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블랑 터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블랑 터널은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총 길이 11.6km의 도로 터널로, 1959년부터 1965년까지 6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19세기부터 구상되었으며, 1950년대에 건설이 결정되어 1965년 개통되었다. 1999년 화재 사고로 인해 3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하였고, 이후 안전 시설을 강화하여 2002년에 재개통되었다. 2010년에는 하루 평균 4,945대의 차량이 통행하였으며, 통행료가 부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프랑스 국경 - 보니파시오 해협
    보니파시오 해협은 코르시카와 사르데냐 사이의 좁고 항해하기 까다로운 해협으로, 얕은 수심, 강한 해류, 강풍, 그리고 작은 섬과 암초들로 이루어져 있다.
  • 이탈리아-프랑스 국경 - 몽블랑산
    프랑스와 이탈리아 사이에 있는 몽블랑산은 알프스산맥의 최고봉으로, "하얀 산"이라는 뜻을 가지며 등반객들에게 인기가 많지만 사고도 잦고, 정상 소유권을 두고 논쟁이 있으며,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고,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는 문화적 의미도 지닌다.
몽블랑 터널
일반 정보
이름몽블랑 터널
다른 이름
위치프랑스, 이탈리아
노선[[File:Route nationale française 205.svg|x16px|link=Route Nationale 205]] RN205
[[File:Traforo T1 Italia.svg|x22px]] T1
상태개방
시작점샤모니=몽=블랑, 오트사부아주, 프랑스
종료점쿠르마유르, 발레다오스타주, 이탈리아
착공1959년 5월 (1946년)
개통1965년 7월 19일
소유자불명
운영자MBT-EEIG, ATMB와 SITMB에 의해 통제됨
통행자동차
특징승객 및 화물
통행료2020년 기준 승용차 편도 €48
3축 이상 차량 편도 300유로 이상
일일 교통량불명
건설1959–65년 (1946년)
길이11.611 km
차선 수2
속도 제한50 - 70 km/h
최고 지점1395 m (중앙)
최저 지점1274 m (프랑스 북서쪽)
높이4.35 m
8.6 m
경사도불명
프랑스측 갱문 (입구)
프랑스측 갱문 (입구)

2. 건설

몽블랑 터널은 1959년부터 1965년까지 6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1946년에 처음 계획이 나왔고, 1953년 양국 의회에서 건설이 결정되었다. 1959년 착공하여 5명의 기술자와 350명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총 460만 인시(人時)가 소요되었다.[5]

공사에는 711ton의 폭약을 사용하여 555000m3의 암석을 파쇄했고, 3700만 킬로와트시의 전력과 트럭 및 엔진용 연료 2700000L가 사용되었다. 아치 지지를 위해 771,240개의 볼트, 6,900개의 드릴 로드, 300ton의 철재가 사용되었으며, 60000ton의 시멘트(280000m3골재와 혼합)를 위해 5000m3의 거푸집이 사용되었다.[5]

터널은 총 길이 11.6km, 폭 8.6m, 높이 4.35m의 2차선 대면 통행 터널로 건설되었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계획

몽블랑 아래에 터널을 건설하여 긴 여정을 피하자는 아이디어는 철도의 전성기였던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이 아이디어는 1907년 아오스타 계곡 의회 의원인 프란체스코 파리넷이 터널 건설을 옹호하면서 널리 주목받기 시작했다.[5] 1908년 프랑스 엔지니어 아르놀 모노가 처음으로 설계안을 제시했고, 이탈리아와 프랑스 정치인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5]

정치적 혼란과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이 프로젝트는 1959년까지 시작되지 못했으며, 이때 터널 굴착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5] 이보다 앞서 1954년 이탈리아와 1957년 프랑스 의회에서 터널 건설을 위한 국가 헌장이 비준되었다. 그 해, STMB (''Société du tunnel du Mont Blanc'', 몽블랑 터널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1996년 ATMB (''Autoroutes et Tunnel du Mont Blanc'', 몽블랑 고속도로 및 터널)로 변경되었다.[5] 1962년 8월 4일,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굴착 팀이 만났다. 개통은 성공적이었으며, 축 방향 오차는 13cm 미만이었다.[6]

몽블랑 터널은 1959년부터 1965년까지 6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1946년에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1953년 양국 의회에 의해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1959년에 착공하여 직원 350명, 암반을 파괴하기 위해 약 711t의 폭약, 아치 구성을 위해 6만 톤의 시멘트와 300t의 철이 사용되어 1965년 7월 19일에 개통되었다.

