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리는 2012년에 개봉한 영화로, 밥 말리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밥 말리의 음악 활동, 라스타파리 신앙,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 등을 조명한다. 영화 개봉 4일 전에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으며, 밥 말리가 자메이카 평화 콘서트에서 "Jamming"을 부르는 녹음이 수록되었다.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로튼 토마토에서 95%, 메타크리틱에서 82점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위 아 엑스
《위 아 엑스》는 일본 밴드 X JAPAN의 리더 요시키의 삶을 중심으로 밴드의 결성부터 해체와 재결합, 2014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까지의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에이미 (2015년 영화)
《에이미》는 아시프 카파디아 감독이 2015년에 발표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27세에 사망한 영국 싱어송라이터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삶과 음악, 그리고 비극적인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북극의 나누크
《북극의 나누크》는 로버트 J. 플래허티가 제작한 1922년 개봉 다큐멘터리 영화로,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인 나누크와 그의 가족의 삶을 담고 있으며, 다큐멘터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게 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아버지, 군인, 아들
아버지, 군인, 아들은 미국 육군 상사 출신 브라이언 아이쉬와 그의 가족이 겪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후 부상, 아들의 죽음, 다른 아들의 군 입대 등 역경과 변화를 장기간에 걸쳐 기록한 다큐멘터리이다. - 미국의 전기 영화 - 패치 아담스
톰 섀디악 감독, 로빈 윌리엄스 주연의 1998년 미국 코미디 드라마 영화 《패치 아담스》는 헌터 "패치" 아담스의 삶을 바탕으로 유머와 인간적인 교감을 통해 환자를 치료하려는 의사의 이야기를 그리지만, 감성적인 연출과 스토리, 그리고 실제 패치 아담스의 비판으로 혹평을 받았다. - 미국의 전기 영화 - 서약 (영화)
《서약》은 교통사고 후 기억을 잃은 아내 페이지와 그녀의 기억을 되찾기 위해 헌신하는 남편 레오의 이야기를 그린 2012년 미국 로맨틱 드라마 영화로, 흥행에는 성공했으나 평론가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말리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케빈 맥도널드 |
제작 | 찰스 스틸 |
출연 | 밥 말리 |
촬영 | 마이크 엘리 |
촬영 | 알윈 H. 퀴클러 |
편집 | 댄 글렌데닝 |
스튜디오 | 샹그릴라 엔터테인먼트 |
스튜디오 | 터프 공 픽처스 |
스튜디오 | 카우보이 필름스 |
배급 | 매그놀리아 픽처스 (미국) |
배급 | 유니버설 픽처스 (영국) |
개봉일 | 2012년 2월 12일 (베를린 국제 영화제) |
개봉일 | 2012년 4월 20일 |
상영 시간 | 145분 |
국가 | 미국 |
국가 | 영국 |
국가 | 자메이카 |
언어 | 영어 |
언어 | 자메이카 파토와어 |
언어 | 프랑스어 |
흥행 수익 | $1,412,124 |
2. 생애
밥 말리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열정을 보였으나, 첫 싱글은 판매량이 좋지 않았다. 이후 피터 토시, 버니 웨일러와 함께 "더 웨일러스"를 결성,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0] 이 그룹은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로 이름을 바꾸었고, 자메이카 문화, 레게 음악, 라스타파리 운동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0]
백인 아버지와 흑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말리는 혼혈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겪었으나, 인종적 편견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모티머 플래노와의 만남으로 라스타파리 운동에 귀의, 하이레 셀라시에 1세를 그리스도의 재림으로 믿었으며, 이는 그의 노래 가사에도 깊이 반영되었다.
리타 말리와 결혼했지만, 여러 여성들과의 관계에서 11명의 자녀를 두었다. 미스 월드 1976 출신 신디 브레이크스피어와의 사이에서는 아들 데미안 말리가 태어났다.
1977년, 말리는 오른쪽 엄지발가락에서 암을 발견했다. 라스타파리 신념에 따라 신체 절단을 거부하고 화학 요법을 받았으나, 암으로 인해 드레드락을 잘라야 했다.
