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킨토시 (사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킨토시 사과는 캐나다에서 유래된 사과 품종으로, 1811년 존 매킨토시에 의해 발견되었다. 1835년 아들 앨런 매킨토시가 접목 기술을 통해 품종을 보급했으며, 1870년 상업 생산이 시작되었다. 캐나다 국과로 지정되었으며, 애플의 매킨토시 컴퓨터의 이름에 영향을 주었다. 다용도로 사용되며, 다양한 사과 품종 개량에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과 품종 - 홍옥 (사과)
    홍옥은 미국에서 유래되어 '조나단'으로도 불리는 사과 품종으로, 새콤달콤한 맛과 진홍색 껍질이 특징이며 가공식품에도 활용되고, 일본에서 주요 품종이었으나 생산량이 감소했고, 현재는 다양한 사과 품종 개발에 모본으로 사용된다.
  • 사과 품종 - 골든 딜리셔스
    골든 딜리셔스는 1891년 미국에서 발견된 달콤한 맛과 노란빛 녹색 껍질의 사과 품종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뿐 아니라 갈라, 조나골드 등 여러 품종 개발에 기여했다.
매킨토시 (사과)
사과 정보
나무에 달린 매킨토시 사과
나무에 달린 매킨토시 사과
품종매킨토시
학명Malus domestica (McIntosh)
원산지던델라, 어퍼 캐나다, 1811년
로마자 표기MAKintosh

2. 역사

매킨토시 사과는 1606년 프랑스 정착민들에 의해 포트 로열 정착지에 처음 도입된 이후 캐나다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1796년, 존 매킨토시는 뉴욕 주 모호크 밸리를 떠나 어퍼 캐나다로 이주하여 농부로 정착했다. 1811년, 그는 던델라에서 땅을 얻어 농사를 짓던 중, 과도하게 자란 땅을 정리하다가 우연히 사과 묘목을 발견했다. 이 묘목은 유럽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하나가 특히 좋은 과일을 맺었다.

존 매킨토시의 아들 앨런은 접목 기술을 통해 매킨토시 품종을 번식시켰고, 1836년 "매킨토시 레드"로 명명되었다. 1870년부터 상업적 생산이 시작되었고, 1900년대 초 사과 겹무늬병에 대한 살포제가 개발되면서 인기가 높아졌다. 20세기 초, 윌리엄 티렐 매쿤은 매킨토시의 우수성을 널리 알렸다. 1930년대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는 볼드윈을 대체하며 주요 품종으로 자리 잡았고, 1960년대에는 캐나다 사과 시장의 40%를 점유했다.

1940년대 후반, 앤드루 맥노튼 유엔 주재 캐나다 대사는 안드레이 그로미코 소련 외무부 장관에게 매킨토시 레드가 캐나다 최고의 사과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매킨토시 품종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스노 애플 등의 품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1. 발견 및 초기 역사

1606년 프랑스 정착민들이 포트 로열 정착지에 처음 캐나다로 사과나무를 도입했다. 이후 사과 재배는 내륙으로 확산되었다.

존 매킨토시는 1811년 자신의 농장에서 우연히 매킨토시 사과나무 묘목을 발견했다.[4] 그는 1796년 뉴욕주 모호크 밸리를 떠나 어퍼 캐나다로 이주하여 농부로 정착했다. 1811년, 던델라에서 땅을 얻어 농사를 짓던 중, 과도하게 자란 땅을 정리하다가 사과 묘목을 발견하였다.[4] 유럽 정착 이전 북미의 유일한 토종 사과는 야생 사과였으므로, 이 묘목은 유럽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이 묘목을 집 옆에 옮겨 심었고, 그중 하나가 특히 좋은 과일을 맺었다. 매킨토시의 손자들은 그 과일을 "할머니 사과"라고 불렀는데, 이는 할머니가 과수원에서 나무를 돌보는 모습을 자주 보았기 때문이다.

