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철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철한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로, 1997년 12세에 프로에 입단하여 이세돌 등과 함께 권갑용 도장에서 바둑을 배웠다. 2005년 중환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 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고, 2009년 응씨배에서 우승하여 이창호 시대를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2015년에는 한국 바둑 사상 7번째로 1000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동문 - 김미리
김미리는 2008년 프로에 입단하여 한국바둑리그에 출전하고 여자 프로 국수전 준결승 진출, 여류명인전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사이버오로에서 바둑 강사로 활동하며 SG배 페어바둑대회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세명컴퓨터고등학교 동문 - 이슬아 (바둑 기사)
이슬아는 2007년 프로 바둑 기사로 데뷔하여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2관왕을 달성하고 한국여자바둑리그에서 활약했으며, 중국 바둑 기사 뤄더룽과 결혼 후 은퇴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 서초중학교 동문 - 송백경
송백경은 원타임 멤버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로서, YG 엔터테인먼트의 대표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빅뱅, 2NE1, 블랙핑크 등의 성공에 기여했고 현재는 더블랙레이블을 설립하여 활동 중이나, 아티스트 개성 희석 및 편애 논란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서초중학교 동문 - 구준엽
구준엽은 1990년 데뷔하여 댄스 그룹 클론의 멤버로 활동하며 "쿵따리 샤바라" 등의 히트곡으로 아시아적인 인기를 얻었고, 클론 활동 이후에는 DJ KOO로서 EDM 음악 활동과 더불어 예능, 드라마 출연, 사진 작가, NFT 아티스트, 사업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2022년 서희원과의 결혼으로 화제를 모은 대한민국의 가수, DJ, 배우, 사업가이다. - 서울서초초등학교 동문 - 고소영
고소영은 1992년 드라마 《내일은 사랑》으로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고 여러 방송 프로그램 진행, 라디오 DJ, 광고 모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 서울서초초등학교 동문 - 강예원
강예원은 2001년 데뷔 후 영화와 드라마, 예능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인지도를 높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성악을 전공한 클래식 음악가 출신이며 그림 실력도 뛰어난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최철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최철한 |
| 본명 | 최철한 |
| 한글 | 최철한 |
| 한자 | 崔哲瀚 |
| 로마자 표기 | Choe Cheol-han |
| 출생일 | 1985년 3월 12일 |
| 출생지 | 부산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
| 별명 | 독사 |
| 거주지 | 대한민국 |
| 바둑 기사 정보 | |
| 사범 | 권갑용 |
| 배우자 | 윤지희 |
| 소속 | 한국기원 |
| 프로 입단 | 1997년 5월 (만 12세) |
| 단 | 9단 |
2. 약력
권갑용 도장에서 이세돌 등과 함께 바둑을 배우다. 1997년 12세에 초단이 되었다. 2000년 15세 삼단으로 농심배 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3연승을 거두었다. 2001년 삼단으로 왕위전 리그에 진입했다. 2002년 사단으로 제1기 KT배에서 결승에 진출하여 조훈현에게 1-2로 패하여 준우승했다. 2003년, 천원전에서 우승하여 육단으로 승단했다. 2004년, 국수전에서 우승하여 칠단으로 승단했다. 이어서 같은 해, 기성전에서 우승하여 팔단으로 승단했다. 같은 해, 토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고,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같은 해에 구단이 되었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에 입학했다. 2005년의 중환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이세돌을 꺾고 세계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에 단체전 한국 멤버로 출전하여 우승했다. 2009년 응씨배에서 결승에서 이창호를 3-1로 꺾고 우승, 이창호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 남녀 페어전에서 김윤영과 짝을 이루어 동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0-11년 농심배에서 부장으로 출전하여 4연승으로 한국 우승을 이끌었다. 2012년, 여자 바둑 기사 윤지희 삼단과 결혼했다.
2015년, 한국 바둑 사상 7번째로 1000승을 달성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5년 보해 팀 등에서 출전했고, 2009년부터는 진로 팀 주장을 맡았다. 2009년부터 중국 갑급 리그에 시안 팀으로 출전했다. 한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2009년 11월에 1위를 기록했다.
