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꼬리과일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꼬리과일박쥐는 태국, 베트남,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브루나이, 칼리만탄 등 동남아시아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주로 저지대 일차림에서 발견되지만, 이차림과 개활지에서도 서식하며, 태국에서는 해발 3,000m 높이의 산지에서도 기록되었다.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임신한 암컷과 젖을 먹이는 새끼가 관찰되기도 하는 등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7년 기재된 포유류 - 민발바닥토끼쥐
- 1837년 기재된 포유류 - 워일리
워일리는 캥거루쥐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호주 남서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균류를 섭취하며 생태계 유지에 기여하며, 붉은여우와 들고양이 등의 포식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수마트라섬의 동물상 - 수마트라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며 짙은 털색과 굵은 줄무늬, 작은 체구를 특징으로 하고, 멸종 위기에 놓여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수마트라섬의 동물상 - 수마트라코뿔소
수마트라코뿔소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코뿔소 종으로, 두 개의 뿔과 털이 많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큰박쥐과 - 큰박쥐류
큰박쥐류는 박쥐목에 속하는 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오스트랄라시아에서 기원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확산되었고, 시각과 후각에 의존하여 과일 등을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있고, 바이러스 질병의 숙주로서 인간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 큰박쥐과 - 망치머리박쥐
망치머리박쥐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수컷의 독특한 머리 형태로 이름 붙여진 과일박쥐로, 렉 시스템을 통해 번식하고 과일을 섭취하며 에볼라 바이러스의 잠재적 매개체로 연구되기도 하는 종이다.
민꼬리과일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민꼬리과일박쥐 | |
![]() | |
학명 | Megaerops ecaudatus |
명명자 | (Coenraad Jacob Temminck, 1837) |
속 | 민꼬리과일박쥐속 |
과 | 큰박쥐과 |
아과 | 짧은코과일박쥐아과 또는 큰박쥐아과 |
멸종 위기 등급 | IUCN: LC |
IUCN 평가 기준 버전 | IUCN3.1 |
분포 | |
![]() |
2. 분포
민꼬리과일박쥐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주요 서식 국가는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말레이반도, 사바주, 사라왁), 브루나이, 인도네시아(수마트라, 칼리만탄) 등이다.[6][7][2][3]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다.
- 말레이시아
- * 사바주: 키나발루, 다눔 계곡, 타아우 언덕, 테놈, 포링[6][7][2][3]
- * 사라왁: 바리오 고지대, 발루이 이차림[6][7][2][3]
- 브루나이: 템부롱 구, 메림분 호수[6][7][3]
- 인도네시아
- * 칼리만탄: 카푸아스 강 유역, 쿠타이[6][7][3]
- 태국: 탈레반 국립공원[6][7][2][3]
주로 저지대의 일차림(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에서 발견되지만, 이차림이나 개활지와 같은 다른 서식지에서도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2] 사라왁의 바리오 고지대와 같이 높은 고도의 지역에서도 발견 기록이 있다.[6][2]
3. 생태
다양한 서식지에서 수컷 2마리와 암컷 2마리가 포획되었다. 구체적인 채집 기록은 다음과 같다. 1995년 4월에 성체 암컷이, 1996년 4월에 성체 수컷이 채집되었다. 1994년 6월에는 발루이 이차림에서 아성체 암컷이 발견되었고, 1997년 3월 28일에는 탈레반의 일차림에서 미성숙 개체가 수집되었다.
말레이시아 반도 카메론 하이랜드에서는 2월부터 6월 사이에 임신한 암컷이 발견되었다.[4][8] 또한 11월에는 젖을 먹이는 새끼와 함께 있는 암컷이 관찰되기도 했다.[5][9]
서식 고도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표본 MTA96004는 지상 30m 높이의 수관 그물에서 채집되었으며, 표본 BD013은 보르네오섬 바리오 고지대의 해발 1100m 지점에서 채집되었다. Lekagul과 McNeely (1977)에 따르면, 태국에서는 저지대부터 해발 3000m 높이의 산지에서도 서식이 기록된 바 있다.
참조
[1]
간행물
Megaerops ecaudatus
2021-11-22
[2]
문서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