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맥심커피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심커피배는 동서식품이 후원하는 바둑 기전으로, 한국기원 소속 9단만이 참가 자격을 갖는다. 1기부터 4기까지는 연승전, 5기부터는 본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23기부터는 시드권자를 제외한 선수들을 한국기원 랭킹에 따라 선발한다. 대국은 각자 10분에 착수 시 20초가 추가되는 피셔 방식으로 진행되며, 결승은 3번기로 치러진다. 우승 상금은 5,000만 원, 준우승 상금은 2,000만 원이다. 이세돌이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여류명인전 (한국)
    여류명인전은 한국기원에서 주최하는 여성 바둑 기전으로, 8명의 본선 진출자가 패자부활전 방식 토너먼트를 거쳐 전기 여류명인과 도전 3번기를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리며, 루이 나이웨이 9단과 최정 9단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 - KBS 바둑왕전
    KBS 바둑왕전은 1980년부터 KBS에서 방영된 한국 바둑 TV 프로그램으로, 국내 정상급 프로 기사들의 속기 대국을 방송하며 한국 바둑 발전에 기여했고, 조훈현과 이창호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대회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맥심커피배
기본 정보
맥심 커피배 로고
맥심 커피배 로고
주최동서식품
후원동서식품
기전대한민국
창설2000년
종료2021년
우승 상금50,000,000 원

2. 대회 방식

맥심커피배는 대회 방식을 여러 차례 변경했다. 1기~4기까지는 연승전 방식이었으나, 5기부터 본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3기까지는 전기 시드와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자를 선발했다. 14기부터 22기까지는 카누포인트 제도를 도입하여 전기 시드 4명, 카누포인트 상위 4명, 예선 통과자를 선발하여 본선을 치렀다. 15기부터는 예선 제도가 폐지되고 카누포인트가 전면 적용되어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기부터 참가 인원이 32명으로 확대되었고, 23기부터는 시드권자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을 한국기원 랭킹에 따라 선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된다.[1]

2. 1. 개요

맥심커피배는 동서식품이 후원하고 한국기원 소속 9단 기사들이 참가하는 바둑 기전이다.

대회 방식은 1기~4기까지는 연승전 방식이었으나, 5기부터 본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3기까지는 전기 시드와 예선으로 본선 진출자를 선발했다. 14기부터 22기까지는 카누포인트 제도를 도입하여, 전기 시드 4명, 카누포인트 상위 4명, 예선 통과자를 선발하여 본선을 치렀다. 15기부터는 예선 제도가 폐지되고 카누포인트가 전면 적용되어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기부터 참가 인원이 32명으로 확대되었고, 23기부터는 시드권자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을 한국기원 랭킹에 따라 선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된다.[1]

  • '''참가 제한''' : 한국기원 소속 9단 (입신)만 참가 가능하다.[1]
  • '''32강 구성''' : 전기 우승자, 준우승자, 후원사 시드 4인 외에 나머지 26명은 한국기원 랭킹에 따라 초청된다. (23기부터)[1]
  • '''카누포인트''' : 한국기원 소속 9단들의 최근 2년간 성적을 바탕으로 순위를 매기는 제도였다. (14기~22기)[1]
  • '''대국 규정''' : 각자 10분에 착수 시 20초가 추가되는 피셔 방식으로 진행된다. 덤은 6.5집이다. (25기부터 적용)[1]


각 선수는 10분의 제한시간과 40초 초읽기 5회를 갖는다. 우승 상금은 5000만, 준우승 상금은 2000만이다.[1]

2. 2. 세부 규정 (25기 기준)


  • '''참가 제한''': 한국기원 소속 '''九단'''(입신)들만 참가하는 제한 기전이다.
  • '''대국 규정''': 각자 10분으로 착수 시 20초가 추가되는 피셔 방식으로 진행한다. (덤 6.5집)[1]

2. 3. 과거 대회 방식

맥심커피배는 초기에 연승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 5기부터 본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기부터 13기까지는 전기 시드와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자를 선발했다. 14기부터 카누포인트가 도입되어 전기 시드 4명, 카누포인트 상위 4명, 예선 통과 선수들이 본선에 참가했다. 15기부터 예선이 폐지되고 카누포인트가 전면 적용되어 초청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3번기로 진행되었다. 19기부터 참가 인원이 32명으로 확대되었고, 23기부터 시드권자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은 카누포인트 대신 한국기원 랭킹에 따라 선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1]

대회 규정은 다음과 같이 변천했다.[1]

