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아 웹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아 웹스터는 1758년 코네티컷에서 태어난 미국의 언어학자, 사전 편찬자, 교육자, 정치 평론가이다. 그는 예일 대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활동하며 미국의 교육 현실에 불만을 느껴 영어 교육 개혁을 주도했다. 1783년 《영어 문법의 원리》를 시작으로 영어 교육 개혁에 힘썼으며, 1828년에는 20년 넘게 작업한 《미국 영어 사전》을 출판하여 미국 영어의 표준화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연방당 기관지 편집자로 활동하며 정치적 입장을 표명했고, 생애 말년에는 종교적인 관점을 보였다. 웹스터는 미국 영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의 노예제에 대한 입장 등 일부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어학자 - 새뮤얼 존슨
새뮤얼 존슨은 18세기 영국의 저명한 작가, 시인, 비평가, 사전 편찬가로서, 9년간 편찬한 영어 사전과 《런던》, 《인간 욕망의 허무》, 《라셀라스, 아비시니아 왕자》, 《영국 시인전집》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제임스 보스웰의 전기 《새뮤얼 존슨 전》으로 그의 삶과 업적이 알려져 있다. - 영어학자 - 조지프 프리스틀리
조지프 프리스틀리는 산소 발견, 전기 및 광학 연구 업적, 자유주의적 정치 사상과 유니테리언 신학으로 유명한 영국의 화학자, 신학자, 논리학자, 교육자, 정치 사상가이다. - 미국의 사전 편찬자 -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는 남북 전쟁 참전 후 정신 질환으로 살인을 저지르고 브로드무어 정신병원에 수감되었으나, 《옥스퍼드 영어 사전》 편찬에 수천 건의 인용문을 제공하며 크게 기여한 미국의 군의관이자 살인자이다. - 미국의 사전 편찬자 - 제임스 커티스 헵번
제임스 커티스 헵번은 일본에서 의료 활동과 교육 사업을 펼친 미국의 의사이자 선교사로, 일본 최초의 화영사전 편찬과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을 알리고 메이지 학원을 설립하여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다. - 1843년 사망 - 로버트 사우디
로버트 사우디는 1774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시인, 작가, 역사가로 활동했으며, 프랑스 혁명을 지지하다 보수주의로 전향하여 계관 시인으로 임명되었고, 넬슨 제독의 전기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 1843년 사망 - 요제프 라너
요제프 라너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겸 지휘자로 빈 왈츠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요한 슈트라우스 1세와 경쟁하며 빈 카니발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티푸스로 사망하여 슈트라우스 가문이 빈 왈츠계를 지배하는 계기가 되었고, 왈츠 외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겨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노아 웹스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노아 웹스터 주니어 |
출생일 | 1758년 10월 16일 |
출생지 | 영국령 아메리카 코네티컷 식민지 하트퍼드 서부 |
사망일 | 1843년 5월 28일 |
사망지 | 미국 코네티컷 주 뉴헤이븐 |
안장 장소 | 그로브 스트리트 묘지 |
거주지 | 하트퍼드 뉴욕 뉴헤이븐 |
자녀 | 8명 |
정치 활동 | |
소속 정당 | 연방당 |
직책 | 코네티컷 하원 의원 |
임기 시작 | 1800년; 1802년 |
임기 종료 | 1807년 |
교육 및 경력 | |
모교 | 예일 칼리지 |
직업 | 사전 편찬자 저술가 |
군 복무 | 코네티컷 민병대 |
소속 국가 | 미국 |
참전 전투 | 미국 독립 전쟁 |
저술 활동 | |
장르 | 사전, 교과서, 언어학 |
대표 작품 | 미국 영어 사전 블루백 스펠러 |
![]() | |
기타 |
2. 생애
노아 웹스터는 1758년 10월 16일 코네티컷 식민지 하트퍼드 서부(현 웨스트하트퍼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노아 웹스터 시니어는 코네티컷 주지사 존 웹스터의 후손이었고, 어머니 머시(스틸) 웹스터는 플리머스 식민지 주지사 윌리엄 브래드퍼드의 후손이었다.[6] 아버지는 농부이자 지역 청교도 교회의 집사, 민병대 대장, 지역 서적 협회 설립자였으며,[7] 미국 독립 후에는 사법 판사로 임명되었다.[8]
웹스터의 아버지는 교육을 중시했고,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철자, 수학, 음악을 가르쳤다.[9] 웹스터는 여섯 살 때 교회에서 운영하는 초등학교에 다녔지만, 교사의 자질과 종교 중심의 교육 내용에 불만을 느꼈다.[10] 이러한 경험은 훗날 그가 교육 개혁에 힘쓰게 된 계기가 되었다.[11]
열네 살 때, 웹스터는 교회 목사로부터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배웠고,[12] 열여섯 살 직전에 예일대학교에 입학했다. 예일대학교에서의 4년은 미국 독립 전쟁과 겹쳐 식량 부족과 영국군의 침략 위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웹스터는 코네티컷 민병대에서 복무하기도 했다. 아버지 노아 웹스터 시니어는 학비를 위해 농장을 담보로 잡았지만, 졸업 후 웹스터는 가족과 거의 연락하지 않았다.[13] 졸업 후, 교사로 일하며 법률 공부를 병행했지만, 어려움을 겪고 우울증에 빠지기도 했다. 1781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변호사로 일자리를 찾기 어려웠다.
