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뮤 로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뮤 로켓은 일본의 우주 개발을 위해 개발된 일련의 고체 연료 로켓 시리즈이다. 1966년 첫 발사 이후 M-V 로켓까지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4단 로켓인 M-4S를 시작으로 M-3C, M-3H, M-3S, M-3SII, M-V 등 여러 파생형이 존재한다. 뮤 로켓은 일본의 인공위성 발사에 기여했으며, 특히 M-V 로켓은 핼리 혜성 탐사 등 과학 연구에 활용되었다. 뮤 로켓 개발 과정은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켓 계열 - R-7 로켓
    R-7 로켓은 소련의 OKB-1 설계국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핵 공격을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우주 발사체로 전환되어 스푸트니크 1호 발사를 시작으로 다양한 파생형을 낳았으며 현대화된 소유즈-2는 현재까지도 러시아 우주 프로그램의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 로켓 계열 - 아리안 로켓
    아리안 로켓은 유럽 우주국이 개발한 로켓으로, 액체 추진 엔진을 사용한 초기 모델부터 대형 위성 동시 발사 능력을 갖춘 아리안 5를 거쳐 발사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아리안 6까지 발전해 왔다.
뮤 로켓
개요
뮤 로켓 계열
뮤 로켓 계열
국가일본
제작사도쿄 대학 우주항공연구소 (1964년 ~ 1981년)
문부성 우주과학연구소 (1981년 ~ 2003년)
JAXA (2003년 ~ 현재)
역사
최초 발사1966년 9월 16일
마지막 발사2006년 9월 23일
발사 횟수28회
성공 횟수27회
파생형
로켓 종류Μ-4S
Μ-3C
Μ-3H
Μ-3S
Μ-3SII
Μ-V
일반 정보
추진체고체 추진제
크기 (Μ-V)
높이30.7 m
직경2.5 m
질량139,000 kg
성능 (Μ-V)
탑재량저궤도에 1,800 kg

2. 초기 일본 캐리어 로켓

뮤-1은 최초의 뮤 로켓으로, 1966년 10월 31일 준궤도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이후 뮤-3, 뮤-4 로켓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1969년에는 뮤-3D의 준궤도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2] 1970년 9월 25일 뮤-4S를 사용한 첫 궤도 발사 시도는 실패했으나, 1971년 2월 16일 탄세이 1 발사에 성공했다.

뮤 로켓 시리즈는 펜슬, 베이비, 카파, 람다에 이은 일본의 고체 로켓 시리즈로, 우주 개발을 위해 개발되었다. 26기의 과학 위성 발사를 통해 우주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6년 M-V 7호기 발사를 끝으로 퇴역했다. 개발 계획은 M 계획과 ABSOLUTE 계획으로 나뉜다.

2. 1. M-4S

뮤 계열의 로켓들.


뮤 로켓 시리즈 제1세대 4단 무유도 위성 발사 로켓이다. 저궤도에 180kg의 탑재체를 발사할 수 있다. 1970년부터 1972년 사이에 4기가 발사되었고, 1971년 이후의 3기가 성공했다.[2]

2. 2. M-3C

뮤 로켓 시리즈 제2세대의 3단식 위성 발사 로켓이다. 제2단에 유도 제어 장치를 탑재하여 3단식으로 단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단의 고성능화로 인해 저궤도에 195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1974년부터 1979년 사이에 4기가 발사되었으며, 이 중 3기가 성공했다.[7]

2. 3. M-3H

M-3C의 제1단을 연장하고 추진제를 증량하여 저궤도에 300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는 뮤 로켓 시리즈 제2세대의 3단식 위성 발사 로켓이다. 1977년부터 1978년 사이에 3기가 발사되었고, 3기 모두 성공했다.

