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엔달렌 IF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엔달렌 IF는 1910년 창단된 노르웨이의 축구 클럽이다. 노르웨이 컵에서 3회 우승(1933, 1934, 1937)을 차지했으며, 엘리테세리엔에서 1976년과 1986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1969-70 시즌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과 1977-78, 1987-88 시즌 UEFA컵에 참가했으나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최근에는 2014년에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했지만, 강등과 승격을 반복하며 2023년에는 1. 디비전에 참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켄주의 스포츠 - 릴레스트룀 SK
릴레스트룀 SK는 1917년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으로, 리그 5회 우승, 컵 6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오로센 스타디온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도 활약했다. - 비켄주의 스포츠 - 스트룀스고세 IF
1922년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 스트룀스고세 IF는 1970년대 전성기를 거쳐 엘리테세리엔 우승과 노르웨이 컵 5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마리엔리스트 스타디온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엘리테세리엔 구단 - 비킹 FK
비킹 FK는 1899년에 창단된 노르웨이 축구 클럽으로, 엘리테세리엔에서 8회, 노르웨이컵에서 6회 우승을 기록하며 1970년대 리그 4연패를 통해 전성기를 맞았다. - 엘리테세리엔 구단 - SK 브란
SK 브란은 노르웨이 베르겐을 연고로 하며 1908년 창단되어 엘리테세리엔 3회 우승, 노르웨이 컵 7회 우승을 기록하고 UEFA 컵 위너스컵 8강에 진출한, 브란 스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노르웨이 대표적인 축구 클럽이다. - 1910년 설립된 축구단 - CA 벨레스 사르스피엘드
CA 벨레스 사르스피엘드는 1910년에 창단된 아르헨티나의 축구 클럽으로, 달마시오 벨레스 사르스피엘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1990년대에 황금기를 누리며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고, 호세 아말피타니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10년 설립된 축구단 -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
SC 코린치앙스 파울리스타는 1910년 상파울루 철도 노동자들이 창단한 브라질 축구 클럽으로, 브라질 세리에 A 7회 우승과 FIFA 클럽 월드컵 2회 우승 등 화려한 역사를 자랑하며 열정적인 팬덤과 주요 더비 매치로 브라질 축구의 중심 역할을 한다.
미엔달렌 IF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명 | 미엔달렌 IF 포트발 |
원어 표기 | Mjøndalen Idrettsforening Fotball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 | |
창단 | 1910년 8월 22일 |
홈 경기장 | 콘스토 아레나 |
수용 능력 | 4,350명 |
회장 | 해당사항 없음 |
감독 | 케빈 니콜 |
리그 | 1. 디비전 |
2024 시즌 | 1. 디비전, 16개 팀 중 14위 |
웹사이트 | 미엔달렌 IF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색상 | 갈색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
원정 유니폼 색상 | 흰색 상의, 갈색 하의, 갈색 양말 |
2. 역사
1910년 8월 22일에 창설되었다.
아래 표는 미엔달렌 IF가 노르웨이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활동한 기록을 나타낸다.
리그 | 1900년대 | 2000년대 | ||||||||||||||||||||
---|---|---|---|---|---|---|---|---|---|---|---|---|---|---|---|---|---|---|---|---|---|---|
63– 66 | 67– 71 | 72– 77 | '78 | '79 | 80– 81 | 82– 83 | '84 | 85– 87 | 88– 91 | '92 | 93– 94 | '95 | '96 | 97– 98 | 1999– 2006 | 07– 08 | 09– 14 | '15 | 16– 18 | 19– 21 | '22– | |
1부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2부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3부 리그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4부 리그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2. 1. 초기 (1910년 ~ 1960년대)
1910년 8월 22일에 창단되었다.1924년 노르웨이 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오드 BK에게 3-0으로 패배했다. 1930년대에는 노르웨이 컵에서 강세를 보이며 1933년, 1934년, 1937년에 세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같은 시기 1931년, 1936년, 1938년에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아쉽게 준우승에 머물렀다.