웹스터는 예일대학교 졸업 후 교사 생활을 했지만, 열악한 환경과 낮은 급여에 좌절하여 법률 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 중이라 변호사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웠고, 우울증을 겪기도 했다. 이후 문필 활동을 통해 미국 혁명을 옹호하고 미국만의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785년까지 웹스터는 초등학교 교재인 철자 책, 문법책, 독본을 저술했다. 특히 파란색 표지의 철자 책은 큰 인기를 얻어 웹스터가 사전 작업에 몰두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그는 미국 민족주의의 지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의 저작물을 헌신했다.
웹스터는 교사로서 미국의 초등학교 교육에 불만을 느꼈다. 과밀 학급, 열악한 환경, 부적절한 영국 교과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어린이들이 미국 책으로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3권으로 구성된 ''영어 문법 연구소(A Grammatical Institute of the English Language)''를 집필하여 독창적인 미국 교육 방식을 제공하고자 했다.
웹스터는 영어 문법과 발음을 둘러싼 학자들의 논쟁에서 "우리의 모국어"를 구출하는 것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개선점으로 여겼다. 그는 영국 귀족들이 영어 철자와 발음의 기준을 설정하여 영어가 타락했다고 비판하며, 미국 언어의 적절한 기준은 "미국 시민 및 교회 헌법과 같은 공화주의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즉, 국민이 언어를 통제해야 하며, 정부의 국민 주권은 언어의 대중적 사용과 함께해야 한다는 것이다.
웹스터는 학생들의 학습 단계를 고려하여 철자 교재를 구성했다. 그는 학생들이 복잡한 문제를 구성 요소로 나누고 각 부분을 마스터한 후 다음 부분으로 넘어갈 때 가장 쉽게 배운다고 믿었다. 이는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 관련된 통찰력을 보여준다.
''철자 교재''는 원래 ''영어 문법 연구소 제1부(The First Part of the Grammatical Institute of the English Language)''라는 제목이었으나, 1786년에 ''미국 철자 교재(The American Spelling Book)''로, 1829년에 ''초등 철자 교재(The Elementary Spelling Book)''로 변경되었다. 파란색 표지 때문에 "파란색 표지 철자 교재(Blue-Backed Speller)"라고 불렸으며, 100년 동안 미국 어린이들에게 읽기, 철자, 발음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다. 1890년까지 약 6,000만 권이 팔릴 정도로 인기가 높았으며, 철자 벌(spelling bee) 대회를 만드는 데도 기여했다.
웹스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책의 철자를 더 음성적인 것으로 변경했다. ''defense'', ''color'', ''traveler''와 같은 철자를 선택하고, ''center''와 같은 단어에서 ''re''를 ''er''로 변경했다.
웹스터는 저작권법 제정을 위해 노력하며, 조지 워싱턴 등 주요 인사들과 교류했다. 그는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수입을 얻고자 했다.
1793년, 알렉산더 해밀턴은 노아 웹스터에게 뉴욕으로 이주하여 연방당 신문을 편집할 수 있도록 1500USD를 빌려주었다.[30] 그해 12월, 웹스터는 뉴욕 최초의 일간 신문인 ''아메리칸 미네르바(American Minerva)''를 창간했으며, 나중에 ''상업 광고주(Commercial Advertiser)''로 이름을 바꾸고 4년 동안 편집했다. 그는 또한 주 2회 발행되는 ''헤럴드, 시골을 위한 가제트(The Herald, A Gazette for the country)'' (나중에 ''뉴욕 스펙테이터(New-York Spectator)''로 변경)를 발행했다.
