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리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리의 대통령은 말리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1960년 모디보 케이타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래 여러 명의 대통령이 역임했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1회 연임이 가능하며, 대통령 유고 시에는 총리가 직무를 대행하고, 대통령직 공석 시에는 국민 의회 의장이 새 대통령 선출 시까지 직무를 수행한다. 대통령의 직함은 시대에 따라 국가 원수, 공화국 대통령, 군사 위원회 의장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과도 대통령이 사용되고 있다.

2. 말리 대통령 목록

말리 대통령 목록은 말리의 역대 대통령, 권한대행, 임시 국가 원수 등을 포함한다.


  • 수단 연합 – 아프리카 민주 연합 (US–RDA)
  • 말리 인민 민주 연합 (UDPM)
  • 말리 민주주의 연합 - 자유, 연대, 정의를 위한 범아프리카 정당 (ADEMA–PASJ)
  • 말리 집결 (RPM)
  • 무소속
  • 대통령 권한대행


역대 대통령, 권한 대행, 임시 국가 원수 정보는 "역대 대통령" 하위 섹션 표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으며, 대통령 권한 변천 과정은 "대통령 권한 변천" 하위 섹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2. 1. 역대 대통령

(출생–사망)선출재임 기간정당총리취임퇴임재임 기간1
모디보 케이타
(1915–1977)1960년
1964년1960년 6월 20일1968년 11월 19일
(축출)US–RDA본인2
무사 트라오레
(1936–2020)1979년
1985년1968년 11월 19일1991년 3월 26일
(축출) /
UDPM디아키테
뎀벨레3
아마두 투마니 투레
(1948–2020)—1991년 3월 26일1992년 6월 8일사코4
알파 오마르 코나레
(1946년 출생)1992년
1997년1992년 6월 8일2002년 6월 8일년ADEMA–PASJ투레

I. B. 케이타
만데 시디베
케이타(3)--아마두 투마니 투레
(1948–2020)2002년
2007년2002년 6월 8일2012년 3월 22일
(축출)무소속하마니
O. I. 마이가
모디보 시디베
C. M. K. 시디베5
아마두 사노고
(1972/73년 출생)—2012년 3월 22일2012년 4월 12일공석
디온쿤다 트라오레
(1942년 출생)—2012년 4월 12일2013년 9월 4일ADEMA–PASJ디아라
시소코6
이브라힘 부바카르 케이타
(1945–2022)2013년
2018년2013년 9월 4일2020년 8월 18일
(축출)RPM리
마라
케이타
A. I. 마이가
S. B. 마이가
시세7
아시미 고이타
(1983년 출생)—2020년 8월 18일2020년 9월 25일공석
바 은다우
(1950년 출생)—2020년 9월 25일2021년 5월 24일
(축출)무소속우안–--아시미 고이타
(1983년 출생)—2021년 5월 24일현직C. K. 마이가
A. 마이가


2. 2. 대통령 권한 변천

1960년 모디보 케이타가 국가 원수로 취임하여 1965년 대통령으로 명칭이 변경된 후 1968년 군사 쿠데타로 실각할 때까지 재임하였다.[1] 무사 트라오레는 1968년 쿠데타 이후 국민 해방 군사 위원회 의장으로서 국가 원수 대행을 맡았다가 1975년 신당을 결성하고 1979년 대통령에 취임하였다.[2] 그는 1985년 재선되었으나 1991년 쿠데타로 실각하였다.[3]

1991년 아마두 투마니 투레가 인민 구제 과도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국가 원수 대행을 맡았다가 1992년 물러났다.[4] 이후 알파 오마르 코나레가 1992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1997년 재선되었다.[5] 2002년 아마두 투마니 투레가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2007년 재선되었으나, 2012년 쿠데타로 실각하였다.[6]

2012년 아마두 사노고가 민주주의 제정을 위한 전국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국가 원수 대행을 맡았다가, 디온쿤다 트라오레가 과도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7] 2013년 이브라힘 부바카르 케이타가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2018년 재선되었으나 2020년 쿠데타로 실각하였다.

2020년 아시미 고이타가 국민 구제 전국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과도 국가 원수를 맡았다가, 바 은다우가 과도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그러나 2021년 쿠데타가 발생하여 바 은다우는 사임하고, 아시미 고이타가 과도 대통령으로 취임하여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3. 대통령 임기 및 승계

말리 헌법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1회 연임이 가능하다. 2021년 현재까지 2번의 임기를 초과하여 재임한 대통령은 없다.[6]

헌법 제53조에 따르면, 대통령이 일시적으로 부재 시에는 총리가 대통령의 직무를 대행한다. 대통령직이 공석이 된 경우(대통령의 사임, 사망 또는 영구적인 직무 불능 상태)에는 국민 의회 의장이 90일에서 120일 이내에 새 대통령을 선출할 때까지 대통령 직무를 수행한다.

4. 대통령 직함


  • '''1960년 ~ 1965년''': 국가 원수
  • '''1965년 ~ 1968년''': 공화국 대통령
  • '''1968년 ~ 1969년''': 국가 해방을 위한 군사 위원회 의장
  • '''1969년 ~ 1979년''': 국가 원수
  • '''1979년 ~ 1991년''': 공화국 대통령
  • '''1991년''': 국민 화해 위원회 의장
  • '''1991년 ~ 1992년''': 국민 구제 임시 위원회 의장
  • '''1992년 ~ 2012년''': 공화국 대통령
  • '''2012년''': 민주주의와 국가 재건을 위한 국가 위원회 의장
  • '''2012년 ~ 2020년''': 공화국 대통령
  • '''2020년''': 국민 구제를 위한 국가 위원회 의장
  • '''2020년 ~ 현재''': 과도 대통령

참조

[1] 웹사이트 The highest and lowest paid African presidents - Business Daily https://www.business[...] Business Daily 2020-12-27
[2] 웹사이트 Mali: President, prime minister arrested in 'attempted coup' https://www.dw.com/e[...] 2021-05-25
[3] 뉴스 Mali's top court declares coup leader Goita as interim president https://www.reuters.[...] 2021-05-29
[4] 뉴스 Mali vice president named interim leader in coup-within-a-coup https://www.dw.com/e[...] 2021-05-29
[5] 뉴스 Assimi Goïta: President gets sweeping powers in new Mali constitution https://www.bbc.com/[...] 2023-07-23
[6] 웹사이트 Circumvention of Term Limits Weakens Governance in Africa https://africacenter[...]
[7] 웹사이트 The highest and lowest paid African presidents - Business Daily https://www.business[...] Business Daily 2020-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