2. 4. M-3S

M-3S 로켓은 뮤 로켓 시리즈 제3세대의 3단식 인공위성 발사 로켓이다. 1단에 유도 제어 장치를 탑재하여 저궤도에 300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다. 1980년부터 1984년까지 4기가 발사되었으며, 모두 성공했다.[1]

2. 5. M-3SII

핼리 혜성 탐사를 위해 계획된 뮤 로켓 시리즈 4세대 3단식 위성 발사 로켓이다. 보조 부스터에 람다 로켓을 사용하는 등 제1단 이외의 모든 로켓 모터를 대형화하여 저궤도에 770kg의 탑재물을 발사할 수 있다. 킥 스테이지를 부착하여 행성 간 궤도에 직접 탑재물을 발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모든 단이 고체 연료 로켓으로는 세계 최초이다. 1985년부터 1995년 사이에 8기가 발사되어 7기가 성공했다.[7]

3. M-V

M-V는 1997년에 도입되어 2006년에 퇴역한 뮤 로켓 시리즈의 마지막 모델이다. 총 7번 발사되어 그 중 6번이 성공했다. M-V는 3단 로켓으로 발사되었지만, '''M-V KM'''으로 지정된 4단 로켓 구성도 사용되었다.[2] M-V KM은 MUSES-B (HALCA) 위성, Nozomi (PLANET-B) 우주선, 하야부사 (MUSES-C) 우주선 발사에 사용되었다. 3단 M-V의 총 발사 질량은 137500kg이었으며, 4단 M-V KM의 총 질량은 139000kg이었다.

뮤 로켓 시리즈 제5세대 3단식 인공위성 발사 로켓으로, 직경 2.5m까지 대형화된 로켓이다. 4호기의 실패를 계기로 5호기 이후 대규모 사양 변경이 이루어졌다. 1997년부터 2006년 사이에 7기가 발사되었으며, 6기가 성공했다.

3. 1. 개발 계획 (M 계획, ABSOLUTE 계획)

1960년에 외측 반 알렌대 고도 10,000km 이상에 도달하는 로켓으로 M 계획이 고안되었다. 1962년 10월에는 이토카와 히데오의 제안에 따라 아키바 료지, 나가토모 노부토, 마츠오 히로키 등이 "인공위성 계획 시안"을 제작했다. 이 시안은 직경 1.28m, 제3단 및 제4단에 구형 로켓 모터를 가진 로켓으로, 뮤 로켓 사양의 초석이 되었다. 이후 이토카와 히데오는 직경 1.4m 이상의 로켓 개발을 제시했지만, 향후 10년 이상은 이를 넘는 대형화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예측에 따라 1.4m 직경의 로켓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3][4][5]

당초 M-4S 로켓 다음에는 2, 3단에 TVC 유도 제어 장치를 탑재한 M-4SC, M-4SC의 각 단을 고성능화하여 제1단에도 TVC를 탑재한 M-4SH, 더 나아가 각 단을 대형화한 M-4SS로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었다.[6] 그러나 L-4S-5까지의 실패와 어업 협동조합 문제로 인한 계획 지연으로 인해 상단 모터의 고성능화가 먼저 진행되었다. 1972년에는 3단 구성으로도 요구 성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었고, 개발 중인 유도 제어 장치의 간소화가 가능하다는 점도 고려하여 계획은 3단 구성으로 변경되었다. M-4S 이후에는 M-3C, M-3H, M-3S 로켓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M-3S를 통해 M 계획은 일단락되었다.

ABSOLUTE 계획(''''A'''dvanced '''B'''ooster by '''Sol'''id '''U'''tilizing '''T'''echnology of '''E'''xtremity '''계획''')은 1977년에 아키바 료지가 제창한 고성능 로켓 개발 계획이다. 3단식, 전장 18.5m, 직경 3m, 총중량 100t, 저궤도 발사 능력 2.1t, 페이로드비 2% 이상인 우주 탐사용 고성능 로켓의 조기 실현을 목표로, 고체 로켓 기술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종합 연구 개발을 추진한다는 구상이었다. 이는 뮤 로켓 시리즈의 제2기 개발 계획에 해당한다.

