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카사 아커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카사 아커만은 170cm의 신장과 68kg의 몸무게를 가진, 검은 머리와 검은 눈을 가진 미소녀로, 뛰어난 신체 능력과 빼어난 외모를 지닌 인물이다. 어릴 적 부모를 잃고 엘렌 예거의 가족과 함께 성장하며, 엘렌에게 헌신적인 모습을 보인다. 훈련병단 시절 엘렌을 따라 조사병단에 합류하여, 거인과의 전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다. 아커만 가문과 아즈마비토 가문의 혈통을 가지고 있으며, 엘렌의 땅 고르기 계획을 막기 위해 동료들과 싸우고, 결국 엘렌을 죽이는 선택을 한다. 작품 내에서 인기와 비평을 모두 받았으며, 다양한 주제곡을 통해 캐릭터의 심정을 표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간 소년 매거진에 관한 - 극장판 진격의 거인
극장판 진격의 거인은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의 편집 극장판으로, 전편 《홍련의 화살》과 후편 《자유의 날개》가 각각 2014년 11월과 2015년 6월에 일본에서, 2015년 1월과 12월에 한국에서 개봉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애니플러스가 수입 및 배급을, CGV에서 상영을 담당했다. - 주간 소년 매거진에 관한 - 진격의 거인 (영화)
이사야마 하지메의 만화 《진격의 거인》을 원작으로 히구치 신지 감독이 연출하고 미우라 하루마, 미즈하라 키코, 하세가와 히로키 등이 출연한 일본 실사 영화 《진격의 거인 (영화)》는 2015년 2부작으로 개봉하여 거인의 습격으로 벽 안에서 살아가는 인류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나,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와 기술적 문제, 러시아 상영 금지 논란이 있었으며, 워너 브라더스의 리메이크 추진 후 감독 하차로 불투명한 상황이다. - 진격의 거인 - 극장판 진격의 거인
극장판 진격의 거인은 애니메이션 《진격의 거인》의 편집 극장판으로, 전편 《홍련의 화살》과 후편 《자유의 날개》가 각각 2014년 11월과 2015년 6월에 일본에서, 2015년 1월과 12월에 한국에서 개봉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애니플러스가 수입 및 배급을, CGV에서 상영을 담당했다. - 진격의 거인 - 진격의 거인 (영화)
이사야마 하지메의 만화 《진격의 거인》을 원작으로 히구치 신지 감독이 연출하고 미우라 하루마, 미즈하라 키코, 하세가와 히로키 등이 출연한 일본 실사 영화 《진격의 거인 (영화)》는 2015년 2부작으로 개봉하여 거인의 습격으로 벽 안에서 살아가는 인류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나, 비평가들의 엇갈린 평가와 기술적 문제, 러시아 상영 금지 논란이 있었으며, 워너 브라더스의 리메이크 추진 후 감독 하차로 불투명한 상황이다. - 진격의 거인의 등장인물 - 도트 픽시스
도트 픽시스는 《진격의 거인》에 등장하는 엘디아국의 주둔병단 소속 장군으로, 노련한 지휘 능력과 통솔력, 그리고 반(反) 레이스 왕정 쿠데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인물이다. - 진격의 거인의 등장인물 - 코니 스프링거
코니 스프링거는 판단력과 지능은 부족하지만 순수한 마음을 가진 인물로 사샤 블라우스와 콤비를 이루며, 여러 인물들과 관계를 맺고 엘런 예거를 막기 위해 협력하기도 한다.
미카사 아커만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미카사 아커만 |
원어 이름 | ミカサ・アッカーマン Mikasa Ackerman |
로마자 표기 | Mikasa Akkāman |
작품 정보 | |
작품 | 진격의 거인 |
첫 등장 | "진격의 거인" 1화: "2000년 후의 너에게" (2009) |
마지막 등장 | "진격의 거인" 139화: "그 언덕 위의 나무를 향해" (2021) |
창작자 | 이사야마 하지메 |
담당 배우 | |
실사 영화 | 미즈하라 키코 |
성우 | |
일본어 | 이시카와 유이 |
한국어 | 이지현 |
영어 | 트리나 니시무라 |
인물 정보 | |
소속 | 파라디 섬 조사병단 간부 |
상관 | 최상위 결정 기관 (~850) 에르디아 병정 (兵政) |
부하 | 루이제 |
성별 | 여성 |
신장 | 170cm (850) -> 176cm (854) |
몸무게 | 68kg |
출생 | 835년 2월 10일, 에르디아국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 근처 산골짜기 마을 |
사망 | 생존 확인 |
거주지 |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 근처 산골짜기 마을 (835 ~ 844)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에 위치한 예거 가문의 주택 (844 ~ 845) 월 로제 트로스트구 (845 ~ ) |
국적 | 에르디아 |
가족 관계 | |
양아버지 | 그리샤 예거 |
양어머니 | 카를라 예거 |
입양 남매 | 엘런 예거 |
모계 친척 | 아즈마비토 키요미 |
먼 친척 | 리바이 아커만 |
전투 정보 | |
거인화 여부 | 없음 (아커만 가문) |
대립 | 모든 거인, 라이너 브라운, 베르톨트 후버, 애니 레온하트, 마레 정부, 예거파 |
전투 참여 | 트로스트구 전투 (850) 엘런 예거 탈환 작전 (850) 반 왕정 쿠데타 (850) 시간시나구 전투 (850) 레벨리오 전투 (854) 2차 시간시나구 전투 (854) |
거인 토벌 수 | 71구 |
가치관 | |
가치관 | (정보 없음) |
2. 신체 사항 및 외형
ミカサ・アッカーマン|미카사 아커만일본어은 뛰어난 신체 능력과 매력적인 외모를 겸비한 인물이다.
구분 | 내용 |
---|---|
신체 조건 | 170cm의 키와 68kg의 몸무게를 가졌으며, 19세에는 176cm로 성장했다. 뛰어난 운동신경과 아커만 가문의 혈통으로 강력한 힘을 지녔다. |
외모 | 검은 머리와 눈동자를 가진 미소녀로, 엘런 예거에게 받은 빨간 목도리를 항상 착용한다. 동양적인 외모는 어머니 쪽 혈통인 아즈마비토 가문의 영향을 받았다. 차갑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기지만, 전투 시에는 카리스마를 보인다. |
장 키르슈타인은 미카사에게 호감을 느꼈지만, 미카사는 엘런 예거에게만 일편단심이다. 미카사의 헤어스타일은 유년기에는 긴 머리였으나, 엘런 예거의 조언으로 단발로 잘랐고, 이후 다시 짧은 단발로 변했다.
2. 1. 뛰어난 신체 능력
ミカサ・アッカーマン|미카사 아커만일본어은 신장 170cm, 몸무게 68kg이며, 19세에는 176cm가 되었다. 신체 대부분이 근육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막강한 운동신경을 지녔다. 신장 대비 엄청난 근육량으로 늠름하고 강력한 체격을 지녔으며, 어지간한 남성 병사를 압도하는 체질량 지수를 가졌다. 아커만 가문의 DNA를 각성하여 후천적, 선천적 근력을 바탕으로 중량의 철근을 양어깨로 들어 올릴 수 있다.[1]2. 2. 아름다운 외모
검은 긴 머리와 검은색 홍채, 이목구비가 균형감 있게 어우러진 아름답고 잘생긴 흑발흑안의 미소녀이다. 평소에는 엘런이 준 빨간색 목도리를 엘런의 흔적, 분신처럼 애지중지하며 두르고 있기에 더운 날씨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늘 목도리를 착용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공식 표지에서도 이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국적인 감이 살아있는 동양계 미소녀로 미카사의 외견은 전반적으로 모계 혈통인 아즈마비토 가문의 유전적 영향을 많이 받았다.[2] 초점이 비친 듯 안 비친 듯 흐릿하고 차가운 눈도 미카사의 개성이다. 평상시의 모습은 미카사의 미모와 냉철한 성격과 어우러져 날카롭고 신비로운 아우라를 풍기지만, 전투 상황에 짓는 투지 넘치는 표정은 적을 단숨에 압도할 것 같은 위압적인 카리스마를 뿜는다. 장 키르슈타인은 미카사를 처음 본 순간부터 껌뻑 죽을 정도로 미카사를 좋아했지만, 미카사 본인은 엘런에게만 일편단심 헌신하고 장에게는 일절 무관심하다. 헤어 스타일은 어린 시절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바뀐다. 9~10살까지만 하더라도 머리카락이 직선형으로 어깨 아래까지 뻗어져 내려오는 장발이었다. 그런데 12세에 막 훈련병단에 입단했을 때는 "장발을 냅두었다가 입체기동훈련을 하다 부상이라도 당하면 어떡하냐? 머리를 잘라둬라."라고 충고한 엘런의 조언을 동의하여 미용실에서 보브컷의 웨이브 단발로 잘랐다. 몇 년이 흘렀을 때는 머리가 어느 정도 길어져서 머리끈으로 묶을 수 있게 되었지만, 모종의 사고가 일어나 머리가 다시 잘라져 귓가 아래까지만 내려온 단발로 바뀌었다. 엘런이 4년 후 열아홉 살이 되면서 머리를 다듬어지지 않은 장발로 기른 것과 대조적이다.3. 생애
이안 디트리히의 휘하에서 거인들을 처리하다가 문으로 가는 기행종을 처치한 후, 피난이 늦어지는 이유가 디모 리브스 상단 마차를 무리하게 성문을 통과시키려다가 길을 막고 있기 때문임을 알고 반 협박으로 쫓아내 버린다. 이때 리브스에게 "시체가 어떻게 말하지?"라고 반문한다.[6] 그리고 한 여자아이에게 감사를 받자 경례로 답한다.