2. 2. 건설 과정 (1959년 ~ 1965년)

5명의 기술자와 350명의 작업자가 투입되어 총 460만 인시(人時)가 소요되어 공사가 완료되었다.[5] 1959년에 착공하여 1965년에 완공될 때까지, 555000m3의 암석을 파쇄하기 위해 총 711ton의 폭약이 사용되었다.[5] 3700만 킬로와트시의 전력과 트럭 및 엔진용 연료 2700000L가 사용되었다.[5] 아치 지지를 위해 771,240개의 볼트, 6,900개의 드릴 로드, 300ton의 철재가 사용되었으며, 60000ton의 시멘트( 280000m3골재와 혼합)를 위한 5000m3의 거푸집이 사용되었다.[5]

이 프로젝트는 정치적 혼란과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59년까지 시작되지 못했다.[5] 터널 굴착은 1959년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5] 이보다 앞서 프랑스 (1957년)와 이탈리아 (1954년) 의회에서 비준된 터널 건설을 위한 국가 헌장이 서명되었다.[5] 그 해, STMB (''Société du tunnel du Mont Blanc'', 몽블랑 터널 회사)가 설립되었으며, 1996년 ATMB (''Autoroutes et Tunnel du Mont Blanc'', 몽블랑 고속도로 및 터널)로 변경되었다.[5] 1962년 8월 4일,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굴착 팀이 만났다.[6] 개통은 성공적이었으며, 축 방향 오차는 13cm 미만이었다.[6]

2. 3. 개통 (1965년)

1965년 7월 16일,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과 이탈리아 대통령 주세페 사라가트가 터널 개통을 기념했다. 7월 19일에 터널이 개통되었다.[6] 1978년에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었다.[7] 이 터널의 개통으로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나 프티 생 베르나르 고개를 통과해야 했던 기존의 우회로 대신 교통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3. 운영 및 관리

이 터널은 300m마다 설치된 감시 카메라(40대), 환기구, 최대 45명을 수용할 수 있는 내화 기밀 쉘터 18개소 건설 등 현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2] 최고 속도는 7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 (과거에는 100km/h였지만, 후술할 화재 사고로 인해 재검토되었다).[2]

1999년 3월 24일, 밀가루마가린을 싣고 프랑스 측에서 이탈리아 측으로 향하던 벨기에 화물 트럭(볼보 제작)이 연료 누출로 폭발하는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프랑스 측이 연기를 감지했음에도 입구를 즉시 봉쇄하지 않아 승용차 10대와 트럭 18대가 터널 안으로 진입했고, 그 결과 사망자 39명, 부상자 27명이라는 대참사를 초래했다.[9]

터널 중간 지점을 경계로 프랑스 측과 이탈리아 측이 다른 관리 회사가 관리했기 때문에 환기 계통도 따로 되어 있었던 점, 화재 대책이 불충분하다고 지적되었음에도 프랑스 정부가 무시했던 점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 사고로 인해 터널 내벽은 타들어가고, 콘크리트가 모래 상태가 되거나 철이 용해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어 장기간 폐쇄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벽 보수, 환기 시스템 및 온도계 추가, 대피 터널 건설 등이 이루어졌으며, 사고 발생 약 3년 후인 2002년 3월 9일에 재개통되었다. 사고의 반성에서, 현재는 그전까지 관리를 담당했던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회사가 대등하게 출자하여 설립한 새로운 단일 관리 회사가 터널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3. 1. 초기 운영