4. 뮤 로켓 발사 목록

05:00뮤-4SMS-F1LEO (예정)실패M-4S-21971년 2월 16일
04:00뮤-4SMS-T1 (탄세이 1)LEO성공M-4S-31971년 9월 28일
04:00뮤-4SMS-F2 (신세이)LEO성공M-4S-41972년 8월 19일
02:40뮤-4SREXS (덴파)MEO성공M-3C-11974년 2월 16일
05:00뮤-3CMS-T2 (탄세이 2)MEO성공M-3C-21975년 2월 24일
05:25뮤-3CSRATS (타이요)MEO성공M-3C-31976년 2월 4일
05:00뮤-3CCORSALEO (예정)실패M-3H-11977년 2월 19일
05:15뮤-3HMS-T3 (탄세이 3)MEO성공M-3H-21978년 2월 4일
07:00뮤-3HEXOS-A (쿄코)MEO성공M-3H-31978년 9월 16일
05:00뮤-3HEXOS-B (지키켄)HEO성공M-3C-41979년 2월 21일
05:00뮤-3CCORSA-b (하쿠초)LEO성공M-3S-11980년 2월 17일
00:40뮤-3SMS-T4 (탄세이 4)LEO성공M-3S-21981년 2월 21일
00:30뮤-3SASTRO-A (히노토리)LEO성공M-3S-31983년 2월 20일
05:10뮤-3SASTRO-B (텐마)LEO성공M-3S-41984년 2월 14일
08:00뮤-3SEXOS-C (오조라)LEO성공M-3SII-11985년 1월 7일
19:26뮤-3SIIMS-T5 (사키가케)HTO성공M-3SII-21985년 8월 18일
23:33뮤-3SIIPLANET-A (수이세이)HTO성공M-3SII-31987년 2월 5일
06:30뮤-3SIIASTRO-C (긴가)LEO성공M-3SII-41989년 2월 21일
23:30뮤-3SIIEXOS-D (아케보노)MEO성공M-3SII-51990년 1월 24일
11:46뮤-3SIIMUSES-A (히텐)LTO성공M-3SII-61991년 8월 30일
02:30뮤-3SIISOLAR-A (요코)LEO성공M-3SII-71993년 2월 20일
02:20뮤-3SIIASTRO-D/ASCA (아스카)LEO성공M-3SII-81995년 1월 15일
13:45뮤-3SIIEXPRESSLEO부분 실패M-V-11997년 2월 12일
04:50M-VMUSES-B/HALCA (하루카)HEO성공M-V-31998년 7월 3일
18:12M-VPLANET-B (노조미)HTO성공M-V-42000년 2월 10일
01:30M-VASTRO-ELEO (예정)실패M-V-52003년 5월 9일
04:29M-VMUSES-C (하야부사)HTO성공M-V-62005년 7월 10일
03:30M-VASTRO-EII (스자쿠)LEO성공M-V-82006년 2월 21일
21:28M-VASTRO-F (아카리)LEO성공M-V-72006년 9월 22일
21:36M-VSOLAR-B (히노데)LEO성공


5. 뮤 로켓 종류



뮤 로켓은 일본 고유의 고체 로켓 시리즈로, 펜슬 로켓, 베이비 로켓, 카파 로켓, 람다 로켓에 이어 인공위성 발사를 통한 우주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26기의 과학 위성을 발사하여 세계 우주 과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지만, 2006년 M-V 7호기 발사를 끝으로 퇴역했다.

최초의 뮤 로켓인 뮤-1은 1966년 10월 31일 준궤도 시험 비행을 했다. 이후 뮤-3과 뮤-4 로켓이 제작되었다. 1969년에는 뮤-3D의 준궤도 시험 발사가 실시되었다.[2] 1970년 9월 25일 뮤-4S를 사용한 첫 궤도 발사 시도는 실패했지만, 이후 개량을 거쳐 M-4S, M-3C, M-3H, M-3S, M-3SII, M-V 등의 모델이 실용화되었다.

5. 1. 실용화된 모델



최초의 뮤 로켓인 뮤-1은 1966년 10월 31일 준궤도 시험 비행을 했다. 이후 뮤-3과 뮤-4 로켓이 제작되었다. 1969년에는 뮤-3D의 준궤도 시험 발사가 실시되었다.[2] 1970년 9월 25일 뮤-4S를 사용한 첫 궤도 발사 시도는 실패했지만, 이후 개량을 거쳐 M-4S, M-3C, M-3H, M-3S, M-3SII, M-V 등의 모델이 실용화되었다.

