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성원은 대한민국 프로게이머 및 코치로, GSL 2회 우승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개인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황태자'로 불리기도 했다. 2008년 SK텔레콤 T1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전향했다. 이후 팀 에이서, 스베누 등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2015년 은퇴 후 코치로 전향하여 팀 엑스퍼트, Gen.G, 서울 다이너스티 등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layerS의 선수 - 한규종
한규종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전 KT 롤스터 코치로, 선수 시절 KeSPA Cup 아마추어 입상 및 KPGA TOUR 3위 등의 경력이 있으며, 코치로서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에서 팀을 3위로 이끌었다. - SlayerS의 선수 - 윤영서
윤영서는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11회 우승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 - 이승현 (프로게이머)
이승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GSL 로열로더 및 WCS 글로벌 파이널 우승을 차지했으나, 승부조작 사건으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영구 제명되었다.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우승자 - 백동준
백동준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브루드 워 프로게이머에서 전향하여 신인왕 수상 및 GSL 로열로더에 등극했으며 유재석 닮은 외모로 '국민토스'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 프로게이머이다. - 아프리카 프릭스의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 이동녕 (프로게이머)
이동녕은 GSL 등 국내외 스타크래프트 II 대회에서 프리미어 개인리그 4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을 기록한 프로게이머이다. - 아프리카 프릭스의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 조지현
조지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1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고, DreamHack Open, IEM, GSL 등 여러 국내외 대회에 참가했다.
문성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문성원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88년 10월 29일 (세) |
종족 | 테란 |
아이디 | 스타크래프트: Dream.t)1988 스타크래프트 II: MMA |
소속팀 |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 |
별명 | 문설로봇, 테란의 황태자, 정졸렬 소환술사 , 문진반, 문비디아 |
종교 | 개신교 |
기타 | |
웹사이트 | 문성원 웹사이트 |
2. 선수 시절 및 지도자 활동
GSL에서 2회 우승, 1회 준우승을 차지하며 한때 같은 팀 선배였던 황제 임요환의 뒤를 이을 황태자로 불렸다. 2012년 11월 슬레이어즈 해체 후 팀 에이서에 입단했고, 2015년 5월 5일 국내 팀 스베누에 합류했으나 해외에서는 에이서 소속으로 활동했다. 2015년 12월 1일 스베누와 결별했으며, 12월 17일 홈스토리컵 시즌 12 이후 은퇴를 선언했다가 번복했다. 2017년 10월 24일 군 전역 후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복귀, 2017년 11월 2일 친정팀인 팀 엑스퍼트로 복귀하였다. 2018년 11월 2일 Gen.G 오버워치 컨텐더스팀 코치로 부임했으며,[1] 2019년 10월 30일 오버워치 리그 태평양 컨퍼런스 동부지구 소속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로 임명되었다.[1]
2. 1. 선수 활동
문성원은 2008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SK텔레콤 T1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으며,[1] 2010년 6월 한국e스포츠협회에 은퇴가 공시되면서 은퇴하였다.[1]2. 1. 1. 스타크래프트 (2008년 ~ 2010년)
2008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SK텔레콤 T1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2010년 6월 한국e스포츠협회에 은퇴가 공시되면서 프로게이머를 은퇴하였다.
2. 1. 2. 스타크래프트 II (2010년 ~ 2015년, 2017년 ~ 2018년)
2010년 스타크래프트 II가 출시되면서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전향,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임요환은 SKTelecom T1 시절부터 눈여겨보던 문성원을 자신의 팀으로 영입했다. 문성원은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rch 결승전 9세트에서 정종현을 꺾었고,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y에서 슬레이어스의 2연속 결승 진출에 기여했다. 특히 MVP 박수호와의 9세트에서는 의료선 견제로 역전승을 거두며 주목받았다.MLG 콜롬버스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에서는 결승전까지 진출했으나 최성훈에게 0:4로 패배하며 충격을 받았다. GSL에서도 예선까지 떨어졌지만, GSL과 MLG의 연계 방안으로 코드 S로 바로 승격되었다.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ust 32강 조별예선에서는 임재덕을 의료선 견제로 물리쳤다.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ober 결승에서는 정종현을 4:1로 꺾고 GSL 첫 우승을 차지했다.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ember에서는 8강에서 김학수에게 패배했지만, 2011 블리자드 컵에서 B조 1위로 4강에 진출, 정종현을 3:0으로 꺾고 결승에서 박수호를 4:3으로 이기며 2회 우승을 달성했다. 이 결승전은 명경기로 평가받으며 최고의 결승전으로 꼽힌다.