주민 대피가 완료되자 엘런의 상황을 알아보려고 전방으로 갔다가 아르민에게 엘런이 거인에게 잡아먹혔다는 소식을 듣는다. 겉으로는 침착하게 사실을 받아들이는 척했지만, 실상은 심하게 동요하고 있었다. 가스가 다 떨어져 추락한 이후에는 삶을 포기할 정도에 이르렀으나, 죽으면 엘런을 기억하는 것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을 문득 깨닫고 살기 위해 눈물을 흘리며 거인에 맞서 싸우려 한다.[6]
엘런의 생환을 확인하고 나자 눈에 생기가 돌아오고 엘런을 끌어안은 채 목을 놓아 펑펑 울어버린다.[6]
이후 첫 번째 거인화에서 돌아온 후 위험 요소로 간주되어 주둔병단에게 포위되었을 때는 오직 그만을 지키고자, 아르민과 함께 엘런을 포위하고 적의를 드러내는 병력 모두를 홀로 상대하며 살기를 내뿜는다. 이 살기는 엘런이 거인화를 제어하지 못하고 있을 때 당황하며 철수하려는 주둔병단의 정예들을 상대로도 나타나는데, 지휘권을 맡은 이안 디트리히 반장이 현명한 판단으로 제지한 후, 미카사에겐 자유롭게 움직이라며 그 편이 연인을 지키기 위해 실력을 발휘하기 좋을 거라는 지시를 내리자 얼굴이 빨개지며 가족이라고 정정한다.[6]
트로스트구 탈환 작전 때 거인의 힘을 제어하지 못한 엘런의 공격을 받아 오른쪽 얼굴에 상처를 입었다. 그 이후 미카사의 오른쪽 얼굴에는 그 상처로 인한 흉터가 남게 되었다.[6]
심문소에서 리바이 병장이 엘런을 때린 적이 있어 그에 대한 감정이 심히 안 좋은 듯하다. 나중에 엘런을 만나자 그의 몸 상태를 걱정하며 매우 어두운 얼굴로 "그 꼬마는 너무 건방졌어... 언젠가 반드시 마땅한 응분의 보복을..."이라는 대사를 날린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이 말을 리바이가 듣고 있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11]
갑자기 나타난 여성형 거인에게 에렌이 잡혔을 때, "엘런만 구출하고 도망가라!"는 리바이의 명령을 무시하고 엘런의 복수를 위해 여성형 거인을 죽이려다가 오히려 리바이의 발이 부러지게 되었으며, 이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게 되었다.[11] 여성형 거인을 적대하는 것을 망설이는 엘런을 무섭게 다그치면서 "설마 특별한 감정이 있는 건 아니겠지?"라고 묻기도 한다.
원작 33화와 애니메이션 25화에서는 벽을 타고 도망치는 애니의 손가락을 잘라내어 지상으로 떨어뜨림으로써 포획에 일조했다. 엘런이 거인화에서 돌아온 후 지하실에서 피곤에 지쳐 잠들어 있을 때는 회의 참가도 거절하고 엘런 옆에 꼭 붙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11]
이후 우트가르트 고성에 고립된 라이너, 베르톨트, 코니, 유미르, 크리스타를 구한다.[11]
라이너가 자신들의 비밀을 밝히고 엘런을 데려가려 하자, 라이너나 베르톨트는 거인화를 하기도 전에 미카사에게 베인다. 이때 미카사는 둘을 죽일 작정이었지만, 3년 동안 동고동락한 기억으로 인한 망설임으로 죽이는 데 실패한다. 그 자신도 이를 되씹어 보고 "다음은 없다"고 결심을 굳힌다.[11]
이후에는 거인화한 엘런과의 합동 작전으로 갑옷 거인을 코너로 몰기도 했지만, 초대형 거인의 60m급 바디 프레스로 인해 엘런을 빼앗긴다. 한동안 의식을 잃었다가 깨어난 후 아르민을 통해 절망적인 상황을 인식하곤 "단지 엘런의 곁에 있고 싶었을 뿐"인 소망을 말하며 슬퍼하나, 한네스의 격려로 아르민과 함께 다시금 의지를 다잡는다.[11]
원작 48화에서는 이전에 라이너와 베르톨트를 죽일 수 있었으나, 한순간의 망설임으로 놓쳐버렸던 일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기세로 비장한 표정을 지으며 라이너 무리에 달려든다. 그리하여 우선 유미르의 눈을 베어 약화시키고, 곧바로 베르톨트에게 묶여 있는 엘런을 구하려 했으나, 라이너의 가드로 저지당한다. 이때 엘런을 뒤에 묶고 있는 베르톨트를 노려보고 베르톨트는 식겁한 표정을 짓는다. 애니판에서는 애니에 관해서 엘런을 추궁할 때처럼 섬뜩하게 연출이 강화되었다.[11]
거인화한 유미르가 계속 미카사를 방해하자 약화된 유미르부터 죽이려고 결심하고 공격하려한다. 이때 앞에 나서서 저지하는 크리스타에게 여전히 에렌을 최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인다.[11] 이때 미카사가 "(엘런을 구하는 걸) 방해한다면 너도 베겠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한다.