뮤 로켓 개발은 '''M 계획'''과 '''ABSOLUTE 계획'''을 통해 진행되었다. '''M 계획'''은 1960년 반 알렌대 고도 10,000km 이상 도달을 목표로 했으며, 1977년 아키바 료지가 제창한 '''ABSOLUTE 계획'''은 전장 18.5m, 직경 3m, 총중량 100t, 저궤도 발사 능력 2.1t의 고성능 로켓 개발을 목표로 했다.

5. 1. 1. M-4S

뮤 로켓 시리즈 제1세대 4단 무유도 위성 발사 로켓이다. 저궤도에 180kg의 탑재체를 발사할 수 있었다. 1970년부터 1972년 사이에 4기가 발사되었고, 1971년 이후의 3기가 발사에 성공했다.

5. 1. 2. M-3C

뮤 로켓 시리즈 제2세대의 3단식 위성 발사 로켓이다. 제2단에 유도 제어 장치를 탑재하여 3단식으로 단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단의 고성능화로 인해 저궤도에 195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1974년부터 1979년 사이에 4기가 발사되었으며, 이 중 3기가 성공했다.

5. 1. 3. M-3H

뮤 로켓 시리즈 제2세대의 3단식 위성 발사 로켓이다. M-3C의 제1단을 연장하고 추진제를 증량하여 저궤도에 300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었다. 1977년부터 1978년 사이에 3기가 발사되었고, 모두 성공했다.

5. 1. 4. M-3S

뮤 로켓 시리즈 제3세대의 3단식 인공위성 발사 로켓이다. 제1단에 유도 제어 장치를 탑재하여 저궤도에 300kg의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다. 1980년부터 1984년 사이에 4기가 발사되었으며, 4기 모두 성공했다.

5. 1. 5. M-3SII

뮤 로켓 시리즈 4세대 3단식 위성 발사 로켓이다. 할리 혜성 탐사를 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보조 부스터에 람다 로켓을 사용하는 등 제1단 이외의 모든 로켓 모터를 대형화하여 저궤도에 770kg의 탑재물을 발사할 수 있다. 킥 스테이지를 부착하여 행성 간 궤도에 직접 탑재물을 발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모든 단이 고체 연료 로켓으로는 세계 최초이다. 1985년부터 1995년 사이에 8기가 발사되어 7기가 성공했다.

5. 1. 6. M-V

M-V는 1997년에 도입되어 2006년에 퇴역한 일본의 로켓이다. 총 7번 발사되었으며, 그 중 6번이 성공했다. M-V는 일반적으로 3단 로켓으로 발사되었지만, '''M-V KM'''으로 지정된 4단 로켓 구성은 1997년 MUSES-B (HALCA) 위성, 1998년 Nozomi (PLANET-B) 우주선, 2003년 하야부사 (MUSES-C) 우주선 발사에 3번 사용되었다.

3단 로켓 구성은 고도 200km, 경사각 30° 궤도에 1800kg의 최대 탑재량을 가졌으며, 극궤도(90° 경사각)의 경우 고도 200km에서 1300kg의 탑재량을 가졌다. M-V KM은 30° 경사각, 고도 400km 궤도에 1800kg을 발사할 수 있었다.

3단 M-V의 총 발사 질량은 137500kg였으며, 4단 M-V KM의 총 질량은 139000kg이었다. M-V는 뮤 로켓 시리즈 제5세대 3단식 인공위성 발사 로켓으로, 직경 2.5m까지 대형화된 전 단이 신설계된 로켓이다. 저궤도에 1.8t의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으며, 4호기의 실패를 계기로 5호기 이후 대규모 사양 변경이 이루어져 저궤도 발사 능력이 1.85t으로 향상되었다. 2009년 시점에서, 전단 고체 연료 로켓으로는 사상 최대이다.