2. 2. 유럽 무대 진출과 리그 준우승 (1960년대 ~ 1980년대)
1968년 노르웨이 축구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무대에 처음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를 통해 다음 시즌인 1969-70 시즌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에 노르웨이 대표로 참가했다. 그러나 1라운드에서 웨일스의 카디프 시티를 만나 홈에서 1-7, 원정에서 1-5로 패배하며 합계 2-12라는 큰 점수 차로 탈락했다.1971년에는 1부 리그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고, 이후 1970년대와 1980년대 동안 노르웨이 축구 최상위 리그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이 시기 미엔달렌은 두 차례 리그 준우승을 기록했는데, 1976년과 1986년이다. 리그 준우승팀 자격으로 다음 시즌 UEFA컵 출전권을 얻었다.
1977-78 시즌 UEFA컵에서는 1라운드에서 강호 바이에른 뮌헨을 만나 홈에서 0-8, 원정에서 0-4로 패배하며 합계 0-12로 대패했다. 1987-88 시즌 UEFA컵 1라운드에서는 독일의 베르더 브레멘과 맞붙었다. 홈 경기에서는 0-5로 크게 패했지만, 원정 경기에서는 1-0으로 승리하는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합계 1-5로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유럽 대항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69–70 |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Cardiff City F.C.|카디프 시티cy | 1–7 | 1–5 | 2–12 |
1977–78 | UEFA컵 | 1라운드 | FC Bayern München|바이에른 뮌헨de | 0–8 | 0–4 | 0–12 |
1987–88 | UEFA컵 | 1라운드 | SV Werder Bremen|베르더 브레멘de | 0–5 | 1–0 | 1–5 |
2. 3. 재정 위기와 하부 리그 (1990년대 ~ 2000년대)
1992년에 노르웨이 최상위 리그로 복귀했지만, 복귀한 시즌에 바로 강등되었다. 이후 클럽은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힘든 시기를 보냈다. 이로 인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노르웨이 축구 리그 시스템의 2부 리그, 3부 리그, 심지어 4부 리그까지 참가하며 하부 리그를 전전했다.2. 4. 최근 (2000년대 ~ 현재)
미엔달렌은 2008년 2. 디비전(3부 리그)에서 성공적인 시즌을 보낸 후, 2009년에 1. 디비전(2부 리그)으로 복귀했다. 이후 2012년과 2013년에 연달아 1. 디비전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마침내 2014년에는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브란을 꺾고 노르웨이 최상위 리그인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다.[1]2015년 시즌, 미엔달렌은 22년 만에 최상위 리그 무대를 밟았으나, 리그 15위(최하위에서 두 번째)를 기록하며 한 시즌 만에 2016년 1. 디비전으로 다시 강등되었다.
2018년 시즌에는 1. 디비전에서 바이킹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바이킹과 함께 엘리테세리엔으로 자동 승격했다.[7][8] 2019년 시즌에는 리그 마지막 날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엘리테세리엔 잔류에 성공했다.[2]
3. 경기장
미엔달렌 IF의 홈 구장은 콘스텔라티오 아레나 (Consto Arena)이다.
4. 선수 명단
''시즌 이적에 관해서는 2022-23년 겨울 이적 및 2023년 여름 이적을 참고하십시오.''