49화에서는 아르민, 에르빈과의 협공으로 엘런을 구해냈다. 하지만 도중에 거인에게 붙잡혔을 때 허리에 부상을 입은 듯하다. 엘런을 구한 후 말을 타고 후퇴했지만, 라이너가 내던진 거인에 의해 엘런과 함께 낙마하고 말았다. 직후에 카를라 예거를 잡아먹은 거인과 5년 만에 다시 대면하게 된다.[11]
50화에서는 한네스가 눈앞에서 죽고 미카사도 어떻게든 저항하려고 하지만 허리에 힘을 주지 못해서 그저 주저앉는 상태가 되었다. 사방에서 몰려드는 거인들과 완전히 궁지에 몰린 조사병단의 상황을 보고, 이제 정말 끝이라는 생각이 들었는지 엘런에게 입을 맞추려고 한다.[11] 그리고 이런 미카사의 고백에 엘런은 "그딴 거, 얼마든지 둘러 줄게. 앞으로도 쭉 얼마든지."라는 대사와 함께 자신이 지닌 또 다른 거인인 시조의 거인의 능력 좌표를 발동하게 된다. 이후에는 엘런의 등에 업혀 살아남은 후 나머지 동료 병사들과 함께 귀환한다.[11]
51화에서 월 로제의 방벽 위에 도착한 후 허리 부상이 아니라 늑골 골절을 입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일주일 후 몸이 쑤신다는 이유로 엘런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장작 패기와 복근 운동도 하고 있었고, 다른 104기 상위권에 있던 동기들과 마찬가지로 '신 리바이반'에 편입된 상태다. 52화에선 장, 사샤와 함께 대사 없이 모습만 보였다.[11]
53화에서는 엘런이 거듭된 거인화 실험 중 폭주해 위기에 빠지자 크게 동요하기도 했고, 엘런이 무사히 구조된 뒤 한지에게 적대적인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말미에는 리바이 등과 함께 엘런과 크리스타로 위장한 장과 아르민의 납치범들을 추적하고 있는 중이다. 이때 리바이의 부상이 어떠냐고 묻는데, 리바이의 반응으로 보아 아무래도 완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1] 54화에서는 리바이와 함께 건물 안으로 잠입해 납치범들과 납치범들의 보스인 리브스 상회의 보스 '디모 리브스'를 생포하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트로스트구 방어전 때 피난민들을 대피시키는 동안 디모 리브스의 얼굴을 알고 있었기에, 아니라고 발뺌하던 그의 거짓말에 리브스 상회의 보스였다는 것을 증언한다.[11]
55화에서는 아르민이 왕정 타도를 위한 구체적인 계략을 순식간에 짜내자, 경악한 동료들이 얼어붙은 가운데 장과 엘런에 이어 마무리로 "난 너를 그런 애로 키운 적 없다."라고 말했다. 그런데 56화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리바이의 성이 아커만이라고 한다. 한편 같은 화에서 에렌과 히스토리아를 진짜로 납치한 중앙헌병단 소속 대인제압부대 대장도 아커만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쪽도 미카사와 무슨 관계일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11]
72화에서 엘런이 장과 싸우는 모습을 예전처럼 강제로 뜯어말리지 않고 웃으며 지켜본다.[11] 73화에서는 엘런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을 눈치채고 이름을 불렀으나, 그보다 조금 늦게 말을 건 아르민에 의해서 그대로 씹히고 자신은 모르는 이야기를 나누는 에렌과 아르민의 대화를 뒤에서 지켜본다.[11]
74화에서는 거인의 몸 밖으로 나온 에렌을 회수하여 벽 위로 돌아오고 묵묵히 망토를 벗어 준다. 이후 계속해서 에렌의 곁에 머무르며, 라이너에게 아르민이 살해당하기 직전 전략이고 뭐고 잊고 뛰쳐나가려 하던 에렌을 저지한다. 리바이가 라이너를 공격하는 모습을 에렌보다 빨리 파악한 듯하다.[11]
갑옷 거인으로 변한 라이너가 거인이 된 에렌이 짐승 거인의 뒤를 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렌을 쫓자, 미카사는 에렌 주위를 돌며 기회를 노린다. 에렌이 관절기로 라이너를 몰아붙이자 미카사는 한지와 같이 갑옷 거인의 눈을 뇌창으로 공격해 시야를 빼앗는다.[11] 그러나 나머지 병력들이 뇌창으로 갑옷 거인의 갑옷을 부수고 라이너의 머리를 파괴했음에도 라이너는 죽지 않았다. 도리어 베르톨트가 라이너의 부름에 응답하여 전장에 개입한다. 이후 아르민과 베르톨트와의 최후 교섭에서 베르톨트가 칼을 들고 아르민에게 접근하자, 미카사는 베르톨트의 뒤를 공격한다. 미카사는 베르톨트의 칼을 자신의 칼로 쳐내고 다른 칼로 베르톨트의 머리를 공격한다. 그러나 베르톨트는 귀를 베이면서도 몸을 숙여 공격 전체를 피함과 동시에 미카사의 얼굴에 발을 날린다. 간신히 공격을 막았지만 미카사는 그 힘에 튕겨나가고 베르톨트가 아르민을 죽이기 위해 달려들자 칼을 던져 제지한다. 미카사가 다시 돌진하고 베르톨트는 달아난다. 미카사는 베르톨트가 "이전의 그와는 다르다"고 느낀다.[11]
베르톨트가 초대형 거인으로 변하는 와중에 생긴 후폭풍에서 미카사가 아르민을 보호한다.[11]
80화에서는 초대형 거인의 증기를 뚫고 뇌창을 박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뇌창의 파편에 맞아 경상을 입었다. 이후 아르민에게 반격의 활로를 묻지만 아르민은 선뜻 답을 주지 못했다.[11] 81화에서 부활한 갑옷 거인 때문에 망연자실해 있다가, 아르민이 초대형은 "엘런과 자신이 잡을 수 있다"고 말하며 "갑옷 거인을 맡아 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기운을 차린 미카사는 아르민의 작전대로 나머지 리바이 반과 함께 갑옷 거인을 유인하려 간다.[11]
82화, 미카사는 갑옷 거인을 여기서 죽일 수밖에 없다는 판단을 내린다. 미카사는 갑옷 거인의 오금 부분에 뇌창을 찔러 넣어 갑옷 거인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갑옷 거인의 시선을 끌기 위해 달려든 장, 뇌창으로 갑옷 거인의 턱을 공격해야 하는 사샤가 갑옷 거인이 부순 지붕의 파편에 맞아 각각 경상과 중상을 입고 튕겨나간다. 뇌창을 적중시킨 건 코니 밖에 없는 상황. 턱이 열리지 않았음에도 미카사가 뇌창을 이용하려는 찰나, 다시 나타난 한지가 갑옷 거인의 턱을 부순다. 바로 그 직후 미카사는 갑옷 거인의 목구멍에 뇌창을 찔러 넣어 라이너를 밖으로 튕겨 나오게 만든다.[11]
83화에서는 제압당한 라이너를 한지가 심문하는 와중에 장을 치료해주고 있다. 한지의 명령에 따라 리바이와 엘런의 상황을 보러 가지만 초대형 거인 제압 작전으로 인해 빈사 상태인 아르민을 목격하고는 충격을 받는다. 이후 리바이가 하나뿐인 거인화 주사를 아르민 대신 마찬가지로 빈사 상태인 에르빈에게 놓아 살리겠다고 선택하자 심상치 않은 표정으로 칼을 빼어든 채 리바이 쪽으로 다가간다.[11]
84화에서는 잠시간의 언쟁 끝에 리바이가 주먹으로 에렌의 이를 또 털어버리자 칼을 든 채 리바이를 뒤에서 덮친다. 미카사가 달려들 것을 예상한 리바이가 곧바로 뒤로 돌아섰음에도 의외로 쉽게 제압당했다. 짐승 거인과의 난투 등으로 힘이 다 빠진 탓으로 보인다. 주사를 놓고 리바이와 미카사가 힘겨루기를 하던 중 리바이가 "에르빈의 힘이 없으면 인류를 구할 수 없다" 고 말하자 엘런이 "아르민이 없어도 무리, 인류를 구하는 건 나도 단장도 아닌 아르민" 이라며 아르민의 활약을 내세운다. 그 말을 들은 미카사는 주사를 달라며 리바이를 더 몰아붙였고, 이때 "내가 살아난 이유는 악마를 되살리기 위한 것" 이라며 플록이 달려들자 칼의 방향을 돌려 칼등으로 그를 내리치려는 태세를 갖추었으나, 뒤에서 어깨를 감싸고 매달린 한지에게 제지당한다. 미카사가 떠나자마자 주사를 꺼내든 리바이를 보고 소리를 지르고 울면서 발버둥치다가 "에르빈을 살려야 한다"는 한지의 말에 "아르민도 그건 할 수 있다!"며 그녀의 구속을 뿌리치고자 손목을 붙들었지만, 한지가 "나 역시 살리고 싶은 사람이 많다"며 달래자 아르민과의 추억을 회상하며 힘을 잃고 늘어진다. 이후 본 모습으로 돌아온 아르민을 안고 눈물을 흘린다.[11]
85화에서 엘런, 리바이, 한지와 함께 에렌의 집 지하실에서 엘런의 친아버지이자 자신의 양아버지 그리샤 예거의 수기를 발견해 벽 밖 인류는 멸망하지 않았다는 내용과 그리샤의 과거를 확인하고 월 로제로 귀환한다.[11]
88화에서 밝혀진 사실로 상당히 안습하게 되었는데, 아홉 거인의 힘을 담게 된 '유미르의 백성' 계열의 엘디아인은 13년 후에 죽게 되는데, 이에 따르면 엘런은 8년, 아르민은 13년 뒤에 사망하게 된다. 가장 친한 친구 둘이 결국은 수명을 다해 죽게 되는 셈. 엘런과 아르민의 대화를 통해 이것을 알았는지 심적으로 대단히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11] 89화에서 구금이 풀렸는데 위의 사실을 안 정신적 스트레스 때문인지 상당히 초췌한 모습을 보였다.[11]