웹스터는 연방당의 대변인으로서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 행정부의 정책, 특히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중립 외교 정책을 옹호했다.[30] 또한 프랑스 혁명과 그 공포 정치의 과잉을 비판했다.[30] 에드몽 샤를 주네(Edmond-Charles Genêt)가 미국 정치에 개입하고 워싱턴 대통령을 공격하는 자코뱅 지지자들의 "민주공화당 사회(Democratic-Republican Societies)" 네트워크를 구축했을 때, 웹스터는 이를 비난했다.[30] 그는 미국과 영국 사이의 제이 조약을 옹호했고, 그 결과 제퍼슨 공화당원들로부터 "겁 많은, 불완전하게 태어난, 자칭 애국자", "치유 불가능한 광인", "기만적인 소문꾼... 교사이자 돌팔이"라는 비난을 받았다.[30]
1806년, 웹스터는 첫 번째 사전인 '''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간결 영어 사전)을 출판했다.[96] 이 사전에는 약 4만 단어가 수록되었으며,[75] 웹스터는 앵글로색슨어 연구를 바탕으로 사무엘 존슨의 사전을 비판하고, 철자 개혁을 추진했다.[45][46][47]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고, 초판 7,000부를 모두 판매하지 못했다.[50]
1807년, 웹스터는 더욱 방대한 사전인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미국 영어 사전) 작업을 시작했다.[76] 단어의 어원을 평가하기 위해 고대 영어, 고딕어, 독일어, 그리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웨일스어, 러시아어, 히브리어, 아람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산스크리트어를 포함한 28개 언어를 배웠다.[45] 그의 목표는 미국 영어를 표준화하는 것이었다.[45] 1825년 1월, 영국 캠브리지에서 사전 작업을 완료했다.[48]
1828년, 20여 년의 노력 끝에 미국 영어 사전(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이 출판되었다.[76] 이 사전에는 7만 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었는데, 그중 1만 2천 개는 이전에 출판된 사전에 등장한 적이 없는 단어들이었다.[49] 철자 개혁가로서 웹스터는 발음에 더 잘 맞는 철자를 선호했으며,[36] "skunk"와 같은 미국식 단어를 추가했다.[36] 미국에서 2,500부, 영국에서 3,000부가 발행되었으며, 영국에서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다.[49]
웹스터 사후, 그의 사전은 조지와 찰스 머리엄 형제가 인수한 머리엄-웹스터(Merriam-Webster) 사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51]
젊은 시절 웹스터는 자유사상가였으나, 1808년 칼뱅주의 정통 신앙으로 개종하여 이후 국가의 기독교화 필요성을 설파한 독실한 미합중국 성공회 신자가 되었다.[56] 그는 언어를 파괴적인 사상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보았다. 그의 『미국 사전』(American Dictionary)은 인간의 욕망과 개인주의에 대한 사회적 통제의 미덕, 권위에 대한 복종, 그리고 신에 대한 두려움을 강조했는데, 이는 미국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57]
그의 1828년판 『미국 사전』에는 어떤 참고 자료보다 많은 성경적 정의가 포함되어 있었다. 웹스터는 교육에 대해 "성경 없이는 교육이 무용하다. 성경은 모든 분야에서 미국의 기본 교과서였다. 성경에 담긴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행실을 인도하는 모든 필요한 규칙을 제공했다."라고 말했다.[58][59]
웹스터는 1833년 킹 제임스 성경을 기반으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과 다양한 다른 번역본 및 주석을 참고하여 보통역(Common Version)이라는 자신의 성경 판본을 출판했다. 그는 킹 제임스 성경을 수정하여 문법을 바로잡고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단어를 바꾸었으며, 불쾌하게 여겨질 수 있는 단어와 구절을 삭제했다.
1834년 그는 성경과 기독교 자체를 옹호하는 변증서인 『성경의 가치와 기독교의 우수성』(Value of the Bible and Excellence of the Christian Religion)을 출판했다.
초기에는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을 지지했던 웹스터는 1791년 코네티컷 노예제 폐지 협회(Connecticut Society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설립을 도왔다.[60] 그러나 1830년대에 이르러 그는 노예제도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미국인들도 그 제도에 연루되어 있다는 폐지론 운동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기 시작했다. 1837년 웹스터는 딸 엘리자의 폐지론 운동 지지에 대해 비판하며, "노예제는 큰 죄악이자 일반적인 재앙이지만, 그것은 '우리'의 죄가 아니다. (중략) 법적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 북쪽으로 와서 설교하고 '우리'의 평화를 방해하는 것은 내 생각에는 매우 범죄적인 일이며, 폐지론 설교자들은 교도소에 들어갈 만하다"라고 적었다.[62]
웹스터의 저술과 사전은 미국 영어와 교육 시스템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웹스터 사전》은 미국 영어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하였다.[96] 1843년 사망 후, 웹스터는 뉴헤이븐 그로브 스트리트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웹스터는 1758년 10월 16일 코네티컷 식민지 하트퍼드 서부(현 웨스트하트퍼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노아 웹스터 시니어(1722~1813)는 코네티컷 주지사 존 웹스터의 후손이었고, 어머니 머시(스틸) 웹스터(1727~1794)는 플리머스 식민지 주지사 윌리엄 브래드퍼드의 후손이었다.[6] 아버지는 농부이자 지역 청교도 교회의 집사, 민병대 대장, 지역 서적 협회 설립자였으며,[7] 미국 독립 후에는 사법 판사로 임명되었다.[8]웹스터의 아버지는 교육을 중시했고,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철자, 수학, 음악을 가르쳤다.[9] 웹스터는 여섯 살 때 교회에서 운영하는 초등학교에 다녔지만, 교사의 자질과 종교 중심의 교육 내용에 불만을 느꼈다.[10] 이러한 경험은 그가 훗날 교육 개혁에 힘쓰게 된 계기가 되었다.[11]
열네 살 때, 웹스터는 교회 목사로부터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배웠고,[12] 열여섯 살 직전에 예일대학교에 입학했다. 예일대학교에서의 4년은 미국 독립 전쟁과 겹쳐 식량 부족과 영국군의 침략 위협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웹스터는 코네티컷 민병대에서 복무하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는 웹스터의 학비를 위해 농장을 담보로 잡았지만, 졸업 후 웹스터는 가족과 거의 연락하지 않았다.[13] 졸업 후, 웹스터는 교사로 일하며 법률 공부를 병행했지만, 어려움을 겪고 우울증에 빠지기도 했다. 1781년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변호사로 일자리를 찾기 어려웠다.
