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는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서부에 위치한 입헌군주국으로, 1만 2천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바이킹 시대를 거쳐 덴마크, 스웨덴의 지배를 받았고, 1905년 독립하여 현재의 정치 체제를 갖추었다.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국왕은 국가원수, 총리는 정부수반이다. 노르웨이는 석유, 천연가스, 수산물, 수력 발전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하며, 높은 생활 수준과 사회 복지 시스템을 자랑한다. 또한, 여성의 권리, 소수자 권리를 존중하는 진보적인 국가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과 스포츠가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 - 노르웨이 육군항공대
    노르웨이 육군항공대는 노르웨이 육군의 항공 부대로서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하며 노르웨이 방어에 기여했으나, 헬기 운용과 관련된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노르웨이 - NSB El 16
    NSB El 16은 노르웨이 국철이 험준한 지형과 악천후에 운행하기 위해 스웨덴 기관차를 개량하여 도입한 전기 기관차로, 뾰족한 차체와 사이리스터 제어 방식, 미끄럼 방지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여객 및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으나, 전력량 부족으로 일부 노선에서 제한되기도 했으며, 현재 운행 정보는 확인되지 않는다.
  • 노르웨이 - GMB 71
    GMB 71은 노르웨이 가르데르모엔 선에서 운행하는 고속철도 전동차로, 오슬로 신공항 건설과 함께 도입되어 최고 속도 210km/h로 오슬로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20분 안에 주파하며, 2001년 자동 열차 제어(ATC) 설치 이후 사고 발생이 감소했다.
  • 타이가·북방수림 - 핀란드
    핀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17년 독립하여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노키아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과 높은 교육 수준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을 갖춘 국가이다.
  • 타이가·북방수림 - 스웨덴
    스웨덴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동부에 위치한 북유럽 국가로, 바이킹 시대를 거쳐 독립을 선언하고 발트해 지역 강국으로 부상했으며, 입헌군주제 수립 후 중립을 지키다 NATO에 가입하고 EU 회원국이지만 유로화를 거부하며 높은 사회복지와 삶의 질을 유지하는 국가이다.
노르웨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유럽에서 노르웨이 위치 (정사영)
유럽에서 노르웨이 위치
유럽에서 노르웨이 위치
유럽에서 노르웨이 위치
세계에서 노르웨이 위치 (+남극 주장 지역)
세계에서 노르웨이 위치 (+남극 주장 지역)
기본 정보
공식 명칭노르웨이 왕국
현지 이름(부크몰)
(니노르스크)
기타 공식 명칭(북부 사미어)
(룰레 사미어)
(남부 사미어)
(크벤어)
약칭노르웨이
노르웨이 국기
국기
노르웨이 국장
국장
국가Ja, vi elsker dette landet (그래, 우리는 이 나라를 사랑한다)
왕실 국가Kongesangen (왕의 노래)
국가 모토(비공식) Enige og tro inntil Dovre faller (도브레 산이 무너질 때까지 단결하고 충성한다)
공용어노르웨이어 (부크몰 및 니노르스크)
사미어 (북부 사미어, 룰레 사미어, 남부 사미어)
국가 소수 언어크벤어
로마니어
스칸도르마니어
노르웨이 수화
민족 구성81.5% 노르웨이인 (원주민 사미족 포함, 유대인, 여행자, 삼림 핀인, 로마니인, 크벤족 등의 소수 민족 포함)
18.5% 비노르웨이인
종교74.9% 기독교
68% 노르웨이 교회
6.9% 기타 기독교
21.2% 무종교
3.1% 이슬람
0.8% 기타
데모님노르웨이인
수도오슬로
최대 도시수도와 동일
정치
정부 형태의회 민주주의, 입헌 군주제
군주하랄 5세
총리요나스 가르 스퇴레
의회 의장마수드 가라카니
대법원장토리 마리에 외이에
입법부스토르팅
역사
국가 설립 (통일 이전)872년
옛 노르웨이 왕국 (최대 영토)1263년
칼마르 연합1397년
덴마크-노르웨이1524년
국가 재건1814년 2월 25일
헌법 제정1814년 5월 17일
스웨덴-노르웨이 연합1814년 11월 4일
스웨덴과의 연합 해소1905년 6월 7일
지리
면적385,207 km²
면적 순위61위
수역 비율5.32% (2015년)
인구
인구 추정치 (2024년)5,550,203명
인구 순위118위
인구 밀도14.4 명/km²
인구 밀도 순위227위
경제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 (2024년)$5,762.36억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 순위51위
1인당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103,446
1인당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 순위8위
명목 GDP (2024년)$5,037.52억
명목 GDP 순위27위
1인당 명목 GDP$90,433
1인당 명목 GDP 순위3위
지니 계수 (2020년)25.3
인간 개발 지수 (HDI) (2022년)0.966
인간 개발 지수 (HDI) 순위2위
기타
통화노르웨이 크로네
통화 코드NOK
시간대CET
UTC 오프셋+1
서머타임CEST
UTC 오프셋 (서머타임)+2
날짜 형식일.월.년
차량 통행 방향오른쪽
국제 전화 코드+47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no
기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sj (스발바르 제도 및 얀마옌 제도)
.bv (부베 섬)

2. 역사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노르웨이에는 약 1만 2천 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다. 그들은 아마도 독일 북부와 같은 더 남쪽 지역에서 와서 해안선을 따라 북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9세기부터 11세기까지의 바이킹 시대는 국가 형성의 통일 운동 및 확장의 기반이 되었다. 1130년부터 1240년까지는 왕위 계승권을 둘러싼 노르웨이 내전이 발생했다. 흑사병 등으로 인해 노르웨이 왕가가 1387년에 단절되고 덴마크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1450년부터 조약에 의해 종속되었고, 1536년에는 공식적으로 독립을 잃었다(덴마크-노르웨이). 덴마크가 나폴레옹 1세 편에 섰던 후인 1814년에 스웨덴에 넘겨졌다. 노르웨이인들은 이때 독립을 시도했지만 열강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스웨덴 왕국과의 동군연합(스웨덴-노르웨이)이 형성되었으며, 스웨덴 국왕 카를 13세가 노르웨이 국왕에 즉위했다. 1818년 카를 13세가 사망하자 스웨덴-노르웨이는 베르나도테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750년경부터 제1차 세계 대전러시아 혁명이 일어난 1920년까지 노르웨이 북부와 러시아의 알한겔스크 사이에서 해상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노르웨이에서 잡히는 생선과 러시아의 곡물을 교역하여 양 사회 모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20세기 초,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이 고조되었고, 1905년에 노르웨이 측에서 덴마크의 카를 왕자에게 제안이 있었다. 그 후,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 국가를 설립하고, 의회는 만장일치로 카를 왕자를 노르웨이 국왕으로 선출했다. 그는 독립한 노르웨이에서 호콘 7세로 즉위했다. 스웨덴 정부는 이 결정에 반발하여 일시적으로 소란이 일었지만, 오스카르 2세와 사회민주당 정부의 국민 설득에 따라 노르웨이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노르웨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중립국이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나치 독일의 침략을 받고, 비동맹 정책에 의문을 품게 되어 집단 안보 국가가 되었다. 또한, 1945년 7월 6일에는 일본에 대해 선전포고를 하였으나, 결국 전투를 벌이지는 않았다. 노르웨이는 국제연합 창립 회원국이며, 또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창설 회원국으로서 1949년에 북대서양 조약에 서명했다. 노르웨이에서는 1972년과 1994년 두 차례에 걸쳐 유럽 연합 가입에 관한 투표가 실시되었지만 두 번 모두 부결되었고, 현재는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 회원국으로 남아 있다.

1814년 5월 17일 아이츠볼 회의에서 조인된 노르웨이 헌법은 노르웨이를 절대군주제에서 민주적인 입헌군주제로 변화시켰다.[367] 아이츠볼 헌법은 표현의 자유(100조), 법치주의(96, 97, 99조) 등을 규정했다. 주요 헌법 개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814년 11월 4일스웨덴 국왕과의 동군연합을 형성하기 위해 재제정되었다.
1851년유대인 입국 금지 조항을 폐지했다.
1884년의원내각제가 출범하여 내각은 의회의 과반수 반대가 있을 경우 존속할 수 없는 관례가 확립되었다. 이 의회주의 원칙은 관례였으며, 헌법 조항으로 명시된 것은 아니었다.
1887년예수회와 수도회의 금지가 폐지되었다.
1898년남성의 보통선거권이 확립되었다.
1905년스웨덴과의 연합이 해소되었다.
1913년남녀 보통선거권이 확립되었다.
1956년종교의 자유가 인정되었다.
2004년표현의 자유에 관한 새로운 조항(구 100조 대체).
2007년의원내각제 명기. 일원제 의회로의 이행.
2009년동성애자 간의 혼인법이 시행됨. 같은 해 동성애자 부부의 입양법도 시행됨.
2012년복음 루터교 노르웨이 국교회가 국교 지위에서 제외됨.



2. 1. 선사 시대

스칸디나비아에서 내륙 빙하가 녹기 시작한 선사 시대부터 현재의 노르웨이 땅에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나타난다. 1만 년 전, 오늘날 노르웨이인들의 조상은 순록과 같은 동물들을 사냥하며 북쪽으로 이동했다. 인류 활동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외스트폴주의 남동쪽에 있는 언덕에서 발견되었다.

노르웨이에서 인간 거주 흔적이 처음 발견된 곳은 해안가인데, 마지막 빙하기의 거대한 빙붕이 기원전 11,000년에서 8,000년 사이에 처음 녹기 시작했던 곳이기 때문이다. 가장 오래된 유물은 기원전 9500년에서 6000년 사이의 석기로, 북쪽 핀마르크주(콤사 문화(Komsa culture))와 남서쪽 로갈란주(포스나-헨스바카 문화(Fosna-Hensbacka culture)/포스나 문화(Fosna culture))에서 발견되었다. 1970년대에는 두 문화가 별개라는 이론이 폐기되었다.[31]

기원전 3000년에서 2500년 사이에는 새로운 정착민들(중부 유럽의 끈무늬토기 문화(Corded Ware culture))이 노르웨이 동부에 도착했다. 그들은 곡물을 재배하고 가축을 기르던 인도유럽어족 농부들이었고, 서해안의 수렵 채집 인구를 점차 대체했다.

2. 2. 바이킹 시대

9세기에서 11세기까지 노르웨이의 바이킹은 대대적인 해상 원정을 벌였다. 노르웨이인의 후손이 아이슬란드에 뿌리를 내렸고 한때는 지금의 캐나다의 일부까지 이르렀다. 1000년 무렵 바이킹은 그린란드미국을 발견하였고, 기독교가 노르웨이에 들어갔다. 10세기 초 하랄 1세가 등장하여 국가 통일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1015년 올라프 2세 성왕이 노르웨이 전체를 완전히 통일하고 기독교로 개종시켰다.[32]

8세기경 스칸디나비아에 대한 최초의 역사 기록이 등장했을 무렵, 노르웨이에는 여러 개의 작은 정치 단위가 존재했다. 초기 바이킹 시대 동안 서노르웨이에는 9개의 소왕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3] 고고학자 베를리오트 솔베르그(Bergljot Solberg)는 이를 바탕으로 노르웨이 전체에는 적어도 20개의 소왕국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34]

바이킹 시대에 노르웨이 바이킹 탐험가들은 9세기에 페로 제도로 향하던 중 우연히 아이슬란드를 발견했고, 결국 캐나다의 뉴펀들랜드로 알려진 빈랜드에 도착했다. 노르웨이 출신 바이킹들은 북부와 서부 영국 제도 및 동부 북아메리카 제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다.[35]

부스케루에서 발견된 게르문드부 투구는 재구성이 가능한 유일하게 알려진 바이킹 시대 투구이다.


