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나리아재비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리아재비아과는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하는 과로, 여러 족으로 분류된다. 하위 분류에는 노루삼족, 니겔라족, 동의나물족, 매화바람꽃족, 미나리아재비족, 바람꽃족, 복수초족, 아스테로피룸족, 제비고깔족, 헬레보루스족 등이 있다. 각 족은 특정 속들을 포함하며, 계통 분류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5년 기재된 식물 - 버드나무과
    버드나무과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약 55속 1,250종의 식물을 포함하는 속씨식물 과로, 잎맥이 톱니까지 연결되는 독특한 구조와 살리실산 배당체를 함유하는 특징을 가지며, 살리케아족이 대표적이고 계통 분류는 계속 연구되고 있다.
  • 1815년 기재된 식물 - 느릅나무과
    느릅나무과는 점액 물질을 가진 나무와 관목으로, 잎은 어긋나게 배열되고 잎 기부가 비대칭인 특징을 가지며, 목재, 식용, 약용 등으로 이용되고 좋은 인연의 상징으로도 여겨지는 느릅나무속, 느티나무속, 시무나무속 등을 포함한다.
  • 미나리아재비과 - 매발톱꽃
    매발톱꽃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식물로, 자갈색 꽃받침과 노란색 꽃잎, 그리고 뒤쪽으로 뻗은 자갈색의 거(距)가 있는 아래를 향한 꽃을 피우며, 애기앉은부채와 큰산매발톱꽃 등의 하위 분류군이 있다.
  • 미나리아재비과 - 아네모네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지중해 연안 원산의 미나리아재비과 다년생 구근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이스라엘의 국화이자 팔레스타인을 상징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미나리아재비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애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acris)
애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acris)
학명Ranunculoideae
명명자Arn.
상위 분류미나리아재비과
하위 분류아도니스족 (Adonideae)
아네모네족 (Anemoneae)
아스테로피룸족 (Asteropyreae)
칼리안테뭄족 (Callianthemeae)
칼타족 (Caltheae)
승마아족 (Cimicifugeae)
델피니움족 (Delphinieae)
헬레보루스족 (Helleboreae)
니겔라족 (Nigelleae)
미나리아재비족 (Ranunculeae)

2. 하위 분류

미나리아재비아과는 다음과 같은 족(Tribus)으로 분류한다.[3][4][5][6][7][8][9][10][11][12]


  • 노루삼족(Actaeeae)
  • 니겔라족(Nigelleae)
  • 동의나물족(Caltheae)
  • 매화바람꽃족(Callianthemeae)
  • 미나리아재비족(Ranunculeae)
  • 바람꽃족(Anemoneae)
  • 복수초족(Adonideae)
  • 아스테로피룸족(Asteropyreae)
  • 제비고깔족(Delphinieae)
  • 헬레보루스족(Helleboreae)

2. 1. 노루삼족 (Actaeeae)

너도바람꽃속(''Eranthis'' Salisb.)[3]

  • 노루삼속(''Actaea'' L.)[3]
  • ''Anemonopsis'' Siebold & Zucc.[3]
  • ''Beesia'' Balf.f. & W.W.Sm.[3]

2. 2. 니겔라족 (Nigelleae)

니겔라속(''Nigella'' L.)[4]

2. 3. 동의나물족 (Caltheae)


  • 동의나물속(''Caltha'' L.)[5]
  • ''Psychrophila'' (DC.) Bercht. & J.Presl[5]
  • ''Thacla'' Spach[5]

2. 4. 매화바람꽃족 (Callianthemeae)

매화바람꽃속(''Callianthemum'' C.A.Mey.)[6]

2. 5. 미나리아재비족 (Ranunculeae)


  • 나도마름아재비속( ''Halerpestes'' Greene)[7]
  •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L.)[7]
  • ''Arcteranthis'' Greene[7]
  • ''Callianthemoides'' Tamura[7]
  • ''Cyrtorhyncha'' Nutt.[7]
  • ''Hamadryas'' Comm. ex Juss.[7]
  • ''Oxygraphis'' Bunge[7]
  • ''Paroxygraphis'' W.W.Sm.[7]
  • ''Peltocalathos'' Tamura[7]
  • ''Trautvetteria'' Fisch. & C.A.Mey.[7]

2. 6. 바람꽃족 (Anemoneae)


  • 노루귀속(''Hepatica'' Mill.)[8]
  • 바람꽃속(''Anemone'' L.)[8]
  • 으아리속(''Clematis'' L.)[8]
  • 할미꽃속(''Pulsatilla'' Mill.)[8]
  • ''Anemoclema'' (Franch.) W.T.Wang[8]
  • ''Anemonastrum'' Holub[8]
  • ''Anemonoides'' Mill.[8]
  • ''Eriocapitella'' Nakai[8]
  • ''Knowltonia'' Salisb.[8]
  • ''Metanemone'' W.T.Wang[8]

2. 7. 복수초족 (Adonideae)


  • 금매화속(''Trollius'' L.)[9]
  • 모데미풀속(''Megaleranthis'' Ohwi)[9]
  • 복수초속(''Adonis'' L.)[9]
  • ''Calathodes'' Hook.f. & Thomson[9]

2. 8. 아스테로피룸족 (Asteropyreae)

아스테로피룸속( ''Asteropyrum'' J.R.Drumm. & Hutch.)[10]

2. 9. 제비고깔족 (Delphinieae)

2. 10. 헬레보루스족 (Helleboreae)

헬레보루스족(Helleboreaela)은 DC.이 명명한 족이다.[12] 헬레보루스속(''Helleborus'' Tourn. ex L.) 식물을 포함한다.

3. 계통 분류

다음은 미나리아재비과의 계통 분류이다.[13]

{| class="wikitable"

| 미나리아재비과

|-

|



|-

|

{| class="wikitable"

| 황련아과

|-

|

미나리아재비아과
꿩의다리아과



|}

|}

|}

참조

[1] 간행물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2016-05
[2] 서적 Botany 94 1832
[3] 서적 Histoire Naturelle des Végétaux. Phanérogames 1838(7): 292, 383 1838
[4] 서적 Abhandlungen der Kaiserlich-königlichen Zoologisch-botanischen Gesellschaft in Wien. 4(5): 59 1909
[5] 서적 O Prirozenosti Rostlin 1: 2, 79 1823
[6] 논문 Perspectives in Plant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11(2): 102 2009
[7] 서적 Regni Vegetabilis Systema Naturale 1: 130, 228 1818
[8] 서적 Regni Vegetabilis Systema Naturale 1: 129, 168 1818
[9] 서적 Characteres Essentiales Familiarum 174 1847
[10] 논문 Acta Phytotaxonomica Sinica 20(4): 404 1982
[11] 서적 Abhandlungen der Kaiserlich-königlichen Zoologisch-botanischen Gesellschaft in Wien. 4(5): 58 1909
[12] 서적 Regni Vegetabilis Systema Naturale 1: 130, 306 1818
[13]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Poster http://www2.biolog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