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경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예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문경군·예천군 선거구로 변경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조병한, 양재하, 윤만석, 이동영, 이병하, 고우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경시의 정치 - 문경군·예천군
문경군·예천군 선거구는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문경군과 예천군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통합 및 분리를 거듭하다 2024년 최종 폐지되었으며 채문식 의원이 다선 의원을 지냈다. - 문경시의 정치 - 문경시·예천군
문경시·예천군 선거구는 1995년 신설되어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병태, 신영국, 신국환, 이한성 의원을 배출했으며 2016년 영주시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대문구 을 (1958년 선거구)
동대문구 을 선거구는 1958년 신설되어 1963년 양주군 구리면 일부가 편입되기도 했으나 1973년 동대문구 갑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이영준, 장준하, 유옥우 등이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문경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문경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북도 |
연도 | 1948년 |
폐지 | 1973년 |
유형 | 국회 |
이후 선거구 | 문경군·예천군 |
의원수 | 1인 |
2. 역사
문경군 선거구는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때 신설되어,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예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문경군·예천군 선거구가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역대 국회의원
2. 1. 1. 제1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조병한 후보가 11,203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조선불교교무원의 곽기종 후보는 7,564표(19.33%),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의 임영학 후보는 6,173표(15.77%), 대한노동총연맹의 김은석 후보는 5,866표(14.99%), 대동청년단의 황태석 후보는 4,485표(11.46%), 무소속 김훈 후보는 2,377표(6.07%), 무소속 임모호 후보는 1,459표(3.7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39,127표였다.2. 1. 2. 제2대 (1950년)
wikitable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 |||
---|---|---|---|
양재하 | 무소속 | 6,824 | 15.91% |
이장화 | 무소속 | 6,443 | 15.02% |
이병하 | 무소속 | 5,832 | 13.60% |
채대식 | 무소속 | 5,082 | 11.85% |
고시복 | 무소속 | 4,273 | 9.96% |
조규팔 | 무소속 | 3,829 | 8.93% |
김훈 | 무소속 | 3,698 | 8.62% |
곽기원 | 무소속 | 3,381 | 7.88% |
조병한 | 일민구락부 | 1,600 | 3.73% |
김은석 | 무소속 | 954 | 2.22% |
김원식 | 무소속 | 536 | 1.25% |
김수용 | 대한노동총연맹 | 242 | 0.56% |
오원근 | 대한노동총연맹 | 181 | 0.42% |
합계 | 42,875 |
2. 1. 3. 제3대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만석 | 자유당 | 9,608 | 20.88 |
채대식 | 자유당 | 9,045 | 19.66 |
이병하 | 민주국민당 | 8,851 | 19.24 |
김훈 | 민주국민당 | 4,826 | 10.49 |
유시하 | 무소속 | 4,335 | 9.42 |
임영학 | 무소속 | 4,249 | 9.23 |
권영달 | 무소속 | 2,827 | 6.14 |
김병주 | 무소속 | 2,262 | 4.91 |
합계 | 46,003 |
자유당 윤만석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자유당 공천 결과에 불만을 품은 채대식 후보 또한 자유당 이름으로 출마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병하, 김훈 후보는 민주국민당 소속으로 출마하였다.
2. 1. 4. 제4대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이동영 후보가 66.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당 윤만석 후보는 33.6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2. 1. 5. 제5대 (1960년)
wikitext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이병하 | 민주당 | 18,310 | 33.06% | |
윤만석 | 민주당 | 15,316 | 27.66% | |
채문식 | 무소속 | 10,454 | 18.88% | |
조규팔 | 사회대중당 | 4,002 | 7.22% | |
강신채 | 무소속 | 3,653 | 6.59% | |
장호문 | 민주당 | 3,634 | 6.56% | |
총합 | 55,369 |
민주당 이병하 후보가 당선되었다.