2. 2. 교육자 및 저술가로서의 활동
웹스터는 예일대학교 졸업 후 교사 생활을 했지만, 열악한 환경과 낮은 급여에 좌절하여 법률 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 중이라 변호사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웠고, 우울증을 겪기도 했다. 이후 문필 활동을 통해 미국 혁명을 옹호하고 미국만의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785년까지 웹스터는 초등학교 교재인 철자 책, 문법책, 독본을 저술했다. 특히 파란색 표지의 철자 책은 큰 인기를 얻어 웹스터가 사전 작업에 몰두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그는 미국 민족주의의 지적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의 저작물을 헌신했다.
웹스터는 교사로서 미국의 초등학교 교육에 불만을 느꼈다. 과밀 학급, 열악한 환경, 부적절한 영국 교과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어린이들이 미국 책으로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3권으로 구성된 ''영어 문법 연구소(A Grammatical Institute of the English Language)''를 집필하여 독창적인 미국 교육 방식을 제공하고자 했다.
- '''영어 문법 연구소'' 구성 (1783년 ~ 1785년)
제목 | 출판 연도 | 내용 |
---|---|---|
철자 교재 (Speller) | 1783년 | 읽기, 철자, 발음 교육. 1829년 초등 철자 교재(The Elementary Spelling Book)로 변경. |
문법 교재 | 1784년 | 영어 문법 교육 |
독서 교재 (Reader) | 1785년 | 마음을 고양시키고 "덕과 애국심의 원리를 널리 퍼뜨리기 위해" 고안됨. |
웹스터는 영어 문법과 발음을 둘러싼 학자들의 논쟁에서 "우리의 모국어"를 구출하는 것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개선점으로 여겼다. 그는 영국 귀족들이 영어 철자와 발음의 기준을 설정하여 영어가 타락했다고 비판하며, 미국 언어의 적절한 기준은 "미국 시민 및 교회 헌법과 같은 공화주의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즉, 국민이 언어를 통제해야 하며, 정부의 국민 주권은 언어의 대중적 사용과 함께해야 한다는 것이다.
웹스터는 학생들의 학습 단계를 고려하여 철자 교재를 구성했다. 그는 학생들이 복잡한 문제를 구성 요소로 나누고 각 부분을 마스터한 후 다음 부분으로 넘어갈 때 가장 쉽게 배운다고 믿었다. 이는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 관련된 통찰력을 보여준다.
''철자 교재''는 원래 ''영어 문법 연구소 제1부(The First Part of the Grammatical Institute of the English Language)''라는 제목이었으나, 1786년에 ''미국 철자 교재(The American Spelling Book)''로, 1829년에 ''초등 철자 교재(The Elementary Spelling Book)''로 변경되었다. 파란색 표지 때문에 "파란색 표지 철자 교재(Blue-Backed Speller)"라고 불렸으며, 100년 동안 미국 어린이들에게 읽기, 철자, 발음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었다. 1890년까지 약 6,000만 권이 팔릴 정도로 인기가 높았으며, 철자 벌(spelling bee) 대회를 만드는 데도 기여했다.
웹스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책의 철자를 더 음성적인 것으로 변경했다. ''defense'', ''color'', ''traveler''와 같은 철자를 선택하고, ''center''와 같은 단어에서 ''re''를 ''er''로 변경했다.
웹스터는 저작권법 제정을 위해 노력하며, 조지 워싱턴 등 주요 인사들과 교류했다. 그는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수입을 얻고자 했다.