2. 1. 초기 생애
밥 말리는 백인 아버지와 흑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러한 혼혈 배경 때문에 말리는 어린 시절 정체성 혼란과 차별을 겪었다. 리타 말리는 "그들은 밥을 이방인으로 여겼는데, 그가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중간에 있습니다. 당신은 흑인이면서 백인이기 때문에, 당신은 심지어 흑인도 아닙니다."라고 회상했다. 버니 웨일러 또한 말리가 혼혈이라는 이유로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했다고 증언한다.이러한 차별 속에서도 말리는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다. 그는 "저는 저 자신에 대해 편견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제 아버지는 백인이었고 어머니는 흑인이었습니다. 그들은 저를 혼혈아라고 부르든 뭐든 상관하지 않습니다. 저는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습니다. 저는 흑인도 백인도 아닙니다. 저는 저를 창조하고 흑과 백에서 나오게 하신 신의 편에 섭니다."라고 말하며 인종적 편견에 얽매이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2. 2. 음악 활동
말리는 아주 어린 나이부터 음악에 대한 열정을 보였지만, 첫 싱글 "저지 낫"과 "One Cup of Coffee"는 솔로 아티스트로서 실망스러운 판매량을 기록했다.[10] 이후 그는 피터 토시와 버니 웨일러와 협력하여 "더 웨일러스"를 결성하기로 결정했다. 이 그룹은 나중에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로 알려지게 되었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그룹은 밥 말리를 대중적인 인물로 만들었고, 자메이카 문화, 레게 음악 및 라스타파리 운동에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0]말리의 라스타파리에 대한 사랑은 "엑소더스" 및 "자 라이브"와 같은 노래의 가사에서 드러났다. 다른 노래에 대한 말리의 영감은 다큐멘터리에서 다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그의 아버지 쪽 백인 친척들에게 거절당한 이야기를 다룬 "코너 스톤", 자메이카의 정치적 갈등을 다룬 "워크", 그리고 "짐바브웨"는 짐바브웨의 해방 운동을 다루었다.[10]
2012년 4월 16일, 영화 개봉 4일 전에 ''말리''의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10] 이 앨범에는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66곡 중 24곡이 수록되어 있다.[10] 사운드트랙의 첫 번째 싱글은 "High Tide or Low Tide"이다.[11] 사운드트랙의 트랙 리스트는 영화에 나오는 순서대로 연대기순으로 배열되어 있다.[12] 이 앨범은 밥 말리가 원 러브 평화 콘서트에서 마이클 맨리와 에드워드 세가 각각 자메이카 인민 민족당과 자메이카 노동당의 일원들과 손을 잡는 모습으로 "잼밍"을 부르는 녹음이 최초로 수록된 앨범이다.[12]
2. 3. 라스타파리 신앙
모티머 플래노와의 만남은 밥 말리가 라스타파리 운동에 귀의하는 계기가 되었다. 말리는 하이레 셀라시에 1세 에티오피아 황제가 그리스도의 재림이라는 믿음을 굳건히 하였다. 그의 부인 리타 말리는 셀라시에 1세가 자메이카를 방문했을 때, 그의 손에서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혔을 때와 비슷한 "흔적"을 보고 라스타파리로 개종했다고 말했다.밥 말리의 라스타파리 신앙은 "엑소더스"와 "자 라이브" 등의 노래 가사에 깊게 나타나 있다.
2. 4. 개인사
리타 말리와 1966년 2월 10일에 결혼했다. 말리는 평생 동안 여러 여성들과 관계를 맺었으며, 그 결과 11명의 자녀를 두었다. 리타 말리는 밥 말리의 여성 관계에 대해 "저는 그의 수호천사가 되었습니다. 그 무렵, 저는 밥이 누구인지 알았기 때문에 아내가 되는 역할을 넘어섰습니다."라고 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말리의 가장 유명한 연애는 미스 월드 1976 출신인 신디 브레이크스피어와의 관계였다. 이 둘 사이에서는 아들 데미안 말리가 태어났다.
2. 5. 투병과 죽음
1977년, 말리는 오른쪽 엄지발가락에 암성 궤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이미 몸에 퍼져 있던 암 때문이었다. 리타 말리는 누군가 스파이크 부츠를 신고 발가락을 밟아 감염이 시작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리는 계속해서 축구를 했다고 주장했다.라스타파리 의사인 칼턴 프레이저는 의사들이 엉덩이와 다리 전체를 절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고 말했다. 반면, 크리스 블랙웰은 말리가 생존하려면 엄지발가락만 절단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신체 절단을 거부하는 라스타파리 신념 때문이었다.