전통에 따르면, 하랄 1세는 스타방에르에서 벌어진 하프르스피오르드 전투 이후 872년에 이들 소왕국을 하나로 통일하여 통일 노르웨이의 첫 번째 국왕이 되었다.[36] 하랄드의 왕국은 주로 남노르웨이의 해안 국가였다. 하랄드는 강력한 통치를 했고, 사가에 따르면 많은 노르웨이인들이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 그린란드 및 영국과 아일랜드 일부 지역으로 이주했다.[37]

하콘 1세는 10세기 중반 노르웨이의 첫 번째 기독교 국왕이었지만, 그의 종교 도입 시도는 거부당했다. 노르스 전통은 10세기 후반과 11세기 초에 기독교 전통으로 서서히 대체되었다. 이는 주로 선교 왕인 올라프 1세올라프 2세의 공으로 여겨진다. 올라프 트뤼그바손은 런던 공격을 포함하여 영국에서 약탈을 자행했다. 995년 노르웨이로 돌아온 올라프는 모스터에 상륙하여 노르웨이 최초의 기독교 교회가 된 교회를 건립했다. 모스터에서 올라프는 트론헤임으로 북쪽으로 항해하여 995년 에이르싱에서 노르웨이 국왕으로 선포되었다.[38] 11세기 바이킹 역사에 대한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는 약 1015년부터 1028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이었던 올라프 2세와 아이슬란드인들 사이의 조약이다.[39]

유럽 다른 지역과는 달리 노르웨이나 스웨덴에서는 봉건제가 실제로 발전하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 행정은 매우 보수적인 봉건적 성격을 띠었다. 한자 동맹은 왕족에게 외국 무역과 경제에 대한 점점 더 큰 양보를 강요했다. 이는 한자가 왕족에게 했던 대출과 왕들이 지고 있던 큰 빚 때문이었다. 한자의 경제에 대한 독점적 통제는 모든 계급, 특히 농민들에게 압력을 가하여 노르웨이에는 실질적인 시민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다.[40]

2. 3. 중세 시대

994년 왕이었던 올라프 1세기독교를 승인한 이후로 2세기에 걸친 바이킹의 습격은 점차 줄어들었다.[41] 13세기, 내전이 끝나고 노르웨이의 영향력은 브리튼 제도아이슬란드, 그린란드까지 뻗어져 나갔다. 12세기에 접어들자 왕위를 둘러싼 내부 항쟁이 벌어졌다. 1217∼1263년에는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를 지배하여 노르웨이의 국력이 절정에 이르렀다. 문화적으로도 개화한 시대였다. 그 뒤 한자(Hansa) 상인의 활약으로 노르웨이 경제는 쇠퇴하고, 스웨덴과 동맹을 맺었으며, 덴마크와 400년 이상 동맹을 유지하는 등의 시대가 있었다.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친 전란의 시대를 거쳐서 새로운 시대에 들어갔다. 1217년 호콘 4세가 즉위하여 내란을 점차 평정하고 절대 왕정의 기반을 닦았다. 1397년, 노르웨이는 덴마크-노르웨이에 흡수되었고, 이는 4세기 이상 지속되었다. 1397년 포메른의 에리크 3세가 노르웨이 왕으로 즉위함과 동시에 덴마크스웨덴의 왕도 겸하였다. 그는 1442년 폐위되었으나 이후로도 오래도록 덴마크 왕의 지배가 계속되었고, 종교 개혁 운동으로 1539년 크리스티안 3세는 노르웨이를 루터교로 개종시켰는데, 현재도 노르웨이 기독교인들의 거의 대부분이 루터교 신자들이다.

1040년대부터 1130년까지 노르웨이는 평화를 누렸다.[41] 1130년, 내전 시대가 불명확한 계승 법을 근거로 발발하여 왕의 아들들이 공동으로 통치할 수 있게 되었다. 1152년 니달로스 대교구가 설립되어 왕의 임명을 통제하려 했다.[42] 교회는 필연적으로 분쟁에서 당파를 선택해야 했다. 전쟁은 1217년 명확한 계승 법을 도입한 하콩 4세 하콩손의 즉위로 끝났다.[43]

1000년부터 1300년까지 인구는 15만 명에서 40만 명으로 증가하여 토지 개간과 농장 분할이 이루어졌다. 바이킹 시대에는 농민들이 자신의 땅을 소유했지만, 1300년까지 토지의 70%는 왕, 교회 또는 귀족이 소유했고 수확량의 약 20%는 이러한 토지 소유주에게 돌아갔다.[44]

14세기는 무역, 특히 영국 제도와의 무역이 증가하고 평화로운 시대였던 노르웨이의 황금기로 묘사되지만, 세기 말에는 독일의 중요성이 점점 커졌다. 고 중세 전반에 걸쳐 왕은 중앙 행정부와 지역 대표를 통해 노르웨이를 주권 국가로 확립했다.[45]

1349년, 흑사병이 노르웨이로 확산되어 1년 만에 인구의 3분의 1을 몰살했다. 이후의 역병으로 1400년까지 인구는 초기의 절반으로 감소했다. 많은 지역 사회가 완전히 파괴되어 토지가 풍부해지면서 농민들은 축산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세금 감소는 왕의 권력을 약화시켰고,[46] 많은 귀족들은 잉여 생산의 기반을 잃었다. 교회에 대한 높은 십일조는 교회를 점점 더 강력하게 만들었고 대주교는 국무회의의 일원이 되었다.[47]

한자 동맹 무역망 아래 노르웨이의 무역 중심지였던 베르겐의 브뤼겐, 현재는 세계유산으로 보존되어 있다.


한자 동맹은 14세기 동안 노르웨이 무역을 장악하고 베르겐에 무역 중심지를 설립했다. 1380년, 올라프 하콩손은 노르웨이(올라프 4세)와 덴마크(올라프 2세)의 왕위를 계승하여 두 나라 사이에 연합을 만들었다.[47] 1397년, 마르가레테 1세 치하에서 세 스칸디나비아 국가 간의 칼마르 동맹이 성립되었다. 그녀는 독일인과 전쟁을 벌여 노르웨이 상품에 대한 무역 금수 조치와 세금 인상을 초래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그러나 노르웨이 국무회의는 동맹에서 탈퇴할 만큼 강력하지 않았다.[48]

마르가레테는 중앙 집권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인구가 더 많은 덴마크에 유리하게 작용했다.[49] 마르가레테는 또한 통치를 인정받는 대가로 뤼벡의 한자 상인들에게 베르겐에서 무역 특권을 부여했고, 이는 노르웨이 경제에 타격을 입혔다. 한자 상인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베르겐에 국가 내 국가를 형성했다.[50] "비크추얼 형제단"은 항구에 세 차례의 파괴적인 해적 습격을 가했다(마지막은 1427년).[51]

노르웨이는 올덴부르크 왕조(1448년 설립) 하에서 점점 더 뒷전으로 밀려났다. 1502년 크누트 알브손 하에서 한 차례 반란이 있었다.[52] 노르웨이는 1520년대 덴마크로부터 스웨덴이 독립하는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다.[53]

2. 4. 칼마르 동맹과 덴마크-노르웨이 연합

1000년부터 1300년까지 인구는 15만 명에서 40만 명으로 증가하여 토지 개간과 농장 분할이 이루어졌다. 바이킹 시대에는 농민들이 자신의 땅을 소유했지만, 1300년까지 토지의 70%는 왕, 교회 또는 귀족이 소유했고 수확량의 약 20%는 이러한 토지 소유주에게 돌아갔다.[44]

14세기는 무역, 특히 영국 제도와의 무역이 증가하고 평화로운 시대였던 노르웨이의 황금기로 묘사되지만, 세기 말에는 독일의 중요성이 점점 커졌다. 고 중세 전반에 걸쳐 왕은 중앙 행정부와 지역 대표를 통해 노르웨이를 주권 국가로 확립했다.[45]

1349년, 흑사병이 노르웨이로 확산되어 1년 만에 인구의 3분의 1을 몰살했다. 이후의 역병으로 1400년까지 인구는 초기의 절반으로 감소했다. 많은 지역 사회가 완전히 파괴되어 토지가 풍부해지면서 농민들은 축산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세금 감소는 왕의 권력을 약화시켰고,[46] 많은 귀족들은 잉여 생산의 기반을 잃었다. 교회에 대한 높은 십일조는 교회를 점점 더 강력하게 만들었고 대주교는 국무회의의 일원이 되었다.[47]

|thumb|한자 동맹 무역망 아래 노르웨이의 무역 중심지였던 베르겐의 브뤼겐, 현재는 세계유산으로 보존되어 있다.

한자 동맹은 14세기 동안 노르웨이 무역을 장악하고 베르겐에 무역 중심지를 설립했다. 1380년, 올라프 하콩손은 노르웨이(올라프 4세)와 덴마크(올라프 2세)의 왕위를 계승하여 두 나라 사이에 연합을 만들었다.[47] 1397년, 마르가레테 1세 치하에서 세 스칸디나비아 국가 간의 칼마르 동맹이 성립되었다. 그녀는 독일인과 전쟁을 벌여 노르웨이 상품에 대한 무역 금수 조치와 세금 인상을 초래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그러나 노르웨이 국무회의는 동맹에서 탈퇴할 만큼 강력하지 않았다.[48]

마르가레테는 중앙 집권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인구가 더 많은 덴마크에 유리하게 작용했다.[49] 마르가레테는 또한 통치를 인정받는 대가로 뤼벡의 한자 상인들에게 베르겐에서 무역 특권을 부여했고, 이는 노르웨이 경제에 타격을 입혔다. 한자 상인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베르겐에 국가 내 국가를 형성했다.[50] "비크추얼 형제단"은 항구에 세 차례의 파괴적인 해적 습격을 가했다(마지막은 1427년).[51]

노르웨이는 올덴부르크 왕조(1448년 설립) 하에서 점점 더 뒷전으로 밀려났다. 1502년 크누트 알브손 하에서 한 차례 반란이 있었다.[52] 노르웨이는 1520년대 덴마크로부터 스웨덴이 독립하는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다.[53]

1319년 하콩 5세(Haakon V) 국왕의 서거 후, 겨우 세 살이었던 마그누스 에리크손(Magnus Eriksson)이 마그누스 7세(Magnus VII)로서 노르웨이 왕위를 계승했다. 동시에 마그누스를 스웨덴 국왕으로 옹립하려는 움직임이 성공하여(그는 스웨덴의 마그누스 3세(Magnus Ladulås) 국왕의 손자였다), 스웨덴과 덴마크의 귀족들은 각각 그를 왕으로 선출했다. 따라서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마그누스 7세 국왕 휘하에 통합되었다.[54]

1349년, 흑사병으로 인해 노르웨이 인구의 50%에서 60%가 사망했다.[55] 이는 사회적, 경제적 쇠퇴기를 초래했다.[56] 유럽 다른 지역과 비슷한 사망률을 보였지만, 인구가 적고 분산되어 있어 경제 회복이 훨씬 더 오래 걸렸다.[56] 전염병 이전에도 인구는 약 50만 명에 불과했다.[57] 전염병 이후 많은 농장이 놀고 있었고 인구는 천천히 증가했다.[56] 하지만 살아남은 소수의 농장 소작인들은 지주들과의 교섭력이 크게 강화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56]

칼마르 동맹
|thumb|칼마르 동맹

마그누스 7세는 1350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했고, 그 후 그의 아들 하콩이 하콩 6세(Haakon VI)로서 왕위에 올랐다.[58] 1363년, 하콩은 덴마크의 발데마르 4세(Valdemar IV) 국왕의 딸인 마르가레테 1세(Margaret I)와 결혼했다.[56] 1379년 하콩이 사망하자 그의 열 살짜리 아들 올라프 4세(Olaf IV)가 왕위에 올랐다.[56] 올라프는 이미 1376년에 덴마크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56] 덴마크와 노르웨이는 동군연합을 맺었다.[59] 올라프의 미성년 시절, 그의 어머니이자 하콩의 미망인인 마르가레테 왕비가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외교를 담당했다.[56]

마르가레테는 스웨덴과 덴마크, 노르웨이의 연합을 눈앞에 두고 있었지만, 올라프 4세가 갑자기 사망했다.[56] 올라프의 사망 후 덴마크는 마르가레테를 섭정으로 삼았다. 1388년 2월 2일, 노르웨이도 마찬가지로 마르가레테를 왕으로 즉위시켰다.[56] 마르가레테 왕비는 자신의 권력이 더 안전해지려면 자신을 대신할 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녀는 자신의 누이의 손자인 에리크 포메라니아(Eric of Pomerania)를 선택했다. 그리하여 칼마르에서 열린 전 스칸디나비아 회의에서 에리크 포메라니아가 세 나라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의 왕위가 마르가레테 왕비의 통제하에 들어가면서 칼마르 동맹이 성립되었다.