몽블랑 터널은 1959년부터 1965년까지 6년에 걸쳐 건설되었다. 1946년에 계획이 수면 위로 떠올랐고, 1953년 양국 의회에 의해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1959년에 착공하여 직원 350명, 암반을 파괴하기 위해 약 711ton의 폭약이 사용되었고, 아치 구성을 위해 60000ton의 시멘트, 300ton의 철이 사용되어 1965년 7월 19일에 개통되었다.[1] 그 전까지 몽블랑을 넘기 위해서는 그랑 생 베르나르 고개나 프티 생 베르나르 고개를 통과해야 했고, 상당히 큰 우회로를 거쳐야 했지만, 이 터널의 개통으로 교통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다.[1]

이 터널은 총 길이 11.6km, 폭 8.6m, 높이 4.35m의 2차선 대면 통행 터널이다.[2] 수요 증가에 따라 확장 계획도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기 때문에 2차선 대면 통행으로 운영되고 있다.[2] 그 후, 300m마다 감시 카메라(40대)를 설치하거나, 환기구, 최대 45명을 수용할 수 있는 내화 기밀 쉘터 18개소 건설 등 현대화도 이루어지고 있다.[2]

최고 속도는 7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과거에는 100km/h였지만, 후술할 화재 사고로 인해 재검토되었다).[2]

3. 2. 1990년대 현대화

1990년대에 몽블랑 터널은 비디오 감시 카메라, 가압식 비상 대피소 8곳,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기타 안전 유지 보수 등 광범위한 현대화 작업을 거쳤다. 1997년에는 화재 감지 시스템이 설치되었고, 중앙 집중식 안전 장비 관리 및 새로운 가변 메시지 표지판이 설치되었다.[8]

이후 300m마다 감시 카메라(40대)를 설치하고, 환기구, 최대 45명을 수용할 수 있는 내화 기밀 쉘터 18개소를 건설하는 등 현대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3. 3. 1999년 화재 사고

1999년 3월 24일 아침, 벨기에 수송 트럭의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1] 3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9] 이 화재로 터널 내벽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장기간 폐쇄되었다. 이후 벽 보수, 환기 시스템 및 온도계 추가, 대피 터널 건설 등을 거쳐 사고 발생 약 3년 후인 2002년 3월 9일에 재개통되었다. 현재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회사가 공동 출자한 새로운 단일 관리 회사가 터널을 관리하고 있다.

3. 3. 1. 사고 원인 및 경과

1999년 3월 24일 아침, 밀가루마가린을 싣고 프랑스에서 이탈리아로 가던 벨기에 트럭(볼보 제작)에서 화재가 발생했다.[1] 이는 연료 누출로 인한 폭발이었다. 프랑스 측이 연기를 감지했음에도 입구를 즉시 봉쇄하지 않아 승용차 10대와 트럭 18대가 터널로 진입했고, 이로 인해 39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당하는 대참사로 이어졌다.[9]

사고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았다.

  • 터널 중간 지점을 경계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측 관리 회사가 달라 환기 계통이 분리되어 있었다.
  • 화재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에도 프랑스 정부가 이를 무시했다.


처음에는 샤모니 측에서 소방차 2대가 출동했지만, 화재로 전기 배선이 녹아 어두웠고 일반 차량들이 길을 막아 도착이 늦어졌다. 소방관들은 연기에 휩싸였으나 구조되었지만, 지휘관 1명은 사망했다.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에서 소방관 100여 명이 투입되었으나, 환기 장치가 유독 가스를 배출하지 못해 현장 도착은 화재 발생 약 3일 후인 3월 26일이었다. 완전 진화는 화재 발생 약 56시간 후에 이루어졌다.

사망자 대부분은 대피 중 쉘터로 향하다 사망했다. 폭발한 트럭의 적재물이 마가린과 밀가루였기 때문에 사고 현장은 약 1,000도에 달하는 고온이었다. 유해도 탄화된 경우가 많았다.