2. 3. 연방주의 편집자
1793년, 알렉산더 해밀턴은 노아 웹스터에게 뉴욕으로 이주하여 연방당 신문을 편집할 수 있도록 1500USD를 빌려주었다.[30] 그해 12월, 웹스터는 뉴욕 최초의 일간 신문인 ''아메리칸 미네르바(American Minerva)''를 창간했으며, 나중에 ''상업 광고주(Commercial Advertiser)''로 이름을 바꾸고 4년 동안 편집했다. 그는 또한 주 2회 발행되는 ''헤럴드, 시골을 위한 가제트(The Herald, A Gazette for the country)'' (나중에 ''뉴욕 스펙테이터(New-York Spectator)''로 변경)를 발행했다.웹스터는 연방당의 대변인으로서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 행정부의 정책, 특히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중립 외교 정책을 옹호했다.[30] 또한 프랑스 혁명과 그 공포 정치의 과잉을 비판했다.[30] 에드몽 샤를 주네(Edmond-Charles Genêt)가 미국 정치에 개입하고 워싱턴 대통령을 공격하는 자코뱅 지지자들의 "민주공화당 사회(Democratic-Republican Societies)" 네트워크를 구축했을 때, 웹스터는 이를 비난했다.[30] 그는 미국과 영국 사이의 제이 조약을 옹호했고, 그 결과 제퍼슨 공화당원들로부터 "겁 많은, 불완전하게 태어난, 자칭 애국자", "치유 불가능한 광인", "기만적인 소문꾼... 교사이자 돌팔이"라는 비난을 받았다.[30]
2. 4. 사전 편찬
1806년, 웹스터는 첫 번째 사전인 '''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간결 영어 사전)을 출판했다.[96] 이 사전에는 약 4만 단어가 수록되었으며,[75] 웹스터는 앵글로색슨어 연구를 바탕으로 사무엘 존슨의 사전을 비판하고, 철자 개혁을 추진했다.[45][46][47]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고, 초판 7,000부를 모두 판매하지 못했다.[50]1807년, 웹스터는 더욱 방대한 사전인 ''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미국 영어 사전) 작업을 시작했다.[76] 단어의 어원을 평가하기 위해 고대 영어, 고딕어, 독일어, 그리스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웨일스어, 러시아어, 히브리어, 아람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산스크리트어를 포함한 28개 언어를 배웠다.[45] 그의 목표는 미국 영어를 표준화하는 것이었다.[45] 1825년 1월, 영국 캠브리지에서 사전 작업을 완료했다.[48]
1828년, 20여 년의 노력 끝에 미국 영어 사전(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이 출판되었다.[76] 이 사전에는 7만 개의 단어가 수록되어 있었는데, 그중 1만 2천 개는 이전에 출판된 사전에 등장한 적이 없는 단어들이었다.[49] 철자 개혁가로서 웹스터는 발음에 더 잘 맞는 철자를 선호했으며,[36] "skunk"와 같은 미국식 단어를 추가했다.[36] 미국에서 2,500부, 영국에서 3,000부가 발행되었으며, 영국에서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다.[49]
웹스터 사후, 그의 사전은 조지와 찰스 머리엄 형제가 인수한 머리엄-웹스터(Merriam-Webster) 사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51]
2. 5. 종교 및 사회적 관점
젊은 시절 웹스터는 자유사상가였으나, 1808년 칼뱅주의 정통 신앙으로 개종하여 이후 국가의 기독교화 필요성을 설파한 독실한 미합중국 성공회 신자가 되었다.[56] 그는 언어를 파괴적인 사상을 통제하는 수단으로 보았다. 그의 『미국 사전』(American Dictionary)은 인간의 욕망과 개인주의에 대한 사회적 통제의 미덕, 권위에 대한 복종, 그리고 신에 대한 두려움을 강조했는데, 이는 미국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이었다.[57]그의 1828년판 『미국 사전』에는 어떤 참고 자료보다 많은 성경적 정의가 포함되어 있었다. 웹스터는 교육에 대해 "성경 없이는 교육이 무용하다. 성경은 모든 분야에서 미국의 기본 교과서였다. 성경에 담긴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행실을 인도하는 모든 필요한 규칙을 제공했다."라고 말했다.[58][59]
웹스터는 1833년 킹 제임스 성경을 기반으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전과 다양한 다른 번역본 및 주석을 참고하여 보통역(Common Version)이라는 자신의 성경 판본을 출판했다. 그는 킹 제임스 성경을 수정하여 문법을 바로잡고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단어를 바꾸었으며, 불쾌하게 여겨질 수 있는 단어와 구절을 삭제했다.
1834년 그는 성경과 기독교 자체를 옹호하는 변증서인 『성경의 가치와 기독교의 우수성』(Value of the Bible and Excellence of the Christian Religion)을 출판했다.
