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리엄-웹스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엄-웹스터는 1828년 노아 웹스터가 처음 출판한 사전에서 시작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판본과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권위 있는 사전 출판사이다. 웹스터의 사전을 계승한 메리엄 형제는 1843년 이후 판본을 개정하며 어휘를 확장했고, 1983년 회사명을 메리엄-웹스터 주식회사로 변경했다. 이 회사는 '대학 사전'과 '무삭제 사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언어 관련 자료를 출판하며, 어휘 선정 및 정의, 발음 표기, 온라인 서비스 등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보인다. 또한, 표준 영어 정립에 기여하며 소셜 미디어 활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영어사전 - 온라인 어원 사전
    온라인 어원 사전은 더글러스 하퍼가 제작한 영어 단어의 어원과 역사를 다루는 온라인 사전으로, 다양한 어원학 사전과 옥스퍼드 영어 사전을 참고하여 3만 개 이상의 단어 정보를 제공하며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온라인 영어사전 - 레퍼런스닷컴
    레퍼런스닷컴은 1997년 출시되어 Lexico Publishing Group, LLC에 인수 및 운영되고, 2008년 IAC에 인수되어 Ask.com의 일부가 되었다가 2010년 Ask.com과 통합되었으며, 사용자 활동 추적 문제로 개인 정보 보호 우려를 낳아 2023년 월스트리트 저널에 의해 추적 쿠키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사이트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
  • 미국의 출판사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는 2022년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의 합병으로 탄생한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영화, 프리미엄 TV 및 스트리밍 서비스, 뉴스 및 케이블 네트워크 등 광범위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며 비용 절감과 스트리밍 확장, 콘텐츠 전략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
  • 미국의 출판사 - 뉴스 코프
    뉴스 코프는 2012년 루퍼트 머독이 뉴스 코퍼레이션 스캔들 이후 이미지 개선 및 투자자 이익 극대화를 위해 언론·출판 부문을 독립시켜 설립한 상장 회사로, 주요 언론 및 출판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기후 변화 회의론적 보도와 그린워싱 논란, 경영진 변화 등으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메리엄-웹스터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메리엄-웹스터
원어 이름Merriam-Webster, Incorporated
종류참고 서적, 온라인 사전
국가미국
본사 위치매사추세츠주스프링필드, 47 Federal Street
설립일1831년
설립자조지 메리엄, 찰스 메리엄
소유주브리태니커 (자크 사프라)
웹사이트merriam-webster.com
관련 정보
모기업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메리엄-웹스터 로고
메리엄-웹스터 로고

2. 역사

1806년, 노아 웹스터는 첫 번째 사전인 ''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를 출판했다. 1807년, 웹스터는 이 책을 확장하여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라는 완전하고 포괄적인 사전을 만들기 위해 20년간의 집중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그는 단어의 어원을 연구하기 위해 26개의 언어를 배웠다. 웹스터는 미국 각 지역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휘, 철자, 발음, 단어 사용 방식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미국식 영어를 표준화하고자 했다.[1]

웹스터는 1825년 파리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사전 작업을 완료했다. 1820년대에 출판된 그의 책에는 7만 개의 단어가 실렸는데, 그중 약 1만 2천 개는 이전에 사전에 등장하지 않은 새로운 단어였다. 철자 개혁을 지지했던 웹스터는 영어 철자 규칙이 지나치게 복잡하다고 생각했고, 그의 사전에는 ''colour''를 ''color''로, ''waggon''을 ''wagon''으로, ''centre''를 ''center''로 바꾸는 등 미국 영어 철자법이 도입되었다. 또한, 그는 영국 사전에는 없는 ''스컹크''와 ''호박''과 같은 미국 단어를 추가했다. 1828년, 70세의 나이에 웹스터는 사전을 출판했지만, 2,500부만 판매되어 저조한 실적을 보였고, 그는 빚을 지게 되었다. 그러나 1840년에 출판한 두 권짜리 두 번째 판은 훨씬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1]