월 마리아 탈환 1년이 지나고 나서 드디어 바다에 도달한다. 역시 바다는 처음인 듯 신나서 물장구를 치는 아르민과 달리 당황해하는 의외의 모습을 보였다.[11] 바다에 도달한 시점에서 3년이 더 경과함에 따라 19세.[11]
107화에서 외부 국가인 '히즐국'과 우호관계를 맺게 된 파라디 섬 관계자 간의 회담에서 히즐국 대사인 아즈마비토 키요미가 검 세 자루가 원을 그리고 있는 형태의 표식을 보여준다. 그 표식과 같은 문양이 미카사의 팔에 새겨져 있었고 이것은 히즐국 지도자 가문인 쇼군가의 문장이라고 한다. 즉, 미카사는 히즐국 지배자 가문의 마지막 후예인 것이다.[11]
108화에서는 104기 동료들과 에렌의 처리를 어떻게 할지 토론한다. 레일 건설을 하는 회상 장면에서는 혼자 철근들을 옮기고 남들보다 배로 많은 각목을 아무 표정 없이 옮기고 있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힘이 타인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점을 깨알같이 어필한다.[11] 109화에서 예전에 트로스트구 공방전 당시 구해준 여자 아이 루이제가 에렌 관련 정보를 플록과 함께 누설한 죄로 감옥에 갇힌 것을 보고 대화를 나누지만 도중에 두통을 겪게 된다.[11]
112화에서 그 두통의 원인이 바로 아커만 일족은 스스로 주군의 명령에 따라가도록 만들어진 일족인데 그 본능에 저항하면서 생기는 두통이라고 한다. 즉 에렌을 무조건적으로 따르려는 건 미카사의 의지가 아니었던 것이다. 이에 관련해서 에렌이 미카사가 싫었다는 발언에 아르민이 달려들자 눈물만 흘리는 와중에도 아커만 일족의 본능이 발동해 아르민을 제압하는 모습을 보인다.[11] 다만, 지크에 따르면 아닐 것이라도 한다. 130화에서 에렌과 지크의 대화 중 에렌이 미카사의 두통과 자신에 대한 집념에 대해 지크에게 물어보는데 지크는 아커만 일족이 본능의 눈을 뜨는 각성의 순간은 있어도 그런 경우는 없다고 한다. 즉 미카사의 에렌을 향한 마음은 본능이 아니라 미카사 본인의 것이라는 것.[11]
123화에서 과거를 회상한다. 마레에 잠입하여 처음 보는 것들에 신기해하고 아이스크림을 사서 에렌에게 권하기도 하며 그날 저녁 피난민 캠프 앞에 있는 에렌을 만나고 에렌의 물음에 얼굴을 붉히며 가족이라고 답한다. 그러나 그들이 기대를 걸었던 유미르의 백성 보호단체는 섬의 에르디아인은 적대하고 있었고 그날부터 에렌은 자신들의 곁을 떠나버렸다. 그러면서 그날 자신이 다른 대답을 했더라면 결과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했다고 하며 시점은 현재로 돌아와 아르민에게 에렌은 자신들을 배신하지 않았다는 것을 듣는다. 그리고 그 직후 에렌의 좌표 능력으로 땅울림의 목적을 듣는다.[11]
124화에서는 옐레나를 공격하려는 거인을 죽인다. 이후 다른 병사들과 함께 거인들을 성으로 몰아 몰살시킨다.[11] 125화, 혼란스러워하는 아르민에게 지시를 요청하지만 "쟝을 도와, 조금쯤은 스스로 생각해"라는 핀잔을 듣는다. 거기에 에렌은 어떻게 할 거냐고 묻는데 초조함이 폭발한 아르민이 마구잡이로 소리친다. 이에 미카사는 "미안..."이라고 사과한다. 이후 쟝과 플록이 있는 상층부로 올라가 리바이와 한지의 소재를 묻는다.[11]
138화에서는 장, 코니, 가비가 무지성 거인이 되는 걸 본다. 아르민, 리바이의 도움을 받아 엘런을 죽이고 키스한다.[1] 139화, 사건이 끝난 후, 3년이 지난 시점에 머리카락이 다시 자란 모습의 미카사는 엘런의 머리를 안고 가 엘런이 낮잠 자던 나무 아래 묻어주고 그 곳에서 엘런을 그리워하며 작품이 끝난다.[1]
3. 1. 어린 시절
미카사는 어릴 적 숲속 오두막집에서 부모와 함께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동양인을 노린 일당에게 습격당해 부모를 잃고 납치된다. 납치범들은 방해가 되는 아버지는 죽이고, 상품 가치가 있는 동양인 어머니는 생포하려 했으나 예상 밖의 강한 저항에 당황하여 죽이고 만다. 그리고 동양계 혼혈인 미카사라도 데려가기로 한다.[1]이날 진료 오기로 되어 있었던 의사 그리샤 예거와 그의 아들 엘런 예거는 뒤늦게 이 현장을 발견한다. 아버지가 헌병을 부르러 도시로 간 사이, 엘런은 아버지의 "꼼짝 말고 여기 있어"라는 말을 어기고 홀로 미카사를 뒤쫓는다. 이후 엘런은 근방에서 납치범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오두막을 발견하고, 자신이 어린아이라는 사실에 방심한 납치범 둘을 살해한다.[1]
그 사건 이후 갈 곳이 없어 낙담하던 미카사에게 엘런은 자신이 두르고 있던 목도리를 둘러준다. 그 뒤로 미카사는 이 목도리를 밤낮으로, 잘 때나 깨어 있을 때나 항상 두르고 다닌다.[1]
3. 2. 훈련병단 시절
엘런 예거의 가족들과 함께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에서 살고 있었으나, 갑자기 나타난 초대형 거인에 의해 방벽의 문이 파괴되면서 엘런과 함께 대피하게 되었다. 이때 엘런과 함께 양어머니 카를라 예거를 구하려다가 한네스에게 강제로 구출되었다. 이후 월 로제 안쪽에서 지내다가 엘런, 아르민과 함께 훈련병단에 입단한다. 원래 등까지 닿던 머리카락도 엘런이 "너무 길면 입체기동장치 훈련 때 위험할 것 같으니까 자르라."고 충고한 이후로 계속 단발이다.[2]훈련병 시절에 엘런이 기초 훈련을 통과하지 못하고 전전긍긍하자, "적성에 맞지 않으면 그냥 개척자가 되는 게 어떻겠냐?"는 요지의 말을 하였고, 이에 화가 난 엘런이 자신을 노려보자 얼굴을 붉히며 "난 너 혼자 가라는 게 아니야. 네가 개척지로 가면 나도 따라갈 거야."라는 말을 한다. 착잡한 마음에 노려본 것이었지만, 미카사는 "너랑 헤어지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엘런은 개척자가 되라는 말을 듣자마자 자리를 떠 버려서 같이 가겠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결국 의도와는 다르게 엘런의 열등감만 자극해 버렸다. 이후 진로에 대한 얘기를 할 때도 "엘런, 네가 가는 병단으로 따라갈거야"라고 하기도 했다.[3]
엘런이 장비 교체 후 기초 훈련을 통과하고 "나도 할 수 있다!", "어떠냐!"는 뜻을 담아 자신을 쳐다보자, 아르민 등 다른 사람들은 "어떠냐?"라고 눈빛으로 말하는 것 같다고 할 때 혼자 "아니야, 이걸로 나랑 헤어지지 않아도 된다고 안심하고 있는 거야."라며 안심했다. 그 반응에 동기생들은 옆에서 황당한 표정을 지었다.[3]
846년에 황무지 행군 훈련에서 제2반의 기록 담당을 맡아 훈련했다. 애니 레온하트와 함께 크리스타 렌즈를 구했다.[4]
훈련병 졸업 직후 초대형 거인이 쳐들어왔을 때는 명령이고 뭐고 무시하고 엘런을 지키고자 엘런과 함께 가려다가 그만 좀 하고 상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엘런의 일침을 듣고 침울해하기도 한다.[5]
이후 엘런의 회상 중, 애니와 대인격투술 훈련을 하다 애니가 관절기로 엘런을 깔아뭉개고 "좀 더 학습하자고. 여자아이와 대화하는 법을.", "그래, 그렇게나 더 알고 싶어?" 같은 소리를 하자, 라이너 브라운을 집어던져 둘 사이를 떼어놓고 싸움을 건 일도 있다. 훈련소에서의 생활을 보면 애니가 엘런을 이래저래 의식하는 모습을 종종 보여주기에 이 때문에 경계했을 수도 있다.[11]
3. 3. 조사병단 합류
엘런 예거의 가족과 함께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에서 살았으나, 갑자기 나타난 초대형 거인 때문에 방벽 문이 파괴되면서 엘런과 함께 대피했다. 이때 엘런과 함께 양어머니 카를라 예거를 구하려다가 한네스에게 강제로 구출되었다. 이후 월 로제 안쪽에서 지내다가 엘런, 아르민과 함께 훈련병단에 입단한다. 원래 등까지 닿던 머리카락도 엘런이 "너무 길면 입체기동장치 훈련 때 위험할 것 같으니까 자르라."고 충고한 뒤로 계속 단발이다.훈련병 시절, 엘런이 기초 훈련을 통과하지 못하고 전전긍긍하자 "적성에 맞지 않으면 그냥 개척자가 되는 게 어떻겠냐?"고 말했다. 이에 화가 난 엘런이 자신을 노려보자 얼굴을 붉히며 "난 너 혼자 가라는 게 아니야. 네가 개척지로 가면 나도 따라갈 거야."라고 말했다. 착잡한 마음에 노려본 것이었지만, 미카사는 "너랑 헤어지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엘런은 개척자가 되라는 말을 듣자마자 자리를 떠나서 같이 가겠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결국 의도와는 다르게 엘런의 열등감만 자극했다. 이후 진로에 대한 얘기를 할 때도 "엘런, 네가 가는 병단으로 따라갈 거야"라고 했다.