말리가 암 치료를 위한 화학 요법 과정에서 머리카락을 잃기 시작했을 때, 가족들은 라스타파리의 상징인 드레드락을 자르는 것에 대해 매우 불쾌해했다. 드레드락의 무게가 그에게 신체적 고통을 유발했기 때문이다.
3. 음악 스타일 및 주제
밥 말리의 음악은 레게를 기반으로 라스타파리 운동의 신념과 사랑, 평화, 그리고 사회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그의 노래 가사는 자메이카의 정치적 갈등, 짐바브웨 해방 운동 등 사회 문제를 다루었으며, "엑소더스", "자 라이브"와 같이 라스타파리 신앙을 반영하는 곡들도 있었다. 또한, "코너 스톤"과 같이 자신의 백인 친척들에게 거부당한 경험을 담은 곡도 있다.
4. 유산과 영향력
밥 말리는 단순한 음악가를 넘어 하나의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음악과 사상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말리는 여러 여성과의 사이에서 11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리타 말리는 그를 "수호천사"로 여기며 그의 사명을 함께 했다. 신디 브레이크스피어(미스 월드 1976)와의 관계에서 아들 데미안 말리를 낳기도 했다.[1]
1977년, 말리는 오른쪽 엄지발가락에서 암이 발견되었지만, 라스타파리 신념에 따라 치료를 거부했다. 크리스 블랙웰은 발가락 절단만으로 생존 가능성이 있다고 했지만, 라스타파리 의사들은 다리 전체 절단을 권고했다. 결국 말리는 항암 치료 과정에서 머리카락(드레드락)을 잃는 고통을 겪기도 했다.[1]
말리는 자신의 음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에게는 실제로 어떤 야망도 없습니다. 제가 정말로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은 단 한 가지뿐입니다. 저는 인류가 함께 사는 것을 보고 싶습니다. 흑인, 백인, 중국인, 모두가요. 그게 전부입니다."[1] 영화 마지막에는 여러 나라 사람들이 "겟 업, 스탠드 업"과 "원 러브"를 부르는 장면이 나오며 그의 메시지를 다시 한번 강조한다.
4. 1. 사회문화적 영향력
밥 말리는 자메이카 문화와 레게 음악, 라스타파리 운동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음악은 단순한 흥행을 넘어 사회문화적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그의 노래 "엑소더스", "자 라이브" 등은 라스타파리에 대한 그의 깊은 신앙심을 보여준다.[1]말리는 짐바브웨의 해방 운동을 다룬 노래 "짐바브웨"를 발표하는 등 제3세계 민족 해방 운동을 지지했다. 그의 음악은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되었다.[1]
백인 아버지와 흑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말리는 혼혈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았지만, "저는 흑인도 백인도 아닙니다. 저는 저를 창조하고 흑과 백에서 나오게 하신 신의 편에 섭니다."라고 말하며 인종적 편견에 맞섰다.[1] 그의 이러한 철학은 음악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에게 전달되었고, 인종과 문화를 초월한 화합의 메시지를 강조했다.