1843년 노아 웹스터가 사망한 후, 조지 메리엄과 찰스 메리엄 형제는 1840년 판 사전의 출판 및 개정 권한을 획득했다.[14] 이들은 1847년에 본문은 그대로 두고 새로운 섹션만 추가한 개정판을 출판했고, 1859년에는 삽화가 포함된 개정판을 출판했다. 1864년, 메리엄 형제는 웹스터의 텍스트를 대폭 수정하고 내용을 크게 확장한 "무삭제판"을 출판했는데, 이는 웹스터의 정의와 "''An American Dictionary''"라는 제목은 유지했다. 1884년 판에는 118,000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다른 어떤 영어 사전보다 3,000개 더 많았다".[14]

1890년, 사전 제목은 ''웹스터 국제 사전''(Webster's International Dictionary)으로 변경되었다. 1909년과 1934년에는 ''웹스터 새 국제 사전''(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이 출판되어 어휘가 50만 단어 이상으로 크게 확장되었으며, 1934년판은 ''웹스터 국제 사전 제2판''(Webster's Second International) 또는 "새 국제 사전 제2판"으로 불렸다.

1961년, 필립 밥콕 고브의 지휘 아래 ''웹스터 제3 새 국제 사전''(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이 출판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고, 이는 대중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5] 변경 사항 중에는 서식 변경, 불필요한 구두점 생략, 완전한 문장 대신 구절 사용 등이 있었지만, 더 논란이 된 것은 언어 기술주의에서 벗어나 당시 사용되던 미국 영어를 기술하려는 시도였다.[15]

2. 1. 노아 웹스터 (Noah Webster)

1806년, 웹스터는 첫 번째 사전인 ''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를 출판했다. 1807년 웹스터는 이 출판물을 완전하고 포괄적인 사전인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로 확장하기 위한 20년간의 집중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단어의 어원을 추적하기 위해 웹스터는 26개 언어를 배웠다. 웹스터는 미국의 서로 다른 지역 사람들이 다소 다른 어휘를 사용하고, 단어를 다르게 철자하고, 발음하고,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미국식 언어를 표준화하고자 했다.[1]

웹스터는 1825년 파리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해외 체류 중에 사전을 완성했다. 1820년대에 출판된 그의 책에는 7만 단어가 수록되었으며, 이 중 약 1만 2천 개는 이전에 사전에 등장한 적이 없는 단어였다. 철자 개혁가였던 웹스터는 영어 철자 규칙이 불필요하게 복잡하다고 믿었으며, 그의 사전은 ''colour''를 ''color''로, ''waggon''을 ''wagon''으로, ''centre''를 ''center''로 대체하는 등 미국 영어 철자를 도입했다. 그는 또한 영국 사전에는 없는 ''스컹크''와 ''호박''을 포함한 미국 단어를 추가했다. 1828년 70세의 나이에 웹스터는 사전을 출판했지만, 2,500부만 판매되어 부진했고, 그는 빚더미에 앉게 되었다. 그러나 1840년, 그는 두 권으로 된 두 번째 판을 출판하여 훨씬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1]

2. 2. 메리엄 형제 (Merriam Brothers)

1843년 노아 웹스터가 사망한 후, 조지 메리엄과 찰스 메리엄 형제는 1840년판 사전의 출판 및 개정 권리를 확보했다.[14] 이들은 1847년에 본문은 그대로 두고 새로운 섹션만 추가한 개정판을 출판했고, 1859년에는 삽화가 포함된 개정판을 출판했다. 1864년, 메리엄 형제는 웹스터의 텍스트를 대폭 수정하고 내용을 크게 확장한 "무삭제판"을 출판했는데, 이는 웹스터의 정의와 "''An American Dictionary''"라는 제목은 유지했다. 1884년 판에는 118,000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다른 어떤 영어 사전보다 3,000개 더 많았다".[14]

1890년, 사전 제목은 ''웹스터 국제 사전''(Webster's International Dictionary)으로 변경되었다. 1909년과 1934년에는 ''웹스터 새 국제 사전''(Webster's New International Dictionary)이 출판되어 어휘가 50만 단어 이상으로 크게 확장되었으며, 1934년판은 ''웹스터 국제 사전 제2판''(Webster's Second International) 또는 "새 국제 사전 제2판"으로 불렸다.

1961년, 필립 밥콕 고브의 지휘 아래 ''웹스터 제3 새 국제 사전''(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이 출판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고, 이는 대중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5] 변경 사항 중에는 서식 변경, 불필요한 구두점 생략, 완전한 문장 대신 구절 사용 등이 있었지만, 더 논란이 된 것은 언어 기술주의에서 벗어나 당시 사용되던 미국 영어를 기술하려는 시도였다.[15]

3. 주요 판본

메리엄-웹스터 사전은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판본으로 출판되었다. 주요 판본으로는 ''대학 사전''(Collegiate Dictionary)과 ''무삭제 사전''(Unabridged Dictionary)이 있다.