엘런이 장비 교체 후 기초 훈련을 통과하고 "나도 할 수 있다!", "어떠냐!"는 뜻을 담아 자신을 쳐다보자, 아르민 등 다른 사람들은 "어떠냐?"라고 눈빛으로 말하는 것 같다고 했지만, 미카사는 "아니야, 이걸로 나랑 헤어지지 않아도 된다고 안심하고 있는 거야."라며 안심했다. 그 반응에 동기생들은 황당한 표정을 지었다.
846년, 황무지 행군 훈련에서 제2반의 기록 담당을 맡아 훈련했다. 애니 레온하트와 함께 크리스타 렌즈를 구했다.
훈련병 졸업 직후 초대형 거인이 쳐들어왔을 때는 명령이고 뭐고 무시하고 엘런을 지키려다가, 그만 좀 하고 상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엘런의 일침을 듣고 침울해하기도 했다.
3. 4. 월 마리아 탈환 작전
846년, 훈련병단에 입단하기 전에는 엘런의 가족들과 함께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에서 살고 있었다. 그러나 초대형 거인의 등장으로 방벽의 문이 파괴되면서 엘런과 함께 대피하게 되었다. 이때 엘런과 함께 양어머니 카를라 예거를 구하려다가 한네스에게 강제로 구출되었다. 이후 월 로제 안쪽에서 지내다가 엘런, 아르민과 함께 훈련병단에 입단한다.[1]훈련병 시절, 엘런이 기초 훈련을 통과하지 못하자 "적성에 맞지 않으면 그냥 개척자가 되는 게 어떻겠냐?"라고 말했고, 이에 화가 난 엘런이 자신을 노려보자 얼굴을 붉히며 "난 너 혼자 가라는 게 아니야. 네가 개척지로 가면 나도 따라갈 거야."라고 말했다. 결국 의도와는 다르게 엘런의 열등감만 자극해 버렸다. 이후 진로에 대한 얘기를 할 때도 "엘런, 네가 가는 병단으로 따라갈거야"라고 하기도 했다.[2]
엘런이 장비 교체 후 기초 훈련을 통과하고 자신을 쳐다보자, 다른 사람들은 "어떠냐?"라고 눈빛으로 말하는 것 같다고 했지만, 미카사는 "아니야, 이걸로 나랑 헤어지지 않아도 된다고 안심하고 있는 거야."라며 안심했다. 그 반응에 동기생들은 황당한 표정을 지었다.[2]
846년 황무지 행군 훈련에서 제2반의 기록 담당을 맡아 훈련했고, 애니 레온하트와 함께 크리스타 렌즈를 구했다.[3]
훈련병 졸업 직후 초대형 거인이 쳐들어왔을 때, 명령을 무시하고 엘런을 지키려다가 엘런의 일침을 듣고 침울해하기도 한다.[3]
이안 디트리히의 휘하에서 거인들을 처리하다가 문으로 가는 기행종을 처치한 후, 피난이 늦어지는 이유가 디모 리브스가 상단 마차를 무리하게 성문을 통과시키려다가 길을 막고 있기 때문임을 알고, 반 협박으로 쫓아내 버린다. 협박하는 리브스에게 "시체가 어떻게 말하지?"라고 반문한다.[3]
주민 대피가 완료되자 엘런의 상황을 알아보려고 전방으로 갔다가 아르민에게 엘런이 거인에게 잡아먹혔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겉으로는 침착하게 사실을 받아들이는 척했지만, 실상은 심하게 동요하고 있었다.[3]
엘런의 생환을 확인하고 나자 눈에 생기가 돌아오고 엘런을 끌어안은 채 목을 놓아 펑펑 울어버린다.[4]
트로스트구 탈환 작전 때 거인의 힘을 제어하지 못한 엘런의 공격을 받아 오른쪽 얼굴에 상처를 입었다. 그 이후 미카사의 오른쪽 얼굴에는 그 상처로 인한 흉터가 남게 되었다.[4]
3. 5. 왕정 쿠데타
엘런 예거를 구하기 위해 각오를 다지는 조사병단의 일원이었다. 리바이의 명령으로 사람을 죽이는 일은 못하겠다고 하는 사샤와 코니가 리바이의 이전 행동에 반감을 드러낸 것과 달리, 무덤덤한 표정으로 '그 꼬맹이가 무슨 생각인지는 나도 이해할 수 없지만 해야 한다면 하겠다'고 말했다.[14]작전 수행 중 일이 꼬이자, 리바이의 지시에 따라 짐마차를 엄호했다. 그러던 중 한 헌병이 아르민을 노리자 발로 차서 짐마차에 떨어뜨렸으나, 장이 미처 그 헌병을 죽이지 못해 본인이 칼을 들고 달려들었다. 하지만 그 헌병은 결국 아르민이 죽였고, 아르민이 이 일로 후유증에 시달리자 옆에서 위로해주었다. 이때 미카사도 이랬었냐는, 전과를 들추는 발언을 들었음에도 뭐라 하지 않고 이해해주었다.[14]
리바이가 헌병 리더를 취조하던 중 케니의 풀네임인 '케니 아커만'이 나오자 놀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장면을 볼 때 케니와 리바이, 그리고 미카사의 관계가 조만간 드러날지도 모른다.[14]
아버지의 일족인 '아커만 가문'은 "도시에서 박해를 받았기에 산 속으로 쫓겨나 살았지만 왜 아커만 가문이 박해를 받은 것인지는 모른다"고 아버지에게 들었다고 말했다.[15] 케니가 젊은 시절, 자신의 할아버지와 한 대화 중에서 "분가 쪽이 시간시나구로 옮겼는데 거기서도 장사를 방해하는 놈들이 나타나 여전히 먹고 살기 힘들다"는 말을 케니가 할아버지에게 했는데, 아마 시간시나구로 거주지를 옮긴 분가 쪽 아커만 일족 사람 중에 미카사의 아버지가 있는 것 같다. 즉 리바이와 미카사, 케니는 같은 피가 흐르는 것이다.[15]
3. 6. 시조의 거인 탈환 작전
엘런의 가족들과 함께 월 마리아 시간시나구에서 살고 있었으나, 갑자기 나타난 초대형 거인에 의해 방벽의 문이 파괴되면서 엘런과 함께 대피하게 되었다. 이때 엘런과 함께 양어머니 카를라 예거를 구하려다가 한네스에게 강제로 구출되었다. 이후 월 로제 안쪽에서 지내다가 엘런, 아르민과 함께 훈련병단에 입단한다. 원래 등까지 닿던 머리카락도 엘런이 "너무 길면 입체기동장치 훈련 때 위험할 것 같으니까 자르라."고 충고한 이후로 계속 단발이다.[2]훈련병 졸업 직후 초대형 거인이 쳐들어왔을 때는 명령이고 뭐고 무시하고 엘런을 지키고자 엘런과 함께 가려다가, "그만 좀 하고 상관의 명령에 따르라"는 엘런의 일침을 듣고 침울해하기도 한다.[5]
이안 디트리히의 휘하에서 거인들을 처리하다가 문으로 가는 기행종을 처치한 후, 피난이 늦어지는 이유가 디모 리브스가 상단 마차를 무리하게 성문을 통과시키려다가 길을 막고 있기 때문임을 알고, 반 협박으로 쫓아내 버린다. 협박하는 리브스에게 "시체가 어떻게 말하지?"라고 반문한다. 그리고 한 여자아이에게 감사를 받자 경례로 답한다.[6]
주민 대피가 완료되자 엘런의 상황을 알아보려고 전방으로 갔다가 아르민을 만나게 되며, 아르민에게 엘런이 거인에게 잡아먹혔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아르민은 미카사에게 이 소식을 전해야 할 때 혹시나 모를 멘붕을 우려했지만, 미카사는 겉으로는 침착하게 사실을 받아들이고 진정하라며 말을 하면서 그를 다독이고는 홀로 선봉에 서서 보급반을 구하러 갔다. 대단한 정신력이지만 그것은 겉보기일 뿐, 실상은 심하게 동요하고 있었으며, 가스가 다 떨어져 추락한 이후에는 삶을 포기할 정도에 이른다. 그러나 죽으면 엘런을 기억하는 것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을 문득 깨닫고 살기 위해 눈물을 흘리며 거인에 맞서 싸우려 한다.[6]
엘런의 생환을 확인하고 나자 눈에 생기가 돌아오고 엘런을 끌어안은 채 목을 놓아 펑펑 울어버린다.[6]