5. 작품 목록
영화 개봉 4일 전인 2012년 4월 16일에 ''말리''의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10] 이 앨범에는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66곡 중 24곡이 수록되어 있다. 사운드트랙의 첫 번째 싱글은 2011년 8월 9일에 발매된 "High Tide or Low Tide"이다.[11] 사운드트랙의 트랙 리스트는 영화에 나오는 순서대로 연대기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12] 밥 말리가 원 러브 평화 콘서트에서 자메이카 인민 민족당의 마이클 맨리와 자메이카 노동당의 에드워드 세가가 손을 잡는 모습으로 "잼밍"을 부르는 녹음이 최초로 수록되었다.[12]
5. 1. 정규 앨범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는 다음과 같은 곡들이 나온다.[10]제목 | 아티스트 | 비고 |
---|---|---|
Exodus | ||
Touch Me Tomato | The Jolly Boys | |
Back To Back (Belly To Belly) | The Jolly Boys | |
Mother & Wife | The Jolly Boys | |
Depression | Bedasse with Chin's Calypso Sextet | |
Rough Rider | Bedasse with The Local Calypso Quintet | |
High Tide Or Low Tide | ||
Trench Town Rock | ||
Natty Dread | ||
Soul Rebel | ||
Judge Not | ||
This Train | ||
Duppy Conqueror | ||
Forward March | Derrick Morgan | |
Simmer Down | ||
Kaya | ||
A Teenager In Love | Dion & The Belmonts | |
Teenager In Love | The Wailers | |
Put It On | ||
Mellow Mood | ||
Don't Rock My Boat | ||
Kaya (Acapella Demo) | ||
One Love | ||
"Crying in the Chapel" | ||
Selassie Is The Chapel | ||
Gotta Hold On To This Feeling | ||
Hold On To This Feeling | ||
Run For Cover | ||
It's Alright | ||
Bend Down Low | ||
Small Axe | ||
Duppy Conqueror (Live TV Studio Performance) | ||
Stir It Up | ||
Corner Stone (Jah Is Mighty alternate) | ||
No Woman, No Cry (Gospel Demo) | ||
Get Up Stand Up (Live in London, 1973) | ||
Concrete Jungle | ||
Concrete Jungle (Live TV Studio Performance) | ||
Stop That Train | ||
Roots Rock Reggae | ||
Rebel Music (3 O'Clock Road Block) | ||
No Woman, No Cry (Live At The Lyceum, London 1975) | ||
Crazy Baldhead | ||
Jamming | ||
Kinky Reggae | ||
No Sympathy | ||
Burnin' and Lootin' | ||
I Shot The Sheriff | ||
The Heathen | ||
Smile Jamaica | ||
Three Little Birds | ||
Is This Love | ||
War | ||
Work | ||
Crisis Dub | ||
Jamming (Live at One Love Peace Concert, Kingston 1978) | ||
No More Trouble | ||
Lively Up Yourself | ||
Real Situation | ||
Zimbabwe | ||
Could You Be Loved | ||
Could You Be Loved (Live at Madison Square Garden 1980) | ||
Is This Love (Live at Stanley Theatre, Pittsburgh 1980) | ||
Redemption Song | ||
Get Up Stand Up (Live) | ||
One Love/People Get Ready |
5. 2. 싱글
영화 사운드트랙의 첫 번째 싱글은 2011년 8월 9일에 발매된 "High Tide or Low Tide"이다.[11]5. 3. 사운드트랙
영화 개봉 4일 전인 2012년 4월 16일에 《말리》의 사운드트랙이 발매되었다.[10] 이 앨범에는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66곡 중 24곡이 수록되어 있다. 사운드트랙의 첫 번째 싱글은 2011년 8월 9일에 싱글로 발매된 "High Tide or Low Tide"이다.[11] 사운드트랙의 트랙 리스트는 영화에 나오는 순서대로 연대기순으로 배열되어 있다.[12] 이 앨범은 밥 말리가 원 러브 평화 콘서트에서 자메이카 인민 민족당의 마이클 맨리와 자메이카 노동당의 에드워드 세가가 손을 잡는 모습으로 "잼밍"을 부르는 녹음이 최초로 수록된 앨범이다.[12]영화 엔딩 크레딧에 나오는 트랙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아티스트 |
---|---|
Exodus | |
Touch Me Tomato | The Jolly Boys |
Back To Back (Belly To Belly) | The Jolly Boys |
Mother & Wife | The Jolly Boys |
Depression | Bedasse with Chin's Calypso Sextet |
Rough Rider | Bedasse with The Local Calypso Quintet |
High Tide Or Low Tide | |
Trench Town Rock | |
Natty Dread | |
Soul Rebel | |
Judge Not | |
This Train | |
Duppy Conqueror | |
Forward March | Derrick Morgan |
Simmer Down | |
Kaya | |
A Teenager In Love | Dion & The Belmonts |
Teenager In Love | The Wailers |
Put It On | |