2. 5.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킬 조약에 의해 노르웨이가 덴마크에서 독립한 1814년, 노르웨이인들은 노르웨이가 스웨덴에 할양되는 것에 반대했고, 노르웨이 왕국 (1814년)을 수립하고 노르웨이 헌법을 채택했다. 스웨덴은 이에 대항하여 노르웨이와 전쟁을 벌였고, 결국 노르웨이는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에 가입하여 스웨덴 왕 카를 14세를 섬기는 대신, 노르웨이의 독자적인 헌법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19세기 동안 노르웨이의 독립 움직임은 계속되었고, 결국 1905년 노르웨이는 독립을 이루며 스웨덴-노르웨이 연합은 종결되었다.

2. 6. 현대 노르웨이

1814년 5월 17일 아이츠볼 회의에서 조인된 노르웨이 헌법은 노르웨이를 절대군주제에서 민주적인 입헌군주제로 변화시켰다.[367] 아이츠볼 헌법은 표현의 자유(100조), 법치주의(96, 97, 99조) 등을 규정했다. 주요 헌법 개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814년 11월 4일스웨덴 국왕과의 동군연합을 형성하기 위해 재제정되었다.
1851년유대인 입국 금지 조항을 폐지했다.
1884년의원내각제가 출범하여 내각은 의회의 과반수 반대가 있을 경우 존속할 수 없는 관례가 확립되었다. 이 의회주의 원칙은 관례였으며, 헌법 조항으로 명시된 것은 아니었다.
1887년예수회와 수도회의 금지가 폐지되었다.
1898년남성의 보통선거권이 확립되었다.
1905년스웨덴과의 연합이 해소되었다.
1913년남녀 보통선거권이 확립되었다.
1956년종교의 자유가 인정되었다.
2004년표현의 자유에 관한 새로운 조항(구 100조 대체).
2007년의원내각제 명기. 일원제 의회로의 이행.
2009년동성애자 간의 혼인법이 시행됨. 같은 해 동성애자 부부의 입양법도 시행됨.
2012년복음 루터교 노르웨이 국교회가 국교 지위에서 제외됨.


  • -]--

3. 정치

노르웨이는 입헌 군주제 국가이며, 국가 원수는 하랄 5세이다. 대외 관계에서 노르웨이는 유럽 연합 회원국은 아니지만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주요 우방국 중 하나이다. 유엔에 경제적으로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유엔군 활동에도 참여하여 아프가니스탄, 코소보, 수단, 리비아 등에 파견되었다. 유엔, NATO, 유럽 평의회, 북유럽 이사회의 창립 회원국이며, 유럽 경제 지역, WTO, OECD 회원국이자 솅겐 협정 가입국이다.[356]

국왕은 헌법상 행정권을 가지지만, 실제로는 행사하지 않으며, 그 권한은 총리가 가지고 있다. 국왕의 실질적인 역할은 주로 의식이나 의례에 한정되지만, 국가의 상징으로서 국민의식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헌법상 국왕의 지위에 대한 주요 규정은 다음과 같다.[306]

조항내용
제3조행정권은 국왕에게 속한다. (여왕의 경우도 동일)
제5조국왕의 신체는 신성하며, 처벌받거나 기소되지 않는다. 책임은 내각이 진다.
제12조국왕은 선거권을 가진 노르웨이 국민 중에서 내각을 임명한다. 내각은 총리와 7명 이상의 각료로 구성된다.
제25조국왕은 왕국의 육해군 총사령관이다. 육해군은 의회의 승인 없이 증감할 수 없다.
제31조국왕의 모든 결정은 부서되어야 한다. 군대 지휘 관련 결정은 보고서를 제출하는 자가, 그 외 결정은 내각 총리 또는 참석자 중 제1각료가 부서한다.



스토팅이라 불리는 노르웨이 국회는 단원제이며, 169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2007년 헌법 개정 이전에는 단일 선거로 선출된 의원들이 오델스팅(하원)과 라그팅(상원)으로 나뉘어 양원제처럼 기능하는 변칙적인 체제였다. 해산은 없으며, 총선거는 4년에 한 번씩 실시된다. 19개 주를 단위로 하는 비례대표제 선거로 150석이 선출된 후, 19석이 득표율과 획득 의석 간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배분된다. 선거권은 그 해에 만 18세 이상이 되는 사람에게 주어진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결정하는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 위원은 노르웨이 국회에서 선출한다.

외교 관계에서 노르웨이는 덴마크 지배 시대의 역사 때문에 중립 지향이 강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침공을 경험한 후 국제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참여했다.[297] 1959년에는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에도 가입했다.[297] 유럽 연합(EU)에는 가입하지 않았지만,[304] 유럽 연합 시민은 노르웨이에서 자유롭게 일할 권리를 가진다.[307]

3. 1. 정당

1898년 모든 남성에게 보통 선거권(universal suffrage)이 부여되었고, 1913년에는 모든 여성에게 여성 참정권(Women's suffrage)이 부여되면서 노르웨이는 다당제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

3. 2. 사법 제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노르웨이의 사법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 작성할 내용은 없다.

3. 3. 인권

1814년, 노르웨이는 미국과 프랑스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 헌법을 채택하고 독립을 선포했다.[62] 칼 14세 요한 국왕은 메테르니히 시대에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헌법과 자유를 보호하여 자유주의적 군주로 여겨졌지만, 유급 정보원, 비밀 경찰, 언론 자유 제한을 통해 개혁을 위한 대중 운동, 특히 노르웨이 국가 독립 운동을 탄압하는 데 무자비했다.[66]

낭만주의 시대에는 상당한 사회적, 정치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1854년 여성은 재산 상속권을 얻었고, 1863년에는 미혼 여성을 미성년자로 유지하는 마지막 흔적이 사라졌다. 여성은 다양한 직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었다.[67] 1898년에는 모든 남성에게 보통 선거권이 부여되었고, 1913년에는 모든 여성에게 여성 참정권이 부여되었다.

2011년, 노르웨이에서는 극우 테러리스트 안데르스 베링 브레이비크가 오슬로 정부 청사와 우토야 섬의 노동당 청년 운동 여름 캠프를 공격하여 77명이 사망하고 319명이 부상을 입는 2011년 노르웨이 테러가 발생했다.[79]

4. 외교 및 군사

노르웨이는 유럽 연합(EU) 회원국은 아니지만, 유럽 경제 지역(EEA) 협정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유엔, NATO, 유럽 평의회, 북유럽 이사회의 창립 회원국이며, WTO, OECD 회원국이자 솅겐 협정 가입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침공을 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전후 중립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국제연합과 NATO에 가입했다.[297]

아프가니스탄, 코소보, 수단, 리비아유엔군 활동에 참여하여 군대를 파견하는등 유엔에 경제적으로 크게 공헌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스웨덴과는 이웃 국가로서 역사적으로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과거 스웨덴의 지배를 받은 경험으로 인해 반감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현재는 서방 세계의 일원으로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4. 1. 외교 관계

노르웨이는 동쪽으로 스웨덴과 1619km의 육지 국경을, 핀란드와 727km, 러시아와 196km의 국경을 각각 접하고 있다. 북쪽, 서쪽, 남쪽으로는 바렌츠 해, 노르웨이 해, 북해, 스카게라크 해협에 접해 있다.[93] 스칸디나비아 산맥은 스웨덴과의 국경 대부분을 형성한다.

4. 2. 대한 관계

1959년 대한민국과 수교하였으며 한국 전쟁 때는 유엔군으로 참전하여 야전병원 등의 의료지원을 하였다. 노르웨이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였고, 한국은 1994년 동계 올림픽릴레함메르로 선수단을 파견하였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 수상을 위해 노르웨이를 방문하였다.[297]

4. 3. 군사

노르웨이 국방군은 육군, 해군, 공군, 향토방위대로 구성된다. 해안경비대는 해군의 지휘를 받는다.

노르웨이는 징병제를 시행하며, 19세부터 44세까지 전 국민은 1년간 병역 의무가 있다. 과거에는 여성이 징병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나, 2015년부터 여성에게도 병역 의무가 부과되었다. 노르웨이는 유럽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서 남녀 모두 징병하는 유일한 국가이다.[309] 남녀 모두 징병하는 국가는 이스라엘이 있지만, 매우 드문 제도이다. 징병 대상자는 6만 명인데, 필요한 신병 수는 1만 명 정도여서 모든 사람이 징병되지는 않는다.[310] 양심적 병역 거부자는 대체 복무로 사회 봉사 활동을 할 수 있다. 2016년 징병된 청년의 3분의 1은 여성이었으며,[310] 남녀 혼숙 병영에서 생활한다.[310] 여성 군인의 압도적 다수가 남녀 혼숙 병영에 찬성한다.[310] 노르웨이에서 군 복무 경력은 이후 사회 활동에 높이 평가되고 유리하게 작용한다.[310] 2016년까지 여성 전투기 조종사와 잠수함 함장이 배출되었다.[310]

남극 대륙 퀸 모드 랜드 및 남태평양 페터 1세 섬 영유권을 주장하지만, 두 지역 모두 남극 조약에 의해 영유권이 동결되었다. 노르웨이와 러시아 간 바렌츠 해 영해 경계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양국이 공동 관리하는 "글로소넨"(그레이 존) 해역이 있었지만, 2010년 9월 15일 양국은 경계획정 조약에 서명했다.

5. 행정 구역

노르웨이의 행정 구역은 5개의 지방(노르노르게, 쇠를란데트, 베스틀란데트, 외스틀란데트, 트뢰넬라그), 15개의 주(fylker), 357개의 기초자치단체(kommuner)로 구성된 3단계 체계이다. 수도 오슬로는 주이자 기초자치단체이다.