생존자는 12명이었으며, 이 중 오토바이 경비원 파트리크 데보아소는 구조에 큰 공헌을 했다. 이탈리아 측 경비원 피엘루치오 티나치도 BMW K75 오토바이를 타고 구조에 나섰으나, 의식 불명의 피해자와 함께 방화문 안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티나치는 1시간 이상 이탈리아 측과 무선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탈리아 측은 그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터널 입구에 기념비를 세웠다.

사고 후, 트럭 운전자, 프랑스 및 이탈리아 터널 관리 책임자, 터널 관리 회사 등 16개 개인과 법인이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2005년, 이 중 13명에게 벌금 또는 집행유예가 선고되었다.

화재로 터널 내벽이 심각하게 손상되어 장기간 폐쇄되었다. 벽 보수, 환기 시스템 및 온도계 추가, 대피 터널 건설 등이 이루어졌고, 사고 발생 약 3년 후인 2002년 3월 9일 재개통되었다. 현재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회사가 공동 출자한 새로운 단일 관리 회사가 터널을 관리하고 있다.

3. 3. 2. 인명 피해

1999년 3월 24일 아침, 몽블랑 터널에서 벨기에 수송 트럭 엔진 화재가 발생하여 3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1][9]

이날 밀가루와 마가린을 실은 벨기에 화물 트럭(볼보 제작)이 프랑스에서 이탈리아로 가던 중 연료 누출로 폭발했다. 프랑스 측이 연기를 감지했음에도 입구를 즉시 봉쇄하지 않아 승용차 10대와 트럭 18대가 터널 안으로 진입했고, 그 결과 39명이 사망하고 27명이 부상당했다.

주요 원인으로는 터널 중간 지점을 경계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측 관리 회사가 달라 환기 계통이 분리되어 있었던 점, 화재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었음에도 프랑스 정부가 이를 무시했던 점 등이 꼽힌다. 화재 발생 후 샤모니 측에서 소방차 2대가 출동했으나, 전기 배선이 녹아 어둠 속이었고 일반 차량들이 길을 막아 도착이 늦어졌다. 이 과정에서 소방관들이 연기에 휩싸였고, 구조된 15명의 소방관 중 사령관 1명이 사망했다.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에서 총 100여 명의 소방관이 동원되었지만, 환기 장치가 유독 가스를 배출하지 못해 현장 도착은 화재 발생 약 3일 후인 3월 26일이었다. 완전 진화는 화재 발생 약 56시간 후였다.

사망자 대부분은 대피 중 쉘터로 향하다 사망했으며, 폭발한 트럭의 적재물이 마가린과 밀가루였기 때문에 사고 현장은 약 1,000도에 달하는 고온이었다. 유해도 탄화된 경우가 많았다.

이 사고에서 살아남은 사람은 12명이었으며, 여기에는 오토바이 경비원 파트리크 데보아소의 구조가 큰 영향을 주었다. 이탈리아 측 경비원 피엘루치오 티나치도 BMW K75를 타고 피해자 구조를 시도했으나, 의식 불명의 피해자와 함께 방화문 안에서 유해로 발견되었다. 티나치는 맹렬한 불길 속에서 1시간 이상 이탈리아 측과 무선 연락을 주고받았다. 사고 후 이탈리아 측 입구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사고 후, 트럭 운전자, 프랑스 및 이탈리아 각 터널 관리 책임자, 터널 관리 회사 등 16개의 개인과 법인이 과실 치사죄로 기소되었다. 2005년, 이 중 13명의 개인과 법인에 대해 벌금이나 집행유예가 붙은 징역형이 선고되었다.