이후 첫 번째 거인화에서 돌아온 후 위험 요소로 간주되어 주둔병단에게 포위되었을 때는 오직 그만을 지키고자, 아르민과 함께 엘런을 포위하고 적의를 드러내는 병력 모두를 홀로 상대하며 살기를 내뿜는다. 이 살기는 엘런이 거인화를 제어하지 못하고 있을 때 당황하며 철수하려는 주둔병단의 정예들을 상대로도 나타나는데, 지휘권을 맡은 이안 디트리히 반장이 현명한 판단으로 제지한 후, 미카사에겐 자유롭게 움직이라며 그 편이 연인을 지키기 위해 실력을 발휘하기 좋을 거라는 지시를 내리자 얼굴이 빨개지며 가족이라고 정정한다. 미카사가 실제로 엘런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드러나는 장면이다.[6]
트로스트구 탈환 작전 때 거인의 힘을 제어하지 못한 엘런의 공격을 받는 바람에 오른쪽 얼굴에 상처를 입었다. 그 이후 미카사의 오른쪽 얼굴에는 그 상처로 인한 흉터가 남게 되었다.[6]
3. 7. 마레 잠입 작전
101화에서 전퇴의 거인에게 뇌창을 날려 쓰러뜨리면서 등장한다. 전보다 더 짧은 숏컷이 되어 중성적인 느낌이 강해졌으며, 여전히 목도리를 하고 있다. 3년 후의 조사병단 군복은 전보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옷이며, 대거인과 대인용 입체기동장치를 둘 다 차고 있다. 예전에 양 팔에 하나씩 장착하던 뇌창도 한쪽 팔에 4개씩 장착하도록 개량되었으며, 쟝이 마레측 병사에게 총을 쏘는 모습을 보면 뇌창과 더불어 총까지 발사할 수 있는 듯하다. 거인과 인간 둘 다 상대할 수 있는 기동장치이다. 뇌창으로 전퇴의 거인을 일격에 날려버리는 장면은 거인을 이용한 인류와 거인을 상대한 인류의 대거인 전력의 차이를 절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미카사의 등장에 에렌이 와줘서 다행이라며 안도하고, 미카사는 에렌에게 부탁이니 돌아오라는 말을 한다.102화에서 본격적인 등장이 시작되고, 쟝과 더불어 학살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사를 보여줬다. 거인화를 하며 민간인과 아이들을 죽인 에렌에게 이제 걷잡을 수 없다며 돌아오라고 말한다. 이후 쓰러지지 않은 전퇴의 거인을 혼자 상대하여 에렌이 본체를 찾을 시간을 벌어준다.
103화에서는 전퇴의 거인의 본체가 있는 수정막에 뇌창을 먹이지만 먹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후에 턱 거인과 싸우게 된다.
104화에서 턱 거인을 유도한 뒤 다리를 무력화시켜 에렌이 턱 거인을 이용해 전퇴를 먹을 수 있도록 돕는다. 이후 라이너의 갑옷이 깨어나자 에렌을 구출한 뒤 비행선으로 도주한다.
105화에선 리바이 병장이 비행선에 올라온 에렌을 발로 예전처럼 차는 모습을 보고 순간 움찔하지만 아르민이 확신의 찬 표정으로 가로막는다. 예전과 다르게 미카사는 마지못해 수긍하는 듯한 표정으로 얼굴을 떨군다. 아마 에렌을 항상 믿어주는 미카사지만 이번만은 에렌의 작전이 무모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 지크와 에렌이 수감되어있는 방에 있어서 사샤가 가비에게 사살당하는 걸 몰랐다가 장으로부터 사샤가 총에 맞아 목숨이 위험하다는 걸 듣자 얼굴이 굳어진 채로 아르민과 함께 격납고로 향하지만 끝내 사샤는 사망하였고, 죽은 사샤를 보며 눈물을 흘린다.[11]
3. 8. 땅울림 저지
ミカサ일본어는 엘런을 지키기 위해 다른 동료들과 함께 땅울림을 막으려 한다. 애니가 인류를 위해 엘런을 죽일 거냐고 묻자, 멀리 간 엘런을 데리고 올 뿐이라고 답한다. 애니가 목도리는 더 이상 안 하냐고 묻자, 목도리는 있지만 지금은 안 한다고 말한다.[1]프록이 비행정에 총을 쏘자 그의 목에 앵커를 꽂아 죽인다.[1] 비행정을 고치는 동안 땅울림이 가까이 다가오자, 한지가 시간을 끄는 사이 비행정에 탑승해 날아간다. 하지만 초대형 거인의 연기에 타버려 떨어진 한지를 보며 슬퍼한다.[1]
이후 다른 일행들과 함께 시조 거인 위에서 싸우기 시작하며,[1] 리바이와 라이너를 구한다. 시조 유미르가 소환한 역대 아홉 거인에게 동료들이 밀리자, "나는 강하다"며 다 덤비라고 외친다. 이때 애니, 가비, 턱 거인이 나타나 일행을 구해준다.[1]
장, 코니, 가비가 무지성 거인이 되는 것을 본다.[1] 아르민, 리바이의 도움을 받아 엘런을 죽이고 키스한다.[1]
4. 성격
기본적으로 말수가 적고 표정 변화가 드문 차갑고 냉정한 성격이다. 스스로와 타인에게 엄격하며, 대화의 여지가 없는 적에게는 주저 없이 칼을 휘두르는 강인함을 지녔다.[1] 하지만 의외로 질투심이 강한 편이다. 다른 사람에게는 차갑지만 에렌 예거와 몇몇 동료들에게는 친절하게 대한다.
하야시 이사야마는 베르세르크의 카스카에게 영향을 받아 미카사를 만들었다고 밝혔다.[2] 그는 여주인공이 보통 남자를 동기 부여하는 존재라는 점이 흔하다고 언급했고, 그러한 사고방식을 좋아하지 않았다. 남녀의 골격 구조와 근육량 차이가 신체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사야마는 그것이 흥미롭지 않았고, 그래서 미카사를 전투에 뛰어난 여성으로 만들었다.[2]
미카사는 에렌 예거의 소꿉친구로, 인신매매범에게 부모가 잔혹하게 살해당한 후 에렌의 가족에게 거두어졌다. 그녀는 자신을 구해준 에렌에게 감사하며, 상징적인 스카프를 받았다. 예거 가문과 함께 살기 전 미카사는 쾌활하고 외향적이며 상냥했지만, 부모의 죽음으로 세상의 잔혹함을 깨닫고 내성적으로 변했다. 에렌을 헌신적으로 돌보는 그녀는 그를 보호해야 한다는 강한 의무감을 느끼며, 조사병단에 함께 합류한다. 훈련병단을 수석으로 졸업한 그녀는 장교들로부터 천재이자 신동으로 평가받으며, 전투에서 백 명의 병사만큼의 가치를 지닌다.
이는 미카사의 아버지가 아커만 가문의 후손이기 때문인데, 아커만 가문은 엘디아 왕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거인과 동등한 힘을 가진 초인 병사를 만들기 위해 유전적으로 개조된 엘디아 혈통이다. 압박을 받으면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능력이 조상의 전투 경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미카사의 아커만 본능은 부모의 죽음 직후 에렌이 납치범들에게 '맞서 싸우라'고 했을 때 처음 깨어났다. 비록 혼혈이지만 그녀는 벽 안에 거주하는 마지막 아시아계 후손이기도 하다.
그녀의 손목 문신은 그녀가 히즈루|Hizuru일본어 출신의 아즈마비토 가문|アズマビト家|Azumabito-ke일본어의 후손임을 나타낸다. 조사병단과 함께 마레의 자원병을 조사하는 동안, 에렌은 미카사에게 자신이 아커만의 혈족 노예가 되어 에렌을 보호하도록 "강요"받는 것을 항상 싫어했다고 밝힌다. 이에 그녀는 절망하여 목에서 스카프를 벗는다. 여전히 에렌을 생각하면서 미카사는 에렌이 계획한 세계 학살을 막기 위해 연합에 합류하기로 결심한다.