''대학 사전''은 1898년에 처음 출판된 이래 현재 제11판까지 발행되었다. 초기에는 ''무삭제 사전''의 요약본 형태로 발행되었으나, 1983년 제9판부터는 독자적인 특징을 갖추게 되었다. 특히, 각 단어가 영어에 처음 등장한 연도를 기록한 것이 특징이다.

''무삭제 사전''은 1864년 노아 웹스터의 작업을 대폭 수정한 판본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쳤다. 1890년에는 ''웹스터 국제 사전''으로, 1909년과 1934년에는 ''웹스터 새 국제 사전''으로 제목이 변경되었으며, 어휘가 크게 확장되었다. 1961년에는 필립 밥콕 고브의 주도로 ''웹스터 제3 새 국제 사전''이 출판되었는데, 이는 서식과 내용 면에서 큰 변화를 포함하여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3. 1. 대학 사전 (Collegiate Dictionary)

''메리엄-웹스터 대학 사전'', 제11판


''대학 사전''(Collegiate Dictionary)은 1898년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현재 제11판까지 발행되었다. 1890년 ''웹스터 국제 사전''이 출판된 이후, 두 개의 ''대학'' 판이 각각의 ''무삭제판''의 요약본으로 발행되었다. 1961년, 필립 밥콕 고브의 지휘 아래 만들어진 ''웹스터 제3 새 국제 사전''은 서식 변경, 불필요한 구두점 생략, 완전한 문장 대신 구절 사용 등 많은 변경사항을 포함하여 대중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변경들은 언어 기술주의에서 벗어나 당시 사용되던 미국 영어를 기술하려는 시도로 평가받았다.[1]

1983년에 출판된 제9판(''웹스터 제9 새 대학 사전''(WNNCD))에서는 ''대학 사전''이 ''제3 새 국제 사전''의 요약본이 아닌 별도의 개체로 구별되는 변경 사항들을 채택했다. 원탁의 기사들의 이름을 포함한 일부 고유 명사가 단어 목록에 다시 추가되었다.[1]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각 단어의 최초 사용 연도를 포함시켜 영어에 처음 등장한 단어를 기록한 것이었다.[1] 제11판(2003년 출판)에는 225,000개 이상의 정의와 165,000개 이상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때로는 텍스트의 CD-ROM이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1] 이 사전은 미국의 많은 도서 출판사와 잡지에서 따르는 ''시카고 스타일 매뉴얼''에서 "일반적인 철자 문제"의 출처로 선호되며, ''시카고 매뉴얼''은 "일반적으로" 나열된 첫 번째 철자를 선택한다고 명시한다.[1]

3. 2. 무삭제 사전 (Unabridged Dictionary)

1843년, 웹스터가 사망한 후 조지 메리엄과 찰스 메리엄은 1840년판 사전의 출판 및 개정 권리를 확보했다. 1864년 메리엄은 웹스터의 텍스트를 변경하고, 그의 작업을 대대적으로 수정했지만, 그의 많은 정의와 "''An American Dictionary''"라는 제목을 유지한 최초의 버전인 대폭 확장된 판을 출판했다. 이는 내용면에서 "무삭제판"으로 묘사되는 일련의 개정판의 시작이었다. 1884년에는 118,000개의 단어가 포함되어 "다른 어떤 영어 사전보다 3,000개 더 많았다".

1890년판에서 사전은 ''웹스터 국제 사전''으로 제목이 변경되었다. 1909년과 1934년의 ''웹스터 새 국제 사전''판에서는 어휘가 대폭 확장되어 총 50만 단어가 넘었으며, 1934년판은 소급하여 ''웹스터 제2 국제 사전'' 또는 간단히 "새 국제 사전 제2판"이라고 불렸다.

메리엄은 1961년 필립 밥콕 고브의 지휘 아래 ''웹스터 제3 새 국제 사전''을 다시 개정하여 대중의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변경을 가했다. 이러한 변경 사항 중 많은 부분은 서식 변경, 불필요한 구두점 생략, 구절로 충분할 때 완전한 문장 사용 회피 등이었다. 다른 변경 사항들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언어 기술주의에서 벗어나 당시 사용되던 미국 영어를 기술하려는 시도로 해석되었다.