3. 3. 3. 사고 후 처리

1999년 3월 24일, 몽블랑 터널에서 벨기에 수송 트럭 엔진 화재가 발생하여 3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1][9] 이 사고는 터널 중간 지점을 경계로 프랑스와 이탈리아 양측의 관리 회사가 달라 환기 시스템이 분리되어 있었고, 프랑스 정부가 화재 대책 미흡 지적을 무시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화재 발생 후, 샤모니 측에서 소방차 2대가 출동했으나, 화재로 인한 정전과 일반 차량들로 인해 현장 도착이 지연되었다. 이후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에서 총 100여 명의 소방관이 동원되었지만, 유독 가스를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환기 장치 때문에 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화재 발생 약 3일 후인 3월 26일에야 소방관들이 현장에 도착했고, 완전히 진화된 것은 화재 발생 약 56시간 후였다.

사망자 대부분은 대피 중 쉘터로 향하다 사망했으며, 폭발한 트럭의 적재물이 마가린과 밀가루였기 때문에 사고 현장은 약 1000°C에 달하는 고온이었다. 이 사고로 12명이 생존했으며, 오토바이 경비원 파트리크 데보아소와 이탈리아 측 경비원 피엘루치오 티나치의 구조 활동이 있었다. 특히 티나치는 BMW K75를 타고 피해자 구조를 시도하다가 사망했으며, 이탈리아 측은 그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터널 입구에 기념비를 세웠다.

사고 후, 트럭 운전자, 터널 관리 책임자, 터널 관리 회사 등 16개의 개인과 법인이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되었다. 2005년, 이 중 13명에게 벌금형 또는 집행유예가 선고되었다.

터널은 화재로 심각한 피해를 입어 장기간 폐쇄되었다가, 벽 보수, 환기 시스템 및 온도계 추가, 대피 터널 건설 등을 거쳐 2002년 3월 9일에 재개통되었다. 현재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회사가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새로운 단일 관리 회사가 터널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3. 4. 2002년 재개통 및 이후

1999년 3월 24일 발생한 화재 사고로 터널은 2002년 3월 9일까지 폐쇄되었다.[10] 이후 터널 내벽 보수, 환기 시스템 및 온도계 추가, 대피 터널 건설 등 대대적인 안전 설비 점검 및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다.[11] 사고 발생 약 3년 후인 2002년 3월 9일, 터널은 재개통되었다.

사고 이전에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양측의 회사가 각각 터널 관리를 담당했지만, 재개통 이후에는 양측 회사가 동등하게 출자하여 설립한 새로운 단일 관리 회사가 터널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2007년에는 이탈리아 측 아오스타에서 터널까지의 고속도로 간선이 완공되었다.[12]

4. 교통량 및 통행료

1969년 7월 28일 터널 통행료 영수증


몽블랑 터널을 통행하려면 통행료를 내야 한다. 통행료는 이탈리아프랑스의 부가가치세율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다.

2013년에는 자동차 1회 통행권이 40.9유로(이탈리아 쪽은 41.4유로)였고, 7일 동안 유효한 왕복 통행권은 51EUR(이탈리아 쪽은 51.6유로)였다.[13] 2016년에는 자동차 1회 통행권이 43.5유로(이탈리아 쪽은 44.2유로)였다.

2022년 1월 1일부터 이탈리아 쪽과 프랑스 쪽의 몽블랑 터널 통행료는 다음과 같다(부가가치세 포함).[14]

차량 종류! 이탈리아 (편도)! 이탈리아 (왕복)! 프랑스 (편도)! 프랑스 (왕복)
자동차52.3유로65.3유로51.5유로64.2유로
오토바이34.6유로43.5유로34.1유로42.8유로
캐러밴69.3유로87.1유로68.1유로85.6유로


4. 1. 교통량

트럭 교통 통계: 몽블랑 터널 및 프레쥐스 도로 터널


2010년 평균 교통량은 하루 4,945대, 연간 약 180만 대였다. 2011년에는 하루 평균 5,113대(연간 약 187만 대)였다.[1]

요금소에서 여러 대의 차량이 줄을 설 수 있지만, 차량 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단위 시간당 제한된 수의 차량만 터널을 통과할 수 있다.[1]