미카사의 캐릭터성은 숙련된 여주인공으로 돋보이며 에렌을 향한 헌신적인 감정 표현이 훌륭하다는 평가를 ''애니메이션 뉴스 네트워크''로부터 받았다.[23] ''THEM 애니메이션 리뷰''는 미카사가 에렌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는데, 그녀의 더 차분한 성격과 눈에 띄는 기술이 이야기 속에서 매우 돋보이며, 이 시리즈를 페미니즘적이라고 칭찬하며 주인공을 선호하여 미카사의 화면 노출이 적은 것을 아쉬워했다.[26]
5. 혈통
미카사는 에렌의 소꿉친구로, 부모를 잃고 에렌의 가족에게 거두어졌다. 에렌에게 깊은 감사를 느끼며, 그를 보호하기 위해 조사병단에 합류한다. 훈련병단을 수석으로 졸업한 미카사는 뛰어난 전투 능력을 가진 병사로, 백 명의 병사와 맞먹는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받는다.[23]
미카사의 아버지는 아커만 가문의 후손이다.
5. 1. 아커만 가문
미카사의 아버지는 아커만 가문의 후손인데, 아커만 가문은 원래 엘디아 왕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거인과 동등한 힘을 가진 초인 병사를 만들기 위해 유전적으로 개조된 엘디아 혈통이다. 압박을 받으면 이러한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능력은 후손이 조상의 전투 경험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미카사의 아커만 본능은 부모의 죽음 직후 에렌이 납치범들에게 '맞서 싸우라'고 촉구했을 때 처음 깨어났다.[23] 비록 혼혈이지만 그녀는 또한 벽 안에 거주하는 마지막 아시아계 후손이기도 하다. 그녀의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아즈마비토 가문의 문장이 새겨진 손목 문신은 그녀가 파라디로 이주한 존경받는 대사로서, 동방 국가인 히즈루|Hizuru일본어 출신의 사관 가문인 저명한 아즈마비토 가문|Azumabito-ke일본어의 후손임을 나타낸다.5. 2. 아즈마비토 가문
미카사는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손목 문신을 통해 자신이 동방 국가인 히즈루|Hizuru일본어 출신의 사관 가문인 아즈마비토 가문(アズマビト家)의 후손임을 알게 된다. 아즈마비토 가문은 파라디 섬으로 이주한 존경받는 대사 가문이다.[4]6. 주제곡
- 히카사 요코 (ja) - 美しく残酷な世界 (아름답고도 잔혹한 세계/우츠쿠시쿠잔고쿠나세카이)
: TV 애니메이션 Season 1 1쿨 엔딩곡이다. 프리다 라이스의 성우 히카사 요코가 불렀으며, 절망 속에서도 '잔혹하고도 아름다운 세계'를 살아가겠다는 미카사의 다짐을 표현했다. 단편 외전 애니메이션
- 사와노 히로유키 - Army⇒go
: TV 애니메이션 1기 삽입곡이다. 미카사가 '소녀가 바라본 세계' 에피소드에서 각성하는 순간을 표현했다. 'Army go'는 '군대의 출동'을 의미하며, 각성 후 강해진 미카사와 잘 어울리는 곡명이다.[2]
- 사와노 히로유키 - 進撃vn-pf20140524巨人
: 미카사가 애니 레온하트를 추격하는 장면에 삽입된 곡이다. 구 리바이 반이 전멸하고 엘런 예거가 납치되는 절망적인 상황을 표현했다.[3]
- 이시카와 유이 - No Matter Where You Are (Vocal: ja)
: 미카사의 성우 이시카와 유이가 부른 캐릭터 송이다. 사와노 히로유키가 작곡한 'Call your name'을 일본어로 개사했으며, 엘런을 향한 미카사의 마음을 담았다. 애니 레온하트의 테마곡
- Revo - 13の冬 (13의 겨울/쥬산노후유)
: Linked Horizon의 Revo가 작곡하고 이시카와 유이가 부른 곡이다. 앨범 <진실로의 진격(真実への進撃)>에 수록되었다. 엘런과의 이별을 앞둔 미카사의 슬픔과 고뇌를 표현했으며, 제목의 '13'은 엘런의 남은 수명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7. 평가 및 영향
미카사의 이름은 일본 제국 해군의 유명한 전열함인 미카사에서 따왔다.[3] 미카사의 성은 독일어 이름 "아커만"("Ackermann")의 이디시 동족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들판에서 일하는 사람"을 의미한다.[4] 작가 하야시 이사야마는 베르세르크의 카스카에게 영향을 받아 미카사를 구상했다고 언급했다.[2]
이사야마는 여주인공이 주로 남자를 동기 부여하는 존재라는 점이 흔하지만, 그러한 사고방식을 선호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남녀의 골격 구조와 근육량 차이가 신체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흥미롭게 다루고 싶지 않아 미카사를 전투에 뛰어난 여성으로 묘사했다.[2]
미카사의 일본어 성우는 이시카와 유이이며, 영어 더빙판에서는 트리나 니시무라가 맡았다.[5][6] 이시카와는 미카사가 주로 에렌을 걱정하며 세상과 거리를 두지만, 실제로는 마음속에 많은 감정이 소용돌이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니시무라는 이시카와의 연기를 참고하여 미카사 역을 소화했다고 한다.
실사 영화에서 미카사 역은 미즈하라 키코가 맡았으며,[9] 그녀는 미카사의 강인함과 에렌에 대한 사랑을 인상 깊게 보았다고 언급했다.[10]
미카사는 ''진격의 거인'', ''진격의 거인 2'' 등 여러 비디오 게임에 등장하며,[11] 배틀 로얄 게임 ''포트나이트''에서는 코스메틱 아이템으로도 등장한다.
''심슨 가족''의 리사 심슨은 "Treehouse of Horror XXV" 에피소드에서 미카사로 묘사되기도 했다.[12]
7. 1. 인기
미카사는 인기 있는 캐릭터로, 여러 상을 받았다.상 이름 | 연도 | 결과 | 출처 |
---|---|---|---|
뉴타입 어워드 "여성 캐릭터"상 | 2013년 | 수상 | [15] |
뉴타입 애니메이션 어워드 가장 좋아하는 여성 캐릭터 | 2016-2017 | 4위 | [16] |
Selecta Visión 애니메이션 어워드 "최우수 여성 주연 캐릭터" | 수상 | [17] | |
세이유 어워드 "최우수 조연 여배우"상 (이시카와 유이) | 제8회 | 수상 | [18] |
애니메이션 그랑프리 "최우수 여성 캐릭터" | 제36회 | 2위 | [19][20] |
BTVA 애니메이션 더빙 어워드 (트리나 니시무라) | 제3회 | 수상 | [21] |
Funimation Decade of Anime 팬 투표 "최고의 10년간의 소녀" | 수상 | [22] |
미카사의 캐릭터성은 숙련된 여주인공으로 돋보이며 에렌을 향한 헌신적인 감정 표현이 훌륭하다는 평가를 ''애니메이션 뉴스 네트워크''로부터 받았다.[23] 또한, 스핀오프에서 미카사가 에렌을 다른 상황에서 만났을 때 그녀의 성격 변화를 보여주며, 이것이 그녀의 본래 캐릭터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든다고 평가했다.[23] ''Blu-ray.com''은 미카사와 에렌의 기원이 특히 폭력적이며, 주인공들이 군인이 될 때 가장 두드러진다고 보았다.[24] "전사" 에피소드에서 그녀의 캐릭터성은 배신자들에게 보이는 폭력성으로 인해 ''Manga.Tokyo''로부터 호평을 받았다.[25]
''THEM 애니메이션 리뷰''는 미카사가 에렌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는데, 그녀의 차분한 성격과 눈에 띄는 기술 덕분에 이야기 속에서 돋보이며, 이 시리즈를 페미니즘적이라고 칭찬했다. 다만 주인공을 선호하여 미카사의 화면 노출이 적은 것을 아쉬워했다.[26] ''Japanator''의 엘리엇 그레이는 미카사와 아르민을 에렌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27] 마찬가지로, ''Manga Bookshelf''의 안나 네이트어는 그녀가 에렌의 무례한 성격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고 평가했다.[28] 에렌을 향한 미카사의 사랑 고백은 IGN과 ''애니메이션 뉴스 네트워크'' 모두에게 배우들의 연기 묘사와 연출이 비극적인 장면을 위로하는 장면으로 바꾸면서 호평을 받았다.[29][30]
최종 아크에서, ''Den of Geek''과 IGN은 에렌이 미카사와 아르민과 처음으로 대립하는 것을 예상 밖의 전개로 보았으며, 그들은 항상 서로에게 친절했다.[31][32] IGN은 그가 회상에서 미카사에게 그들의 유대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의 역할이 더 모호하다고 보았다.[33] ''The Fandom Post''는 그의 공격적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에렌의 새로운 캐릭터성은 거짓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이 미카사가 그에게 느끼는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34] 작중에서, "Under the Tree"는 "미카사의 노래"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35] 에렌을 주로 다루었던 SiM의 이전 싱글 "The Rumbling"과는 대조적이다.[36] 이 노래의 커버 아트는 어린 시절 에렌이 그녀에게 준 붉은 스카프를 벗은 미카사를 묘사하며,[37] 이는 쇼에서 두 등장인물 사이의 균열을 상징한다.[38]
7. 2. 비평
미카사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캐릭터이다. 2013년 뉴타입 어워드에서 "여성 캐릭터"상을 수상했고,[15] 뉴타입 애니메이션 어워드 2016–2017에서는 가장 좋아하는 여성 캐릭터 부문 4위를 차지했다.[16] Selecta Visión 애니메이션 어워드에서는 "최우수 여성 주연 캐릭터"상을 수상했다.[17] 이시카와 유이는 제8회 세이유 어워드에서 미카사 아커만 역으로 "최우수 조연 여배우"상을 수상했고,[18] 제36회 애니메이션 그랑프리에서는 "최우수 여성 캐릭터" 부문 2위를 차지했다.[19][20] 제3회 BTVA 애니메이션 더빙 어워드에서는 미카사의 성우 트리나 니시무라가 영어 더빙으로 수상했다.[21] Funimation의 Decade of Anime 팬 투표에서 미카사는 "최고의 10년간의 소녀" 부문 5명의 수상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22]''애니메이션 뉴스 네트워크''는 미카사의 캐릭터성이 숙련된 여주인공으로 돋보이며 에렌을 향한 헌신적인 감정 표현이 훌륭하다고 평가했다. 또한, 스핀오프에서 미카사가 에렌을 다른 상황에서 만났다면 그녀의 성격이 어떻게 달라졌을지를 보여주며, 이것이 그녀의 본래 캐릭터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든다고 생각한다.[23] ''Blu-ray.com''은 미카사와 에렌의 기원이 특히 폭력적이며, 주인공들이 군인이 될 때 가장 두드러진다고 보았다.[24] "전사" 에피소드에서 그녀의 캐릭터성은 배신자들에게 보이는 폭력성으로 인해 ''Manga.Tokyo''로부터 호평을 받았다.[25]