초기에는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을 지지했던 웹스터는 1791년 코네티컷 노예제 폐지 협회(Connecticut Society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설립을 도왔다.[60] 그러나 1830년대에 이르러 그는 노예제도에 적극적으로 반대하지 않는 미국인들도 그 제도에 연루되어 있다는 폐지론 운동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기 시작했다. 1837년 웹스터는 딸 엘리자의 폐지론 운동 지지에 대해 비판하며, "노예제는 큰 죄악이자 일반적인 재앙이지만, 그것은 '우리'의 죄가 아니다. (중략) 법적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때 북쪽으로 와서 설교하고 '우리'의 평화를 방해하는 것은 내 생각에는 매우 범죄적인 일이며, 폐지론 설교자들은 교도소에 들어갈 만하다"라고 적었다.[62]
2. 6. 말년 및 유산
웹스터의 저술과 사전은 미국 영어와 교육 시스템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웹스터 사전》은 미국 영어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하였다.[96] 1843년 사망 후, 웹스터는 뉴헤이븐 그로브 스트리트 묘지에 안장되었다.3. 주요 저작
제목 | 출판 연도 | 비고 |
---|---|---|
영어 문법의 원리(A Grammatical Institute of the English Language) | 1783년 ~ 1785년 | 3권으로 구성된 영어 교과서[67] |
미국 철자 교과서(The American Spelling Book) | 1783년 | 1787년 『미국 철자 교본』[80]으로, 1829년 『초등 철자 교본』[81]으로 제목 변경. |
영어 언어에 대한 논문(Dissertation on the English Language) | 1789년 | |
도덕, 역사, 정치, 문학적 주제에 대한 수필 및 단편 작품 모음 (Collection of Essays and Fugitive Writings on Moral, Historical, Political, and Literary Subjects) | 1790년 | |
간결 영어 사전(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75] | 1806년 | |
미국 영어 사전(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76] | 1828년 | 웹스터 사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코먼 버전(Common Version) | 1833년 | 성경 개정판[78] |
성경의 가치와 기독교의 우수성(Value of the Bible and Excellence of the Christian Religion) | 1834년 |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서 퍼블릭 도메인이 된 노아 웹스터의 웹스터 사전을 무료로 찾아볼 수 있다.[96]
4.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서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된 노아 웹스터의 웹스터 사전을 무료로 볼 수 있다.[96] 《웹스터 사전》은 한국에서 영어 학습 교재로 널리 활용되었으며, 한국의 영어 교육 방식과 영어 학습 자료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5. 비판 및 논란
웹스터는 1800년경부터 사전 편찬 사업에 착수하여 그 방침을 신문 등에 발표했는데, 여러 방면에서 비판이 쏟아졌다.[91] 비판의 요인으로는 웹스터의 정치적 사상과 언어학적 사상의 모순을 들 수 있다.
1806년 출판된 『간략 영어 사전』(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은 웹스터가 출판한 첫 번째 사전으로, 약 4만 단어를 수록했다.[91] 이 사전에서 웹스터는 자신의 앵글로색슨어 연구를 바탕으로 사무엘 존슨의 사전을 비판하고, 철자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고, 초판 7,000부를 모두 판매하지 못했다.
1828년 출판된 『미국어 사전』(An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에는 약 7만 3천 단어가 수록되어 있었는데, 미국에서 2,500부가 발행된 데 이어 영국에서 3,000부가 발행되어 오히려 영국에서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판매 부진을 가격 문제로 본 웹스터는 크기와 페이지 수를 줄인 저가판을 기획하여 출판을 제안했고, 조지프 우스터를 고용하여 1829년 『간략판 미국어 사전』(An Abridged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을 출판했다. 원본은 절판되었지만, 이 간략판은 여러 차례 재판을 거듭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1841년에는 『미국어 사전』의 "제2판"이 출판되었다. 『간략판』과 같은 크기로 소형화되었지만, 내용은 초판을 증보·수정한 것이며, 역시 2권 구성이었다. 미국의 영어는 영국의 영어와 결별해야 한다는 웹스터의 사상은 이때까지 크게 후퇴했다. 웹스터는 이 사전을 빅토리아 여왕에게 헌정했고, 빅토리아 여왕은 사전의 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웹스터의 사전이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웹스터 사후, 조지 앤드 찰스 미리엄사가 권리와 제2판 재고를 매입한 1843년 이후이다. 미리엄사는 사전의 개정을 실시했다. 개정과 재편이 반복된 『웹스터 사전』은 미국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았고, 19세기 중반에는 이미 "웹스터"가 "사전"과 동의어가 되었다.
노아 웹스터의 사상은 일생 동안 일관되지 않았으며, 그는 후년에 스스로 "나는 평생 동안 자신의 견해를 바꿔왔습니다."라고 말했다. 웹스터는 초기에는 연방주의를 지지하는 혁명 옹호 독립주의자였다. 그러나 그의 배경에는 몽테스키외, 리처드 프라이스, 루소와 같은 구대륙의 급진적인 사상가들의 영향이 있었다. 웹스터는 초기 독립 미국을 이러한 급진적인 사상들이 실천 단계에 들어선 신세계로 간주하고, 이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국가상으로서 강력한 중앙 정부에 의해 통합되고 구세계로부터 문화적으로 독립된 이상향 미국을 그렸다.