2024년 기준 노르웨이의 주는 다음과 같다.[312]

번호주 이름지도
3오슬로(Oslo)
11로갈란주(Rogaland)
15뫼레오그롬스달주(Møre og Romsdal)
18노를란주(Nordland)
31에스트폴주(Østfold)
32아케르후스주(Akershus)
33부스케루주(Buskerud)
34인란데트주(Innlandet)
39베스트폴주(Vestfold)
40텔레마르크주(Telemark)
42아그데르주(Agder)
46베스트란주(Vestland)
50트뢰넬라그주(Trøndelag)
55트롬스주(Troms) (사미어로 로무사(Romssa))
56핀마르크주(Finnmark) (사미어로 핀마르쿠(Finnmárku))



1919년부터 사용된 행정구역 번호(18번 이하)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전통적인 순서를 따랐다. 2018년 이후 신설된 주(30번 이상)는 이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2010년대 후반, 행정구역 및 기초자치단체 개혁으로 2020년 1월 1일 19개 주가 11개로 합병되었다.[313] 그러나 비켄주, 베스트폴오그텔레마르크주, 트롬스오그핀마르크주는 주 의회 결정에 따라 2024년 1월 1일 7개 주로 분리(법적으로 신설)되었다.[314]

6. 지리

노르웨이는 스칸디나비아반도 서쪽, 얀마옌섬, 스발바르 제도, 부베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면적은 385,207[353] km2이며 유럽에서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낮은 나라이다. 동쪽으로 스웨덴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북쪽 지역은 남쪽은 핀란드, 동쪽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다. 남쪽 스카게라크 해협 건너편에는 덴마크가 있다. 북극해바렌츠해와 접하고 있는 해안선은 피오르로 유명하다.[354]

국토는 남북으로 약 100 km로 길게 뻗쳐 있으나 동서는 가늘며, 가장 좁은 곳은 몇 m 밖에 안 되는 특이한 모양이다. 국토의 72%는 빙하의 침식을 받은 평탄한 꼭대기를 지닌 산지이고, 삼림이 24%를 차지하며 경지는 매우 적다. 해발 2,000 m 이상에는 만년설이나 빙하가 지금도 남아 있다. 스칸디나비아산맥은 북부·중부에서는 스웨덴과의 국경으로 되어 있으나, 남부는 노르웨이 안에 펼쳐져 있으며, 이곳이 가장 높고(2,452 m) 폭도 가장 넓다. 요텐헤임(2,452 m), 요스테달스브렌(2,083 m) 및 도브레페르(2,286 m) 등의 산이 있고 빙모(氷帽)와 빙하가 있다. 서해안은 거대한 파도 지형이 나타나는데 인근에 5만 개 이상의 섬이 있고 2,500 km 이상이 이에 해당한다. 노르웨이는 스웨덴과 2,542 km의 국경을 접하며 동쪽으로는 핀란드러시아가 있다. 남서쪽으로는 노르웨이해, 북해가 있다. 남쪽 덴마크와의 사이는 스카게라크 해협이라고 부른다. 북쪽에는 로포텐 제도, 베스텔롤렌 제도 등이 있어서 좋은 어장으로 되어 있다.[359]

노르웨이의 호수.


노르웨이는 거의 대부분이 상당히 높은 지대여서 자연 경관이 수려하고 선사 시대 이후의 빙하 지형이 남아 있기도 하다. 베르겐 북쪽에 있는 송네 피오르는 안쪽까지의 길이가 200km나 되며, 100km까지도 나비가 몇 킬로미터나 된다. 이 피오르는 양쪽 육지가 가파른 절벽이다.[360]

6. 1. 기후

노르웨이는 한대성 기후를 보인다. 12월에는 오후 3시만 되어도 해가 지고 기온은 영하 15℃ 이하로 떨어진다. 하지만 내륙으로 들어가면 겨울 기온이 더 떨어지고 강우량은 적다. 눈이 자주 오며, 북극처럼 백야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난류인 멕시코 만류가 서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높은 위도에도 불구하고 온도가 낮지 않고 강우량이 많다.[361] 예를 들어 남부 서해안의 베르겐은 겨울철 월평균 기온이 1.3∼1.5℃이며, 여름에는 약 15℃로, 위도에 비해 비가 많이 온다. 연 강우량은 1,900mm에 달한다. 북쪽으로 갈수록 강우량은 적어져 북부에서는 연 강우량이 400mm 이하이다.[361]

다음은 노르웨이 주요 도시의 기후를 나타낸 표이다.

도시쾨펜 기후 부호
오슬로Dfb
베르겐Cfb
브뢰뇌위순Cfc
레나-헤우게달렌Dfc


7. 경제

노르웨이는 석유, 천연 가스, 석탄, 목재, 우라늄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수력 발전이 발달하여 전력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2011년 기준 세계 3위의 천연 가스, 5위의 석유 수출국이며, 관련 산업은 GDP의 약 25%를 차지한다.[354] 이러한 자원 수출을 통해 노르웨이 국부 펀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했으며, 2011년 기준 그 규모는 한화 약 650조 원에 달한다. 노르웨이는 세계 주식시장의 1%를 보유하고 있다.[354] 무역은 항상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2011년 기준 흑자 규모는 한국의 2배에 달한다.[355]

1970년 석유 발견 이전에는 스웨덴 경제 규모의 1/3에 불과했으나, 자원 개발에 힘입어 2009년에는 인구가 2배인 스웨덴을 총 경제력에서 추월하였다.[356] 1인당 국민소득은 2014년 10만 달러까지 치솟았으나, 2015년부터 저유가로 인해 하락하여 2016년 기준 약 69,700달러를 기록했다. 국민 1인당 수출입액은 베네룩스 다음으로 세계 준정상급이다.[368]

2010년 기준 연간 근로시간은 약 1,400시간으로 주당 27시간 정도이며, 세계에서 가장 적게 일하는 국민 중 하나이다. 최저임금은 산업마다 다르지만 연간 약 6,100만 원 정도이며, 2010년 기준 대졸자 초봉 평균은 42만 크로네이다.[357][358]

7. 1. 산업

노르웨이는 국토의 약 3%만이 농사를 지을 수 있어 식량 자급자족이 어렵지만, 어업은 활발하여 대구, 청어, 정어리 등의 어획량이 세계적인 수준이다.[369] 한때 북부 르흐딘에 포경기지가 있었으나, 원양 포경업은 쇠퇴하였다.[369]

1971년부터 북해 유전 개발로 1975년 산유국 대열에 합류했으며, 수력발전과 풍부한 어류, 산림,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369] 노르웨이는 세계 7위의 무역량, 세계 4위의 상선 보유량, 세계 9위의 해운 수입을 기록하며, 무역 수지 적자를 보완한다.[369]

주요 수출품의 45%는 원유와 가스이며, GDP의 20% 이상을 차지한다. 세계 4위 원유 수출국이자 3위 가스 수출국이며, 중국에 이어 세계 어획량 2위를 기록한다. 연어청어가 주요 수산물이다.

스타트피오르드 유전


2009년 GDP는 3,785억 달러(약 32조 원)[315], 2016년 명목 GDP는 3,762억 달러(약 42조 원)였다.[317] 2015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9만 3,820달러로 세계 1위,[318] 2021년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NI는 8만 4,260달러로 세계 4위이다.[319]

1969년 북해 유전 발견 후 국영 기업(예: 에퀴노르는 발행 주식의 약 3분의 2를 국가가 소유[321])이 유전 및 가스전 개발을 주도하며, 복지 국가 노르웨이 재정에 크게 기여한다. 원유 수익은 노르웨이 정부 연금 기금에 적립, 국제 금융 시장에 투자된다.

수자원이 풍부하여 수력발전이 발전량의 95.3%를 차지하며, 스마트 그리드 구상의 핵심이다. 어업, 임업, 광업도 활발하며, 노르웨이 연어(아틀란틱 연어)와 대서양 고등어가 일본에 많이 수출된다. 노르웨이의 고래잡이처럼 일본과 어업 문화가 비슷하며 고래잡이 옹호 국가이다. 축산도 이루어진다.

아케르 솔루션즈(세계 최대 특수 선박 제조), DNV GL 그룹(국제적 제3자 기관), NERA사(선박용 통신 기기), SIMRAD사(소나), Argus사(잠수함), 헬리한센(해양 패션) 등 해운 관련 산업이 발달했다. Vivaldi (Vivaldi Technologies), Opera(오페라 소프트웨어사)도 노르웨이 기업이다.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금융 시스템과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하며, 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가 노르웨이 정부 연금 기금 운용을 담당한다.

세율이 높아[328] 기네스북에 "세금이 가장 높은 국가"로 소개되기도 했다.

7. 2. 복지

노르웨이는 진보적인 국가로 여겨지며, 여성의 권리, 소수자의 권리, LGBT 권리를 지지하는 법률과 정책을 채택해왔다. 1884년 초, 5명의 총리를 포함한 171명의 주요 인사들이 노르웨이 여성 권리 협회를 공동 설립했다.[140] 이들은 여성의 교육받을 권리, 여성 참정권, 일할 권리 및 기타 성평등 정책을 위해 성공적으로 운동을 벌였다. 1970년대부터 성평등은 국가 의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성평등 증진을 위한 공공기관이 설립되어 성평등 및 차별반대 감찰관으로 발전했다. 시민 사회 단체들도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오늘날 여성 권리 단체들은 노르웨이 여성 로비라는 상위 단체로 조직되어 있다.

1990년 노르웨이 헌법은 장자 상속 제도를 노르웨이 왕위에 부여하는 것으로 개정되었는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장남이 계승 순위에서 우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소급 적용되지 않았으므로, 현재 왕위 계승자는 국왕의 장남이지 장녀가 아니다.[141]

오슬로에서 열린 세계 여성의 날 행진


사미족은 수 세기 동안 스칸디나비아와 러시아의 주류 문화로부터 차별과 학대를 받아왔으며, 이들 국가는 사미 땅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42] 노르웨이는 원주민에 대한 노르웨이화 정책과 차별로 인해 국제 사회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143]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는 1990년 UN이 권고한 ILO 협약 169를 인정한 최초의 국가였다.

노르웨이는 동성애 남성과 레즈비언의 권리를 보호하는 차별 금지법을 제정한 세계 최초의 국가였다. 1993년 노르웨이는 동성 커플을 위한 시민연합을 합법화한 두 번째 국가가 되었고, 2009년 1월 1일에는 동성 결혼을 합법화한 여섯 번째 국가가 되었다.[144] 인권 증진 국가로서 노르웨이는 매년 오슬로 자유 포럼 회의를 개최하는데, 이는 ''이코노미스트''가 "다보스 경제 포럼에 버금가는 인권 포럼이 되어가는 중"이라고 묘사한 모임이다.[145]

북해에서의 석유 채굴은 국영 비율이 높은 기업(예를 들어 에퀴노르는 발행 주식의 약 3분의 2를 국가가 소유[321])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지 국가 노르웨이의 재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미래의 석유·천연가스 고갈에 대비하여, 원유 매출에 따른 수익은 원칙적으로 노르웨이 정부 연금 기금으로 적립되어 국제적인 금융 시장에 투자되고 있다. 2006년도 예산에서는 74%(2571억)가 적립되었다. 국가 재정 수지는 석유 이외의 세입만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세출 억제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석유 기금에서의 충당이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2006년도 예산에서는 세입 9339억 중 석유에서 3483억, 석유 이외에서 5856억를 충당했고, 세출은 6768억였다.

세율이 높고[328], 기네스북에서 "세금이 가장 높은 국가"로 소개된 적이 있다. 추가 개인세 등으로 소득의 100%를 초과하는 세금이 부과되는 경우가 있다.