4. 1. 현재 선수
2024년 9월 5일 기준[5]등번호 | 국적 | 이름 | 포지션 | 비고 |
---|---|---|---|---|
1 | 노르웨이 | 토마스 킨 | GK | |
2 | 노르웨이 | 시버르 스카르 에릭센 | MF | |
3 | 노르웨이 | 마르쿠스 벨린데르 | DF | |
5 | 노르웨이 | 시베르트 엥 오베르비 | DF | |
6 | 노르웨이 | 요아킴 올센 솔베르그 | DF | |
7 | 노르웨이 | 마르틴 뢰닝 오벤스타드 | MF | |
8 | 노르웨이 | 올레 아문 스빈 | FW | |
9 | 노르웨이 | 마티아스 브린가케르 | FW | |
10 | 노르웨이 | 베가르 레익볼 모베르그 | MF | |
13 | 노르웨이 | 안드레아스 파게렌 | GK | |
14 | 노르웨이 | 니클라스 셰트 셈멘 | FW | KFUM 오슬로에서 임대 |
15 | 스웨덴 | 러브 로이터스워드 | MF | |
16 | 노르웨이 | 요하네스 홀스타드 달비 | DF | |
17 | 노르웨이 | 빈데르 싱 | FW | |
18 | 노르웨이 | 니콜라이 오르스보그 | MF | |
19 | 노르웨이 | 에릭 네스바크 브렌덴 | MF | |
20 | 시에라리온 | 알리에 콘테 | FW | |
22 | 노르웨이 | 파비안 홀스트-라르센 | DF | 스트룀스고세에서 임대 |
23 | 노르웨이 | 예스페르 스코 | MF | 오드 BK에서 임대 |
24 | 노르웨이 | 마츠 페데르센 | MF | 보되/글림트에서 임대 |
25 | 노르웨이 | 안드레아스 헤레디아-란덴 | MF | 스트룀스고세에서 임대 |
26 | 세르비아 | 알렉산다르 루키치 | DF | |
27 | 노르웨이 | 크리스토페르 토크스타드 | MF | |
35 | 노르웨이 | 안드레아스 포틀란 | DF | |
45 | 페로 제도 | 마인하르드 올센 | FW | |
-- | 노르웨이 | 에릭 스타보스 스키스타드 | MF |
4. 2. 역대 주요 선수
5. 역대 성적
미엔달렌 IF는 21세기에 들어 3. 디비시온에서 시작하여 꾸준히 상위 리그로 승격했다. 2008년 2. 디비시온 우승 후 1. 디비시온으로 승격했으며, 2014년에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22년 만에 최상위 리그인 엘리테세리엔 무대를 밟았다.[1] 이후 엘리테세리엔과 1. 디비시온 사이에서 승격과 강등을 반복했다. 2018년 다시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했고, 2019년에는 극적인 잔류에 성공하기도 했다.[2]
5. 1. 리그
미엔달렌은 2008년 2. 디비시온에서 성공적인 시즌을 보내며 2009년 1. 디비시온으로 복귀했다. 이후 2012년과 2013년에 연이어 1. 디비시온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마침내 2014년 플레이오프에서 브란을 꺾고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다.[1] 이는 1993년 이후 22년 만의 최상위 리그 복귀였다.2015 시즌 엘리테세리엔에서 15위를 기록하며 한 시즌 만에 2016년 1.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그러나 2018년 1. 디비시온에서 2위를 차지하며 다시 엘리테세리엔으로 승격했다. 2019 시즌에는 리그 마지막 날 경기에서 승리하며 극적으로 1부 리그 잔류에 성공했다.[2] 하지만 2021 시즌에는 16위 최하위로 마감하며 다시 1.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다.
===주요 성과===
- '''엘리테세리엔''' (1부 리그)[3]
- * 준우승 (2회): 1976, 1986
- '''1. 디비시온''' (2부 리그)[3]
- * '''우승 (5회):''' 1971(2. 디비시온 A조), 1978(2. 디비시온 A조), 1981(2. 디비시온 A조), 1984(2. 디비시온 A조), 1991
===리그 참가 역사===
리그 | 1900년대 | 2000년대 | |||||||||||||||||||
---|---|---|---|---|---|---|---|---|---|---|---|---|---|---|---|---|---|---|---|---|---|
63– 66 | 67– 71 | 72– 77 | '78 | '79 | 80– 81 | 82– 83 | '84 | 85– 87 | 88– 91 | '92 | 93– 94 | '95 | '96 | 97– 98 | 1999– 2006 | 07– 08 | 09– 14 | '15 | 16– 18 | 19– 21 | '22– |
1부 리그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
2부 리그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
3부 리그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bgcolor="#ccffcc" | | |||||||||||||||||
4부 리그 | bgcolor="#ccffcc" | |
===시즌별 기록===