구분1~13기14~22기23기~현재
참가 제한한국기원 소속 九단(입신)
32강 구성연승자 및 타이틀 보유자 시드전기 우승자 및 준우승자, 스폰서 시드 2명, 카누 포인트 상위 24명, 랭킹 상위 4명전기 우승자 및 준우승자, 스폰서 시드 4명, 랭킹 상위 26명
카누포인트X한국기원 소속 九단들의 최근 2년간 성적을 바탕으로 순위 매김X
대국 규정각자 10분, 착수 시 20초 추가 (피셔 방식, 6.5집)


3. 상금

우승 상금은 5000만이며, 준우승 상금은 2000만이다.[1]

4. 역대 우승자 및 준우승자

맥심커피배는 1회 대회에서 최규병유창혁을 꺾고 우승한 것을 시작으로, 유창혁이 2회와 3회 대회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4회 대회에서는 장주주루이나이웨이의 부부 대결이 성사되었고, 장주주가 승리했다. 5회 대회에서는 루이나이웨이가 우승을 차지했다.

이세돌은 6회부터 8회까지 3연패를 달성한 후, 15회와 17회 대회에서도 우승하여 총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박영훈은 9회와 12회, 최철한은 10회, 11회, 16회 대회에서 우승했다. 박정환은 13회, 14회, 18회, 23회 대회에서 우승하여 총 4회 우승을 기록했다.

조한승은 19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신진서는 20회, 24회, 25회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지현(男)과 김지석은 각각 21회와 22회 대회에서 우승했다.

4. 1. 표

회차년도우승전적준우승비고
12000최규병2-1유창혁최규병 생애 첫 타이틀
22001유창혁2-1양재호
32002유창혁2-0김일환유창혁 대회 2연패
42003장주주2-0루이나이웨이세계 바둑 사상 최초 부부 결승
52004루이나이웨이2-1유창혁루이나이웨이 남녀 통합 기전 두 번째 우승
62005이세돌2-1양재호
72006이세돌2-1최철한
82007이세돌2-1박정상이세돌 대회 3연패
92008박영훈2-1목진석박영훈 대회 첫 우승
102009최철한2-0박영훈
112010최철한2-1강동윤최철한 대회 2연패
122011박영훈2-0이창호박영훈 두 번째 우승
132012박정환2-0최철한
142013박정환2-0이세돌박정환 대회 2연패
152014이세돌2-0박정환이세돌 7년 만에 우승
162015최철한2-1홍성지최철한 대회 세 번째 우승
172016이세돌2-0원성진
182017박정환2-1윤준상박정환 대회 세 번째 우승
192018조한승2-1박영훈조한승 대회 첫 우승
202019신진서2-1이동훈신진서 대회 첫 우승
212020이지현(男)2-0신민준이지현(男) 대회 첫 우승
222021김지석2-0이지현(男)김지석 대회 첫 우승
232022박정환2-0이동훈박정환 대회 네 번째 우승
242023신진서2-0이원영
252024신진서2-0김명훈신진서 대회 2연패


4. 2. 최다 우승 기록

선수우승 횟수우승 연도
이세돌5회2005, 2006, 2007, 2014, 2016
박정환4회2012, 2013, 2017, 2022[1][2]
신진서3회2019, 2023,[3] 2024[4]
최철한3회2009, 2010, 2015
유창혁2회2001, 2002
박영훈2회2008, 2011
최규병1회2000
장주주1회2003
루이나이웨이1회2004
조한승1회2018
이지현(男)1회2020
김지석1회2021


5. 주요 기록 및 사건


  • 2003년 제4기 결승은 이창호 九단과 루이나이웨이 九단의 부부 대결이었다.[1]
  • 2006년 제7기 결승 제3국에서는 최철한 九단이 타이틀전 사상 최초로 시간패를 당했다.[2] 제2국은 사이판에서 대국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박정환, 이동훈 꺾고 맥심커피배 통산 4회 우승 https://www.yna.co.k[...] 2022-04-19
[2] 웹사이트 박정환, 이동훈 꺾고 맥심배 우승… 삼성배·우슬봉조 포함 3관왕 https://www.chosun.c[...] 2022-04-19
[3] 웹사이트 신진서, 이원영 꺾고 맥심커피배 우승…통산 30번째 타이틀 획득(종합) https://www.yna.co.k[...] 2023-04-10
[4] 웹사이트 '최강 입신' 신진서, 2년 연속 맥심커피배 우승 트로피 안아 https://www.yna.co.k[...] 2024-04-29
[5] 뉴스 韓国棋院「김지석, 7전8기 끝에 맥심커피배 우승」 http://www.baduk.or.[...] 韓国棋院 2021-04-05
[6] 뉴스 韓国棋院「박정환, 맥심커피배 네 번째 정상 올라」 http://www.baduk.or.[...] 韓国棋院 2022-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