8. 사회

노르웨이는 북극으로 가는 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스칸디나비아반도 서쪽, 얀마옌섬, 스발바르 제도, 부베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385,207[353] km2이며 인구는 약 490만 명으로, 유럽에서 인구 밀도가 두 번째로 낮은 나라이다.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남쪽에는 덴마크가 있다. 수도오슬로이며, 북극해바렌츠해 해안선은 피오르로 유명하다.

노르웨이는 석유, 천연 가스, 석탄, 목재 등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수력 발전을 활발히 하고 있다. 2011년 기준 세계 3위의 천연 가스, 5위의 석유 수출국이며, 관련 산업이 GDP의 25%를 차지한다.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 펀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1년 기준 흑자 규모는 한국의 2배에 달한다.[355] 1970년에는 스웨덴 경제 규모의 1/3이었으나, 2009년에는 인구가 2배인 스웨덴을 추월했다.[356]

정치적으로는 입헌 군주제이며, 국가 원수는 하랄 5세이다. 유럽 연합 회원국은 아니지만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미국의 주요 우방국 중 하나이다. 유엔에 경제적으로 크게 공헌하고 있으며, 유엔군아프가니스탄, 코소보, 수단, 리비아 등에 파견했다. 유엔, NATO, 유럽 평의회, 북유럽 이사회 창립국이며, 유럽 경제 지역, WTO, OECD 회원국이자 솅겐 협정 가입국이다.

2001년부터 2006년, 2009년부터 최근까지 인간 개발 지수 세계 1위를 기록한 선진국이다. 2010년 기준 연간 근로시간은 약 1,400시간으로 세계에서 가장 적게 일하는 국민 중 하나이며, 최저임금은 산업마다 다르지만 연간 약 6,100만 원 정도이다.[357][358]

노르웨이 주민은 금발과 푸른 눈을 가진 키 큰 사람이 많으며, 평균 수명은 남성 73.6세, 여성 80.3세이다. 북부에는 랩(Lapp)족이 거주하며 독특한 용모,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다. 노르웨이어는 다른 스칸디나비아 국가 언어와 관련이 있으며, 지방어의 영향으로 1850년 새로운 말이 만들어져 이전 공용어와 함께 현재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주민 대다수는 루터교 신자이다.[367] 2010년 기준 노르웨이 인구는 410만 명인데, 미국 내 노르웨이 이민자 인구는 470만 명이다.

노르딕 모델에 따른 고부담 고복지 복지국가[328]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지수(HDI)는 세계 1위(2020년 기준),[298] 세계행복보고서는 세계 5위(2020년 기준),[299] 민주주의 지수는 세계 1위(2022년 기준),[300] 세계언론자유지수는 세계 1위(2020년 기준)를 기록했다.[301] 경제평화연구소의 긍정적 평화 지수(PPI)는 세계 1위이다(2023년 기준).[302]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세계 4위(2019년 기준, 국제통화기금(IMF) 조사)이다.[303] 19세기에는 농업국가였지만,[297] 20세기에 수력과 천연자원을 활용하여 산업화되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전기 야금, 기계, 조선 분야에서 발전했다.[304][297] 1970년대부터 북해유전을 통한 석유산업이 발전했다.[296] 연안에서는 어업이 성행하며 일본, 아이슬란드와 함께 포경국 중 하나이다.[296]

젠더 개발 지수(GDI)와 젠더 엠파워먼트 지수(GEM) 모두 세계 1위로 남녀평등이 잘 실현된 국가로 알려져 있다.[329] 2015년부터 여성 징병을 시작했다. GDP 대비 세수 비율은 40.5%(2013년),[330] 부가가치세(VAT)는 25.0%(2011년)로 상위권 국가 중 하나이다.[331]

8. 1. 이민

2013년 노르웨이의 이민 인구는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했다.[323] 노르웨이 노동당이 이끌던 중도좌파 연립정부는 이민 수용에 대해 안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2011년 노르웨이 테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2013년 총선에서 노동당은 우토야섬 테러 생존자들을 "우토야의 목소리"로 내세웠지만, 이민 정책에 비판적인 진보당과 보수당 중심의 중도우파 연합에 패배했다.[332][333]

이후 노르웨이는 관대한 이민 정책을 펼치는 스웨덴을 "실패 사례"로 언급했으며, 실비 리스트하우그 이민·통합 장관은 복지 국가 유지를 위해 이민 심사를 강화했다. 그 결과, 노르웨이의 이민 신청자 수는 덴마크보다도 급감했다. 리스트하우그 장관은 "효과적인 소통과 정치, 엄격한 경계선은 효과가 있다"고 언급하며, 낮은 이민 수치를 유지하고 사회 통합을 성공적으로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334]

최근 덴마크,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노르웨이에서도 이민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가진 정당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334] 한편, 2021년 학술지 『고등교육』에 따르면, 노르웨이 사회에는 인종차별이 존재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35] 2022년 학술지 『사회경제적 리뷰』에 따르면, 노르웨이는 고용과 관련하여 현지 후손을 남유럽인보다 우선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36]

8. 2. 종교

기독교 프로테스탄트의 루터교가 다수이며, 노르웨이 국교회 소속이 2010년 현재 78.0%를 차지한다.[325] 1537년에 창설된 노르웨이 국교회는 오랫동안 국교 지위에 있었으나, 2012년에 그 지위를 내려놓았다. 다른 프로테스탄트나 로마 가톨릭 등 단체 소속은 5.4%, 기독교 이외의 종교는 2.7%(이 중 80.1%가 이슬람교)이며, 세속적 휴머니즘 입장을 취하는 노르웨이 휴머니스트 협회 소속은 1.7%이다.[325]

노르웨이는 종교개혁 전통에 따라 루터교 국가였다. 2016년 12월 31일까지 노르웨이 국교는 루터교였으나, 국교법 개정에 따라 2017년 1월 1일부터 루터교는 국교 지위를 완전히 상실했다. 2016년 12월 31일까지는 루터교 의식(Ritual)에 따라 교회에서 왕 즉위식부터 세례, 결혼, 장례 등이 거행되었다. 개신교 국가이지만 이슬람, 불교, 로마 가톨릭 등 종교가 모두 보장된다. 부활절, 성령강림주일과 성탄절처럼 기독교 교회력에 나오는 절기들은 공휴일로 인정된다.

2011년 기준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371]

종교인구비율(%)
전체4,920,305명100%
기독교해당사항 없음83.6%
루터교3,911,622명79.4%
비기독교133,219명2.7%
이슬람교106,735명2.1%
그 밖의 종교1,188명0.02%
무교이거나 잘 알 수 없음671,411명13.6%
인문주의84,481명1.7%


8. 3. 언어

노르웨이어보크몰뉘노르스크라는 두 가지 표준어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문어 체계를 갖추고 있다. (노르웨이어 분쟁)[367]

오슬로를 중심으로 한 동부와 남부 지역에서는 보크몰(85%)을 사용하고, 베르겐을 중심으로 한 서부와 북부 지역에서는 뉘노르스크(15%)를 사용한다. 노르웨이인들은 비영어권 국가 중에서도 세계 최상위권의 영어 실력을 갖추고 있다.

공용어노르웨이어이다. 노르웨이어에는 덴마크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보크몰(Bokmål, 문어)과, 덴마크어의 영향을 배제하고 각 지역 방언을 바탕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뉘노르스크(Nynorsk, 신노르웨이어) 두 종류가 있다. 둘 다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지만, 실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보크몰이며 약 90%를 차지한다. 공식적으로는 뉘노르스크 사용 인구가 10% 이상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각 지역의 토착어(랑스몰) 사용자를 총칭하여 "뉘노르스크 사용자"라고 하는 것이 현실에 가깝다. 인공어인 뉘노르스크 사용자는 적으며, 전통적인 공통어이자 권위어인 보크몰이나 외국어를 사용하지 않고는 지역 간 의사소통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사미인들은 사미어를 사용하며, 사용 인구는 약 2만 명이다. 카라쇼크(Kárášjohka-Karasjok), 카우토케이노(Guovdageaidnu-Kautokeino), 네세뷔(Unjárga-Nesseby), 포르산게르(Porsanger), 타나(Deatnu-Tana), 코프요르드(Gáivuotna-Kåfjord)와 같이 사미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사미어도 공용어이다.

스발바르 제도에서는 러시아어도 공용어이다.

영국과 지리적,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노르웨이에서는 영어 TV 프로그램이 방영되기도 하여, 특히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많은 국민들이 영어에 능숙하다.

9. 문화

2022년 『민족 및 인종 연구 저널』에 따르면, 노르웨이 문화는 순수, 평화, 순결이라는 세 가지 단어로 귀결된다.[341]

노르웨이 민담집을 만든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예르겐 모에, 《인형의 집》을 쓴 극작가 헨리크 입센, "호호 아줌마"의 원작가로 알려진 알프 프뢰위센은 모두 노르웨이 출신 작가이다.

대표적인 낭만주의 작곡가이자 피아노 연주자인 에드바르 그리그, 1980년대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졌던 팝그룹 아하(A-ha), DJ 앨런 워커는 유명한 노르웨이 음악가이다.

"절규"로 잘 알려진 후기 인상파 화가 에드바르 뭉크와 노르웨이 내에서 유명한 화가 테오도르 키텔센은 노르웨이 출신 화가이다.

프리티오프 난센로알 아문센(최초로 남극점 달성)은 노르웨이 출신 탐험가이다.

9. 1. 문학

노르웨이에는 노르웨이 민담집을 만든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예르겐 모에 등 유명한 동화 작가들이 많다. 헨리크 입센은 《인형의 집》을 쓴 유명한 극작가이다. 알프 프뢰위센은 "호호 아줌마"의 원작가로 알려진 노르웨이 출신의 동화작가이다.

9. 2. 음악

클래식 음악에서는 낭만파 음악 작곡가 에드바르트 그리그, 세계적으로 유명한 피아니스트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첼리스트 토를루스 모르크, 현대 음악 작곡가 알네 노를헤임 등의 음악가를 배출했다.

대중음악에서는 메이헴, 사테리콘, 엠페러, 딤무 보거, 토케, 림보닉 아트 등을 대표로 하는 블랙메탈이나,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걸쳐 세계적인 히트곡을 낸 아하(a-ha), 고딕/EBM 계열에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APOPTIGMA BERZERK 등의 그룹의 성공은 최근 중요한 수출 산업의 하나가 되고 있다. 그 밖에 얀 갈바렉을 대표로 하는 재즈나, 전통적인 민요의 영향을 받은 포크 음악도 매우 성행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사미족의 요이쿠 가수 도 알려져 있다.

9. 3. 미술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에른센예르겐 모에는 노르웨이 민담집을 만들었고, 헨리크 입센은 《인형의 집》을 썼으며, 알프 프뢰위센은 "호호 아줌마"의 원작가이다. 이들은 모두 노르웨이 출신 작가이다.

에드바르 뭉크는 "절규"로 잘 알려진 후기 인상파 화가이며, 테오도르 키텔센은 노르웨이 내에서 유명한 화가이다. 이들 또한 노르웨이 출신이다.

9. 4. 스포츠

노르웨이에서는 동계 스포츠가 활발하며, 동계 올림픽에서 많은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는 강국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2016년 릴레함메르 동계 청소년 올림픽을 개최했다. 참고로, 지금까지 노르웨이에서 하계 올림픽이 개최된 적은 한 번도 없다.