Mellow Mood | |
Don't Rock My Boat | |
Kaya (Acapella Demo) | |
One Love | |
"Crying in the Chapel" | |
Selassie Is The Chapel | |
Gotta Hold On To This Feeling | |
Hold On To This Feeling | |
Run For Cover | |
It's Alright | |
Bend Down Low | |
Small Axe | |
Duppy Conqueror (Live TV Studio Performance) | |
Stir It Up | |
Corner Stone (Jah Is Mighty alternate) | |
No Woman, No Cry (Gospel Demo) | |
Get Up Stand Up (Live in London, 1973) | |
Concrete Jungle | |
Concrete Jungle (Live TV Studio Performance) | |
Stop That Train | |
Roots Rock Reggae | |
Rebel Music (3 O'Clock Road Block) | |
No Woman, No Cry (Live At The Lyceum, London 1975) | |
Crazy Baldhead | |
Jamming | |
Kinky Reggae | |
No Sympathy | |
Burnin' and Lootin' | |
I Shot The Sheriff | |
The Heathen | |
Smile Jamaica | |
Three Little Birds | |
Is This Love | |
War | |
Work | |
Crisis Dub | |
Jamming (Live at One Love Peace Concert, Kingston 1978) | |
No More Trouble | |
Lively Up Yourself | |
Real Situation | |
Zimbabwe | |
Could You Be Loved | |
Could You Be Loved (Live at Madison Square Garden 1980) | |
Is This Love (Live at Stanley Theatre, Pittsburgh 1980) | |
Redemption Song | |
Get Up Stand Up (Live) | |
One Love/People Get Ready |
5. 4. 주연
5. 5. 조연
- 리타 말리
- 세델라 말리[1]
5. 6. 기타
현지 프로듀서는 나탈리 톰슨이다.6. 평가
밥 말리(Bob Marley영어)에 대한 평가는 비평가와 대중 사이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비평가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일부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6. 1. 비평
케빈 맥도널드(Kevin Macdonald)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말리》는 밥 말리에 대한 광범위한 접근과 뛰어난 영상 자료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 영화는 말리의 음악과 삶, 그리고 그가 전 세계에 미친 영향력을 잘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1]그러나 일각에서는 영화가 밥 말리의 복잡한 성격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 특히, 영화가 밥 말리의 여성 편력이나 마약 사용과 같은 부정적인 측면을 충분히 조명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Marley (2012)
https://boxofficemoj[...]
Box Office Mojo. [[Amazon.com]]
2012-06-05
[2]
뉴스
SXSW 2012: Kevin Macdonald Talks 'Marley,' Music and Marijuana
https://www.hollywoo[...]
2012-03-12
[3]
웹사이트
Demme takes over Bob Marley film
http://www.variety.c[...]
2022-03-18
[4]
웹사이트
Exclusive: Jonathan Demme Says Bob Marley Documentary On Hold, But Not Necessarily Over For Him
https://theplaylist.[...]
2009-10-05
[5]
웹사이트
Kevin Macdonald Jamming On Bob Marley Docu
https://web.archive.[...]
2011-02-02
[6]
뉴스
Hitting the Right Rhythm to Tell Marley's Story
https://www.nytimes.[...]
2012-04-06
[7]
뉴스
Bob Marley: the regret that haunted his life
https://www.theguard[...]
2012-04-07
[8]
뉴스
Jamaica premiere for Marley tribute
http://www.independe[...]
2012-04-20
[9]
웹사이트
Director Kevin Macdonald Discusses 'Marley' Documentary - Speakeasy - WSJ
https://blogs.wsj.co[...]
2017-07-20
[10]
웹사이트
Marley (Original Soundtrack) – United States
https://itunes.apple[...]
Apple, Inc.
2012-04-21
[11]
웹사이트
High Tide or Low Tide - Single – United States
https://itunes.apple[...]
Apple, Inc.
2012-04-21
[12]
웹사이트
Marley Soundtrack - bobmarley.com
http://bobmarley.com[...]
Tuff Gong Records
2012-04-22
[13]
웹사이트
Marley (2012)
https://rottentomato[...]
Rotten Tomatoes
2012-05-03
[14]
웹사이트
Marley
https://metacritic.c[...]
Metacritic
2012-04-23
[15]
웹사이트
Wailer unhappy with MARLEY FILM
http://www.jamaicaob[...]
2017-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