2. 1. 최연소 입단 기록
최철한은 12세에 프로가 되었으며, 조훈현, 이창호, 조혜연에 이어 역대 최연소 입단 기록 4위(12세 2개월)를 기록했다.[2] 7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이세돌과 함께 권갑용 바둑 도장에서 서울에서 공부했으며, 당시 '제2의 이세돌'로 여겨졌다.[2]3. 경력
권갑용 도장에서 이세돌 등과 함께 바둑을 배웠다. 1997년 12세에 초단이 되었다. 2000년 15세 삼단으로 농심배 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3연승을 거두었다. 2001년 삼단으로 왕위전 리그에 진입했다. 2002년 사단으로 제1기 KT배에서 결승에 진출하여 조훈현에게 1-2로 패하여 준우승했다. 2003년, 천원전에서 우승하여 육단으로 승단했다. 2004년, 국수전에서 우승하여 칠단으로 승단했다. 이어서 같은 해, 기성전에서 우승하여 팔단으로 승단했다. 같은 해, 도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4강에 진출했고,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같은 해에 구단이 되었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에 입학했다. 2005년의 중환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이세돌을 꺾고 세계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에 단체전 한국 멤버로 출전하여 우승했다. 2009년 응씨배에서 결승에서 이창호를 3-1로 꺾고 우승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 남녀 페어전에서 김윤영과 짝을 이루어 동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0-11년 농심배에서 부장으로 출전하여 4연승으로 한국 우승을 이끌었다. 2012년, 여자 바둑 기사 윤지희 삼단과 결혼했다.
2015년, 한국 바둑 사상 7번째로 1000승을 달성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5년 보해 팀 등에서 출전했고, 2009년부터는 진로 팀 주장을 맡았다. 2009년부터 중국 갑조 리그에 시안 팀으로 출전했다. 한국 바둑 기사 랭킹에서는 2009년 11월에 1위를 기록했다.
=== 수학 ===
7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이세돌과 함께 권갑용 바둑 도장에서 서울에서 공부했다.[2] 당시 최철한은 '제2의 이세돌'로 여겨졌다.[2]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에 입학했다.
=== 주요 기전 성적 ===
최철한은 2000년 농심배 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3연승을 거두었고, 2001년 삼단으로 왕위전 리그에 진입했다. 2002년 제1기 KT배 결승에 진출했으나 조훈현에게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3년 천원전 우승과 함께 육단으로 승단했고, 2004년에는 국수전, 기성전에서 우승하며 칠단, 팔단을 거쳐 구단으로 승단했다.
2004년 토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4강,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5년 중환배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이세돌을 꺾고 세계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단체전 한국 멤버로 출전하여 우승했고, 2009년 응씨배 결승에서 이창호를 3-1로 꺾고 우승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 남녀 페어전에서 김윤영과 짝을 이루어 동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0-11년 농심배에서 부장으로 출전, 4연승으로 한국 우승을 이끌었다. 2015년에는 한국 바둑 사상 7번째로 1000승을 달성했다.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남자 단체전(2008년), 아시안 게임 남자 단체전(2010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04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05년)에서 준우승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3위(2006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4강(2005, 12년),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4강(2012년(17기), 2014년)을 기록했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2000년 3승 1패, 2001년 2승 1패, 2004년 1승 1패, 2006년 1패, 2010-11년 4승, 2012-13년 3승 1패, 2013-14년 1패, 2015년 2승 1패를 기록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6년 GS KIXX 소속으로 우승과 MVP를 차지했고, 2008년 제일화재 소속으로 최다승을 기록했다. 중국 갑조 리그에서는 2016년 성도 흥업은행 소속으로 12승 6패, 2017년 성도 원정홀딩 소속으로 9승 3패를 기록했다.