축구는 노르웨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1937년에 축구 리그인 엘리테세리엔(Eliteserien)이 창설되었다. 최근에는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으며, "괴물"이라고 불리는 '''엘링 홀란'''은 유럽 챔피언스리그 2020-21 시즌과 2022-23 시즌 득점왕을 차지했다. 홀란드 외에도, 아스널에서 활약하는 '''마르틴 외데고르'''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노르웨이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 1938년 대회에서 처음 출전했다. 1998년 대회에서는 1차 리그에서 브라질을 2-1로 이기는 이변을 일으켜 16강에 진출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2000년 대회에서 처음 출전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세계 최고의 강팀으로 알려져 있으며, FIFA 여자 월드컵올림픽에서 우승 경험이 있다.

9. 5. 세계유산

노르웨이에는 유네스코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문화유산이 7건, 자연유산이 1건으로 총 8건이 있다(2017년 제41차 세계유산위원회 종료 시점).[1]

참조

[1] 웹사이트 Minoritetsspråk http://www.sprakrade[...] 2018-01-08
[2] 웹사이트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as of 1 January 2020 https://www.ssb.no/b[...] Statistics Norway 2020-03-09
[3] 웹사이트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1-03-09
[4] 웹사이트 Samer https://www.regjerin[...] Fornyings- administrasjons- og kirkedepartementet 2006-06-16
[5] 웹사이트 Nasjonale minoriteter https://www.regjerin[...] 2006-06-16
[6] 웹사이트 05183: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by sex and country background 1970 – 2021-PX-Web SSB https://www.ssb.no/e[...] 2022-03-00
[7]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Norway, Article 16 (English translation, published by the Norwegian Parliament)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Church of Norway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1-06-15
[9] 웹사이트 Members of religious and life stance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by religion/life stance.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1-09-27
[10] 웹사이트 The Re-establishing of a Norwegian State https://www.regjerin[...] 2020-07-05
[11] 웹사이트 Arealstatistics for Norway 2019 https://web.archive.[...] Kartverket, mapping directory for Norway 2019-12-20
[12] 웹사이트 Surface water and surface water change https://stats.oecd.o[...]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13] 웹사이트 Population, 2024-01-01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4-01-01
[1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Norway)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10-22
[15]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 EU-SILC survey https://ec.europa.eu[...] Eurostat
[1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7] 웹사이트 Norway https://www.cia.gov/[...] 2021-10-26
[18] 웹사이트 Norway Population 2024 (Live) https://worldpopulat[...]
[19] 서적 Antarctic treaty system: an assessment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Press
[20] 웹사이트 Norwegian Society / Living in Norway https://web.archive.[...]
[21] 뉴스 Statistics Norway raises '07 GDP outlook, cuts '08 https://web.archive.[...] 2007-09-06
[22]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Crude oil – production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Natural gas – production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The World's Richest Countries https://www.forbes.c[...]
[25] 뉴스 The World's Biggest Wealth Fund Hits $1 Trillion https://www.bloomber[...] 2017-06-27
[26] 뉴스 Norway's gigantic sovereign wealth fund loses a record $164 billion, citing 'very unusual' year https://www.cnbc.com[...] 2023-01-31
[27] 방송 Nomino 6:6 https://tv.nrk.no/se[...] 2016-10-04
[28] 웹사이트 Sår tvil om Norges opphav http://forskning.no/[...] Forskning.no for Universitetet i Agder 2016-02-29
[29] 서적 Rulership in 1st to 14th century Scandinavia https://library.oape[...] De Gruyter 2020
[30] 학술지 Noregr tyder nok vegen mot nord, likevel http://ojs.novus.no/[...] 2016
[31] 서적 The Anatomy of Denmark: Archaeology and History from the Ice Age to AD 2000 Bloomsbury Academic 2009-09-14
[32] 간행물 Elevated Rock Art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ncient History, University of Gothenburg
[33] 서적 Vestlandets største gravminner. Et forsøk på lokalisering av forhistoriske maktsentra Bergen
[34] 서적 Jernalderen i Norge Oslo
[35] 웹사이트 Vinland Archeology https://web.archive.[...]
[36] 서적
[3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reland Oxford University Press
[38] 서적
[39]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논문 The black death in Norway
[56] 백과사전 Black Death (pandemic) https://www.britanni[...] 2011-07-23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Finding the family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Scotlan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61] 서적 The savage wars of peace: England, Japan and the Malthusian trap https://books.google[...]
[62] 조약 Treaty of Kiel 1814-01-14
[63] 서적 The Congress of Vienna; a study in allied unity, 1812–1822 Constable & co. ltd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Sweden: the Nation's Histor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Collected Works: Volume 6 International Publishers
[71] 서적 Larsen
[72] 백과사전 Marcus Møller Thrane – Norwegian journalist and socialist https://www.britanni[...] 2024-04-11
[73] 서적 The Neutral Ally: Norway's relations with belligerent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1995
[74] 웹사이트 Norwegian volunteers in the Wehrmacht and SS http://www.nuav.net/[...] Nuav.net 1940-04-09
[75] 뉴스 PM to light London tree https://web.archive.[...] Aftenposten 2007-12-05
[76] 웹사이트 Kriegsende in der Arktis: Die vergessenen Haudegen http://www.spiegel.d[...] 2010-09-03
[77] 웹사이트 Balder – Norsk Oljemuseum http://www.norskolje[...]
[78] 뉴스 Norwegian minister Espen Eide urges UK caution on quitting EU https://www.bbc.co.u[...] 2012-12-23
[79] 뉴스 Norway mourns 77 dead a decade after terrorist attack https://www.pbs.org/[...] 2021-07-22
[80] 뉴스 'Iron Erna' replaces Stoltenberg as Norway's prime minister as centre-right bloc takes power https://archive.cana[...] 2013-09-09
[81] 뉴스 Norway election: Conservative Erna Solberg triumphs https://www.bbc.com/[...] 2013-09-10
[82] 뉴스 Norway's right-wing government wins re-election fought on oil, tax https://www.reuters.[...] 2017-09-12
[83] 뉴스 Norway's left-wing opposition wins in a landslide, coalition talks next https://www.reuters.[...] 2021-09-14
[84] 웹사이트 Norway's prime minister presents his new government https://abcnews.go.c[...]
[85] 서적 Norge Aschehoug 1973
[86] 간행물 Kiel-traktaten Nasjonalbiblioteket/National Library of Norway 1814
[87] 서적 Orkenøyene Grøndahl 1985
[88] 서적 Norge blir en stat. 1130–1319 Universitetsforlaget 1964
[89] 웹사이트 Norge http://snl.no/Norge 2018-05-14
[90] 웹사이트 Norge i nord, sør, øst og vest https://www.kartverk[...] 2013-03-08
[91] 뉴스 Explore North Cape, Europe's northernmost point https://www.independ[...] 2017-12-14
[92] 웹사이트 Statistisk årbok 2013: Geografisk oversikt https://www.ssb.no/a[...]
[93] 웹사이트 Norway https://www.cia.gov/[...]
[94] 웹사이트 Minifacts about Norway 2009: 2. Geography, climate and environment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95] 서적 Innsjøenes verden Universitetsforlaget 1959
[96] 간행물 Opplegg For Ressursregnskp For Vann SSB/Statistics Norway 1985
[97] 웹사이트 Climate in Norway(English) https://met.no/Engli[...]
[98] 서적 Selected climatic data for a global set of standard stations for veget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2-06
[99] 웹사이트 The Gulf Stream Myth http://ocp.ldeo.colu[...]
[100] 웹사이트 Norske steder blant de tørreste i Europa (Places in Norway among the driest in Europe) http://www.yr.no/art[...] NRK 2016-08-21
[101] 웹사이트 Climate of Norway: Temperature, Climate graph, Climate table for Norway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102]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o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103] 논문 World map of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s://koeppen-geig[...]
[104] 웹사이트 Norwegian Shelf ecosystem http://www.eoearth.o[...] Eoearth.org
[105] 웹사이트 NOU 2004 http://www.regjering[...] Regjeringen.no
[106] 웹사이트 Norwegian Red List 2010 https://web.archive.[...]
[107]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08] 웹사이트 Norway's forest heritage under threat http://wwf.panda.org[...] 2003-04-15
[109] 뉴스 25 Reasons Norway Is The Greatest Place On Earth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4-01-07
[110] 뉴스 Best, Worst World Heritage Sites Ranked https://web.archive.[...] 2009-10-25
[111] 웹사이트 Norway: come for the sun, stay for the light show https://web.archive.[...] 2017-04-11
[112] 웹사이트 Global Metrics for the Environment https://web.archive.[...] 2017-12-23
[113] 웹사이트 2016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xcel/xls) http://epi.yale.edu/[...] 2017-12-23
[114]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15] 뉴스 Norway__1 World's Top Democratic Governments: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Democracy Index 2010 (PHOTOS)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3-08-27
[116] 간행물 Democracy index 2011 http://www.sida.se/G[...]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3-08-27
[117] 뉴스 Democracy Index 2013: Global Democracy At A Standstill,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s Annual Report Shows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3-08-27
[118]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 Complete text https://web.archive.[...] 2011-09-09
[119] 웹사이트 The King's constitutional role http://www.kongehuse[...] The Royal Court of Norway 2009-04-24
[120] 웹사이트 The Monarchy https://web.archive.[...] Norway.org 2010-06-24
[121] 웹사이트 The Storting https://web.archive.[...] Norway.org 2009-06-10
[122]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https://web.archive.[...] parties-and-elections.de 2011-09-10
[123] 웹사이트 The Government https://web.archive.[...] Norway.org 2009-06-10
[124] 웹사이트 Case of Folgerø and Others v. Norway https://hudoc.echr.c[...] 2015-03-17
[125] 뉴스 På statskirkens siste dag https://web.archive.[...] 2017-02-04
[126] 웹사이트 Form of Government https://archive.toda[...] Norway.org 2009-09-10
[127] 웹사이트 Political System of Norway https://web.archive.[...] 123independenceday.com 2010-01-27
[128] 웹사이트 Political System https://web.archive.[...] Norway.org 2010-01-27
[129] 웹사이트 Norway election: Erna Solberg to form new government https://www.bbc.co.u[...] BBC 2014-02-15
[130] 뉴스 Norway's Prime Minister Presents His New Government https://www.usnews.c[...] 2021-12-09
[131] 웹사이트 Fylkesinndelingen fra 2024 https://www.regjerin[...] regjeringen.no 2024-01-11
[132]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https://web.archive.[...] Norway.org 2010-01-27