존 매킨토시는 1820년까지 그 나무에서 묘목을 팔았지만, 품질이 좋지 않았다. 1835년경, 존 매킨토시의 아들 앨런 매킨토시(1815-1899)는 접목을 배워, 원래 나무의 독특한 특성을 유지하며 매킨토시 품종을 번식시킬 수 있었다. 앨런과 그의 형제 샌디는 이 품종의 생산과 홍보를 늘렸다. 초기 판매는 1835년에 이루어졌고, 1836년에는 "매킨토시 레드"로 개명되었다. 1870년경부터 매킨토시는 상업적 생산이 본격화되었고, 1900년대 초 사과 겹무늬병에 대한 살포제가 개발되면서 인기가 급증했다.[8] 1894년 화재로 원래의 매킨토시 나무가 손상되었고, 1908년에 마지막으로 열매를 맺었으며, 1910년에 죽어 쓰러졌다.[4]

2. 2. 발전과 보급

20세기 초, 오타와의 중앙 실험 농장에서 일하던 원예가 윌리엄 티렐 매쿤(William Tyrrell Macoun)은 매킨토시 품종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캐나다 전역에 보급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6] 그는 매킨토시가 캐나다 기후와 도시 시장에 매우 적합하며, "틀림없이 가장 보기 좋고 최고의 디저트용 사과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6] 1907년, 매쿤은 매킨토시의 뛰어난 품질 덕분에 "현재 묘목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고 보고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6]

1930년대 미국 북동부 지역에서는 혹독한 겨울로 인해 많은 볼드윈 나무가 고사하면서 매킨토시가 그 자리를 대체하며 주요 품종으로 자리 잡았다.[8] 1960년대에는 캐나다 사과 시장의 40%를 점유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8] 이후 다른 품종과의 경쟁으로 인해 점유율이 감소했다. 2010년에는 온타리오 주에서 약 29937072.00kg의 매킨토시가 생산되어 여전히 중요한 품종으로 재배되고 있다.

2. 3. 원산지 논쟁

매킨토시 품종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스노 애플(Snow Apple), 폴 세인트 로렌스(Fall St. Lawrence), 알렉산더(Alexander) 등의 품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4] 혹은 'Fameuse'와 'Detroit Red'의 교잡종으로도 추정된다.

3. 특징

매킨토시는 퍼짐성이 있는 중간 정도 크기의 나무에서 열리며, 매년 또는 격년으로 열매를 맺는다.[8] USDA 내한성 구역 4a(최저 -34°C)까지 견딜 수 있으나, 꽃의 50% 이상은 -3.1°C 이하에서 죽는다.[8]

매킨토시는 캐나다 동부와 미국 북동부에서 가장 흔한 재배 품종 사과이다.[8] 카슈미르 지역과 동유럽에서도 재배된다.[8] 일본에서는 "아사히(旭)"라는 이름으로 1890년 캐나다에서 삿포로 농학교에 기증되어 처음 도입되었고, 1892년에 명명되었다. 아오모리현에서는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에 수확한다.

3. 1. 식물학적 특성

매킨토시는 짧은 줄기를 가진 중간 크기의 둥근 과일이다. 껍질은 두껍고 부드러우며 붉은색과 녹색이 섞여 있다. 흰색 과육은 때때로 녹색이나 분홍색을 띠며, 즙이 많고 부드럽지만 쉽게 멍이 든다.[8]

위에 빨간색과 녹색 사과, 아래에 단면 그림.
1901년에 그려진 매킨토시


이 품종은 날것으로 먹거나 요리용으로 모두 적합하며, 주로 디저트에 사용된다.[8] 대부분의 품종보다 요리 시간이 짧고,[8] 주스를 만들 때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품종과 섞어 사용한다.[8]

매킨토시는 밤이 춥고 가을 날씨가 맑은 서늘한 지역에서 가장 잘 자란다. 그렇지 않으면 색이 좋지 않고 과육이 무르며, 수확 전에 나무에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8] 일반 대기 조건에서는 2~3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지만, 껍질 썩음, 과육 연화, 냉해,[8] 코프리누스 썩음병[11] 등에 취약하다. 2°C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하면 과육이 가루처럼 변할 수 있다.[9]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영어(CA 저장)는 일반 냉장 외에 저장고 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여 과일 및 채소를 장기간 보존하는 방법이다. 1920년대에 연구가 시작되었고, 1940년에 매킨토시 저장을 위해 처음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다. 매킨토시는 CA 저장되는 양이 가장 많은 품종 중 하나였다. 이 품종은 1.7°C에서 3°C 사이의 온도에서 산소 1.5~4.5%, 이산화탄소 1~5%로 조절된 환경에서 최적으로 보관되며, 이러한 조건에서 5~8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다.[11]

매킨토시는 자가 불화합성이므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다른 품종의 나무에서 꽃가루를 받아야 한다. 꿀벌이 주로 꽃가루를 옮긴다.