=== 승단 내역 ===
| 단 | 승단 날짜 | 비고 |
|---|---|---|
| 초단 | 1997년 | |
| 2단 | 1998년 | |
| 3단 | 1999년 | |
| 4단 | 2001년 | |
| 5단 | 2002년 | |
| 6단 | 2003년 | 원성진을 꺾고 제8기 천원전 우승. |
| 7단 | 2004년 | 이창호를 꺾고 제47기 국수전 우승. |
| 8단 | 2004년 | 이창호를 꺾고 기성전 우승. |
| 9단 | 2004년 | 한국 바둑 리그 활약. |
=== 통산 전적 ===
2006년 58승 29패, 2007년 45승 25패, 2008년 50승 18패, 2009년 56승 18패, 2010년 63승 22패, 2011년 50승 24패를 기록했다.[3][4][5][6][7][8]
=== 한국 바둑 리그 ===
| 시즌 | 팀 | 순위 | 전적 |
|---|---|---|---|
| 2007 | 팀 월드 메르디안 (주장) | 6위 | 6–7[9] |
| 2008 | 팀 KGC 인삼공사 | 4위 | 12–4[10] |
| 2009 | 팀 하이트 진로 (주장) | 6위 | 9–3[11] |
| 2010 | 팀 하이트 진로 (주장) | 4위 | 10–7[12] |
| 2011 | 팀 하이트 진로 (주장) | 준우승 | 13–4[13] |
=== 중국 갑조 리그 ===
=== 기타 국제 기전 기록 ===
| 대회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 잉창치배 | × | - | 준우승 | - | 우승 | - | 24강 | - | × | - | × | ||||||||||
| 후지쯔배 | × | × | × | × | 8강 | 준우승 | 3위 | 8강 | × | 24강 | 24강 | 16강 | 중지 | - | |||||||
| 삼성화재배 | × | × | 32강 | 16강 | 8강 | 4강 | 8강 | 32강 | × | 16강 | 16강 | 32강 | 4강 | 32강 | 32강 | 32강 | × | × | × | × | × |
| LG배 | × | × | × | × | 16강 | 32강 | 32강 | 32강 | 32강 | 8강 | 8강 | 16강 | 4강 | 32강 | 4강 | 16강 | × | 8강 | 32강 | × | × |
| 춘란배 | × | - | × | - | × | - | 24강 | - | × | - | 16강 | - | 16강 | - | 16강 | - | × | - | × | - | × |
| 도요타배 | - | × | - | 4강 | - | 16강 | - | × | 중지 | - | |||||||||||
| BC카드배 | - | 32강 | 8강 | 16강 | 64강 | 중지 | - | ||||||||||||||
| 바이링배 | - | 64강 | - | 8강 | - | × | - | × | - | 중지 | |||||||||||
| 몽백합배 | - | 16강 | - | × | - | 32강 | - | × | - | ||||||||||||
| 신아오배 | - | × | - | 중지 | - | ||||||||||||||||
| 천부배 | - | 1회전 | - | 중지 | |||||||||||||||||
| 중환배 | - | 16강 | 우승 | - | 16강 | 중지 | - | ||||||||||||||
| TV아시아 | × | × | × | × | × | × | × | 4강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지 |
| 농심배 | 3:1 | 2:1 | × | × | 1:1 | × | 0:1 | × | × | × | 4:0 | × | 3:1 | 0:1 | × | 2:1 | × | × | 0:1 | × | × |
-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남자 단체전 우승 2008년
- 2010년 아시안 게임 남녀 페어전 3위, 남자 단체전 우승
-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4년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5년, 3위 2006년, 8강 2004년
- 토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4강 2004년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4강 2005, 12년, 8강 2004년
-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4강 2012년(17기), 2014년, 8강 2017년
- 백령배 세계 바둑 오픈전 8강 2014년
- 중한 천원전 2011년 1-2 천야오예, 2012년 1-2 천야오예
-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 2011년 남자 단체전 2위, 남녀 페어전 2위 (김혜민과 페어)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 2000년 3-1 (○여평/吕丰중국어, ○왕밍완/王铭琬중국어, ○류징/刘菁중국어, ×고바야시 사토루/小林覚일본어)
