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진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멸진정은 마음과 마음작용을 소멸시키는 선정으로,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멸정이라고 칭한다.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무상정과 마찬가지로 마음과 마음작용을 소멸시키는 선정이며, 무상정은 해탈을 위해 출리상을 작의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는 반면, 멸진정은 정주를 위해 지식상을 작의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멸진정은 무색계의 비상비비상처에만 존재하며, 부처와 구해탈을 성취한 아라한만이 득할 수 있는 선정이다. 멸진정은 이생이나 외도는 닦을 수 없고, 성도에 의해 일어난다.
2. 부파불교
2. 1. 아비달마품류족론
무소유처의 번뇌[染]를 떠난 상태에서 지식상(止息想: 멈추어 쉬려는 생각, 의도 또는 의지)을 작의(作意: 결심하고 실행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음과 마음작용이 소멸되는 선정이다.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멸진정(滅盡定)을 멸정(滅定)이라고 칭하고 있다.
2. 2.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에 따르면, 멸진정(滅盡定)은 무상정과 마찬가지로 마음과 마음작용을 소멸시키는 선정이며, 개별적 실체, 즉 실유(實有) 또는 실법(實法)이다.
두 선정 모두 마음과 마음작용을 소멸시킨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무상정은 해탈을 구하기 위해 출리상(出離想: 벗어나 떠나려는 생각, 의도 또는 의지)을 작의(作意: 결심하고 실행함)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멸진정은 정주(靜住: 마음이 산란을 떠나 고요히 머무는 것)를 구하기 위해 지식상(止息想: 멈추어 쉬려는 생각, 의도 또는 의지)을 작의(作意: 결심하고 실행함)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무상정이 색계의 4선천(四禪天) 중 최고위인 제4정려에 존재하는 반면, 멸진정은 무색계의 4천(四天) 중 최고위인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에만 존재한다. 유정(有頂, bhavāgra]]/:en:bhavāgrasa)은
2. 3. 아비달마순정리론
wikitable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
---|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3. 대승불교
3. 1.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은 멸진정에 대해 다루고 있지 않다.
3. 2. 현양성교론
}}}}}} 추가해] 주세요.}}
|크기 = 왼쪽
}}
3. 3. 대승아비달마집론·잡집론
wikitext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멸진정 문서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3. 4. 대승오온론·광오온론
wikitable
반야온론해설/पञ्चस्कन्ध प्रकरणवैभाष्यsa |
---|
반야온론/पञ्चस्कन्ध प्रकरणsa의 내용을 세친이 해설한 주석서이다. |
3. 5. 대승백법명문론·해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3. 6. 성유식론
성유식론에서는 멸진정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