그 이상향 건설에 있어 웹스터는 언어적 독립을 특히 중요시하여 미국 영어를 미국인의 뿌리로서 자랑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연방 언어" 프로젝트에 전념했다. 교과서와 사전은 이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도구였다. 언어를 기점으로 미국의 문화적 독립을 목표로 했던 웹스터의 시도는 랄프 에머슨이 외친 "지적 독립 선언"을 50년 앞선 도전이었다고 볼 수도 있다.[92]
자유와 권리의 확대를 기조로 하는 웹스터의 혁명주의에 전환을 강요한 것은 프랑스 혁명이었다. 자유와 권리를 외쳤던 프랑스에 기요틴이 상징하는 공포 정치 체제가 출현한 것을 목격한 웹스터는 그 요인을 분석하여 왕이라는 권위를 배척한 것이 근원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후 웹스터는 자유와 평등의 절대적 가치를 회의하고, 당시의 맥락에서의 민주주의에 저항하는 자로서 권위주의·엘리트주의로의 편향을 강화해 갔다. 1808년 종교적 개종을 함으로써 종교적 규범을 강조하는 자세도 강해졌다. 『미국 영어 사전』에는 인간의 감정과 개인주의에 대한 사회적 억압의 필요성과 권위에 대한 복종, 신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미덕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그것들이 미국의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는 주장을 볼 수 있다. 낙관적인 혁명가였던 노아 웹스터는 1820년대에는 염세적인 비평가로 변모해 있었다.
5. 1. 표절 의혹
일부 학자들은 웹스터의 사전 작업이 기존 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고 비판한다.[91] 웹스터는 1800년경부터 사전 편찬 사업에 착수하여 그 방침을 신문 등에 발표했는데, 여러 방면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비판의 요인으로는 웹스터의 정치적 사상과 언어학적 사상의 모순을 들 수 있다. 문화적 보수파에 속하는 연방당 지지자들은 사전 편찬 방침이 너무 포괄적이고 저속하다고 여겼다. 반면, 반권위주의적 경향을 가진 민주공화당 지지자들은 편찬이 구적(舊敵)인 연방주의자들에 의한 것이라는 이유로 공격했다.5. 2. 언어관의 모순
웹스터의 언어관은 때때로 모순적이라는 지적이 있었다.[91]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연방당 지지자들은 웹스터의 사전 편찬 방침이 너무 급진적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반권위주의적 경향을 가진 민주공화당 지지자들은 웹스터가 과거 연방주의자였다는 이유로 그의 작업을 공격했다.5. 3. 노예제에 대한 입장
노아 웹스터는 노예 제도에 맞서 시 「흑인의 슬픔(The Negro's Lament)」[95]을 발표하는 등, 도덕적, 경제적 측면에서 노예 제도 폐지를 지지했다. 그는 여러 반노예제 단체를 지원하고 언론을 통해 노예 제도 폐지를 주장했다.[95]그러나 웹스터는 즉각적인 노예 해방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흑인에게 점진적으로 토지를 주어 소작농으로 만들고 노예 소유주는 지주로 전환하는 100년 단위의 점진적 해결책을 제시했다.[95]

6. 평가
노아 웹스터에 대한 평가는 주어진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공된 소스는 구텐베르크 프로젝트에서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된 웹스터 사전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96]
참조
[1]
웹사이트
Noah Webster and the Dream of a Common Language
http://connecticuthi[...]
Connecticut Humanities
2015-07-24
[2]
웹사이트
Connecticut Births and Christenings, 1649–1906
https://familysearch[...]
2015-07-24
[3]
웹사이트
Noah Webster
https://web.archive.[...]
2019-07-31
[4]
웹사이트
The Abolitionist Movement » Farmington Historical Society
https://fhs-ct.org/?[...]
2024-10-24
[5]
웹사이트
Author Search Results
https://catalog.libr[...]
2024-11-07
[6]
문서
Noah had two brothers, Abraham (1751–1831) and Charles (b. 1762), and two sisters, Mercy (1749–1820) and Jerusha (1756–1831).
[7]
서적
The Forgotten Founding Father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The Long Journey of Noah Webster
1980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1980
[24]
서적
[25]
웹사이트
Noah Webster Biography {{!}} Noah Webster House and West Hartford Historical Society {{!}} West Hartford, Connecticut (CT)
https://web.archive.[...]
2017-01-27
[26]
서적
The Forgotten Founding Father
[27]
논문
Noah Webster and the Influence of Rousseau on Education in America, 1785–1835
https://www.journals[...]
2024-09-01
[28]
서적
Noah Webster and the America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5-01-21
[29]
서적
Genealogy of the Greenleaf family
https://archive.org/[...]
F. Wood
[30]
서적
[31]
논문
Noah Webster—Historical Epidemiologist
https://academic.oup[...]