- * 2001년 2-1 (○사오웨이강/邵炜刚중국어, ○고바야시 코이치/小林光一일본어, ×뤄시허/罗洗河중국어)
- * 2004년 1:1 (○펑취안/彭荃중국어, ×조치훈/조치훈일본어)
- * 2006년 0-1 (×펑취안/彭荃중국어)
- * 2010-11년 4-0 (○다카오 신지/高尾绅路일본어, ○저우루이양/周睿羊중국어, ○유우키 사토시/結城聡일본어, ○쿵제/孔杰중국어)
- * 2012-13년 3-1 (○왕시/王檄중국어, ○무라카와 다이스케/村川大介일본어, ○천야오예/陈耀烨중국어, ×시에허/谢赫중국어)
- * 2013-14년 0-1 (×천야오예/陈耀烨중국어)
- * 2015년 2-1 (○우광야/邬光亚중국어, 이다 아쓰시/伊田篤史일본어, ×구리/구리일본어)
- CSK배 아시아 바둑 챔피언십
- * 2004년 2-1 (○린하이펑/林海峰중국어, ○야마시타 케이고/山下敬吾일본어, ×쿵제/孔杰중국어)
- * 2005년 3-0 (○왕밍완/王铭琬중국어, ×이다 노리모토/依田纪基일본어, ×왕레이/王磊 (바둑 기사)중국어)
- * 2006년 1-2 (○가와노 린/河野臨일본어, ×장쉬/张栩중국어, ×시에허/谢赫중국어)
- 자오상 부동산배 중한 바둑 단체 대항전
- * 2011년 2-0 (○저우루이양/周睿羊중국어, ○구리/古力중국어)
- * 2012년 1-1 (×스웨/时越중국어, ○판팅위/檀啸중국어)
- * 2013년 1-1 (○판팅위/檀啸중국어, ×퉈자시/柁嘉熹중국어)
- * 2014년 0-2 (×스웨/时越중국어, ×탕웨이싱/唐韦星중국어)
-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 대회 우승 2013년
-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 대회 한중 대항전 2015년 1-2 (×퉈자시/柁嘉熹중국어, ○판팅위/檀啸중국어, ×미위팅/芈昱廷중국어)
- 페어 바둑 월드컵 2016년 4위 (오유진과 페어)
- 금룡성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 대회 2015년 3위
3. 1. 수학
7세에 바둑을 시작하여 이세돌과 함께 권갑용 바둑 도장에서 서울에서 공부했다.[2] 당시 최철한은 '제2의 이세돌'로 여겨졌다.[2]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에 입학했다.3. 2. 주요 기전 성적
최철한은 2000년 농심배 대표 선수로 출전하여 3연승을 거두었고, 2001년 삼단으로 왕위전 리그에 진입했다. 2002년 제1기 KT배 결승에 진출했으나 조훈현에게 1-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3년 천원전 우승과 함께 육단으로 승단했고, 2004년에는 국수전, 기성전에서 우승하며 칠단, 팔단을 거쳐 구단으로 승단했다.2004년 토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4강,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2005년 중환배 세계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이세돌을 꺾고 세계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제1회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즈 단체전 한국 멤버로 출전하여 우승했고, 2009년 응씨배 결승에서 이창호를 3-1로 꺾고 우승했다.
2010년 아시안 게임 남녀 페어전에서 김윤영과 짝을 이루어 동메달, 남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0-11년 농심배에서 부장으로 출전, 4연승으로 한국 우승을 이끌었다. 2015년에는 한국 바둑 사상 7번째로 1000승을 달성했다.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남자 단체전(2008년), 아시안 게임 남자 단체전(2010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04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2005년)에서 준우승을,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3위(2006년),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4강(2005, 12년),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4강(2012년(17기), 2014년)을 기록했다.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서는 2000년 3승 1패, 2001년 2승 1패, 2004년 1승 1패, 2006년 1패, 2010-11년 4승, 2012-13년 3승 1패, 2013-14년 1패, 2015년 2승 1패를 기록했다.