매킨토시는 약제 살포를 하지 않으면 사과 흑성병에 쉽게 감염된다. 그러나 화상병, 흰가루병, 삼나무-사과 녹병, 모과 녹병, 산사나무 녹병에 대한 저항성은 일반적으로 낮다. 반면 암종병, 갈색 부패, 검은 무늬병, cedar-apple rust의 레이스 1에는 취약하지만 레이스 2에는 내성이 있다. 또한 속의 일종에 의한 병해와 반점 낙엽병에 적당히 내성이 있으며, 사과 갈반병에도 잘 견딘다.[11] 일본에서 "아사히"(매킨토시의 일본명)에 대한 시험 결과에 따르면, 사과 녹성병 레이스 1에는 취약하지만 레이스 2에는 내성이 있다. 사과응애에도 내성이 있다. 격년 결실성은 약하다.

3. 2. 재배 특성

매킨토시는 서늘한 기후에서 가장 잘 자라며, 미국 농무부(USDA) 내한성 구역 4a(-34°C)까지 견딜 수 있다. 그러나 꽃의 50% 이상이 -3.1°C 이하에서는 손상될 수 있다.[8]

매킨토시는 살충제를 살포하지 않으면 사과 겹무늬병에 쉽게 걸려 상품성을 잃을 수 있다.[11] 하지만 화상병, 흰가루병, 향나무녹병, 모과녹병, 산사녹병에는 일반적으로 강한 편이다.[11]

다양한 곰팡이성 질병에 대한 저항성은 레이스(race)에 따라 다르다.[14][15]

  • '''취약한 질병''': 암종병, 갈색 부패, 검은 무늬병, 향나무녹병 레이스 1[14][15]
  • '''저항성 있는 질병''': 향나무녹병 레이스 2,[11] ''Pezicula'' 수피 부패병영어, ''Alternaria'' 잎 반점병영어, 사과 갈색무늬병[11]


일본에서 "아사히(旭)"라는 이름으로 재배되는 매킨토시는 사과 녹성병에 대해 레이스 1에는 취약하지만 레이스 2에는 저항성을 보인다. 또한, 사과응애에도 내성이 있다.

매킨토시는 자가 불화합성이므로, 결실을 위해서는 다른 품종의 나무로부터 꽃가루를 받아야 한다. 꿀벌이 주로 꽃가루를 옮긴다.

매킨토시는 밤이 춥고 가을 햇살이 맑은 서늘한 지역에서 가장 잘 자란다.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색이 잘 들지 않고, 과육이 연약해지며, 수확 전에 열매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11] 상온에서 2~3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지만, 저장 중 손상, 과육 연화, 저온 장해,[8] Coprinopsis psychromorbida영어에 의한 부패[11][12] 등에 취약하다. 격년 결실성은 약한 편이다.

3. 3. 저장성

매킨토시는 일반 대기에서 2~3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지만, 껍질 썩음, 과육 연화, 냉해, 그리고 코프리누스 썩음병에 걸리기 쉽다.[8] 2°C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하면 과육이 가루처럼 변할 수 있다.[8]

조절 가능한 대기(CA 저장)에서 온도가 1.7°C 에서 3°C이고, 공기 함량이 1.5–4.5% 산소 및 1–5% 이산화탄소인 조건에서는 매킨토시를 5~8개월 동안 보관할 수 있다.[8] 1961년 국제 사과 협회에서 CA 저장에 적합하다고 여겨진 8가지 사과 품종 중에서도 매킨토시는 CA 저장되는 양이 가장 많았다.

4. 용도

매킨토시는 생식과 요리 모두에 적합한 다재다능한 품종이다. 주로 디저트에 사용되며[8], 대부분의 다른 품종보다 조리 시간이 짧다. 주스를 만들 때에는 일반적으로 다른 품종과 섞어 사용한다.[8]

5. 품종 개량

매킨토시는 사과 품종 개량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품종 중 하나이다. 1996년 연구에 따르면 매킨토시는 439개 품종 중 101개의 부모였으며, 이는 다른 어떤 기초 복제보다 많은 수치였다.[11] 매킨토시는 캐나다에서 선택된 품종의 절반 이상에 사용되었으며, 미국과 동유럽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매킨토시의 자손으로는 마쿤(저지 블랙과의 교잡종), 스파르탄(뉴턴 피핀과의 교잡종), 코틀랜드, 엠파이어, 조나맥(조나단과의 교잡종), 저지 맥,[11] 로보, 멜바, 서머레드, 타이데만스 레드,[11] 그리고 아마도 파울라 레드가 있다.[11]

6. 문화적 의의

매킨토시는 캐나다의 국과(national apple)이다. 1912년, 매킨토시가 처음 발견된 나무에서 약 100.58m 떨어진 곳에 기념 명판이 설치되었으나, 여기에는 매킨토시 원목이 1796년에 발견되었다는 잘못된 정보가 있었다. 1962년, 온타리오 고고학 및 역사 유적 위원회는 이 명판을 더 자세한 내용으로 교체했다. 2001년에는 캐나다 역사 유적 및 기념물 위원회가 이 품종을 기념하는 벽화와 함께 근처 공원에 또 다른 명판을 설치했다.