1965
[32]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W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4-08-07
[3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07
[34]
논문
Declarations of Cultural Independence: The Nationalistic Imperative Behind the Passage of Early American Copyright Laws, 1783–1787
https://ssrn.com/abs[...]
[35]
서적
[36]
서적
The Effects of the Revolution on Language
John Wiley & Sons
[37]
서적
[38]
서적
Noah Webster, schoolmaster to America
Octagon
[39]
학술지
Noah Webster and the Influence of Rousseau on Education in America, 1785–1835
https://www.journals[...]
2024-09-01
[40]
서적
The forgotten founding father: Noah Webster's obsession and the creation of an American culture
Putnam
2010
[41]
서적
After the Revolution: Profiles of Early American Culture
[42]
서적
[43]
서적
McGuffey and His Readers: Piety, Morality, and Education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https://archive.org/[...]
Abingdon
[44]
학술지
Noah Webster and the Idea of a National Culture: the Pathologies of Epistemology
[45]
웹사이트
The Standardization of American English
http://www.teachingh[...]
2012-03-21
[46]
학술지
Etymology, Anglo-Saxon, and Noah Webster
http://www.jstor.org[...]
Duke University Press
1946-02-01
[47]
서적
Words and Ways of American English
Random House
[48]
서적
The Story of America: Essays on Orig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49]
서적
Chronology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archive.org/[...]
McFarland
2012-04-13
[50]
웹사이트
Noah Webster American lexicographer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3-01
[51]
뉴스
Look it up Noah Webster's famous dictionary was
https://www.nhregist[...]
New Haven Register
2011-04-10
[52]
서적
Websterisms: A Collection of Words and Definitions Set Forth by the Founding Father of American English
Free Press
[53]
학술지
'I Could Not Have Defined the Change': Rereading Dickinson's Definition Poetry
[54]
논문
Lost in the Maze of Words: Reading and Re-reading Noah Webster's Dictionaries
[55]
학술지
Gazing at the Imperial Dictionary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A Crisis of Community: The Trials and Transformation of a New England Town, 1815–184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59]
웹사이트
Notable Quotes
http://webstersdicti[...]
2019-04-10
[60]
서적
Noah Webster and the First America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PowerPlus Books
2011-12-09
[61]
웹사이트
The Long and Gruesome History of the Battle Over American Textbooks
https://www.esquire.[...]
Esquire
2022-09-27
[62]
간행물
Lessons from the Heart and Hearth of Colonial Philadelphia: Reflections on Education, As Reflected in Colonial Era Correspondence to Wives
http://americanaejou[...]
[63]
웹사이트
Copyright Act (1831), Primary Sources on Copyright (1450–1900), eds L. Bently & M. Kretschmer
https://web.archive.[...]
Copyrighthistory.org
2011-12-09
[64]
학술지
Declarations of Cultural Independence: The Nationalistic Imperative Behind the Passage of Early American Copyright Laws, 1783–1787
https://ssrn.com/abs[...]
[65]
서적
The Romance of Wisconsin Place Names
https://books.google[...]
Wisconsin Historical Society Press
2015-09-09
[66]
뉴스
New York Packet
[67]
서적
A Grammatical Institute of the English Language
[68]
서적
Blue-backed Speller
[69]
서적
An Examination into the Leading Principles of the Federal Constitution Proposed by the Late Convention Held at Philadelphia
[70]
간행물
The American Magazine
[71]
서적
Dissertations on the English Language: with Notes Historical and Critical
[72]
문서
American Minerva
[73]
문서
The Herald, a Gazette for the Country
[74]
웹사이트
Member Directory: Noah Webster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23-06-30
[75]
서적
A Compendious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76]
서적
American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7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07
[78]
문서
The Common Version
[79]
웹사이트
The Standardization of American English
http://www.teachingh[...]
2012-03-21
[80]
서적
The American Spelling Book
[81]
서적
The Elementary Spelling Book
[82]
문서
schoolmaster of America
[83]
서적
A New Guide to the English Tongue
[84]
문서
The New England Primer
[85]
서적
Vision of Columbus
[86]
서적
The Conquest of Canaan
[87]
서적
M'Fingal
[88]
서적
The Crisis
[89]
서적
McGuffey and His Readers: Piety, Morality, and Education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https://archive.org/[...]
Abingdon
[90]
간행물
『精選マクガフィー読本』にみる19世紀アメリカの学校教育の歴史
[91]
서적
Websterisms: A Collection of Words and Definitions Set Forth by the Founding Father of American English
Free Press
[92]
비디오
An Abbreviated History of American English Spelling: Soop, wimmen, and headake did not make the cut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Inc.
2023-07-03
[93]
웹사이트
Noah Webster and Religion
https://noahwebsterh[...]
Noah Webster House
2023-06-29
[94]
문서
Righteousness
[95]
서적
The Negroes' Complaint
[96]
웹사이트
The Gutenberg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http://www.gutenbe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