한국 바둑 리그에서는 2006년 GS KIXX 소속으로 우승과 MVP를 차지했고, 2008년 제일화재 소속으로 최다승을 기록했다. 중국 갑조 리그에서는 2016년 성도 흥업은행 소속으로 12승 6패, 2017년 성도 원정홀딩 소속으로 9승 3패를 기록했다.
3. 3. 승단 내역
wikitable| 단 | 승단 날짜 | 비고 |
|---|---|---|
| 초단 | 1997년 | |
| 2단 | 1998년 | |
| 3단 | 1999년 | |
| 4단 | 2001년 | |
| 5단 | 2002년 | |
| 6단 | 2003년 | 원성진을 꺾고 제8기 천원전 우승. |
| 7단 | 2004년 | 이창호를 꺾고 제47기 국수전 우승. |
| 8단 | 2004년 | 이창호를 꺾고 제15기 기성전 우승. |
| 9단 | 2004년 | 한국 바둑 리그 활약. |
3. 4. 통산 전적
2006년 58승 29패, 2007년 45승 25패, 2008년 50승 18패, 2009년 56승 18패, 2010년 63승 22패, 2011년 50승 24패를 기록했다.[3][4][5][6][7][8]3. 5. 한국 바둑 리그
wikitable| 시즌 | 팀 | 순위 | 전적 |
|---|---|---|---|
| 2007 | 팀 월드 메르디안 (주장) | 6위 | 6–7[9] |
| 2008 | 팀 KGC 인삼공사 | 4위 | 12–4[10] |
| 2009 | 팀 하이트 진로 (주장) | 6위 | 9–3[11] |
| 2010 | 팀 하이트 진로 (주장) | 4위 | 10–7[12] |
| 2011 | 팀 하이트 진로 (주장) | 준우승 | 13–4[13] |
3. 6. 중국 갑조 리그
wikitable
3. 7. 기타 국제 기전 기록
| 대회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 잉창치배 | × | - | 준우승 | - | 우승 | - | 24강 | - | × | - | × | ||||||||||
| 후지쯔배 | × | × | × | × | 8강 | 준우승 | 3위 | 8강 | × | 24강 | 24강 | 16강 | 중지 | - | |||||||
| 삼성화재배 | × | × | 32강 | 16강 | 8강 | 4강 | 8강 | 32강 | × | 16강 | 16강 | 32강 | 4강 | 32강 | 32강 | 32강 | × | × | × | × | × |
| LG배 | × | × | × | × | 16강 | 32강 | 32강 | 32강 | 32강 | 8강 | 8강 | 16강 | 4강 | 32강 | 4강 | 16강 | × | 8강 | 32강 | × | × |
| 춘란배 | × | - | × | - | × | - | 24강 | - | × | - | 16강 | - | 16강 | - | 16강 | - | × | - | × | - | × |
| 도요타배 | - | × | - | 4강 | - | 16강 | - | × | 중지 | - | |||||||||||
| BC카드배 | - | 32강 | 8강 | 16강 | 64강 | 중지 | - | ||||||||||||||
| 바이링배 | - | 64강 | - | 8강 | - | × | - | × | - | 중지 | |||||||||||
| 몽백합배 | - | 16강 | - | × | - | 32강 | - | × | - | ||||||||||||
| 신아오배 | - | × | - | 중지 | - | ||||||||||||||||
| 천부배 | - | 1회전 | - | 중지 | |||||||||||||||||
| 중환배 | - | 16강 | 우승 | - | 16강 | 중지 | - | ||||||||||||||
| TV아시아 | × | × | × | × | × | × | × | 4강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지 |
| 농심배 | 3:1 | 2:1 | × | × | 1:1 | × | 0:1 | × | × | × | 4:0 | × | 3:1 | 0:1 | × | 2:1 | × | × | 0:1 | × | × |
- 월드 마인드 스포츠 게임 남자 단체전 우승 2008년
