantine Measures Smallpox—Stockholm, Sweden, 1963
http://www.cdc.gov/M[...]
[339]
뉴스
Frank Fenner Dies at 95
http://www.nytimes.c[...]
2010-11-27
[340]
뉴스
A reporter at large: Demon in the Freezer
http://www.newyorker[...]
1999-07-12
[341]
서적
Nature, Nurture and Chance: The Lives of Frank and Charles Fenner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342]
저널
Smallpox and bioterrorism
http://www.scielosp.[...]
[343]
웹인용
Report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Cause of the 1978 Birmingham Smallpox Occurrence
http://www.nlm.nih.g[...]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1980-07-22
[344]
뉴스
How terrorism prevented smallpox being wiped off the face of the planet for ever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2-01-03
[345]
뉴스
Final Stock of the Smallpox Virus Now Nearer to Extinction in Labs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1996-01-25
[346]
웹인용
Stay of execution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02-01-26
[347]
저널
Should the US and Russia destroy their stocks of smallpox virus?
http://www.bmj.com/c[...]
[348]
저널
Should the US and Russia destroy their stocks of smallpox virus?
http://www.bmj.com/c[...]
[349]
웹사이트
Comments on the Scientific Review of Variola Virus Research, 1999‐2010.
http://www.who.int/e[...]
Advisory Group of Independent Experts to review the smallpox research program (AGIES) WHO document WHO/HSE/GAR/BDP/2010.4
2021-08-29
[350]
저널
Why not destroy the remaining smallpox virus stocks?
[351]
뉴스인용
Century-old smallpox scabs in N.M. envelope
http://www.usatoday.[...]
2003-12-26
[352]
뉴스인용
Forgotten smallpox vials found in cardboard box at Maryland laboratory
http://www.theguardi[...]
The Guardian
2014-07-08
[353]
서적
Indian Uprising
[354]
서적
Crucible of War
[355]
서적
Never Come to Peace Again: Pontiac's Uprising and the Fate of the British Empire in North Americ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356]
간행물
Colonial Germ Warfare
http://www.history.o[...]
[357]
서적
Crucible of War
[358]
저널인용
Silent Weapon: Smallpox and Biological Warfare
http://www.bbc.co.uk[...]
2011-02-17
[359]
저널
Biological Warfare in Eighteenth-Century North America: Beyond Jeffery Amherst
2000-03
[360]
저널
Smallpox at Sydney Cove – who, when, why?
http://www.tandfonli[...]
[361]
저널
Smallpox and Cowpox Under the Southern Cross: The Smallpox Epidemic of 1789
[362]
서적
HarperCollinsPublishers
[363]
웹인용
Chicken pox or smallpox in the colony at Sydney Cove in April, 1789
http://www.abc.net.a[...]
[364]
웹인용
Chickenpox blamed for Aboriginal deaths
http://www.canberrat[...]
[36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caepr.anu.edu[...]
2016-02-11
[366]
웹인용
USAMRIID's Medical Management of Biological Casualties Handbook
http://www.dhhr.wv.g[...]
[367]
서적
Biohazard: The Chilling True Story of the Largest Covert Biological Weapons Program in the World—Told from Inside by the Man Who Ran It
https://archive.org/[...]
Delta
[368]
저널인용
Biowarfare. Did bioweapons test cause a deadly smallpox outbreak?
[369]
서적
Microbe: are we ready for the next plague?
https://archive.org/[...]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370]
서적
The Demon in the Freezer
Fawcett
[371]
웹사이트
History and Epidemiology of Global Smallpox Eradication
http://www.bt.cdc.go[...]
[372]
뉴스
No evidence of smallpox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3-09-19
[373]
웹사이트
The Genetic Engineering of Smallpox. WHO’s Retreat from the Eradication of Smallpox Virus and Why it Should be Stopped
http://www.biosafety[...]
The Sunshine Project
[374]
웹사이트
Smallpox Virus Stocks at the 64th WHA – Implementing the Conclusions of the Major Review
http://www.smallpoxb[...]
Third World Network
[375]
서적
Smallpox: The Fight to Eradicate a Global Scourg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76]
웹인용
President Abraham Lincoln: Health & Medical History
http://www.doctorzeb[...]
2007-03-24
[377]
서적
Princes and Peasants: Smallpox in Hist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8]
서적
When Plague Strikes: The Black Death, Smallpox, AIDS
HarperCollins Publishers
[379]
서적
Medical Anthropology: A Biocultural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380]
서적
Scourge: The Once and Future Threat of Smallpox
Atlantic Monthl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