4. 특징

메리엄-웹스터 사전은 어휘 선정 방식, 독자적인 발음 표기 체계, 온라인 서비스 제공 등에서 특징을 보인다.

4. 1. 어휘 선정 및 정의

메리엄-웹스터는 인쇄물에서 특정 단어의 사용 사례를 찾아 ''인용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항목을 생성한다.[5] 메리엄-웹스터 편집자들은 책, 신문, 광고, 제품 포장 등 다양한 인쇄물을 매일 약 1시간씩 살펴보며 단어 사용례를 연구하고, 이를 인용 파일에 보존할지 결정한다. 메리엄-웹스터의 인용 파일에는 1,600만 개 이상의 개별 단어 사용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이 중 수백만 건은 종이 인용 파일에 있는 3x5 카드에 기록되어 있으며, 가장 오래된 항목은 19세기 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009년부터 모든 새 항목은 전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5]

4. 2. 발음 표기

메리엄-웹스터는 한때 자사 사전에서 독자적인 음성 표기 체계를 사용했다. 이는 미국 각 지역의 사람들이 같은 억양(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배운 방식과 동일하게 단어 발음을 배우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유니코드IPA 기호를 지원했지만, 메리엄-웹스터의 음성 기호는 지원하지 않았다. 따라서 모든 사전을 IPA 표기로 수정하지 않고 발음에 대한 컴퓨터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리엄-웹스터의 온라인 서비스는 ASCII 문자를 사용하여 음성을 기술하고 있다.

4. 3. 온라인 서비스

1996년, 메리엄-웹스터는 온라인 사전과 유의어 사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웹사이트를 개설했다.[10]

2007년 2월 16일, 메리엄-웹스터는 모바일 검색 및 정보 제공업체인 AskMeNow와 함께 개발한 모바일 사전 및 유의어 사전 서비스 출시를 발표했다. 소비자는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정의, 철자 및 유의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에는 메리엄-웹스터의 ''오늘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11]

5. 사회적 영향 및 논란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본 소스를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참조

[1] 뉴스 Attention, New Englanders: Fluffernutter Is Now a Word https://nytimes.com/[...] 2021-11-05
[2] 간행물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s://www.britanni[...] 2015-06-24
[3] 간행물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www.britanni[...] 2015-06-24
[4] 논문 Webster's Unabridged https://archive.org/[...] 2013-04-26
[5] 뉴스 The Definition of a Dictionary http://www.slate.com[...] 2015-07-12
[6] 서적 The Chicago Manual of Sty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7] 웹사이트 Merriam-Webster: A 200-year-old dictionary offers hot political takes on Twitter https://thehill.com/[...] 2021-11-13
[8] 간행물 18 Times Merriam-Webster Was a Political Troll https://time.com/477[...] 2021-11-13
[9] 뉴스 Kyle Rittenhouse Gets Trolled By Merriam-Webster Dictionary for Crying in Court https://www.mediaite[...]
[10] 간행물 Timeline: Merriam-Webster Milestones http://www.merriam-w[...] 2018-10-14
[11] 웹사이트 AskMeNow and Merriam-Webster Launch Mobile Dictionary http://news.softpedi[...] Softpedia 2014-03-14
[12] 웹사이트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britannic[...] 2015-06-24
[13] 웹사이트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www.britannic[...] 2015-06-24
[14] 논문 Webster's Unabridged https://archive.org/[...] 2013-04-26
[15] 뉴스 The Definition of a Dictionary http://www.slate.com[...] 2015-07-12
[16] 서적 The Chicago Manual of Sty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17] 간행물 Timeline: Merriam-Webster Milestones https://web.archive.[...] 2018-10-14
[18] 웹사이트 AskMeNow and Merriam-Webster Launch Mobile Dictionary http://news.softpedi[...] Softpedia 2014-03-14
[19] 웹인용 About Charles Merriam http://www.wbrookfie[...] wbrookfieldlibrary.org 2010-02-04
[20] 문서 The 1913 Webster Unabridged Dictionary https://www.gutenber[...] 구텐베르크 프로젝트
[21] 웹인용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