매킨토시는 일본에서 "'''아사히'''(旭)"라는 이름으로 재배되었으며,[11] 1890년에 캐나다에서 삿포로 농학교에 기증된 것이 한국에 처음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아사히는 한때 한국에서 슈쿠, 홍옥, 스타킹 품종과 함께 주요 품종으로 보급되었으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쓰가루 품종에 밀려났다.[10]

6. 1. 명칭 유래

애플에 근무하던 제프 래스킨은 자신이 개발하던 컴퓨터 이름에 자신이 좋아하던 사과 품종의 이름을 붙였다. 원래 이 품종의 철자는 'Mcintosh'인데, 애플 제품명의 철자는 'Macintosh'이다. 그러나 발음은 같다. 이 이름으로 인해 이전부터 이 이름을 사용하고 있던 오디오 제조 회사인 매킨토시 랩과 상표권 분쟁을 겪기도 하였다.[4]

래스킨은 매킨토시 랩과의 분쟁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름을 'Macintosh'로 다르게 표기했다. 1982년 애플이 매킨토시라는 이름을 상표로 등록하려 했지만, 애플 제품과 하이파이 제조업체의 이름이 음성적으로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애플은 1983년에 그 이름에 대한 권리를 라이선스했고, 1986년에 상표권을 매입했다.

6. 2. 캐나다의 상징

매킨토시는 캐나다의 국과(national apple)이다. 1912년, 매킨토시가 처음 발견된 나무에서 약 100.58m 떨어진 곳에 기념 명판이 설치되었으나, 여기에는 매킨토시 원목이 1796년에 발견되었다는 잘못된 정보가 있었다. 1962년, 온타리오 고고학 및 역사 유적 위원회는 이 명판을 더 자세한 내용으로 교체했다. 2001년에는 캐나다 역사 유적 및 기념물 위원회가 이 품종을 기념하는 벽화와 함께 근처 공원에 또 다른 명판을 설치했다.

6. 3. 한국과의 관계

매킨토시는 일본에서 "'''아사히'''(旭)"라는 이름으로 재배되었다.[11] 1890년에 캐나다에서 삿포로 농학교에 기증된 것이 한국에 처음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아사히는 한때 한국에서 슈쿠, 홍옥, 스타킹 품종과 함께 주요 품종으로 보급되었으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쓰가루 품종에 밀려났다.[10] 재배의 어려움, 온난 지역에서의 저장성 문제, 다른 우량 품종의 등장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여 현재는 희귀 품종이 되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아사히 품종이 사과응애에 내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한국어 자료에서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참조

[1] 뉴스 What happened to the McIntosh apple? https://www.bbc.com/[...] 2014-01-22
[2] 뉴스 The McIntosh apple is a legend, but it could disappear from Quebec shops https://montrealgaze[...] 2020-09-11
[3] 웹사이트 Apple varieties http://www.usapple.o[...]
[4] 웹사이트 The Mystery of Mr. McIntosh's Apple https://www.canadash[...] Canada’s History Society 2016-05-06
[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McIntosh / Concepts du sablier https://www.cdsbouti[...] 2013-09-02
[6] 간행물 Fruit Varieties Journal vol. 29, 1975 1975
[7] 웹사이트 Apple varieties http://www.usapple.o[...]
[8] 서적
[9] 서적
[10] 뉴스 「果実」 激変する種間競走 「甘い・食べやすさ」前面に新品種導入で高値販売 日本経済新聞社 1992-09-02
[11] 서적
[12] 서적 Pacific Northwest Plant Disease Management Handbook [online] https://pnwhandbooks[...] Oregon State University 2021-11-25
[13] 논문 岩手県盛岡市に分布するリンゴ黒星病菌(''Venturia inaequalis'')レース同定の試みおよびリンゴ ‘あかね’ のリンゴ黒星病抵抗性に関与するQTLの同定 https://agriknowledg[...] 園芸学会 2024-05-24
[14] 웹사이트 関連用語集 glossary http://web.tuat.ac.j[...] 東京農工大学農学部植物病理学研究室 2021-12-13
[15] 웹사이트 第5章 病原菌のレース:1.病原性の分化 https://www.meiji-se[...] Meiji Seika ファルマ 2021-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