시즌 | 디비전 | 노르웨이 컵 | ||||||||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2009 | 아데코리가엔 | 11위 | 30 | 10 | 9 | 11 | 38 | 39 | 39 | 4라운드 탈락 |
2010 | 아데코리가엔 | 10위 | 28 | 10 | 5 | 13 | 41 | 49 | 35 | 3라운드 탈락 |
2011 | 아데코리가엔 | 10위 | 30 | 10 | 10 | 10 | 42 | 51 | 40 | 3라운드 탈락 |
2012 | 아데코리가엔 | 4위 | 30 | 16 | 7 | 7 | 52 | 43 | 55 | 4라운드 탈락 |
2013 | 아데코리가엔 | 6위 | 30 | 14 | 5 | 11 | 37 | 40 | 47 | 8강 탈락 |
2014 | 아데코리가엔 | 3위 | 30 | 14 | 9 | 7 | 57 | 36 | 51 | 4라운드 탈락 |
2015 | 엘리테세리엔 | 15위 | 30 | 4 | 9 | 17 | 38 | 69 | 21 | 8강 탈락 |
2016 | OBOS-리가엔 | 6위 | 30 | 13 | 10 | 7 | 49 | 38 | 48 | 2라운드 탈락 |
2017 | OBOS-리가엔 | 3위 | 30 | 15 | 7 | 8 | 56 | 37 | 52 | 8강 탈락 |
2018 | OBOS-리가엔 | 2위 | 30 | 17 | 9 | 4 | 49 | 24 | 60 | 4라운드 탈락 |
2019 | 엘리테세리엔 | 13위 | 30 | 6 | 12 | 12 | 38 | 52 | 30 | 8강 탈락 |
2020 | 엘리테세리엔 | 14위 | 30 | 8 | 3 | 19 | 26 | 45 | 27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중지 |
2021 | 엘리테세리엔 | 16위 | 30 | 4 | 10 | 16 | 33 | 52 | 22 | 3라운드 탈락 |
2022 | OBOS-리가엔 | 9위 | 30 | 13 | 3 | 14 | 39 | 47 | 42 | 2라운드 탈락 |
5. 2. 컵 대회
- '''노르웨이 컵:'''
- *'''우승 (3):''' 1933, 1934, 1937
- *'''준우승 (5):''' 1924, 1931, 1936, 1938, 1968
6. 유럽 대항전 기록
wikitext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1969–70 |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카디프 시티 | 1–7 | 1–5 | 2–12 |
1977–78 | UEFA컵 | 1라운드 | 바이에른 뮌헨 | 0–8 | 0–4 | 0–12 |
1987–88 | UEFA컵 | 1라운드 | 베르더 브레멘 | 0–5 | 1–0 | 1–5 |
참조
[1]
웹사이트
Mjøndalen rykker opp til eliteserien
https://www.nrk.no/o[...]
NRK
2020-02-07
[2]
웹사이트
Vill Seiersrus i Mjøndalen: – Vi har fightet, stått på og vi er dømt nord og ned av stort sett alle
https://www.vg.no/sp[...]
Verdens Gang
2020-02-07
[3]
문서
1. divisjon was the name of the top tier of Norwegian league football from 1963 until 1990. The top tier changed its name to the sponsor-affiliated name ''Tippeligaen'' ahead of the 1990 season. The second tier formerly known as 2. divisjon inherited the name [[1. divisjon]] ahead of the 1991 season. The third tier, formerly known as 3. divisjon was named [[2. divisjon]] ahead of the 1991 season and the names of all the lower divisions were adjusted accordingly. Effecting 2017, the top tier is named Eliteserien.
[4]
웹사이트
Mjøndalen IF
https://www.nifs.no/[...]
2022-10-30
[5]
웹사이트
A-laget
https://www.miffotba[...]
Mjøndalen IF
2023-06-07
[6]
웹사이트
Klubbfakta
http://www.mif.no/kl[...]
Mjøndalen Idrettsforening
2019-12-01
[7]
웹사이트
Viking og Mjøndalen rykket opp til Eliteserien
https://www.smp.no/1[...]
Sunnmørsposten
2019-12-01
[8]
웹사이트
Viking og Mjøndalen rykket opp etter drama: - En vanvittig scoring
https://www.vg.no/sp[...]
ヴェルデンス・ガング
2019-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