5. 2. 계획되었으나 실현되지 않은 모델

뮤 로켓은 초기 계획 이후 여러 파생 모델이 계획되었으나, 기술적, 경제적, 정책적 이유로 인해 실제로 제작되지는 않았다.

명칭전체 길이직경탑재 중량
M-2H25m 이상1.4m500kg



M-2H의 발사 계획은 다음과 같았다.[19]

년도발사 계획
1979년시험기
1980년AST-T1
1981년AST-E1, PLP-A
1982년AST-E2
1983년AST-T2, PLP-B
1984년AST-E3, AST-B1
1985년AST-T3, AST-E4

6. 주요 제원



뮤 로켓과 엡실론 로켓의 주요 제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12]

명칭전장직경중량탑재 하중탑재 하중 비율유도 제어 단
M-4S23.6m1.41m43.6ton180kg0.41%
M-3C20.2m1.41m41.6ton195kg0.47%2
M-3H23.8m1.41m48.7ton300kg[13]0.62%2
M-3S23.8m1.41m48.7ton300kg[13]0.62%1, 2
M-3SII27.8m1.41m61ton770kg1.26%1, 2
M-V (1호기)30.7m2.5m139ton1800kg1.29%1, 2, 3
M-V (5호기)30.8m2.5m140.4ton1850kg1.32%1, 2, 3



엡실론 로켓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14]

명칭전장직경중량탑재 하중탑재 하중 비율유도 제어 단
엡실론 로켓[15]25.2m2.5m90.8ton1200kg[16]1.33%[16]1, 2, 4[17]



다른 고체 로켓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형식M-3SIIM-VJ-I 1호기J-I 2호기엡실론
전고27.8m30.8m33.1m26.2m26m
직경1.41m2.5m1.8m2.5m2.6m
중량61ton140.4ton88.5ton91.5ton95.1ton
유도 방식전파 유도관성 유도전파 유도전파 유도관성 유도
저궤도 궤도 투입 능력770kg1850kg870kg1200kg
탑재 하중 비율1.26%1.32%0.98%1.33%
발사 비용36억75억43억53억
kg 당 발사 비용468만/kg405만/kg488.99999999999994만/kg-442만/kg


참조

[1] 서적 In Defense of Japan: From the Market to the Military in Space Polic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2] 웹사이트 Mu-3D http://www.astronaut[...] 2023-03-19
[3] 웹사이트 第051回国会 科学技術振興対策特別委員会宇宙開発に関する小委員会 第2号 https://kokkai.ndl.g[...]
[4] 웹사이트 宇宙科学研究所におけるロケット開発 https://www.mext.go.[...]
[5] 웹사이트 ロケット口伝鈔(5) http://www.jrocket.o[...]
[6]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1989.11 No.104 ''小宇宙 略語のしおり(1) 宇宙研のロケット全般'' https://www.isas.jax[...]
[7] 간행물 M-3SII 型計画の概要(開発経緯と飛翔結果)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1991-06
[8]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1982.1 No.010 特集:日本の宇宙研究 - その現在と未来 ''未来を打ち上げる - M-3SIIロケット'' https://www.isas.jax[...]
[9]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1998.12 No.213 ''小宇宙 宇宙輸送のこれから(第10回) 固体ロケットによる宇宙輸送について'' https://www.isas.jax[...]
[10]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2005.3 号外 No.288e ''Mロケットの明日を“読む”'' https://www.isas.jax[...]
[11]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2001.4 No.241 特集:第1回宇宙科学シンポジウム ''小型低コストのM-V-Liteと, それによる理工学ミッション'' http://www.isas.ac.j[...]
[12] 문서 高度250km円軌道
[13] 웹사이트 290kgという資料 https://web.archive.[...]
[14] 문서 高度250km円軌道
[15] 문서 計画値 (参考)
[16] 문서 250×500km楕円軌道
[17] 문서 第4段はオプション
[18] 웹사이트 ISASニュース 1981.10 No.007 ''研究紹介 液水ロケットエンジンの開発'' https://www.isas.jax[...]
[19] 간행물 科学衛星計画への提案 日本航空宇宙学会 197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