- 2010년 아시안 게임 남녀 페어전 3위, 남자 단체전 우승
-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4년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5년, 3위 2006년, 8강 2004년
- 토요타 & 덴소배 세계 바둑 왕좌전 4강 2004년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4강 2005, 12년, 8강 2004년
-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4강 2012년(17기), 2014년, 8강 2017년
- 백령배 세계 바둑 오픈전 8강 2014년
- 중한 천원전 2011년 1-2 천야오예, 2012년 1-2 천야오예
- 스포츠 어코드 월드 마인드 게임 2011년 남자 단체전 2위, 남녀 페어전 2위 (김혜민과 페어)
-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 * 2000년 3-1 (○여평/吕丰중국어, ○왕밍완/王铭琬중국어, ○류징/刘菁중국어, ×고바야시 사토루/小林覚일본어)
- * 2001년 2-1 (○사오웨이강/邵炜刚중국어, ○고바야시 코이치/小林光一일본어, ×뤄시허/罗洗河중국어)
- * 2004년 1:1 (○펑취안/彭荃중국어, ×조치훈/조치훈일본어)
- * 2006년 0-1 (×펑취안/彭荃중국어)
- * 2010-11년 4-0 (○다카오 신지/高尾绅路일본어, ○저우루이양/周睿羊중국어, ○유우키 사토시/結城聡일본어, ○쿵제/孔杰중국어)
- * 2012-13년 3-1 (○왕시/王檄중국어, ○무라카와 다이스케/村川大介일본어, ○천야오예/陈耀烨중국어, ×시에허/谢赫중국어)
- * 2013-14년 0-1 (×천야오예/陈耀烨중국어)
- * 2015년 2-1 (○우광야/邬光亚중국어, 이다 아쓰시/伊田篤史일본어, ×구리/구리일본어)
- CSK배 아시아 바둑 챔피언십
- * 2004년 2-1 (○린하이펑/林海峰중국어, ○야마시타 케이고/山下敬吾일본어, ×쿵제/孔杰중국어)
- * 2005년 3-0 (○왕밍완/王铭琬중국어, ×이다 노리모토/依田纪基일본어, ×왕레이/王磊 (바둑 기사)중국어)
- * 2006년 1-2 (○가와노 린/河野臨일본어, ×장쉬/张栩중국어, ×시에허/谢赫중국어)
- 자오상 부동산배 중한 바둑 단체 대항전
- * 2011년 2-0 (○저우루이양/周睿羊중국어, ○구리/古力중국어)
- * 2012년 1-1 (×스웨/时越중국어, ○판팅위/檀啸중국어)
- * 2013년 1-1 (○판팅위/檀啸중국어, ×퉈자시/柁嘉熹중국어)
- * 2014년 0-2 (×스웨/时越중국어, ×탕웨이싱/唐韦星중국어)
- 주강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 대회 우승 2013년
-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 대회 한중 대항전 2015년 1-2 (×퉈자시/柁嘉熹중국어, ○판팅위/檀啸중국어, ×미위팅/芈昱廷중국어)
- 페어 바둑 월드컵 2016년 4위 (오유진과 페어)
- 금룡성배 세계 바둑 단체 선수권 대회 2015년 3위
4. 수상 기록
5. 타이틀 및 준우승 기록
| 국내 기전 | ||
|---|---|---|
| 기전 | 우승 | 준우승 |
| KT 챌린지배 | 1 (2002) | |
| 천원전 | 4 (2003-2004, 2010-2011) | 2 (2012-2013) |
| 기성전 | 1 (2004) | 2 (2005, 2007) |
| 국수전 | 3 (2004-2005, 2011) | 3 (2006, 2011-2012) |
|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 1 (2005) | |
| GS칼텍스배 | 1 (2005) | 3 (2006, 2014-2015) |
| KBS 바둑왕전 | 1 (2006) | |
| 맥심커피배 | 3 (2009-2010, 2015) | 2 (2006, 2012) |
| 십단전 | 1 (2012) | |
| 명인전 | 1 (2013) | |