2. 1. 6. 제6대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동영 후보가 54.39%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국민의당 채문식 후보는 32.5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민정당 노시중 후보는 10.33%, 정민회 황의교 후보는 2.69%를 득표하였다. 자유민주당 이용수 후보는 득표를 하지 못했다.2. 1. 7. 제7대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동영 후보가 70.8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민당 채문식 후보는 26.05%, 민중당 황의교 후보는 1.43%, 민주당 노시중 후보는 1.15%, 통일사회당 장유길 후보는 0.50%를 득표했다. 이동영 후보는 43,843표, 채문식 후보는 16,120표, 황의교 후보는 886표, 노시중 후보는 713표, 장유길 후보는 314표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61,876표였다.2. 1. 8. 제8대 (1971년)
wikitable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유권자: 72,456명)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고우진 | 민주공화당 | 27,913 | 50.11% |
장유길 | 신민당 | 21,482 | 38.57% |
김영일 | 국민당 | 5,895 | 10.58% |
채석이 | 대중당 | 406 | 0.72% |
합계 | 55,696 | (무효표 없음) |
3. 역대 선거 결과
3. 1. 제1대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조병한 후보가 당선되었다. 조병한 후보는 11,203표(득표율 28.63%)를 획득하였다. 조선불교교무원의 곽기종 후보는 7,564표(19.33%),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의 임영학 후보는 6,173표(15.77%), 대한노동총연맹의 김은석 후보는 5,866표(14.99%), 대동청년단의 황태석 후보는 4,485표(11.46%), 무소속 김훈 후보는 2,377표(6.07%), 무소속 임모호 후보는 1,459표(3.72%)를 득표하였다. 총 유효표는 39,127표였다.
3. 2. 제2대 (1950년)
wikitext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서는 13명의 후보가 출마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무소속 양재하 후보가 6,824표(15.91%)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이장화 후보는 6,443표(15.02%)로 2위를 기록했다. 이병하 후보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5,832표(13.60%)를 얻었다. 채대식 후보 역시 무소속으로 5,082표(11.85%)를 획득했다. 고시복 후보는 무소속으로 4,273표(9.96%), 조규팔 후보는 무소속으로 3,829표(8.93%)를 얻었다. 김훈 후보는 무소속으로 3,698표(8.62%), 곽기원 후보는 무소속으로 3,381표(7.88%)를 득표했다. 조병한 후보는 일민구락부 소속으로 1,600표(3.73%)를 얻었다. 김은석 후보는 무소속으로 954표(2.22%), 김원식 후보는 무소속으로 536표(1.25%)를 얻었다. 김수용 후보와 오원근 후보는 대한노동총연맹 소속으로 각각 242표(0.56%), 181표(0.42%)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42,875표였다.
3. 3. 제3대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윤만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윤만석 후보는 9,608표(20.88%)를 획득하여, 9,045표(19.66%)를 얻은 자유당 채대식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이병하 후보는 8,851표(19.24%)를 얻어 3위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민주국민당 김훈(4,826표, 10.49%), 무소속 유시하(4,335표, 9.42%), 무소속 임영학(4,249표, 9.23%), 무소속 권영달(2,827표, 6.14%), 무소속 김병주(2,262표, 4.91%) 후보가 출마했다. 총 투표수는 46,003표였다.
3. 4. 제4대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동영 후보가 66.3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윤만석 후보는 33.65%를 득표하였다.
3. 5. 제5대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이병하 후보가 33.0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윤만석 후보는 27.66%를 득표하였고, 채문식 후보는 18.88%를 득표하였다. 그 외에도 조규팔, 강신채, 장호문 후보가 출마하였다.
3. 6. 제6대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동영 후보가 54.39%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경상북도 문경군에서 당선되었다. 국민의당1963 채문식 후보는 32.57%를 득표하였고,민정당 노시중 후보는10.33%, 정민회 황의교 후보는 2.69%를, 자유민주당1963 이용수 후보는 0%를 득표하였다.
3. 7. 제7대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이동영 후보가 70.85%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경상북도 문경군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신민당 채문식 후보는 26.05%를 득표하였고,민중당1967 황의교 후보는 1.43%, 민주당1967 노시중 후보는 1.15%, 통일사회당 장유길 후보는 0.50%를 득표하였다.
3. 8. 제8대 (1971년)
wikitable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문경군 | |||
---|---|---|---|
유권자 수 | 72,456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
민주공화당 | 고우진 | 27,913 (50.11%) | |
신민당 | 장유길 | 21,482 (38.57%) | |
국민당 | 김영일 | 5,895 (10.58%) | |
대중당 | 채석이 | 406 (0.72%) | |
계 | 55,69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