2012 핫식스 GSL 시즌1 32강 조별예선에서 고병재, 최정민을 꺾고 4전 전승으로 16강에 직행했다. 이후 MLG에 참가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16강 조별예선에서는 김학수만 두 번 꺾으며 5승 4패로 8강에 진출했다.
GSTL 2012 개막전 SlayerS vs FXO 경기에서, SlayerS는 선봉 최재원의 2킬 이후 이인수에게 3킬을 허용하며 2:3으로 뒤처졌다. SlayerS는 문성원을 출전시켰고, 문성원은 이인수의 4킬을 저지하고 FXO의 에이스 이동녕과 김학수를 잡아내며 3킬을 기록, 5:3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특히 이동녕과의 저그전은 SlayerS를 상대하는 팀들이 저그 선수를 내보내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극찬을 받았다. 실제로 문성원을 이긴 저그는 임재덕, 박수호뿐이며, 두 선수를 상대로도 각각 2:1, 5:4의 전적을 기록하고 있다.
2. 2. 코치 활동 (2018년 ~ 현재)
2018년 11월 2일 Gen.G 오버워치 컨텐더스팀 코치로 부임했으며,[1] 2019년 10월 30일 오버워치 리그 태평양 컨퍼런스 동부지구 소속 서울 다이너스티 코치로 임명되었다.[1]3. 주요 기록
문성원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9회, 준우승 4회를 기록했다.[1] 2008년 5월에는 제39회 커리지 매치에 입상했다.[1]
3. 1. 스타크래프트
2008년 5월 제39회 커리지 매치 입상[1]3. 2.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9회, 준우승 4회'''[1]연도 | 대회명 | 결과 | 상대 | 스코어 |
---|---|---|---|---|
2011년 | 2011 MLG Columbus | 우승 | 황강호 | 4:1 |
2011년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 준우승 | 최성훈 | 0:4 |
2011년 | MLG 애너하임 | 준우승 | 정종현 | 1:2 |
2011년 |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ober | 우승 | 정종현 | 4:1 |
2011년 | 블리자드 컵 | 우승 | 박수호 | 4:3 |
2012년 | 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Kiev | 우승 | DIMAGA | 3:1 |
2012년 | Iron Squid/Chapter 1 | 우승 | 강동현 | 4:2 |
2013년 | 2013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 | 우승 | 장민철 | 4:2 |
2014년 | 2014 WCS 유럽 시즌 1 프리미어리그 | 준우승 | 장민철 | 2:4 |
2014년 | 2014 DreamHack Open: Moscow | 우승 | 정지훈 | 3:1 |
2014년 | 2014 WCS 유럽 시즌 3 프리미어리그 | 우승 | 최병현 | 4:2 |
2014년 | 2014 WCS 글로벌 파이널 | 준우승 | 이승현 | 1:4 |
2014년 | Fragbite Masters Season 3 | 우승 | ||
2015년 | HomeStory Cup XII | 우승 | FireCake | 4:1 |
- 2011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rch MVP
- 2011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y MVP
- 2011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 Code A 16강
- 2011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Code A 8강
- 2011 IPL 3 Origins 4강
- 2011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A 32강
- 2011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Code S 16강
- 2012 IPL 4 4위
- 2012 IPL Fight Club at Hot Import Nights 3위
-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S 8강
-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32강
- 2012 무슈제이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A 12강
- 2012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4 Code S 32강
- 2013 Ritmix Russian StarCraft II League Season 5 8강
- 2013 WCS 유럽 시즌 1 챌린저리그 8강
- 2013 WCG 2013 한국대표선발전 스타크래프트 ll 부문 16강
- 2013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 4강 (2013 WCS 시즌 2 파이널 진출)
- 2013 WCS 시즌 2 파이널 16강
- 2013 DreamHack Open: Bucharest 4강
- 2013 WCS 시즌 3 파이널 8강
- 2013 WCS 글로벌 파이널 16강
- 2013 DreamHack Open: Winter 6강
- 2013 ASUS ROG Tournament - NorthCon 2013 16강
- 2014 핫식스 GSL 글로벌 토너먼트 8강
- 2014 WCS 유럽 시즌 2 프리미어리그 32강
- 2014 HomeStory Cup IX 8강
- 2014 DreamHack Open: Summer 32강
- 2014 IEM Season IX - Shenzhen 16강
- 2014 The Big One 16강
- 2014 Gfinity G3 8강
-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Global 5위
- 2014 DreamHack Open: Stockholm 8강
- 2014 DreamHack Open: Winter 8강
- 2015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코드 S 4강
- 2015 DreamHack Open: Tours 64강
- 2015 스베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코드 S 32강
- 2015 IEM Season X - gamescom 4강
- 2015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코드 S 32강
- 2018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코드 S 32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