| 총합 | 14 | 15 |
| 대륙별 기전 | ||
| 기전 | 우승 | 준우승 |
| 중국 한국 천원전 | 3 (2004-2005, 2011) | |
| 총합 | 0 | 3 |
| 국제 기전 | ||
| 기전 | 우승 | 준우승 |
| 후지쯔배 | 1 (2005) | |
| 중환배 | 1 (2005) | |
| 응씨배 | 1 (2009) | 1 (2005) |
| 총합 | 2 | 2 |
| 통산 전적 | ||
| 총합 | 16 | 20 |
5. 1. 국제 기전 상세 성적
| 대회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 잉창치배 | × | - | 준우승 | - | 우승 | - | 24강 | - | × | - | × | ||||||||||
| 후지쯔배 | × | × | × | × | 8강 | 준우승 | 3위 | 8강 | × | 24강 | 24강 | 16강 | 중지 | - | |||||||
| 삼성화재배 | × | × | 32강 | 16강 | 8강 | 4강 | 8강 | 32강 | × | 16강 | 16강 | 32강 | 4강 | 32강 | 32강 | 32강 | × | × | × | × | × |
| LG배 | × | × | × | × | 16강 | 32강 | 32강 | 32강 | 32강 | 8강 | 8강 | 16강 | 4강 | 32강 | 4강 | 16강 | × | 8강 | 32강 | × | × |
| 춘란배 | × | - | × | - | × | - | 24강 | - | × | - | 16강 | - | 16강 | - | 16강 | - | × | - | × | - | × |
| 도요타배 | - | × | - | 4강 | - | 16강 | - | × | 중지 | - | |||||||||||
| BC카드배 | - | 32강 | 8강 | 16강 | 64강 | 중지 | - | ||||||||||||||
| 바이링배 | - | 64강 | - | 8강 | - | × | - | × | - | 중지 | |||||||||||
| 몽백합배 | - | 16강 | - | × | - | 32강 | - | × | - | ||||||||||||
| 신아오배 | - | × | - | 중지 | - | ||||||||||||||||
| 천부배 | - | 1회전 | - | 중지 | |||||||||||||||||
| 중환배 | - | 16강 | 우승 | - | 16강 | 중지 | - | ||||||||||||||
| TV아시아 | × | × | × | × | × | × | × | 4강 | × | × | × | × | × | × | × | × | × | × | × | × | 중지 |
| 농심배 | 3:1 | 2:1 | × | × | 1:1 | × | 0:1 | × | × | × | 4:0 | × | 3:1 | 0:1 | × | 2:1 | × | × | 0:1 | × | × |
2004년 응씨배에서 준우승, 2005년 후지쯔배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후지쯔배 3위, 2004년 후지쯔배와 2004년 삼성화재배에서 8강에 올랐다. 2004년 도요타덴소배 4강, 2005년과 2012년 삼성화재배에서 4강에 진출했다.
2012년 제17회 LG배, 2014년 LG배에서 4강, 2017년 LG배 8강에 올랐다. 2014년 백령배 8강에 진출했다.
농심배에서는 2000년 3승 1패(○여평, ○왕밍완, ○류징, ×고바야시 사토루), 2001년 2승 1패(○사오웨이강, ○고바야시 코이치, ×뤄시허), 2004년 2승 1패(○펑취안, ×조치훈), 2006년 1패(×펑취안), 2010-11년 4승(○다카오 신지, ○저우루이양, ○유우키 사토시, ○쿵지에), 2012-13년 3승 1패(○왕시, ○무라카와 다이스케, ○천야오예, ×시에허), 2013-14년 1패(×천야오예), 2015년 2승 1패(○우광야, 이다 아쓰시, ×구리)를 기록했다.
CSK배에서는 2004년 2승 1패(○린하이펑, ○야마시타 케이고, ×쿵지에), 2005년 3승(○왕밍완, ×이다 노리모토, ×왕레이), 2006년 1승 2패(○가와노 린, ×장쉬, ×시에허)를 기록했다.