터널 내에서는 최소 속도 50km/h, 최대 속도 70km/h가 적용되며, 차량 간의 권장 거리는 150m이다. 트럭은 5대씩 그룹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조치는 1999년 터널 화재의 결과로 취해졌다.[1]

보행자는 버스를 이용하여 터널을 건널 수 있으며, 자전거도 예약하면 터널을 통과할 수 있다.[1]

4. 2. 통행 제한 및 안전 규정

터널 내에서는 최소 속도 50km/h, 최대 속도 70km/h가 적용되며, 차량 간의 권장 거리는 150m이다. 트럭은 5대씩 그룹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조치는 1999년 몽블랑 터널 화재의 결과로 취해졌다.

요금소에서 여러 대의 차량이 줄을 설 수 있지만, 차량 간의 안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단위 시간당 제한된 수의 차량만 터널을 통과할 수 있다.

보행자는 버스를 이용하여 터널을 건널 수 있으며, 자전거도 예약으로 터널을 통과할 수 있다.

4. 3. 통행료

몽블랑 터널 통행에는 통행료가 부과되며, 통행료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서로 다른 부가가치세율로 인해 다르다.

2013년 기준, 자동차 1회 통행권은 40.9유로(이탈리아 쪽은 41.4유로)였으며, 7일 유효한 왕복 통행권은 51EUR(이탈리아 쪽은 51.6유로)였다.[13] 2016년 기준, 자동차 1회 통행권은 43.5유로(이탈리아 쪽은 44.2유로)였다.

'''2022년 1월 1일부터 이탈리아 쪽 몽블랑 터널 통행료 (부가가치세 22% 포함)'''[14]

차량 종류편도왕복
자동차52.3유로65.3유로
오토바이34.6유로43.5유로
캐러밴69.3유로87.1유로



'''2022년 1월 1일부터 프랑스 쪽 몽블랑 터널 통행료 (부가가치세 20% 포함)'''[14]

차량 종류편도왕복
자동차51.5유로64.2유로
오토바이34.1유로42.8유로
캐러밴68.1유로85.6유로


참조

[1] 간행물 July 16, 1965: Mont Blanc Tunnel Opens https://www.wired.co[...] 2010-07-15
[2] 뉴스 World's longest auto tunnel to pierce the Alps https://books.google[...] 1959-12
[3] 웹사이트 Today in Science History http://todayinsci.co[...] 2014-11-22
[4] 웹사이트 A French-Italian Operator - Autoroutes et Tunnel du Mont Blanc http://www.atmb.com/[...] 2011-09-27
[5] 웹사이트 Mont Blanc Tunnel at age 46 https://www.tunnelta[...] 2018-12-21
[6] 간행물 July 16, 1965: Mont Blanc Tunnel Opens https://www.wired.co[...] 2018-12-21
[7] 웹사이트 Histoire du Tunnel du Mont Blanc https://www.atmb.com[...] 2024-02-29
[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Tunnel http://www.atmb.com/[...] Autoroutes et Tunnel du Mont Blanc 2013-12-20
[9] 웹사이트 The Fire of 1999 - Autoroutes et Tunnel du Mont Blanc http://www.atmb.com/[...] 2011-09-27
[10] 뉴스 Mont Blanc tunnel reopens http://news.bbc.co.u[...] 2018-12-21
[11] 웹사이트 The security features of the Mont Blanc Tunnel {{!}} DW {{!}} 17 July 2015 https://www.dw.com/e[...] 2018-12-21
[12] 웹사이트 A5 Mont Blanc-Aosta Motorway - Courmayeur- Morgex Section – Lot No 2 - Salini Impregilo https://www.salini-i[...] 2018-12-21
[13] 웹사이트 TMB - Tarifs http://www.tunnelmb.[...] 2018-11-12
[14] 웹사이트 Mont Blanc Tunnel Toll Prices - Get from France to Italy https://www.chamoni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