''THEM 애니메이션 리뷰''는 미카사가 에렌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는데, 그녀의 더 차분한 성격과 눈에 띄는 기술이 이야기 속에서 매우 돋보이며, 이 시리즈를 페미니즘적이라고 칭찬하며 주인공을 선호하여 미카사의 화면 노출이 적은 것을 아쉬워했다.[26] ''Japanator''의 엘리엇 그레이는 미카사와 아르민을 에렌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27] 마찬가지로, ''Manga Bookshelf''의 안나 네이트어는 그녀가 에렌의 무례한 성격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고 평가했다.[28] 에렌을 향한 미카사의 사랑 고백은 IGN과 ''애니메이션 뉴스 네트워크'' 모두에게 배우들의 연기 묘사와 연출이 비극적인 장면을 위로하는 장면으로 바꾸면서 호평을 받았다.[29][30]
최종 아크에서, ''Den of Geek''과 IGN은 에렌이 미카사와 아르민과 처음으로 대립하는 것을 예상 밖의 전개로 즐겼으며, 그들은 항상 서로에게 친절했다.[31][32] IGN은 그가 회상에서 미카사에게 그들의 유대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의 역할이 더 모호하다고 보았다.[33] ''The Fandom Post''는 그의 공격적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에렌의 새로운 캐릭터성은 거짓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이 미카사가 그에게 느끼는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34] 작중에서, "Under the Tree"는 "미카사의 노래"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35] 에렌을 주로 다루었던 SiM의 이전 싱글 "The Rumbling"과는 대조적이다.[36] 이 노래의 커버 아트는 어린 시절 에렌이 그녀에게 준 붉은 스카프를 벗은 미카사를 묘사하며,[37] 이는 쇼에서 두 등장인물 사이의 균열을 상징한다.[38]
참조
[1]
문서
Attack on Titan ANSWERS
[2]
서적
Gekkan Shingeki no Kyojin
Kodansha
[3]
웹사이트
現在進行中の黒歴史 : ネットの環境が整いましたので再開します
http://blog.livedoor[...]
Blog.livedoor.jp
2011-08-28
[4]
문서
Attack on Titan Character Encyclopedia
[5]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Cast Announcement – Day 4
http://www.funimatio[...]
2014-03-14
[6]
웹사이트
Funimation Announces 5th Round of Attack on Titan Dub Cast
http://www.animenews[...]
2014-03-14
[7]
웹사이트
Interview: Attack on Titan's Trina Nishimura and Yui Ishikawa
https://www.animenew[...]
2017-07-24
[8]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Interview: Mikasa & Hange's Voice Actors on Season 4 Hopes & Fears
https://www.cbr.com/[...]
2020-12-07
[9]
웹사이트
Live-action 'Attack on Titan' cast photos revealed
https://www.dailydot[...]
2014-11-20
[10]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Live Action Movie Actor & Director Interviews Kiko Mizuhara, Haruma Miura
https://www.youtube.[...]
2015-09-29
[11]
웹사이트
Mikasa Ackerman Games
https://www.giantbom[...]
[12]
웹사이트
SIMPSONS TREEHOUSE OF HORROR REFERENCES ATTACK ON TITAN, NARUTO, OTHER ANIME
https://www.animeher[...]
[13]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The Symbolism in the New Ending Song Sequence, Explained
https://www.cbr.com/[...]
[14]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Reunites Mikasa and Eren in Original Epilogue Scene
https://comicbook.co[...]
[15]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Wins Top Prizes in Newtype Anime Awards
https://www.animenew[...]
2013-10-13
[16]
웹사이트
Fate/Apocrypha, Sword Art Online Movie Win Top Newtype Anime Awards
https://www.animenew[...]
2017-10-07
[17]
웹사이트
Resultados de los Anime Awards Selecta Visión
https://www.hobbycon[...]
2014-01-24
[18]
웹사이트
Yuuki Kaji, Rina Satou Win 8th Annual Seiyū Awards (Updated)
https://www.animenew[...]
2014-02-28
[19]
웹사이트
アニメージュ 2014年 6月号 本日発売!
https://www.gundam.i[...]
2014-05-10
[20]
웹사이트
36th Anime Grand Prix
http://www.chikimato[...]
[21]
웹사이트
3rd Annual BTVA Anime Dub Awards 2014
https://www.behindth[...]
2015-03-09
[22]
웹사이트
A Decade of Anime: Best Girls & Best Boys
https://blog.funimat[...]
2019-12-27
[23]
웹사이트
The Kick-Ass Women of Attack on Titan
https://www.animenew[...]
2017-05-26
[24]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Part 1 Limited Edition
http://www.blu-ray.c[...]
Blu-Ray
2014-05-29
[25]
웹사이트
Why Attack On Titan's 'Warrior' Is One Of The Best Things That Has Happened To Mainstream Anime Culture
https://manga.tokyo/[...]
Manga. Tokyo
2017-07-29
[26]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http://www.themanime[...]
THEM Anime Reviews
[27]
웹사이트
It's an attack on your senses
http://www.japanator[...]
Japanator / The Fandom Post
2013-08-07
[28]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Vol 1
http://mangareport.m[...]
Manga Bookshelf
2014-01-28
[29]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Episode 37
https://www.animenew[...]
2017-06-17
[30]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Episode 37
https://latam.ign.co[...]
2017-06-19
[31]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Season 4 Episodes 14 and 15 Review
https://www.denofgee[...]
2021-03-21
[32]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The Final Season – Crítica de los episodios 14 y 15
https://www.cineprem[...]
2021-03-23
[33]
웹사이트
Shingeki no Kyojin: Eren y Mikasa aclaran sus sentimientos
https://latam.ign.co[...]
2019-11-08
[34]
웹사이트
Attack on Titan Final Season Episodes #73 – 74 Anime Review
https://www.fandompo[...]
2021-03-22
[35]
웹사이트
The theme song for the TV anime "Attack on Titan" The Final Season (Part 1) will be SiM "UNDER THE TREE"!
https://shingeki.tv/[...]
Attack on Titan [Official Website]
2023-02-25
[36]
웹사이트
SiM is the Band Which is in Charge of Making the Theme Song for the TV Anime "Attack on Titan" The Final Season Part 3
https://www.animenew[...]
2023-02-25
[37]
웹사이트
SiM、楽曲「UNDER THE TREE」がTVアニメ"「進撃の巨人」The Final Season完結編(前編)"主題歌に決定&3/4配信!ミカサが描かれたジャケ写公開!
https://gekirock.com[...]
2023-02-25
[38]
웹사이트
Why Attack On Titan's Mikasa Leaves Eren's Scarf
https://screenrant.c[...]
2022-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