자오상 부동산배 중한 바둑 단체 대항전에서는 2011년 2승(○저우루이양, ○구리), 2012년 1승 1패(×스웨, ○판팅위), 2013년 1승 1패(○판팅위, ×퉈자시), 2014년 2패(×스웨, ×탕웨이싱)를 기록했다.
2013년 주강배에서 우승했고, 2015년 국수산맥배 한중 대항전에서는 1승 2패(×퉈자시, ○판팅위, ×미위팅)를 기록했다. 2016년 페어 바둑 월드컵에서는 오유진과 함께 4위를 차지했고, 2015년 금룡성배에서는 3위에 올랐다.
5. 2.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 기록
최철한은 농심 신라면배 세계 바둑 최강전에 여러 차례 참가하여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0년에는 3승 1패, 2001년과 2004년에는 각각 2승 1패를 기록했다. 2006년에는 펑취안에게 패하며 1패를 기록했다. 2010-11년 대회에서는 다카오 신지, 저우루이양, 유우키 사토시, 쿵지에를 상대로 4연승을 거두었다. 2012-13년에는 왕시, 무라카와 다이스케, 천야오예에게 승리했으나 셰허에게 패하며 3승 1패를 기록했다. 2013-14년 대회에서는 천야오예에게 패했다. 2015년에는 우광야와 이다 아쓰시에게 승리하고 구리에게 패하며 2승 1패를 기록했다.5. 3. CSK배 아시아 바둑 챔피언십
최철한은 CSK배 아시아 바둑 챔피언십에서 2004년에 린하이펑과 야마시타 케이고를 이겼으나 쿵제에게 패하여 2승 1패를 기록했다. 2005년에는 왕밍완에게 승리했으나 이다 노리모토와 왕레이에게 패하며 3승 0패를 기록했다. 2006년에는 가와노 린에게 이겼으나, 장쉬와 시에허에게 패하면서 1승 2패의 성적을 거두었다.5. 4. 자오상 부동산배 중한 바둑 단체 대항전
최철한은 자오상 부동산배 중한 바둑 단체 대항전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2011년에는 저우루이양과 구리를 상대로 2승을 거두었다. 2012년에는 스웨에게 패했으나, 판팅위를 이겨 1승 1패를 기록했다. 2013년에도 판팅위에게 승리했지만, 퉈자시에게 패하며 1승 1패를 기록했다. 2014년에는 스웨와 탕웨이싱에게 모두 패하여 2패를 기록했다.5. 5.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 대회
2015년 국수산맥배 국제 바둑 대회 한중 대항전에서 1승 2패(×퉈자시, ○판팅위, ×미위팅)를 기록했다.6. 개인 간 전적
2018년 6월 10일 기준으로 업데이트된 최철한의 개인 간 전적은 다음과 같다.[17] 국제 기전 우승 경력이 있는 기사는 굵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다.
7. 가족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최철한 9단, 통산 800승 달성
http://sports.chosun[...]
2016-03-22
[2]
웹사이트
Choi CheolHan
https://web.archive.[...]
gobase.org
2011-06-13
[3]
웹사이트
Korea win–loss 2006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4]
웹사이트
Korea win–loss 2007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5]
웹사이트
Korea win–loss 2008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6]
웹사이트
Korea win–loss 2009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7]
웹사이트
Korea win–loss 2010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8]
웹사이트
Korea win–loss 2011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9]
웹사이트
2007 Korean Baduk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0]
웹사이트
2008 Korean Baduk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1]
웹사이트
2009 Korean Baduk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2]
웹사이트
2010 Korean Baduk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3]
웹사이트
2011 Korean Baduk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4]
웹사이트
2009 Chinese A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5]
웹사이트
2010 Chinese A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6]
웹사이트
2010 Chinese A League
http://igokisen.web.[...]
igokisen.web.fc2.com
2011-06-13
[17]
웹사이트
崔哲瀚 统计数据
http://hotongo.com/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