[133]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Norway » Government & Politics https://www.lifeinno[...] 2021-03-08
[134] 백과사전 Byer i Norge https://snl.no/byer_[...] Kunnskapsforlaget 2024-07-01
[135] 뉴스 Norge utvider Dronning Maud Land helt frem til Sydpolen http://www.aftenpost[...] 2015-09-21
[136] 웹사이트 The Judiciary https://web.archive.[...] Norway.org 2009-06-10
[137] 뉴스 Anders Breivik: Just how cushy are Norwegian prisons? https://www.bbc.co.u[...] BBC
[138] 웹사이트 Index 2023 – Global score https://rsf.org/en/i[...] 2023-05-03
[139] 웹사이트 Global Corruption Barometer 2013-Norway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13-11-17
[140] 서적 Likestilling eller særstilling? Norsk kvinnesaksforening 1884–1913 Gyldendal Norsk Forlag
[141]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 Complete text https://web.archive.[...] Stortinget.no 2011-07-23
[142] 서적 Civil Society in the Baltic Sea Region Ashgate Publishing, Ltd.
[143] 웹사이트 Journal of Indigenous People Rights. Issue No. 3/2005 https://web.archive.[...] 2015-03-31
[144] 웹사이트 Same-Sex Marriage Around the World https://www.pewresea[...] 2023-06-09
[145] 뉴스 Human rights: A crowded field http://www.economist[...] 2010-05-27
[146] 웹사이트 List of Norwegian embassies at the website of the Norweg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s://www.embassyp[...] 2008-02-06
[147] 웹사이트 Refleksjoner fra Brussel – Hospitering ved Sørlandets Europakontor – Vest-Agder Fylkeskommune https://web.archive.[...] Intportal.vaf.no 2010-01-04
[148] 웹사이트 EU-programmer https://web.archive.[...] Eu-norge.org 2009-06-30
[149] 웹사이트 NDF official numbers https://web.archive.[...] NDF 2009-04-22
[150] 뉴스 Norway becomes first NATO country to draft women into military http://uk.reuters.co[...] 2013-06-14
[151] 웹사이트 Forsvarsnett: Norwegian forces abroad https://web.archive.[...] mil.no 2008-09-02
[152] 학술지 Environment And Economy: Can They Co-Exist In The "Smart State"? https://web.archive.[...] 2015-03-20
[15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2008 https://web.archive.[...] hdr.undp.org 2008-12-18
[154] 간행물 A Family Affair: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across OECD Countries http://www.oecd.org/[...] OECD 2013-08-27
[155] 웹사이트 OECD Better Life Index http://www.oecdbette[...] OECD
[156] 웹사이트 NAV – Foreldrepenger ved fødsel https://web.archive.[...] Nav.no
[157] 웹사이트 Labour force survey, seasonally-adjusted figures, September 2016 https://www.ssb.no/e[...] 2016-09
[158] 웹사이트 Labour force survey – About the statistics http://www.ssb.no/en[...] Ssb.no 2013-10-30
[159]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Norway 2013, Table 144: National Insurance. Disability pension, by county. 31 December 2012 http://www.ssb.no/a/[...] Ssb.no 2012-12-31
[160] 웹사이트 Dette er Norge http://www.ssb.no/no[...] Statistics Norway
[161]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GDP per Capita and per Hour, 1960–2010 http://www.bls.gov/f[...]
[162] 웹사이트 Hourly Compensation Costs, U.S. Dollars and U.S. = 100. http://www.bls.gov/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11-12-21
[163]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Distribution of Family Income – GINI Index https://web.archive.[...]
[164] 웹사이트 EØS-loven – EØSl. Lov om gjennomføring i norsk rett av hoveddelen i avtale om Det europeiske økonomiske samarbeidsområde (EØS) m.v. (EØS-loven) http://www.lovdata.n[...] Lovdata.no
[165] 웹사이트 Norway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166] 웹사이트 Norway first in world to ban deforestation https://www.cnn.com/[...] 2016-06-08
[167] 서적 This is Norway Statistics Norway 2019-10-14
[168] 웹사이트 The Norwegian Fiscal Policy Framework https://www.regjerin[...] Government.no 2019-03-20
[169] 신문 Aftenposten 2013-08-05
[170] 웹사이트 Her er Norges nye oljeprovins http://www.dn.no/ene[...] Dn.no 2013-09-06
[171] 웹사이트 Gass- og oljefunn nord for Snøhvitfeltet i Barentshavet – 7220/8-1 https://web.archive.[...] Npd.no 2011-04-01
[172] 웹사이트 FAO Globefish global trends 2006 https://wayback.arch[...] 2009-03-08
[173] 웹사이트 Mener Norge bør satse på våpen når oljen tar slutt – VG Nett om Stoltenberg-regjeringen http://www.vg.no/nyh[...] Verdens Gang 2011-01-28
[174] 웹사이트 Norsk næringsvirksomhet – Strukturen i norsk økonomi https://www.regjerin[...] 2000-05-18
[175] 웹사이트 Norsk næringsliv https://www.ssb.no/n[...]
[176] 뉴스 Algas nocivas matam mais de 4,2 mil toneladas de salmão no Chile https://www.istoedin[...] 2022-09-04
[177] 뉴스 Binge and purge http://www.economist[...] 2009-01-22
[178] 웹사이트 Mineral Resources in Norway in 2013 http://www.ngu.no/up[...]
[179] 웹사이트 The fund https://web.archive.[...]
[180] 웹사이트 National accounts – SSB https://www.ssb.no/e[...]
[181] 뉴스 Norway's Sovereign Wealth Fund Ramps Up Investment Plans https://dealbook.nyt[...] 2014-06-24
[182] 웹사이트 Transparency https://web.archive.[...]
[183] 뉴스 Investment: Norway's nest egg https://www.ft.com/c[...] 2012-08-19
[184] 간행물 Norwegian Minist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 2003
[185] 웹사이트 Majority in Favor of High-Speed Trains https://web.archive.[...] Theforeigner.no
[186] 뉴스 De aller fleste sier ja takk til lyntog https://www.aftenpos[...] 2011-03-07
[187] 간행물 Norwegian National Rail Administration 2008
[188] 웹사이트 Slik er norsk jernbane organisert https://www.regjerin[...] 2023-07-03
[189] 웹사이트 Slik er norsk jernbane organisert https://www.regjerin[...] Norwegian Government 2023-07-03
[190] 웹사이트 About http://www.jernbanev[...]
[191] 웹사이트 Kollektivtransport http://www.regjering[...] 2006-06-16
[192] 웹사이트 Train facts http://www.nsb.no/ab[...]
[193] 간행물 Norwegian Ministry of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2003
[194] 뉴스 Electric cars take off in Norway https://web.archive.[...] 2011-05-15
[195] 웹사이트 Norwegian Parliament extends electric car initiatives until 2018 https://web.archive.[...] AVERE 2012-09-03
[196] 웹사이트 Eventyrlig elbilsalg i 2011 https://web.archive.[...] Grønn bil 2012-01-09
[197] 웹사이트 Elbilsalget i mars slo alle rekorder http://www.gronnbil.[...] Grønn bil 2014-04-02
[198] 웹사이트 Top 6 Plug-In Vehicle Adopting Countries http://www.hybridcar[...] HybridCars.com 2014-01-16
[199] 뉴스 Norway Wants to Make Gas-Powered Cars Illegal by 2025 http://www.autoguide[...] VerticalScope Inc. 2016-06-06
[200] 웹사이트 2007 Passasjerer https://web.archive.[...]
[201] 웹사이트 About Avinor https://web.archive.[...]
[202] 웹사이트 Rutekart https://archive.toda[...]
[203] 웹사이트 Route Map https://web.archive.[...]
[204] 웹사이트 Våre destinasjoner https://archive.toda[...]
[205] 웹사이트 Car https://web.archive.[...]
[206] 웹사이트 International scheduled routes from Oslo https://web.archive.[...]
[207] 웹사이트 Pål Spilling http://snl.no/P%C3%A[...] 2019-10-29
[208]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9] 웹사이트 World Economic Forum's Travel & Tourism Repor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ttps://web.archive.[...] World Economic Forum
[210] 저널 Key Figures for Norwegian travel and tourism https://web.archive.[...]
[211] 웹사이트 Befolkningen https://www.ssb.no/b[...] 2020-11-25
[212] 웹사이트 Key figures https://www.ssb.no/e[...] 2019-06-26
[213] 웹사이트 Total Fertility Rate around the world over the last centuries https://web.archive.[...] 2014-00-00
[214] 서적 Fra fornorskningspolitikk mot kulturelt mangfold Nordkalott-Forlaget 1991-00-00
[215] 간행물 Australian Indigenous Law Reporter 2002-00-00
[216] 웹사이트 National minorities - regjeringen.no https://www.regjerin[...] 2007-01-11
[217] 웹사이트 Happiness is on the wane in the US, UN global report finds http://www.theguardi[...] 2017-03-20
[218] 웹사이트 American FactFinder – Results http://factfinder.ce[...]
[219] 웹사이트 Population: Key figures for the population https://web.archive.[...]
[220] 웹사이트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Data tables http://www12.statcan[...] 2013-05-08
[221] 웹사이트 Facts about immigration https://www.ssb.no/e[...] 2024-10-09
[222] 웹사이트 Innvandrere og norskfødte med innvandrerforeldre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2013-04-25
[223] 웹사이트 Factbox – facts about Norway https://web.archive.[...] 2011-07-22
[224] 웹사이트 14 per cent of population are immigrants https://www.ssb.no/e[...] 2018-03-05
[225] 웹사이트 Norway abolishes state-sponsored Church of Norway https://web.archive.[...] 2012-05-15
[226] 웹사이트 Norway and its national church part ways http://religionnews.[...] 2017-01-05
[227] 웹사이트 På vei mot ny kirkeordning https://kirken.no/nb[...] Den Norske Kirke
[228] 웹사이트 Norwegian Church passes milestone in modification of its links with State https://www.churchti[...] Church Times 2017-01-06
[229] 웹사이트 Church of Norway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2018-06-04
[230] 웹사이트 Church of Norway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2020-05-17
[231] 웹사이트 Members of religious and life stance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by religion/life stance.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19-12-08
[232] 웹사이트 Members of Christian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0-12-08
[233] 웹사이트 Special Eurobarometer, biotechnology https://web.archive.[...] 2010-10-00
[234] 웹사이트 The People in the Church https://web.archive.[...] dawnnorge.no
[235] 웹사이트 KOSTRA (Municipality-State-Reporting): Church http://www.ssb.no/ki[...] Statistics Norway
[236] 웹사이트 Church of Norway. Church services and participants, by diocese. 2005–2009 (Corrected 28 June 2010) http://www.ssb.no/ki[...] Statistics Norway 2010-06-28
[237] 웹사이트 More members in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mmunities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238] 웹사이트 Members of Christian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http://www.ssb.no/tr[...] Statistics Norway
[239] 웹사이트 Nå er det flere katolikker enn muslimer i Norg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12-12-03
[240] 웹사이트 Religious communities and life stance communities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241] 웹사이트 Members of religious and life-stance communities outside the Church of Norway, by religion/life stance http://www.ssb.no/tr[...] Statistics Norway
[242] 웹사이트 Religious communities and life stance communities http://www.ssb.no/en[...] Statistics Norway
[243] 웹사이트 Shamanism Approved as a Religion in Norway http://www.tnp.no/no[...] Tnp.no 2012-03-15
[244] 웹사이트 Geir Kvarme gikk til sjaman for å få balanse https://web.archive.[...] Kjendis.no 2012-05-08
[245] 웹사이트 Samisk sjaman skapte oljefeber https://web.archive.[...] Aftenbladet.no
[246] 서적 Human Development Report 2013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UNDP) 2012-11-01
[247] 웹사이트 Folkehelse i Norge 1814–2014 https://archive.toda[...] Folkehelseinstituttet 2014-09-02
[248] 웹사이트 Deaths – SSB http://ssb.no/en/dod[...] 2015-03-09
[249] 웹사이트 Norway – Implementation of the elements of the Bologna Process https://web.archive.[...] 2010-05-30
[250] 웹사이트 Are University Degrees Free In Norway? (Updated With New 2023 Information!) – The Norway Guide https://thenorwaygui[...] 2023-02-11
[251] 웹사이트 Tuition Fees In Norway: Detailed Guide For 2023 – The Norway Guide https://thenorwaygui[...] 2023-02-11
[252] 웹사이트 Tuition fees for students from outside EU/EEA and Switzerland Study in Norway https://web.archive.[...] 2023-02-11
[253] 웹사이트 Utanlandske studentar skal betale for å studere i Noreg https://www.regjerin[...] 2023-02-11
[254] 웹사이트 Norway Abolishes Free University Education For People Outside Of EU/EEA – The Norway Guide https://thenorwaygui[...] 2023-02-11
[255] 웹사이트 Offisiell status for samisk https://www.sprakrad[...] Language Council of Norway 2021-08-19
[256] 웹사이트 språk i Norge http://snl.no/spr%C3[...] 2019-06-26
[257] 법률 Norges grunnlov, § 108 (Constitution of Norway, article 108, mention the Sámi language specifically)
[258] 웹사이트 St.meld. nr. 35 (2007–2008) https://www.regjerin[...] 2017-03-05
[259]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About the Norwegian Language (Norsk) https://www.nordictr[...] 2020-11-17
[260] 웹사이트 Nordens språk med røtter og føtter–Samiske språk https://web.archive.[...] Eplads.norden.org 2013-03-26
[261] 웹사이트 Lov om Sametinget og andre samiske rettsforhold (sameloven) – Lovdata http://lovdata.no/do[...] 2014-02-25
[262] 웹사이트 NOU 1995: 18 – Ny lovgivning om opplæring https://web.archive.[...] Kunnskapsdepartementet
[263] 웹사이트 Kvener – Kainun institutti http://www.kvenskins[...] Kvenskinstitutt.no 2013-03-26
[264] 웹사이트 Minoritetsspråkpakten http://www.regjering[...] Fornyings-, administrasjons- og kirkedepartementet 2014-10-27
[265] 웹사이트 St.meld. nr. 35 (2007–2008) – Mål og meining https://archive.toda[...] Kulturdepartementet
[266] 웹사이트 St.meld. nr. 35. Mål og meining : Ein heilskapleg norsk språkpolitikk http://www.regjering[...] Kultur- og kirkedepartementet 2014-10-27
[267] 웹사이트 Tegnspråk blir offisielt språk http://www.nrk.no/ku[...] NRK
[268] 웹사이트 Is English Language Spoken In Norway? (Is It ACTUALLY Used) https://norwegiancom[...] 2024-05-30
[269] 백과사전 "Norway's Culture", Encarta https://web.archive.[...] Webcitation.org 2014-02-15
[27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Norwegian film https://web.archive.[...]
[271] 웹사이트 Norwegian Film Commission https://web.archive.[...] Norwegianfilm.com 2012-09-22
[272] 서적 Tone, tekst og trubadur: 60 år med Visens Venner Andresen & Butenschøn 2003-01-01
[273] 웹사이트 Culture https://web.archive.[...] Studyinnorway.no 2009-11-16
[274] 웹사이트 Folk Music from Norway https://web.archive.[...]
[275] 웹사이트 Norway in Eurovision https://eurovision.t[...] 2023-08-02
[276] 웹사이트 Norway in Eurovision https://eurovision.t[...] 2023-08-02
[277] 웹사이트 Alexander Rybak Fairytale https://swedishchart[...] 2023-08-03
[27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Norwegian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The official site of Norway 2013-06-20
[279] 웹사이트 Norwegian Architecture https://web.archive.[...] Leslie Burgher website 2010-05-30
[280] 서적 Hans Fredrik Gude: From National Romanticism to Realism in Landscape
[281] 웹사이트 Norwegian Artists http://www.artcyclop[...] Artcyclopedia.com 2011-07-23
[282] 웹사이트 Countries and Their Cultures, Norway http://www.everycult[...] Everyculture.com 2010-09-04
[283] 서적 Mountaineering Literature The Mountaineers Books 1986
[284] 뉴스 Knock-out fra Northug & co. http://www.dagbladet[...] 2015-06-22
[285] 웹사이트 Stor interesse for ishockey https://www.nrk.no/t[...] NRK 2013-04-13
[286] 웹사이트 FIFA/Coca-Cola World Ranking https://web.archive.[...] FIFA 2015-06-22
[28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Football Scarecrow Press 2013
[288] 웹사이트 Bandy destined for the Olympic Winter Games! https://web.archive.[...]
[289] 웹사이트 Continental Cup Finals start in Africa https://www.fivb.com[...] 2021-06-22
[290] 웹사이트 Carlsen er verdensmester – Jeg er lykkelig og lettet http://www.nrk.no/sp[...] NRK 2015-06-22
[291] 웹사이트 språk i Norge - STORE NORSKE LEKSIKON https://snl.no/spr%C[...]
[292] 웹사이트 Arealstatistics for Norway 2020 https://www.kartverk[...] Kartverket, mapping directory for Norway 2020-03-01
[293] 웹사이트 Population, 2024-01-01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4-02-21
[29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s://www.imf.org/[...] IMF 2021-10-16
[295] 웹사이트 ノルウェー王国(Kingdom of Norway)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96]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ノルウェー https://kotobank.jp/[...]
[297]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ノルウェー https://kotobank.jp/[...]
[298] 뉴스 日本の「豊かさ」19位、国連 首位ノルウェー、目立つ欧州 https://www.47news.j[...] 共同通信
[299] 뉴스 VIET JO 国連世界幸福度調査、ベトナムは153か国中83位―日本は62位 https://www.viet-jo.[...] VIET JO
[300] 웹사이트 https://www.eiu.com/[...]
[301] 뉴스 報道自由度、日本66位 国境なき記者団、1つ上昇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302] 간행물 Positive Peace 2023 Briefing https://www.visionof[...] 2023-05-18
[303] 뉴스 日本はOECD中19位 19年、1人当たりGDP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304]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ノルウェー https://kotobank.jp/[...]
[305] 서적 国際聯盟年鑑 1929 昭和4年版 朝日新聞社
[306] 간행물 天皇制(皇室典範その他の皇族関連法に関する調査を含む)に関する基礎的資料 最高法規としての憲法のあり方に関する調査小委員会 https://www.shugiin.[...]
[307] 웹사이트 Employers: Employing someone who is an EU/EEA national https://www.udi.no/e[...] 2023-06-09
[308] 웹사이트 大使館仮移転のご案内 Office relocation notice - Norway in Japan https://www.norway.n[...]
[309] 서적 ノルウェー王国 共同通信社 2016
[310] 웹사이트 【東京書籍】会社案内 お問い合わせ よくあるご質問 Q&A 教科書・図書教材:中学校 社会 https://www.tokyo-sh[...] 東京書籍 2019-02-08
[311] 서적 地球環境報告 岩波書店 1988
[312] 웹사이트 Fylkesinndelingen fra 2024 https://www.regjerin[...] Regjeringen.no 2022-05-07
[313] 웹사이트 Fylkessammenslåinger i regionreformen https://www.regjerin[...] Regjeringen.no 2019-12-19
[314] 웹사이트 Nye fylkes- og kommunenummer fra 2024 https://www.regjerin[...] Regjeringen.no 2022-08-23
[315] 웹사이트 http://www.imf.org/e[...] IMF
[316] 웹사이트 国民経済計算 https://www.esri.cao[...] 内閣府 2019-02-08
[317] 웹사이트 ノルウェー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02-08
[318] 웹사이트 (キッズ外務省)1人あたりの国民総所得(GNI)の多い国・地域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02-08
[319]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3-06-15
[320] 웹사이트 OECD Statistics https://stats.oecd.o[...] 2023-06-15
[321] 웹사이트 Top 20 shareholders http://www.statoil.c[...] StatoilHydro 2010-04-20
[322] 웹사이트 Statistics Norway – Persons with immigrant background by immigration category and country background http://www.ssb.no/en[...] Ssb.no 2011-01-01
[323] 웹사이트 Innvandrere fra 216 land http://www.ssb.no/in[...] 2010-04-29
[324] 뉴스 More brides take on husbands’ names http://www.newsineng[...] News in English.no 2016-06-28
[325] 웹사이트 ノルウェーデータ http://www.ssb.no/en[...] 2019-02-08
[326] 간행물 ノルウェーの社会保障制度 https://www.no.emb-j[...] ノルウェー日本国大使館 2013-06
[327] 보고서 Health at a Glance 2013 OECD 2013-11-21
[328] 보고서 Revenue Statistics OECD
[329] 보고서 人間開発報告書(HDR) UNDP(国連開発計画)
[330] 보고서 Revenue Statistics OECD
[331] 보고서 Consumption Tax Trends 2014 OECD 2014
[332] 웹사이트 2013年ノルウェー総選挙結果 http://www.norway.or[...] 駐日ノルウェー王国大使館 2019-02-08
[333] 뉴스 ノルウェーで8年ぶり政権交代、右派政党が初の連立入り https://news.yahoo.c[...] 2019-02-08
[334] 뉴스 北欧諸国への難民申請者数が減少、最も激減したのはノルウェー。ポピュリズム効果? https://news.yahoo.c[...] 2019-02-08
[335] 논문 Race talk and white normativity: classroom discourse and narratives in Norwegian higher education https://www.tandfonl[...] 2021-07-13
[336] 논문 The boundary within: Are applicants of Southern European descent discriminated against in Northern European job markets? https://academic.oup[...] 2023-06-07
[337] 웹사이트 The Penal Code - Chapter 26. Sexual offences - Lovdata https://lovdata.no/d[...] 2021-09-15
[338] 웹사이트 Research – Institute for Economics and Peace https://www.economic[...] 2021-07-22
[339] 웹사이트 経済平和研究所 https://www.rotary.o[...] 2021-11-10
[340] 웹사이트 ノルウェー 安全対策基礎データ「犯罪発生状況、防犯対策」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1-10-23
[341] 논문 “We don’t throw stones, we throw flowers”: race discourse and race evasiveness in the Norwegian university classroom https://www.tandfonl[...] 2022-05-19
[342] null
[343] null
[344] null
[345] null
[346] null
[347] null
[348] 웹인용 Arealstatistics for Norway 2020 https://www.kartverk[...] Kartverket, mapping directory for Norway 2019-12-20
[349] 웹인용 Population, 2024-01-01 https://www.ssb.no/e[...] Statistics Norway 2024-02-21
[350] null
[351]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Edition. (Norway)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4-10-27
[352]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353] 웹사이트 Arealstatistics for Norway 2019, Kartverket, mapping directory for Norway https://www.kartverk[...] 2019-03-23
[354] 웹사이트 Market value http://www.nbim.no/e[...] 2012-05-15
[355] 웹사이트 국가간 비교 :: CURRENT ACCOUNT BALANCE https://www.cia.gov/[...] 2011
[356] 뉴스 Norway's GDP overtook Sweden's during Q1 -report http://uk.reuters.co[...] 로이터 2009-02-26
[35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agasinet[...] 2012-05-10
[35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egnar.no[...] 2012-05-10
[359] 백과사전 노르웨이의 자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0] 백과사전 피오르드 협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1] 백과사전 노르웨이의 기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2] 웹인용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Bergen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3-10-27
[363] 웹인용 BERGEN – FLORIDA Climate Normals: Temperature 2005–2014, all other data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3-16
[364] 웹인용 Google Domains Hosted Site http://voodooskies.c[...]
[365] 웹인용 Normaler for Brønnøy http://retro.met.no/[...] met.no 2011-11-07
[366] 웹인용 Norwegian Met. Institute https://eklima.met.n[...]
[367] 백과사전 노르웨이의 역사·주민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8] 백과사전 노르웨이의 정치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69] 백과사전 노르웨이의 산업·무역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70] 백과사전 노르웨이의 교통·도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71] 웹인용 Statistics Norway – Church of Norway and othe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mmunities http://www.ssb.no/tr[...] ssb.no 2011-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